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자녀 관계와 대학 적응 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신선화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0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and social support in the proces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ffecting the college adjustment.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219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May to June 2019 via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child relationship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empowerment, social support, and college adjustment. Moreover, parent-child relationship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college adjustment via empowerment and social support. The indirect effect of empower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with respect to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on college adjust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parent-child relations and emotional intimacy through social support to promote the college adjustment of student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apply a program that can enhance empowerment, which is a powerful factor in college adjustment. 본 연구는 부모-자녀 관계가 대학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21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2019년 5월부터 6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자녀 관계는 임파워먼트, 사회적 지지 및 대학 적응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부모-자녀 관계는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를 통해 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간접효과(매개효과)가 있었다. 부모-자녀 관계가 임파워먼트를 통해 대학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사회적 지지를 통한 간접효과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대학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부모-자녀 관계 개선, 사회적 지지를 통한 정서적 친밀감 향상, 대학 적응에 강력한 요인인 임파워먼트 강화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통사 점화와 입력 분포 유형이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신선화,이상기 한국영어교육학회 2015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70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yntactic priming on the learning of the ditransitive construction by 49 Korean elementary school English learner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yntactic priming were scrutinized more in detail by implementing it in three different input frequency conditions: Skewed-first distribution, balanced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Results indicated that syntactic priming overall had facilitative effects on the oral production performance of the participants. When it comes to the participants’ comprehension of the target construction, however, it was only in the skewed-first distribution that priming had a substantial learning effect. It is concluded that priming combined with the skewed-first type of input distribution would have generalizable and durable learning effects.

      • KCI등재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Breast Sausage with Red Ginseng Marc Powder

        신선화,최원석 한국축산식품학회 2022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42 No.3

        This study explored the physiochem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chicken breast sausages containing red ginseng marc (RGM) which contains useful components but is discarde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use of RG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water holding capacity (WHC) as the particle size increased. As for the change in color value, addition of RGM resulted in an increase in a and b values; as the quantity was increased and particle size decreased,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smaller the particle size of RGM, the greater was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the viscoelasticity of chicken breast sausage containing RGM, the G’ and G’’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RGM and particle size. Neither the addition of RGM nor its amount or particle size had any significant effect on gel formation temperature.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TPA) experiment examined the average TPA measurements of each sample under different measurement condition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GM and control groups were observed. In conclusion, when RGM is used in chicken breast sausages, the WHC, antioxidant capacity, and viscoelastic properties are affected. RGM can possibly be utilized in high value-added processed meat products if its quantity and particle size are altered based on product characteristics.

      • KCI등재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온라인 쇼핑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의해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

        신선화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7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stress, depression, and online shopping addiction in adult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moderated by gende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requesting a survey organization that has panels across the country. The collected 336 data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for SPSS. As a result of the study, online shopping addiction increased as COVID-19 stress increas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COVID-19 stress on online shopping addiction. Furthermore, in the effect of COVID-19 stress on online shopping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moderated by gender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s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prolong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gender in interventions for behavioral addiction prevention, such as online shopping, and mental health management.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스트레스, 우울 및 온라인 쇼핑중독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성별에 의해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패널을 보유한 설문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성인 336명의 자료는 회귀분석에 기반한 Process Macro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온라인 쇼핑중독 경향이 증가하였고,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온라인 쇼핑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또한,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온라인 쇼핑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여자에 비해 남자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코로나19 감염병이 장기화될수록 온라인 쇼핑과 같은 행위중독 예방 및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개입에 있어서 성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일개 응급의료센터의 소생실에 입실한 호흡곤란 환자를 위한 임상 프로토콜 개발 및 적용

