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운 교육 내용으로 <표준 발음법>이 타당한가

        신승용(Shin, Seung-yong)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2

        Even though Korean native speakers don’t know the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they can pronounce the standard pronunciation. In other words, actual Korean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is different from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Teaching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means teaching the articles of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I agree that phonology education should include standard pronunciation, but I oppose to include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current curriculum, the contents of phonology unit in the grammar section, in particular, is similar to the contents of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However, "Korean standard rule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grammar rules in that the contents of phonology unit in grammar aims to research purposes whereas the pronunciations rules are not. Moreover, the "standard rules" are for judging what is right or wrong in pronouncing Korean, which is not a desirable goal of phonology education. In this thesis, therefore, I insist that the contents of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should be removed from the phonology unit of the grammar section.

      • KCI등재

        레이다 표적 인식에서 표적에 대한 2차원 산란점 추출 및 ISAR 영상 형성에 대한 성능 개선

        신승용,임호,명로훈,Shin, Seung-Yong,Lim, Ho,Myung, Noh-Hoon 한국전자파학회 2007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8 No.8

        본 논문에서는 표적에 의해서 산란된 산란파에 대한 2차원 산란점 추출 및 2차원 ISAR(Inverse SAR) 영상 형성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표적 에 대 한 2차원 산란점과 ISAR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2-D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영상의 해상도 면에서 질이 떨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퓨리에 변환을 바탕으로 한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고해상도 신호처리의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2차원 산란점 추출 및 ISAR 영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2-D MEMP 알고리즘과 2-D ESPRIT 알고리즘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각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서 이상적인 점 산란체와 F-18 전투기에 대한 산란파를 이용하여 2차원 산란점을 예측하고 2차원 ISAR 영상을 획득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echniques of 2-D scattering center extraction and 2-B ISAR(Inverse SAR) image formation for scattering wave which is scattered by a target. In general, 2-D IFFT is widely used to obtain 2-D scattering center and ISAR image of targets. But, this method has drawbacks, that is poor in a resolution aspect.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with the FT(Fourier Transform)-based method, various techniques of high resolution signal processing were developed. In this paper, algorithms of 2-D scattering center extraction and ISAR image formation such as 2-D MEMP(Matrix Enhancement and Matrix Pencil), 2-D ESPRIT(Estimation of Signal Parameter via Rotational Invariance Techniques) are described. In order to show the performances of each algorithm, we use scattering wave of the ideal point scatterers and F-18 aircraft to estimate 2-D scattering center and abtain 2-D ISAR image.

      • KCI등재
      • KCI등재

        Gabor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한 움직이는 표적에 대한 움직임 보상 개선

        신승용,명로훈,Shin, Seung-Yong,Myung, Noh-Hoon 한국전자파학회 2006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논문에서는 움직이는 표적에 대한 ISAR(Inverse SAR) 영상의 움직임 보상 기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움직이는 표적에 대해서 단순히 퓨리에 변환만을 이용하여 ISAR 영상을 얻으면 일반적으로 영상에 퍼짐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영상의 퍼짐 현상에 대한 문제는 시간-주파수 변환 기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ISAR 영상의 움직임 보상 기법 중에서도 짧은 시간 퓨리에 변환과 Gator 웨이브릿 변환의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각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서 우리는 이상적인 점 산란체와 simulated MIG-25에 대한 산란파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이 된 ISAR 영상을 획득하였다. 또한 짧은 시간 퓨리에 변환과 Gabor 웨이브릿 변환을 이용하여 구한 ISAR 영상의 해상도를 나타내고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technique for motion compensation of ISAR(Inverse SAR) images for a moving target. If a simple fourier transform is employed to obtain ISAR image for a moving target, the image is usually blurred. These images blurring problem can be solved with the time-frequency transform. In this paper, motion compensation algorithms of ISAR image such as STFT(Short Time Fourier Transform), GWT(Gabor Wavelet Transform) are described. In order to show the performances of each algorithm, we use scattering wave of the ideal point scatterers and simulated MIG-25 to obtain motion compensated ISAR image, and display the resolution of STFT and GWT ISAR image.

