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원에 표상된 이상 - 토머스제퍼슨의 아카데미컬 빌리지와 몬티첼로의 경우를 중심으로 -

        성종상,Sung, Jong-Sang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1

        대체로 정원은 인간의 자연과 문화에 대한 생각, 그리고 그 둘 간의 영향관계로 설명되어 왔다(Francis and Hester, 1990). 이 글은 정원을 인간의 꿈과 이상이 구축된 표상으로 간주하고 그 구체적인 면모를 토마스 제퍼슨의 정원을 사례로 하여 고찰해 보려고 한 것이다. 정치가로서의 면모가 더 많이 알려져 있는 토머스 제퍼슨은 직접 여러 정원을 설계하여 조성한 후 몸소 가꾼 정원가이기도 하였다. 그가 직접 설계하고 완성시킨 몬티첼로, 아카데미컬 빌리지, 포플러 포레스트 등에는 그의 국가적 이념으로서 자유와 민주주의, 중농주의 등의 이념적 가치와 함께, 전원에 대한 지향 그리고 고등교육에 대한 이상이 숨김없이 표상되어 있다. 정치가이자 신생국의 선각자로서의 이상과 함께 그의 개인적인 꿈과 신념이 공간적으로 표출되어 있는 것이다. 추구하고자 하는 상징적 의미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거나 그것을 공간적 도식으로 재현함으로써 제퍼슨의 이상은 자신은 물론 그 곳을 찾는 이들에게 재음미되고 공유되어졌다고 할 수가 있다. 그런 점에서 제퍼슨에게 있어서 정원은 이념과 이상을 공간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무대였다고 할 수가 있다. The garden has long served as away of thinking about nature and about culture and how each influences the other (Francis and Hester, 1990). This study, viewing the garden as a representation of the ideal, tried to seek for detailed aspects of the aforementioned ideal with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omas Jefferson's gardens. Hidden behind his best known position as a politician was his other career: designer and creator of several gardens. Monticello, Academical Village, and Poplar Forest represented not only his ideals of national values like freedom, democracy and agrarian society, but also a yearning for the rural area and ideals for higher education realization. His personal desire and ideal are represented inside the spatial order, together with his ideals as a politician and the pioneer of new country. By representing the symbolic meaning metaphorically and restructuring it through a spatial scheme, Jefferson's ideal was admired and shared with visitors. In this way, Jefferson's gardens were practical stages to reveal his ideals.

      • KCI등재

        단지 개발로 인한 우수 유출량 변화 예측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 은평뉴타운 13, 14단지(못자리골)를 중심으로 -

        성종상,이은석,김대희,Sung, Jong-Sang,Lee, Eun-Seok,Kim, Dae-Hee 한국조경학회 2006 韓國造景學會誌 Vol.34 No.4

        This study focuses on hydrological changes caused by developments in the 13th, 14th (Motjarigol) district in Eun Pyoung New Town, Seoul on the basis of the Land Use Planning of development plan. Through analyses from the hydrological experiments about rainfall outflow using universal equation and amounts of infiltration through soils, the changes in amounts of overflows were estimated and the results were discussed from a urban ecological point of view. As a result, it has been predicted that the amount of rainfall outflow at post-development was dramatically increased, compared to pre-development. Installing of Derbris Dams and infiltration facilities were suggested as alternative plan to meditigate these changes. If we apply these alternatives, the rainfall outflow would be reduced up to 30% compared to the development plan without BMPs (Best Management Practice). In conclusion, it is proposed that once the ecological principles were considered during development planning process, we can minimize the adverse effects of developments to our environments.

      • KCI등재

        조선 사대부 원림의 땅 읽기(相地) 소고

        성종상(Jongsang Su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9 문화 역사 지리 Vol.31 No.1