        신선화,김주원,이지연,최민진,최희강 병원간호사회 2014 임상간호연구 Vol.20 No.2

        Purpose: Resuscitation rooms in emergency department are places for time-critical tasks. This study aimed 1) todevelop a resuscitation protocol for dyspneic patients and 2)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resuscitation protocolfor dyspneic patients in improving clinical performances. Methods: A panel of experts including emergencyphysicians and nurses developed a resuscitation protocol for dyspneic patients which included a list of criticalinterventions and time-limits. The resuscitation protocol was implemented in a emergency medical center for twomonths. Clinical performances of health care providers were compared by analyzing video-recorded clinicalperformances. Results: The resuscitation protocol consisted of four steps: Initial treatments within 5 minutes, maintreatments within 15 minutes, diagnostic tests within 30 minutes, and disposition within 60 minutes. A total of 43dyspneic patients (23 patients experimental group, 20 patients control group) were included for the analysis ofthe clinical performance change. Clinical performance rate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from control group(66.71%) to experimental group (82.41%) after implementing the resuscitation protocol (Z=-3.09, p=.004). Conclusion: The resuscitation protocol developed for dyspneic patients improved clinical performance rates ofhealth care providers. Further development of clinical protocols for other emergent cases at resuscitation roomsare strongly recommended.

      • KCI등재

        일반인의 환자안전활동 경험, 환자안전인식 및 환자참여 의지 간의 관계에 관한 융합연구

        신선화,Shin, Sun-Hwa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환자안전활동 경험, 환자안전인식 및 환자참여 의지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또한, 일반인의 환자안전 참여를 증가시키기 위한 환자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9년 11월에 온라인 설문을 통해 195명의 단면 조사를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최근 1년 이내에 종합 병원에 입원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으로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환자안전활동 경험은 환자안전인식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고, 환자안전인식은 환자참여 의지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환자안전인식은 환자안전활동 경험과 환자참여 의지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반인의 환자참여 의지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의료기관에서 수행하는 환자안전활동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통해 환자안전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cross-sectional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ree factors related to patient safety activities: (1) Experiences, (2) Perceptions, and (3) Willingness to Participate.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95 people in November 2019. Participants were admitted to a general hospital within the past year. Patient safety activity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atient safety perception, and patient safety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willingness to participate. Patient safety perception thus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safety activity experience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atient safety perception through publicity of and educating on patient safety activities performed by hospitals. Doing so may increas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atient safety activities.

      • KCI등재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 감염에 대한 건강신념 및 위생행위 간의 관계

        신선화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health beliefs about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hygien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and 252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an university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November, 2018. As result, health promoting lifestyle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gender and perceived health status. Hygiene behavior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major,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health beliefs about emerging infectious disease. In providing health-related education to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nclude content that can establish health beliefs about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to develop a program that comprehensively deals with hygiene activities that can prevent these diseas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 및 위생행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서울에 소재한 일개 대학에서 252명 대학생이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 및 위생행위에 관한 질문을 포함하는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성별과 지각된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신종전염병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대학생과 그렇지 않은 대학생에서 위생행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위생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관련 교육을 적용함에 있어서 신종전염병에 관한 건강신념을 확립할 수 있는 교육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신종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는 위생행위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코로나19 두려움과 예방실천 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과 수면 문제의 매개효과

        신선화,Shin, Sun-Hwa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두려움이 예방실천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정신건강 문제와 수면 문제의 이중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310명의 성인이었다. 자료수집은 코로나19 두려움, 정신건강 문제, 수면 문제 및 예방실천을 평가하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6)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두려움이 정신건강 문제, 수면 문제 및 예방실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코로나19 두려움이 예방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신건강 문제와 수면 문제는 이중 매개효과가 있었다. 코로나19 예방실천은 두려움이 증가할 때 정신건강 문제를 통한 매개효과가 가장 강하게 작용하였다. 따라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두려움이 증가할 때 정신건강과 수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코로나19 예방실천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mediating effects on both mental health and sleep problems as induced by COVID-19 fears and its effects on preventive practices. The participants were 310 adults living in the Seoul/Gyeonggi Province. For data collec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Model 6) to validate the dual mediating effects.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 effects of COVID-19 fears on the mental health problems, sleep problems and preventive practices. Both mental health and sleep problems had dual mediating effects in the influence of COVID-19 fears on preventive practices. Preventive practice has shown that the mediated effects of mental health problems play a strong role in instances when COVID-19 fears incr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