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 후의 건강관련 행태 경로 분석

        조희숙,김화종,송예리아,Jo, Heui-Sug,Kim, Hwa-Jong,Song, Yea-Li-A 대한예방의학회 2008 예방의학회지 Vol.41 No.2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ealth information such as the general health information, the health product information, and the hospital information, and we wan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the health related behavior by analyzing the process after people search the Internet. Methods : A telephone survey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performed by trained surveyors. The respondents were sampled proportionate to the Korean demographic distribution with considering the city size and the populations' ages and gender.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06 to November 2006. Results : Out of 3,758 successfully connected persons of age 20 or more, 871(23.2%) respondents had used Internet health information during the last year. The purposes of searching the Internet for health was, 1) to get general health information (717 cases, 81.0%), 2) shopping for health product (109 cases, 12.3%) and 3) seeking information about hospital selection (59 cases, 6.7%). Our research showed that the process after searching the Internet for health information depends on the purpose of the search. 68.8% of the searchers for general health information, 67% of the searchers for health product shopping and 64.4% of the searchers seeking information to guide hospital selection were satisfied with their Internet search. However one third of the respondents reported not being satisfied with the result of the search. Conclusions : Unsatisfied consumers with internet health information tended to ask lay referrals from others or they gave up seeking health information. The health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and to provide reliable and effective information. Also, a more user-centric community is need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effective role of lay referrals among the internet users.

      • 학력과 주관적 건강의 관계

        김진영(Kim, Jinyoung),송예리아(Song, Yea-Li-A),백은정(Paek, Eunjeong) 한국사회학회 2012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2012 No.12

        기존 연구들이 교육 혹은 학력에 따른 건강 격차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왔으나, 대학학위의 질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대학졸업자 내부에서의 건강 차이를 검토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또한 국내 기존 연구의 경우 학력과 건강의 관계를 건강 행위 요인이나 심리적 요인으로 설명하고자 한 시도는 있었으나 보다 사회구조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는 노동시장 요인이나 경제적 요인으로 설명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동일 학력인 4년제 대졸자 중에서 졸업 대학의 소재지와 국공립/사립 여부에 따라 주관적 건강에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며, 학력 혹은 출신 대학의 특성에 따라 주관적 건강에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가 고용지위(정규직 여부, 고용 안정성), 직업지위(전문관리직 여부, 일자리 만족도, 일 만족도)와 경제적 지위(본인소득, 가구소득, 가구자산)에 의해 얼마나 설명되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며, 주 연구대상은 11차년도 조사에서 만 25세 이상이면서 직업을 가지고 있는 응답자 5,306명이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대체로 주관적 건강의 수준이 높으나, 중졸이하와 고졸 간의 차이가 두드러진데 반해 고졸과 대학수준 집단들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작다. 둘째, 4년제 대학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면, 서울/인천/경기 지역 대졸자에 비해 서울/경기/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사립대 졸업자의 주관적 건강 수준은 유의미하게 낮다. 수도권 지역 대학 졸업자와 지방 국립대 졸업자들의 주관적 건강은 고졸보다 좋지만, 지방 사립대 졸업자들의 건강 수준은 고졸과 별 차이가 없다. 셋째, 상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학력집단으로 갈수록 노동시장 지위와 경제적 지위 역시 상위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수도권 4년제 대졸자를 준거로 한 학력집단 간 건강격차는 고용지위, 직업지위와 경제적 지위 관련 변수들에 의해 상당 정도 설명되며, 특히 일만족도과 일자리만족도에서의 차이에 의해 가장 많이 설명된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학력에 따른 건강 격차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력과 학벌에 따른 노동시장에서의 불평등과 같은 사회구조적 측면에 대한 연구와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는 함의를 제시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ing and self-rated health. Particularly,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the potential difference in self-rated health among degree holders of four-year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ncerned universities and whether they are private or public institutes. Where differences do exist in health status according to schooling or characteristics of graduated universities, this study inquires how much of such differences can be explained by employment status, occupation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re used and the main subjects of study are the 5,306 respondents who are over 25 years old and currently employ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better the level of subjective health. Secondly, an analysis of the different four-year universities reveals that the level of health for graduates from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outside of the Seoul/Incheon/Gyeonggi area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for graduate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the Seoul/Incheon/Gyeonggi area. The level of health among graduate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ose from public universities is higher than that of high school graduates. However, the level of health among graduates of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outside of the metropolitan area is similar to that of high school graduates. Thirdly,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better the economic and labor market statu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ing and self-rated health is, in large part, explained by the variables related to employment status, occupation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especially by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at work and the workpl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understand and reduce the health disparity related to schooling in the Korean society, more research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problems in the social structure such as inequalities in the labor market due to schooling.

