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군 리더십 유형과 조직 유효성의 관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송하동,최우재,Song Ha Dong,Woojae Choi 대한리더십학회 2013 리더십연구 Vol.4 No.3

        오늘날 급격한 사회환경 변화와 글로벌 정치․경제의 불안정 속에서 리더와 리 더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많은 저작물과 연구논문들이 나오고 있다. 군(軍) 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환경과 특성을 고려하여 조직 유효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 적인 리더십 연구를 지속해오고 있다. 그동안 많은 실증연구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다양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지만 감성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이 조직 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 상황과 장병들의 특성을 고려한 군(軍) 리더십이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리더십 유형별로 조직 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에 대하여 문헌고찰을 하였다. 연구결과 변혁적 리더십 외에도 감성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도 군(軍) 조직 유효 성에 정(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함께 제시하였다. Today, rapid changes in global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 make organizations and their employees unstable in the roles and requirements. The military is also considering these historical environ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is paying attention to effective leadership. There are many empirical studies form a variety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t also has been evident that emotional and authentic leader have positive effects on employees' attitudes and behaviors in the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 settings. Despite the growing body of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s and individual and group effectiveness, a better understanding of different leaderships as antecedents is needed in the military setting. In this stud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together.

      • KCI등재

        감성 및 진성 리더십이 전투사기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하동(Song-Ha Dong),최우재(Woo-Jae Choi)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14 기업과 혁신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감성 및 진성 리더십이 전투사기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을 위해 표본으로 설정한 00사단 1개연대 460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위계적 선형모델(Hierarchical Linear Model : HLM)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가설은 주 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로 구분된다. 주 효과 가설검증에 있어서 감성 및 진성 리더십은 전투사기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가설검증에서 긍정심리자본은 진성 리더십과 전투사기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으나 감성 리더십과 전투사기의 관계에서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감성 및 진성 리더십을 군 리더십으로 채택이 가능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진성 리더십이 전투사기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을 함양해야 한다. 셋째, 위계적 선형모델(Hierarchical Linear Model : HLM)을 적용하여 개인수준과 집단수준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나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집단수준의 측정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리더십 및 매개요인과 군 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한 바람직한 군 리더십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pursu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and authentic leadership on soldiers" fighting spirit. In particular, the mediating effect of soliders" positive psh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was paid more attention for this study. For this study, military soldiers and their platoon leader were involv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o verify the hypotheses hierarchical regression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were used. The results show that emotional leadership has a direct effect on soldiers" fighting spirit, but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has not been supported. However, authentic leadership has a direct effect on soldiers" fighting spirit, and the relationship is approved for soldi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o mediate.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future research.

      • 진성리더십이 군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최우재,송하동 대한경영학회 2014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4 No.1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이 군 조직의 집단 및 개인수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LMX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진성리더십은 리더 스스로 진정성을 갖고 부하들과 진실된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부하들로 하여금 조직이 추구하는 집단 및 개인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고,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성리더십이 개인수준 조직효과성을 높일수 있다고 보았다. 이때 소대장의 진성리더십을 집단수준으로 상정하고, 개인수준의 효과성과 다수준 분석을 위해 HLM(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활용하였다. 또한 LMX의 질이 높을수록 그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SEM(Structrual Equatioin Modeling)을 통해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표본으로 설정한 육군 소대급 45개 제대 460명이 응답한 설문을 통해 가설은 검증하였으며,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성리더십은 집단수준 효과성(집단성과, 집단효능감)과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수준 효과성(조직시민행동)과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진성리더십이 개인수준 효과성(전투사기, 조직시민운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MX는 진성리더십과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 연구가 주로 다루어 왔던 연구 대상의 범위를 넓혀 군 조직에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분석결과를 볼 때 진성리더십은 군 조직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진성리더십이 군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의 매카니즘과 조건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OECD 회원국들의 중소기업 디자인 지원 사례연구에 따른 한국의 지원정책 개선방안