      • KCI등재

        자율주행 무인차량용 레이더 신호처리부 개발 및 성능 분석

        신승용,최준혁,박상현,염동진,김정렬,Shin, Seung-Yong,Choi, Jun-Hyeok,Park, Sang-Hyun,Yeom, Dong-Jin,Kim, Jeong-Ryul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3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6 No.4

        In this paper, we present signal processing procedure and carry out performance analysis of FMCW(Frequency Modulation Continuous Wave) radar for Autonomous Unmanned Vehicle(AUV). In order to detect range profile and velocity of the unknown target, we must implement two step FFT(Fast Fourier Transform) procedure. And the DBF(Digital Beam Forming) algorithm has to be performed to obtain the angle information of the unknown target.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manufactured autonomous unmanned ground vehicle FMCW radar, we use the data of the real corner reflecter target.

      • KCI등재

        남해 대륙붕 PZ-1 시추공 주변 현무암 대지 구조의 CO<sub>2</sub> 지중저장용량 평가

        신승용,강무희,신영재,정순홍,Shin, Seung Yong,Kang, Moohee,Shinn, Young Jae,Cheong, Snons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0 자원환경지질 Vol.53 No.1

        CO<sub>2</sub> 지중저장은 현재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CCS(Carbon Capture & Storage) 저장기술 중 가장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지중저장 대상 염대수층은 일반적으로 CO<sub>2</sub>가 초임계상태로 저장될 수 있는 지하 800 m 이상의 심도에 위치하고, 그 상부에 지표로의 CO<sub>2</sub> 누출을 막는 광역적인 불투수성 덮개암층이 분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남해 대륙붕 탄성파 및 시추공 자료를 해석하여 덮개암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현무암층과, 하부 염대수층이 발달하고 있는 현무암 대지 구조를 CO<sub>2</sub> 지중저장 유망구조로 제시하였다. 연구지역 주입대상 염대수층의 지중저장용량을 평가하기 위해 총 공극률은 시추공 감마 및 음파검층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염대수층 구간의 온도/압력 조건을 고려하여 CO<sub>2</sub> 밀도를 계산하였다. 정확한 주입대상 염대수층의 체적을 산정하기 위해 x, y, z 축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3차원 지질 격자 모델을 구성하였고, 염대수층 3차원 공간의 물성 분포를 지구통계학적 기법으로 예측하는 물성 모델링을 수행하여 총 공극률 값을 지질 격자에 할당하였다. U.S. DOE 방법을 이용하여 남해 대륙붕 현무암 대지 구조의 CO<sub>2</sub> 지중저장용량 평가 결과 평균 약 8,417만 CO<sub>2</sub>톤(최소 4,207만 ~ 최대 1억 4,379만 CO<sub>2</sub>톤)이 주입대상 염대수층 구간에 저장 가능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CO<sub>2</sub> geological storage is currently considered as the most stable and effective technology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The saline formations for CO<sub>2</sub> geological storage are generally located at a depth of more than 800 m where CO<sub>2</sub> can be stored in a supercritical state, and an extensive impermeable cap rock that prevents CO<sub>2</sub> leakage to the surface should be distributed above the saline formations. Trough analysis of seismic and well data, we identified the basalt flow structure for potential CO<sub>2</sub> storage where saline formation is overlain by basalt cap rock around PZ-1 exploration well in the South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 To evaluate CO<sub>2</sub> storage capacity of the saline formation, total porosity and CO<sub>2</sub> density are calculated based on well logging data of PZ-1 well. We constructed a 3D geological grid model with a certain size in the x, y and z axis directions for volume estimates of the saline formation, and performed a property modeling to assign total porosity to the geological grid. The estimated average CO<sub>2</sub> geological storage capacity evaluated by the U.S. DOE method for the saline formation covered by the basalt cap rock is 84.17 Mt of CO<sub>2</sub>(ranges from 42.07 to 143.79 Mt of CO<sub>2</sub>).

