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밀도류를 고려한 저수지내 오탁물질의 유동장 수치해석

        신영섭,이성대,Shin. Young Seop,Lee. Seong Dae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

        여름철 홍수기에 저수지 내로 유입한 탁수는 저수지 내부에 밀도차를 발생시키며 내부 성층류를 형성한다. 유입되는 고농도의 탁수층을 선택적으로 배제하거나 응집제 투입를 통한 오탁물질 입자의 침전 또는 탁수 차단망 설치로 방류 탁도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저수지내 성층 유동장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상의 저수지 성층류 해석을 위한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양한 형상으로의 적용을 위하여 비정렬 격자계를 사용하였으며, 성층류를 고려하기 위하여 Boussinesq 가정에 기초한 N-S 방정식 및 에너지 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였다. 수치해석법의 검증을 위하여 결과가 잘 알려져 있는 2차원 및 3차원 공동 문제, 여러 개의 격벽이 설치된 정수장내 유동 및 댐 붕괴 거동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개발된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저수지 내 탁수 유입시 발생하는 성층류에 대한 수치해석을 시도하여 결과를 검토하였다.

      • KCI등재

        섬유혼입 내화 고강도 콘크리트의 열전달 모델

        신영섭,한동석,염광수,전현규,Shin, Young-Sub,Han, Tong-Seok,Youm, Kwang-Soo,Jeon, Hyun-Kyu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4 No.2

        대형 구조물에 주로 사용되는 고강도 콘크리트는 화재 시 폭렬이 발생하여 구조물의 심각한 손상을 초래한다. 최근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현상을 감소시켜 구조물의 내화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내화해석 모델을 제시하였다. 섬유의 거동 및 고온에서의 콘크리트 내부의 물리적인 현상을 고려하여 수정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재료모델을 섬유혼입 고강도 콘크리트의 재료모델로 선택하였다. 수정된 재료모델을 이용하여 얻은 섬유혼입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해석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고, 섬유혼입 고강도 콘크리트 재료모델을 제안하였다. High strength concrete used for large structures is vulnerable to fire due to explosive spalling when it is heated. Recently, various research is conducted to enhance the fire-resistance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by reducing the explosive spalling at the elevated temperature. In this study, a heat transfer analysis model is proposed for a fiber-embedded fire-resistant high strength concrete. The material model of the fire-resistant high strength concrete is selected from the calibrated material model of a high strength concrete incorporating thermal properties of fibers and physical behavior of internal concrete at the elevated temperature. By comparing the simulated results using the calibrated model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heat transfer model of the fiber-embedded fire-resistant high strength concrete is proposed.

      • KCI등재

        분화용 배양토가 구절초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신영섭,윤세영,Shin Young-Seob,Yun Sei-Young 한국자원식물학회 200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9 No.1