      • KCI등재

        학력과 주관적 건강의 관계

        김진영(Jinyoung Kim),송예리아(Yea-Li-A Song),백은정(Eunjeong Paek) 한국사회학회 2013 韓國社會學 Vol.47 No.2

        기존 연구들이 학력 혹은 교육에 따른 건강 격차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왔으나, 대학학위의 질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대학졸업자 내부에서의 건강 차이를 검토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또한 국내 기존 연구의 경우 학력과 건강의 관계를 건강 행위 요인이나 심리적 요인으로 설명하고자 한 시도는 있었으나 보다 사회구조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는 노동시장 요인이나 경제적 요인으로 설명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동일 학력인 4년제 대졸자 중에서 졸업 대학의 소재지와 국공립/사립 여부에 따라 주관적 건강에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며, 학력 혹은 출신 대학의 특성에 따라 주관적 건강에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가 고용지위(정규직 여부, 고용 안정성), 직업지위(전문관리직 여부, 일자리 만족도, 일 만족도)와 경제적 지위(본인소득, 가구소득, 가구자산)에 의해 얼마나 설명되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며, 주 연구대상은 11차년도 조사에서 만 25세 이상이면서 직업을 가지고 있는 응답자 5,306명이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대체로 주관적 건강의 수준이 높았으나, 중졸 이하와 고졸 간의 차이가 두드러진데 반해 고졸과 대학수준 집단들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작았다. 둘째, 4년제 대학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면, 서울/인천/경기 지역 대졸자에 비해 서울/경기/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사립대 졸업자의 주관적 건강 수준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수도권 지역 대학 졸업자에 비해 고졸 혹은 중졸 이하 집단의 주관적 건강 수준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셋째, 상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학력집단으로 갈수록 노동시장 지위와 경제적 지위 역시 상위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었다. 수도권 4년제 대졸자를 준거로 한 학력집단 간 건강격차는 고용지위, 직업지위와 경제적 지위 관련 변수들에 의해 상당 정도 설명되었으며, 특히 일 만족도과 일자리만족도에서의 차이에 의해 가장 많이 설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학력에 따른 건강 격차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력과 학벌에 따른 노동시장에서의 불평등과 같은 사회구조적 측면에 대한 연구와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는 함의를 제시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self-rated health. Particularly,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the potential difference in self-rated health among degree holders of four-year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ncerned universities and whether they are private or public institutes. Where differences do exist in health status according to education or characteristics of graduated universities, this study inquires how much of such differences can be explained by employment status, occupation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re used and the main subjects of study are the 5,306 respondents who are over 25 years old and currently employ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better the level of subjective health. Secondly, an analysis of the different four-year universities reveals that the level of health for graduates from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outside of the Seoul/Incheon/Gyeonggi area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for graduate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the Seoul/ Incheon/Gyeonggi area. The level of health among graduate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ose from public universities is higher than that of high school graduates. However, the level of health among graduates of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outside of the metropolitan area is similar to that of high school graduates. Thirdly,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better the economic and labor market statu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self-rated health is, in large part, explained by the variables related to employment status, occupation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especially by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at work and the workpl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understand and reduce the health disparity related to education in the Korean society, more research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problems in the social structure such as inequalities in the labor market due to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가나 볼타 지역 가임기 여성의 산후 건강검진 관련 요인

        남은우(Eun Woo Nam),송예리아(Yea-Li-A Song),조광걸(Kwang-Geol Cho) 국제개발협력학회 2013 국제개발협력연구 Vol.5 No.2