        최희선,송하동,윤병문 한국중소기업학회 2013 中小企業硏究 Vol.35 No.3

        In the 21st century, the OECD member nations recognize design as a knowledge-based capital for the SMEs growth and they reinforce design support for the competitiveness of state ans local business. In Korea, the design support policy has been implemented by government from the late 60’s, to increase exports. Korea actually needs an adequate SMEs policy in the Creative Economy era. In this research, we draw on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he design support projects of the OECD members for improvement in korean SMEs policies. The study limits its scope to 22 OECD member countries which possess the design promotion agencies from the year 2000. The research on the design support for SMEs is conducted with 3 steps : 1 : present state survey of the 22 OECD members, 2 : analysis of Korean design support policy, 3 : proposal of improvement of korean design support policy through comparing the cases analysis of the OECD member countr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OECD members extend the scope of SMEs target group for design support, not only manufacturing business, but also craft, publishing, fashion, interior, ITC, new media, architecture, environment and etc. Secondlyin the OECD Asian countries and post-communist nations of Eastern Europe, the design support for SMEs has been led by government-affiliated design agencies. Thirdly, most of the OECD members SMEs are assistedthrough specific methods: design education, design management consulting, overseas promotion and design development. In the 70s~80s Korean government started the packaging development support for SMEs and continues the design support policies such as Design R&D, consulting, manpower supply, high-tech equipment support and etc. But in spite if long period of support, Korean SMEs problem has not been solv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 must divert design development support to design management likes the cases of the OECD countries. And korean design agencies need to introduce a design management validation program for SMEs and to provide differentiated support services in conformity with enterprise growth steps. An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sign support must be extened to art and culture small business and that the korean government must reconsider working condition of support personnel in SMEs to create a sustainable employment. 21세기에 들어오면서 OECD 가입국들은 중소기업 성장을 위한 지식기반 자본으로 디자인을 재인식하고, 자국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원 정책을 강화고 있다. 한국 정부는 1960년대 후반부터 수출기업을 위한 디자인 지원정책을 시행해왔고, 최근 들어 창조경제에 적합한 새로운 중소기업 정책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 변화를 인식하고 중소기업 디자인정책의 효과적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국내외 사례들을 연구 하였다. 연구 범위는 국제 경제협력기구인 OECD의 가입국들 중 디자인진흥기관에 의한 중소기업 지원기구가 있는 22개국으로 정하였다. 연구 과정은 OECD 회원국들의 현황 조사, 한국의 중소기업 디자인 지원 조사, 마지막으로 해외사례를 통한 한국의 향후 개선방안 고찰의 3단계로 수행되었다. 비교분석 결과, 21세기 이후는 OECD 회원국들은 중소 제조업뿐만 아니라 공예, 출판, 패션, 인테리어, ITC, 뉴미디어, 건축, 환경 등 까지 디자인 지원 정책대상이 확대되었음이 밝혀졌다. 둘째, OECD의 아시아 가입국들과 구 사회주의국가들은 정부 산하 디자인기관을 통해 정부주도의 중소기업 디자인 지원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OECD 가입국들 대부분이 중소기업을 위한 디자인 교육, 디자인 경영 컨설팅, 해외 홍보, 기술개발 협력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1970~1980년대 중소기업 포장기술 개발에서 시작하여, 현재 디자인 R&D, 기업 컨설팅, 인력 지원, 개발 지원, 첨단 장비 및 시설 이용비 지원 등 다양한 중소기업 사업들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업 지원이 지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들의 디자인 여건은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향후 개선을 위한 결론으로, 한국은 OECD 가입국들과 같이 디자인개발 지원이 아닌 디자인경영 지원으로 전환과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지원서비스 차별화, 문화예술 분야를 포함한 소기업지원 확대, 고용창출을 위한 인력파견사업의 여건 재검토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다짐 풍화토의 K<sub>0</sub> 압축 삼축시험에서 나타난 파괴이전 흡수응력 특성곡선

        오세붕,노영,송하동,Oh, Se-Boong,Lu, Ning,Song, Ha-Dong 한국지반공학회 2011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27 No.1

        풍화토의 다짐성형 시료에 대한 삼축시험의 $K_0$ 압밀 결과를 바탕으로 불포화토에 대한 유효응력 가설을 검증하였다. 흡수응력 특성곡선은 함수특성에 관한 불포화토 거동을 기술하며, 전단강도나 함수특성곡선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K0 압밀 경로도 흡수응력 특성곡선을 정의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흡수응력에 근거하여 유효응력을 정의할 수 있었다. 다양한 모관흡수력 하에서 $K_0$ 경로는 유효응력에 의하여 유일한 직선으로 기술될 수 있었다. 또한 측정된 $K_0$ 값은 유효응력에 의하여 임의의 모관흡수력에 대하여 일정한 값으로 분석되었다. $K_0$ 압밀경로로부터 구한 흡수응력 특성곡선은 파괴규준으로부터 구한 것과 일치한다. 특히 함수특성곡선으로부터 구한 흡수응력 특성곡선이 $K_0$ 압밀 경로 및 파괴시 응력에서 나타나는 유효응력 거동을 모두 일관되게 기술할 수 있었다. 흡수응력 특성곡선에 기반한 유효응력은 압밀에서 파괴에 이르는 불포화토의 전 거동을 기술할 수 있다. The hypothesis on effective stress of unsaturated soil is validated by $K_0$ consolidation results of triaxial tests for the compacted residual soil. The stress characteristic curve (SSCC) can describe unsaturated soil behavior on water contents, which was defined from shear strength or from soil water characteristic curve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tress path of $K_0$ consolidation can also define the SSCC. The effective stress was defined by SSCC. $K_0$ paths for various matric suctions could be described as a unique line by effective stress. The measured values of $K_0$ were interpreted by effective stress as a constant with respect to matric suction. Since the SSCC from $K_0$ consolidation agrees with that from the shear strength, the SSCC from soil water retention curve could describe effective stress behavior consistently on both $K_0$ consolidation path and stress at failure. The effective stress based on SSCC can describe the entire unsaturated behavior from consolidation to fail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