        유망 야생화의 하나인 구절초의 생육에 적합한 배양토를 구명하기 위해 무기재료로서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암쇄토, 모래, 밭토양을 사용하고 유기물원으로서 피트모스, 부염, 퇴비를 혼합한 배양토를 조성하여 구절초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구절초의 생육은 유기물원으로 부엽이 들어간 배양토에서 피트모스나 퇴비를 혼합한 것에 비해 현저히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험 후 배양토의 이화학성 분석 결과 부엽과 피트모스를 사용한 배양토의 화학성은 모든 성분에 있어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퇴비를 사용한 처리에서는 pH가 ($8.6{\sim}8.9$)로 매우 상승하였고 인산의 함량이 ($237{\sim}1158\;mg/kg$)로 높아져 구절초의 생육을 불량하게 하는 원인이 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트모스는 화학성분 조사 결과로서는 부엽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분의 공급 능력에서 부엽에 미치지 못하여 구절초의 생육이 불량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구절초의 생육에 대한 통계처리 결과를 살펴보면 구절초의 배양토에 있어서 부엽을 유기물원으로 혼합한 상토가 피트모스나 퇴비에 비해 유의성 있는 생육의 증가를 보여 주었다. 부엽을 사용한 VPL, SaVPL, SVPL, UVPL 처리 간에 있어서도 VPL과 UVPL처리가 SaVPL 및 SVPL에 비해 유의성 있는 생육차이를 보였다. 피트모스를 혼합한 처리들과 퇴비를 혼합한 처리들 사이에는 피트모스 처리들이 퇴비에 비해 생육이 양호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못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bination of proper culture medium for differentiation culture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The combinations of culture medium were consisted with an inorganic materials such as vermiculite, perlite, saprolite, sand and upland top soil, and with an organic materials such as peat-moss, leaf mold and compost. For the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the plant height, number of tiller, root length and root weight in the combination of leaf mold was relatively great as compared to the treatment with peat-moss and compost. It was considered that humus might be contributed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s well as the sequential nutrient supply. For the combination of peat-moss, the plant growth was not good because of not sufficient nutrient supply, Also, the plant growth in the treatment of compost was so bad because of enhancement of culture medium pH 8.9 and increasement of phosphorous content.

      • KCI등재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의 연구동향(硏究動向) 분석(分析)

        신영섭,이숭인,Shin, Young Sub,Lee, Soong In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17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25 No.2

        Objectives : Jakyakgamcho-tang has been used to treat muscular tension, spasm and pain. On this study, new clinical uses of Jakyakgamcho-tang were confirmed and the other pharmacological results were summarized by analysing trends of modern experimental studies and clinical studies. Methods : Papers related to Jakyakgamcho-tang were searched on PUBMED, RISS,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classified by categories and effects of clinical application and a variety of experiment around abstract. Also, figures were used for sketching out a timeline of expressing when these papers were read and core research content was described as a digest for identifying research trends. Results : Until today, there are 104 researches about the antispasmodic, analgesic, anti-inflammatory effects of Jakyakgamcho-tang. In total, 91 pape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In matter of subject, researches on the antispasmodic effects were 17 cases, researches on the analgesic effects were 14 cases, researches on gynecological therapeutics were 14 cases, researches on pharmacokinetics were 12 cases, researches on the constituent identification were 7 cases, studies about constituents efficacy were 6 cases, studies about interactions with drugs were 6 cases. Conclusion : The traditional use of Jakyakgamcho-tang on muscle tension, spasm and pain has proven to have effects through the experimental evidences. Other effects of Jakyakgamcho-tang such as gynecological therapeutics, anti-inflammatory effects, are now emerging as a new area in clinical use. Futhermore as an auxiliary treatment, Jakyakgamcho-tang is a good alternative for muscle cramps during maintenance of hemodialysis, myalgia or arthralgia induced by anticancer drugs, amenorrhea induced by neuroleptics.

      • KCI등재

        미취학 어린이에서 음파 칫솔과 일반 칫솔의 효과

        신영섭,이효설,송제선,이제호,Shin, Youngseob,Lee, Hyoseol,Song, Jeseon,Lee, Jaeho 대한소아치과학회 201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L{\ddot{o}}e$ & Silness의 치태지수를 사용하여 음파 칫솔과 일반 칫솔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전신질환이 없는 3-6세 어린이 34명을 대상으로 교차설계, 연구자에 대한 눈가림법을 사용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2개의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어져 음파 칫솔과 일반 칫솔을 번갈아 2주씩 사용하였고, 칫솔질 전후 구강위생상태를 $L{\ddot{o}}e$ & Silness의 치태지수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음파 칫솔 사용 후 $0.26{\pm}0.28$, 일반 칫솔 사용 후 $0.09{\pm}0.22$의 치태지수 감소를 보였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성별과 나이에 따른 음파 칫솔의 치태 제거 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연구 결과, 3-6세 어린이에서 음파 칫솔이 일반 칫솔에 비해 치태 제거 효과는 좋았고, 성별과 연령에 따른 치태 제거 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sonic and manual toothbrushes using the $L{\ddot{o}}e$ and Silness plaque index (PI). This was an examiner-blind, randomized study with a cross-over design. A total of 34 children (17 males and 17 females) aged 3-6 years were included.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one group used the sonic brush for two weeks before using the manual brush for two weeks, while the other group used the manual brush for two weeks followed by the sonic brush. During each dental visit, plaque indices were recorded and compared to baseline.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or Pearson correlation test (${\alpha}=0.05$). Thirty children (mean age 4.37 years) complied with the protocol and completed the study. The PI score was 0.09 lower compared to baseline after using a manual toothbrush and 0.26 lower after using the sonic brush. The redu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sonic group (p < 0.05). In conclusion, the sonic toothbrush is more effective for reducing plaque than a manual toothbrus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진동하는 평판 위의 액적의 형상 진동 및 제거 조건에 대한 연구

