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보육교사 자존감 회복을 위한 고찰

        손원경(Son, Wonk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근로시간, 보수, CCTV가 설치된 근로공간, 그리고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신뢰 문제를 살펴보았다. 근로시간은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기준을 초과하고 있으며 보수 또한 매우 열악한 수준이다. 또한 휴게공간이 없는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자발적 동의가 없는 CCTV 설치는 개인정보보호법 등과 관련하여 다시 생각해볼 부분이 많이 있다. 보육교사가 자존감과 사명감을 가지고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보수, 근무시간 등 근로여건에 대한 개선 뿐 아니라 보육교사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신뢰 회복이 시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ork hours, wages, and work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onsidering that security cameras are installed in the work environment of these teachers, society’s trust for these teachers was also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work hours exceeded the allowable amount set by the Labor Standards Act and the wages were also very low. We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security camera installation issue as the teachers are being deprived of their privacy even during breaks. Improved working conditions are urgently needed to restore society’s trus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후보

        유아용 검사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사용실태 및 요구 조사

        손원경(Son Wonkyoung),남미경(Nam Mi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1

        유아에게 도움이 되는 검사를 개발, 보급 및 연수를 계획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써 부모 200명 및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검사에 대한 활용실태 및 요구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부모의 28.4%가 자녀에 대한 검사를 개인적으로 실시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발달검사와 창의성검사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교사의 경우 46.4%가 유아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학습준비도 검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부모 모두 검사와 관련된 연수나 교육에는 적극 참여할 의사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 of using test materials and attitudes to them of teacher and parent.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about the actual conditions of using test materials and teacher's attitude for them? Second, how about the actual conditions of using test materials and parent's attitude for th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teachers and 200 par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analysed by frequencies, percentiles and chi-squ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46.4%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have used test materials, mostly 'school readiness test'. 15.3% of teachers answered that they did not notify the test results to parents. Most of teacher(96.2%) wanted to attend the workshop about test materials. Second, 28.4% of parents responded that they have taken test by individual, mostly IQ test. 35.8% of parents were not satisfied to the test which have taken in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because the test did not offer actual information about children. Most of parent(95.7%) wanted to attend the workshop about test materials.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직무몰입 및 소진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손원경 ( Won Kyoung Son ),이미애 ( Mi Ae L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직무몰입과 소진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유아교육기관 원장 270명을 대상으로 직무몰입, 소진, 자기효능감 정도를 알아보고,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장의 개인변인에 따라 소진,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원장의 직무몰입과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소진과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몰입과 소진은 자기효능감에 20%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원장이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기관을 운영할 수 있도록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직무몰입을 높이고, 소진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며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job commitment and burnout on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principal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70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in Busan a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PSS 22.0.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rnout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factors of the principal.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commitment and self-efficacy,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self-efficacy. Also, job commitmen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whereas burnout showed a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job commitment of the principal while decreasing burnout so that the principal can efficiently manag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with faith in their abilities.

      • KCI등재

        일반인이 인식하는 어린이집 교사의 이미지

        손원경(Son, Won-Kyoung),김미진(Kim, Mi-J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8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역할 기대 및 정체성 정립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일반인 110명을 대상으로 자유기술식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인들은 깔끔하고 단정하면서도 활동하기 편한 차림을 한 밝은 인상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외형적 이미지를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내면적 이미지로 ‘아이들을 좋아하는’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으며, 대체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이미지로는 ‘교육’, ‘돌봄’, ‘보육’, ‘놀아주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위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적 지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예비교사양성과정과 현직교사의 재교육 강화를 통하여 전문적 지식과 기술, 인성을 겸비한 어린이집 교사를 양성, 재교육하고 이에 맞는 처우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set the right image and identity of teachers in a day care center by examining their images perceived by the public.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perceive the teachers wear neat and casuals and bright smiles for the external image of the teachers. Second, the respondents mentioned “they like children” most for the internal image of the teachers. It turned out that the general people have positive image on the teachers in a day care center. Third, when the respondents were asked about the role image of the teachers, they mentioned ‘education’ and it was followed by ‘child care’, ‘nursery care’, and ‘playing together’ in the order. Fourth, upon the social status of the teachers, it turned out most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e teachers have low socal status.

      • KCI등재

        유아의 전쟁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손원경(Son Won-kyoung),유진(Shon Yoo-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전쟁놀이 실태와 이에 대한 어머니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에 위치한 유아의 어머니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83.2%(158명)가 전쟁놀이를 하고 있으며 남아(93.3%)가 여아(70.9%)보다 전쟁놀이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자녀가 재미있어서, 또는 친구와 어울리려고 전쟁놀이를 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자녀의 전쟁놀이를 허용하는 어머니(18.5%)가 금지하는 어머니(11.6%)보다 많았으며, 교사가 전쟁놀이를 허용해 주기를 바라는 어머니(18.8%)가 금지해주기를 바라는 어머니(14.1%)보다 많았다. 어머니들은 전쟁놀이의 긍정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있었으며 예전보다 허용하는 비율도 높아졌다. 이에 유아의 전쟁놀이가 진정한 의미의 놀이가 될 수 있는 방안을 교사와 부모가 적극적으로 도색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ther's awareness about children's war play. 214 mothers were selected to response to a questionnaire which asks children's war play in three parts, the present condition, mother's awareness and management of war pla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children did war play(83.2%) and boys did more than girls. Second, mothers responded to the reason of children's war play children were enjoying their war play and wanted to play with friends. Third, most mothers thought war play was helpful to children's development and they let their children do war play and they wanted to for teachers approve children's war play positively as well. Fourth, mothers worried about watching violent TV programs and playing with violent toys of children. To minimize violence of TV programs and toys, effective ways need to be suggested variously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장 다면적 리더십 척도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 탐색