        이 연구에서는 가나 볼타 지역의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산후 건강검진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공적개발원조사업 및 보건사업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가나를 국적으로 하고 가나 볼타 지역에 거주하는, 연령이 15세에서 49세 사이인, 가임기 여성 중 최근 5년 이내에 분만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나 볼타의 Keta Municipality, Ketu North and South의 3개 조사대상지역에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EPI(Expanded Program on Immunization)의 “30×7” 집락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조사대상을 추출하여 조사한 총 630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종속변수인 산후 건강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소인성 요인(연령, 가족수, 종교, 교육수준, 고용상 태), 가능성 요인(지출 우선순위, 의료서비스비, 의료기관과의 거리), 필요 요인(임신 횟수, 임신중 증상)을 설정하여, X 2 검정 (Chi-square test)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산후 건강검진을 받은 경우가 소인성 요인 중 종교에 따라서는 기독교, 전통종교, 무교의 순으로 많았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고용 상태별로는 비육체노동자, 비경제활동인구, 육체노동자의 순으로 많았다. 가능성 요인 중에서는 식료품과 의복에 대한 가구 지출 우선순위가 3순위 이상인 경우에 가장 높았다. 이 연구 결과를 볼때에, 향후 모성보건 분야의 ODA사업을 개발할 시에는 이상의 요인들을 고려하여 산후 건강검진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모든 집단에서 산후 건강검진율을 높일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maternal health check in Volta Region of Ghana, and to provide references f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and health project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ose who lived in the Volta Region of Ghana, were 15~49 years old, and had delivery experience during last 5 years. Thes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Keta Municipality, Ketu North and South of the Volta Region of Ghana, using “30×7” cluster sampling method. Finally this study analyzed 630 people who were surveyed. This paper mad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predisposing factor, enabling factor and need factor on postpartum maternal health check. The proportion of those who received postpartum maternal health check is higher in the following groups; people whose religion is Christian, education level is higher than others, type of occupation is nonmanual worker, and those who has priority of expenses for food and clothes is lower than other peopl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can suggest that plan to increase postpartum maternal health check rat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고용형태와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대인갈등의 차이와 심리적 안녕

        김진영(Kim Jinyoung),송예리아(Song Yea-Li-A)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1

        고용형태와 본인이 인식하는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심리적 안녕의 차이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있었으나 이를 대인갈등이라고 하는 매개요인을 중심으로 규명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우선 정규직과 비정규직 집단 간에 대인갈등 경험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이 두 집단 간 심리적 안녕의 차이와 얼마나 관계되는지 그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다음으로 주관적 경제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대인갈등이 적고 그것이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심리적 안녕의 차이를 일정하게 설명하는 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세에서 59세까지의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2010년 “한국인의 갈등의식 조사” 자료를 활용하며, 심리적 안녕의 지표로는 우울과 분노가 고려된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우선 정규직에 비해 비정규직이, 혹은 경제적 하층에 속한다고 인식할수록 가족 관계에서 갈등을 더 자주 경험한다. 또한 정규직에 비해 비전일제 비정규직이, 혹은 경제적 하층에 속한다고 인식할수록 직장 내 관계에서 갈등을 더 자주 경험한다. 둘째, 정규직에 비해 비정규직의 우울 수준이 높으며 이는 주관적 경제수준과 가족갈등에 의해 일정하게 설명된다. 또한 경제적 하층에 속한다고 인식할수록 우울수준이 높으며 이는 가족갈등과 직장갈등에 의해 일정하게 설명된다. 셋째, 경제적 하층에 속한다고 인식할수록 분노의 수준이 더 높으며 이는 가족갈등과 직장갈등에 의해 일정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결과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태에 있는 비정규직 집단이나 경제적 하위 계층의 심리적 안녕을 위해 그들의 가족 혹은 직장 내 관계를 향상시키고 갈등을 줄이기 위한 사회적 지원과 개입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In this study, we first intend to reveal if there are differences in experiencing interpersonal conflicts in relationships between regular employees’ group and temporary employees’ group, and if those differences contribute to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se two groups. Secondly, we intend to reveal if the group of higher economic level experiences less conflict in relationships and if it substantially explains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by self-rated economic level. We used the data from “Korean’s Conflict Attitude Survey” conducted in 2010 for Korean adults at the ages from 20 to 59. Depression and anger are considered as the indica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summary of main results, first of all the temporary employees and the people with lower economic level experience conflicts in family and work relationships more often than the regular employees and the people with higher economic levels. Second, those who experience more conflicts in family relationships or friend/neighborhood relationships or work relationships have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anger. Third,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by employment status and economic level are partly explained by conflicts in relationships.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we need social interventions to reduce conflicts in their family or workplace relationships to order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emporary employees or the people with lower economic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