      • KCI등재
      • KCI등재

        사이시옷 첨가의 준거와 사이시옷의 기저 요소 유무에 대한 고찰

        신승용(Seung Yong Shin) 언어과학회 2013 언어과학연구 Vol.0 No.64

        I studied two subject In this thesis. The first is a problem about a criteria judging the saisiot insertion in a compound, the second is about wether inserted saisiot is underlying elements or not. So far, many people have judged saisiot insertion by two phenomena. The ons is a glottalization of initial consonant of the following noun in a compound. The other is [n] insertion between two constituents n a compound. But that isn`t a conditioned environment of saisiot insertion. Because glottalization and [n] insertion is just one of the resultant phenomenon of saisiot insertion. Also it is difficult to prove that a glottalization of initial consonant of the following noun and [n] insertion in a compound is caused just in saisiot insertion. That is to say, other reason is able to be related in that phenomena. To be present, Many people agree that the saisiot insertion is decided according to a semantic relation of front ant rear constituents of compound. If that is true, I think, it is right that we judge wether saisiot is inserted or not by a semantic relation of front ant rear constituents of compound. Additionally, I raised a problem whether the inserted saisiot is Underlying element or is an element inserted during derivation process. In relation to this problem, I suggested that we need to classify compounds two sorts. The one is reconstructed after sisiot insertion, the other is non-reconstructed. The latter is a case that the saisiot is inserted during derivation process. At present, I don`t show a criteria sorting two cases clearly. But I just suggested that the saisiot insertion is diachronic phenomenon at least when the C1 is voiced consonant /n, m, g, 1/ in the environment of (C)VC1#C@V(C).

      • KCI등재

        국어학 : 이중모음의 정의와 이중모음에서의 분절음 탈락 -"wi → i ~ u", "iy → i ~ I"를 중심으로-

        신승용 ( Seung Yong Shin ) 배달말학회 2012 배달말 Vol.50 No.-

        음성학에서 이중모음은 한 음절 안에 있는 두 모음의 연쇄로 해석한다. 이를 ``활음-모음``으로 해석하는 것은 음운론적 차원에서의 문제이다. 음성학적으로 이중모음은 한 음절 안에서의 두 모음의 연쇄이기 때문에, 이중모음을 이루는 한 음절 안의 두 모음이 각각 서로 다른 음절의 두 모음의 연속으로, 또는 서로 다른 음절의 두 모음의 연속이 하나의 음절 안에서 실현되기도 한다.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이중모음에서 탈락하는 분절음이 반드시 활음만은 아니며, 성절음인 모음도 탈락할 수 있음을 구명하였다. 이중모음에서 모음이 탈락하면 상대적 공명도의 크기에 의해 활음이던 모음이 성절음이 되면서 원래의 모음으로 실현된다. 이러한 주장의 증거로 ``의사 → 이사``류의 ``/iy/ → /i/``형, ``귀신 → 구신``류의 ``/wi/ → /u/``형의 존재를 제시하였다. ``귀신 → 구신``류의 ``/wi/ → /u/``형이 통시적 변화의 결과물이 아니라 공시적인 도출형임을 ``의사 → 이사``류의 ``/iy/ → /i/``를 통해 증명하였다. 그리고 ``/iy/ → /i/``가 모음 /i/ 탈락 이후 활음 /y/가 성절음이 되면서 원래의 공명도인 /i/로 실현된 것임을 증명하고, 이와 평행하게 ``/wi/ → /u/`` 역시 모음 /i/ 탈락 이후 활음 /w/가 성절음이 되면서 원래의 공명도인 /u/로 실현된 것임을 논증하였다. A diphthong is a sequence of two vowels that is in a syllable phonetically, and it is a problem of phonological level that we analyze a diphthong in a sequence of glide-vowel(or vowel-glide). Because a diphthong is a sequence of two vowel phonetically, we may pronounce a diphthong to a continuum of two vowels, or we may pronounce a continuum of two vowels to a diphthong. The former becomes two syllables, the latter becomes one syllable. If a segment is deleted in a diphthong, we have regarded generally that a glide is deleted. But I investigated that not glide but vowel in diphthong is also able to be deleted. In phonetical level, Glide is also a vowel, though is glide in phonological level. So, if a vowel in diphthong is deleted, a remaining glide is restored from vowel. I proved this assertion through the examples of ``i-sa`` derived from ``iy-sa`` and ``ku-sin`` derived from ``kwi-sin``. In the example of ``ku-sin``, it is able to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diachronic change that glide ``y`` was deleted from not ``kwi-sin`` but ``kuy-sin``. If that is true, ``ku-sin`` is able to be regarded as the result of glide deletion in diphthong. But I proved ``ku-sin`` was derived from ``kwi-sin`` synchronically as the existence of ``i-sa`` derived from ``iy-sa``. Because the letter ``ㅢ`` is always ``iy`` from middle Korean to now, so ``i-sa`` derived from ``iy-sa`` is no alternative but to be synchronical derivation. In like ``i-sa``, ``ku-sin`` is also a synchronical derivation derived from ``kwi-sin``. After deleted ``i`` in ``iy``, the remaining glide ``y`` is realized to ``i`` as restoring of its original sonority. The ``wi → u`` is also undergone the same process as ``iy → i``. That is, after ``i`` is deleted, the remaining ``w`` is realized to ``u`` as restoring of its original sonority.