        손원경(Son Won Kyoung),이신주(Lee Shi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장 다면적 리더십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의 추출을 목적으로 유아교육기관장 다면적 리더십 구성요소와 하위개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유아교육기관장 다면적 리더십 수준, 구성요소, 하위개념 초안을 구성하고,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검토 하였다. 또한 전문가 집단 의견을 개방형 설문 형태로 수렴하여 최종적으로 4개의 수준, 13개의 구성요소, 33개의 하위개념이 도출되었다. 유아교육기관장 다면적 리더십은 개인수준, 상호관계수준, 집단수준, 조직수준으로 구성되었으며, 개인수준은 ‘변화지향능력’, ‘자기존중’, ‘윤리성’, 상호관계수준은 ‘이해 배려’, ‘동기부여’, ‘성장지원’, 집단수준은 ‘근무환경조성’, ‘팀워크’, ‘관계형성’, 조직수준은 ‘비전설정’, ‘갈등관리’, ‘조직문화조성’, ‘대외협력관계’의 구성요소와 33개의 하위개념이 규명되었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유아교육기관장 다면적 리더십 수준, 구성요소, 하위개념에 대한 전문가 집단 CVR값은 전체 .73 이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onents and sub- concepts of the multiphasic leadership of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a multiphasic leadership scale for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 draft for the levels, components and sub-concepts of the multiphasic leadership of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as prepared after literature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arried out,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draft was reviewed by a group of expert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open-ended questions to gather opinions from the group of experts, and then four levels, 13 components and 33 sub-concepts were selected. The selected four levels of the multiphasic leadership of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personal level, interpersonal level, group level and organizational level. As for the components of multiphasic leadership, three components were selected at the personal level: change orientation, self-respect and ethics. There were three components at the interpersonal level as well: understanding/ consideration, motivating and support for growth. At the group level, three components also were selected: creating work environments, teamwork and relationship building.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ere were four components: vision setting, conflict management, creat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the outside. Finally, there were 33 sub-concepts. The CVR values of the levels, components and sub-concepts of multiphasic leadership given by the expert group were above .73 overall, which implied that the levels, components and sub-concepts of multiphasic leadership were valid.

      • KCI등재

        발달선별검사개발을 위한 탐색

        손원경(Son Won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발달선별검사와 각 발달영역별 측정내용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기존의 발달관련 검사들의 하위영역과 각 영역별 측정내용, 신뢰도와 타당도, 대상연령, 측정방법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의 발달상의 지체 유무를 조기에 판별할 수 있는 발달선별검사의 개발을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analyse several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nstruments from home and abroad and to suggest several issues concerning to develop new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Many developmental tests used in Korea were developed foreign country, and most developmental screening tests were for under 48 months. So there necessity to develop new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kindergarten age that is, 3-5 year old children. Some suggestions are made about subarea, general way to execute the test, examiner, test time and cut-off scor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compose the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nclude all developmental areas. Second, we should development the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based on the research for domestic children. Third, we should suggest the cut-off score for screening based on the sensitibity, specificity, overreferal rate and underreferal rate i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 KCI등재

        약점지능향상을 위한 스마트단말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효과

        손원경(Won-Kyung Son),안동혁(Dong-hyeok A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8

        지속적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사회 및 경제 분야들과의 융합이 발생하는 4차 산업혁명이 예견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많은 업무들이 기계 또는 인공지능에 의해 대체되고, 새로운 형태의 산업들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산업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 창의적 융합 인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창의적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능력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인간의 지능이 8개의 지능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다중지능이론을 기반으로 모든 지능들을 발달시켜야 한다. 기존의 IQ검사는 언어, 수리, 논리 능력만을 평가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능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다양한 지능 개발을 위해서는 지능간의 균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약점지능 향상을 위한 학습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스마트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중지능검사를 수행하고, 결과를 기반으로 두 지능을 약점지능으로 결정하였다.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학습 후, 약점지능으로 선택된 자연친화지능과 언어지능의 점수가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Due to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occur where the convergence of social, economy, and etc. will occur.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ny jobs are supposed to be replace by machine and AI, new types of industries will be emerged. In order to deal with the industrial change, the creative person who is able to combine different domain knowledge is required. For that, a person has to develop abilities and learn knowledge in various fields. According to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an intelligence is composed of eight criteria. Since the IQ test focuses linguistic, mathematical, and logical intelligence, the improve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is limited. For balanced intelligence improvement, weak intelligence should be further improved.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mart device application to efficiently improve the weak intelligence. We conducted multiple intelligence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determined two weak intelligences. Students learned through smart device application, and we confirmed that the test results impr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