        신영섭(Young-Sub Shin),임희창(Hee-Chang Lim) 대한기계학회 2014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8 No.4

        본 연구는 주기적 강제 진동이 가해지는 표면의 액적 모드 특성과 표면에 놓인 액적의 제거에 대한 조건을 실험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액적의 거동을 명확하게 관찰하기 위해 아크릴 표면에 Teflon 코팅을 진행하여 접촉각을 높였고, 히스테리시스는 25도 이내로 진행하여 액적의 거동이 보다 쉽게 진행되도록 하였다. 본 실험은 먼지가 적은 청정실에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제작된 소수성 표면에 놓인 액적의 실제 공진 주파수를 예측하기 위해 이론 및 실험적 해석을 통해 두 접근방법의 타당성을 파악하였으며, 두 개의 초고속카메라를 액적의 상면과 측면에 설치하여 2가지 측면에서 액적의 다양한 형상 변형 특성- 모드 형상, 분리, 미소 액적의 발생, 그리고 좌우 비틀림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이론 값 비교결과 실제 공진 주파수 값들의 차이가 약 18% 이하로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접촉선 마찰, 비선형 벽 고착, 실험의 불확실성 등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용된 스피커에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을 인가할 경우 액적의 접촉선은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 대칭적인 액적 형상진동이 나타났다. 반면, 높은 전압을 인가할 경우 액적의 접촉선은 비고정된 상태가 되면서 더 활발한 형상 진동이 나타났다. 가진 주파수가 모드 주파수와 일치할 경우에는 액적의 로브 크기가 주변부 주파수 일 때 보다 비교적으로 컸으며, 같은 전압을 인가 할 경우, 표면에 놓인 액적의 미소 액적 발생 및 완전한 제거는 2차 모드에서만 진행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규명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mode characteristics of a droplet subject to periodic forced vibration and the detachment of a droplet placed on a plate surface. An surface was coated with Teflon to clearly observe the behavior of a droplet.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droplet and surface and the hysteresis were found to be approximately 115° and within 25°, respectively. The coating process was performed in a clean room that had an environment with a low level of contaminants and impurities such as air dust, detergents, and particles. To predict the resonance frequency of a droplet,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approaches were applied. Two high-speed cameras were configured to acquire side and top views and thus captur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a droplet: the mode shape, the detachment, the separated secondary droplet, and the waggling motion. A comparison of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s no more than 18 discrepancies when predicting the resonance frequency. These differences seem to be caused by contact line friction, nonlinear wall adhesion, and the uncertainty of the experiment. For lower energy inputs, the contact line of the droplet was pinned and the oscillation pattern was axisymmetric. However, the contact line of the droplet was de-pinned as the oscillation became more vigorous with increased energy input. The size of each lobe at the resonance frequency is somewhat larger than that at the neighboring frequency. A droplet in mode 2, one of the primary mode frequencies, exhibits vertical periodic movement as well as detachment and secondary ejection from the main dropl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