      • KCI등재

        『문법』 교과서(敎科書) 내용(內容) 기술상(記述上)의 몇 문제(問題)와 개선(改善) 방향(方向)

        신승용 ( Shin Seung-y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4 No.4

        『문법』 敎科書는 學校 文法이라는 점에서 內容 記述의 일관성과 함께 정확한 槪念 定義 및 用語의 사용이 더욱 요구된다. 그럼에도 그렇지 못한 부분들이 있어 本考에서 이를 批判的으로 검토하였다. 첫째, 共時的 事實과 通時的 事實을 구분하지 않고 混在하여 記述함으로써 공시적 언어 사실에 대한 올바른 理解를 가로막고 있다. 둘째, 分節音 單位로서의 母音과 音節 單位로서의 中聲에 대한 구분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 셋째, 動詞, 形容詞라고 할 때 語幹만을 이르는 것인지 活用形 全體를 이르는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 넷째, ‘本用言+補助 用言’ 구성이 하나의 敍述語인지 두 개의 서술어인지, 홑문장인지 겹문장인지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 따라서 學習者들로 하여금 올바른 理解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서는 학교 문법의 내용 체계에서 이 문제들에 대한 보다 분명하고 명확한 記述이 요구된다. The contents of Grammar textbook is school grammar. Therefore we require to consistence with contents and precise definition of concepts. But there are some parts that it is not so. In this thesis, I will try to study on that parts critically. The problem that I raise in this thesis is four. The first, as they didn't distinguish synchronic facts from diachronic facts, learners feel constraint to understand synchronic linguistic facts correctly. The second, it isn't distinguished vowel from nucleus. A vowel is a unit of segment, a nucleus is a unit of syllable. But as they didn't distinguish vowel form nucleus, learners can feel confusion between two concepts. The third, when we say a verb and an adjective, it is difficult to judge that is to tell only a stem or a combination of stem-ending through descriptions of Grammar textbook. Because there isn't any explanation for that. The forth, there isn't any concrete explanation that a composition of ‘main verb+auxiliary verb' is one predicate or two predicate, a simple sentence or a complex sentence. I raised fore problems at this thesis, these is problems that learners feel constraint to understand. To make learners to understand for grammar correctly, it is needed to more concrete and correct description in Grammar text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