        조선 사대부들이 만들어 즐긴 원림은 대체로 산수간에 위치한다. 기존 자연이 빼어난 곳은 아름다운 정원으로 만들기도 쉽다. 조선 원림에서 좋은 산수를 갖춘 땅 읽기, 곧 상지(相地)가 중요시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대체로 연고지나 이미 알고 있던 곳을 대상으로 하되, 수시로 찾아 거니는 ‘유(遊)’와 그 과정에서의 ‘격물치지(格物致知)’를 통해 자연미를 정치하게 읽어냈다. 상지라고 하면 정원을 조성할만한 땅을 찾아 정하고 다듬는 과정을 포함한다. 주변까지 넓게 포함하여 읽음으로써 내원만이 아닌 외원까지도 중요시했다. 면밀한 땅 읽기는 탁월한 원림 공간구 성과 경관연출로 이어졌을 뿐만 아니라 명명제영과 같은 자연과의 깊은 교감으로까지 이어졌다. 대표적 사대부 원림 무계정사, 소쇄원, 금쇄동/수정동/부용동, 백운동 등을 대상으로 땅 읽기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원림은 한결같이 지형 및 그로 인한 미기후나 경관, 풍수상의 이점이 살아 있는 곳이다. 둘째, 일부 산정상부나 섬 등과 같은 곳을 제외하면 대체로 바위와 물을 갖춘 산계곡부가 많다. 셋째, 자연조건을 공학적, 생태적, 심미적으로 읽어 내어 공간과 시설을 조성하되 기존 자연경물은 최대한 활용하면서 인위는 최소화하였다. 넷째, 그렇게 읽어낸 자연물의 특질을 토대로 상징과 의미, 시적 은유로 가득한 이름을 짓고 즐겼다. 다섯째, 상지의 결과로서 원림 입지는 본가나 마을과의 거리에 따라 수시이용권, 일일이용권, 별도생활권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The gardens that Joseon scholars built and enjoyed are generally located in the foot or valley of mountains. It is easy to make a beautiful garden where existing nature is outstanding. This is why seeking and selecting the land with good landscape. The Sangji(相地) is such an important issue in the garden of Joseon. In general, the target area is a place to live or to know, but scholars read natural beauty elaborately and sophisticated through the pleasure of frequent visits and the ‘gaining knowledge by the close study of things(格物致知)’ in the process. The term ‘Sangji’ includes searching, selecting and refining land to create a garden. By reading surrounding area widely, not only the inner garden but also the exterior garden became important. The careful reading of land led to the composition of outstanding landscapes, and also led to a deeper sympathy with nature such as ‘giving names and make poems into singing(命名題詠)’. The results of land readings on principal scholar’s gardens, such as Mugye jeongsa, Sosaewon, Geumsoae-dong/Sujeong-dong/Buyong-dong and Baekwoon-do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ch garden is a place where the terrain, the microclimate, the landscape, and the feng shui benefits are alive. Second, there are mostly in the mountain valleys with rocks and water, except for some mountain tops and islands. Third, natural conditions were read out in engineering, ecological, and aesthetic ways to create unique space and facilities. In addition, existing natural materials are utilized to the utmost and artificiality is minimized. Fourth,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objects read out, they enjoyed and pleasured the names filled with symbols, meanings, and poetic metaphors. Fifth, as a result of site selection, garden location can be divided into frequent use sphere, daily use sphere, and separate living spher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home or village.

      • KCI등재

        작동하는 복합환경조절장치 및 녹색기반시설로서 조경

        성종상 ( Jong Sang Sung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2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5 No.2

        Landscape space can and should play as a multi-functional agent: healing contaminated soil, reducing natural hazards, supporting living things, making comfortable environment for human, and appealing to human aesthetics, etc. This article aims to show the possibility and role of landscape space as such agent. In landscape design for National Marine Biology Resource Institute, distributed rain water treatment system and rain gardens are introduced to replace a mono-functioning large detention pond which was suggested by disaster impact assesment. Phytoremediation and vegetation filtering system with muti-cell wetlands are also adapted to heal the contaminated soil. This kind of landscape as a ``living machine`` which can play as an operational control utility of multi-environment and thus can be combined effectively into green infrastructure is important for post-industrial city, especially in an era of climate change.

      • KCI등재

        한국전통정원에 구현된 풍수미학 연구 -고산 윤선도의 원림을 중심으로-

        성종상 ( Jong Sang Su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0 No.4

        한국정원을 풍수적 시각으로 바라본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엄밀히 말하자면 풍수 이론이 적용된 정원을 열거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한국정원, 특히 산수간에 조영된 전통원림을 풍수와 관련시켜 고찰해 볼 필요성은 분명히 있다. 그 까닭은 첫째, 풍수나 정원 모두 자연에 대한 인간 대응 방식 내지 태도의 산물이라는 점과 둘째, 입지와 차경상 주변 산수와의 어울림을 중시하게 되는 전통원림에서는 풍수적 안목이 유용하게 작용하였을 것이고 셋째, 보다 구체적인 증거로서 풍수의 비보적 처방에 정원 또는 정원적 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루어졌음에 기인한다. 이 글에서는 풍수와 한국정원과의 상관성을 풍수미학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한국정원은 물론 풍수의 동시대적 의미와 효용을 풍부히 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산 윤선도의 부용동과 금쇄동 원림에 구현된 풍수미학으로 풍수 형국에 입각한 공간 구도상의 틀과, 각 요처들 간의 시각구도에서 발견되는 감상 차원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전자는 보길도 섬 전체의 형국을 읽으면서 핵심 요처를 찾아내어 풍수적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서 심적 이미지로서의 풍수형국이고, 후자는 각 요처에서 주변을 보다 편안한 시선으로 감상하도록 해주는 차경과 관련된 시각구도이다. 그렇게 탁월한 안목으로 풍수적 의미망과 미학 가득한 정원 부용동을 조영하면서 고산 윤선도는 아름다운 자연 속 체험을 예술로 승화시켰다고 할 수가 있다. There isn`t much of discussion about survey of traditional Korean garden with a perspective of Pungsu. Strictly speaking, it is difficult to list the names of gardens in which Pungsu theory is applied. But it is necessary to study in depth the Korean garden in mountain in relation with Pungsu. The reason is as follow; First, Pung-su and gardening both reflect man`s responsive attitude and approach toward nature. Second, selecting a site for a garden requires aesthetic eyes to consider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its compositions, where the perspective of Pungsu can play as an important component at work. Third, Pungsu`s complementary function justifies the correlation between Pungsu and Korean gardens. Gardens can be viewed as a solution to complement negative elements of Pungsu on site. This article trie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ungsu and Korean garden in mountain in terms of Pungsu aesthetics. In Kosan Yoon Sun-Do`s Buyong-dong garden, excavated perspectives of Pungsu aesthetics are fell into two categories; the spatial frame based on Pungsu topography and the dimension of enjoyment through visual angles between essential points. The former can be said as Pungsu topography as a mental image which was constructed by selected points and given Pungsu meanings; the latter is visual angles between those points by which make it possible to see and enjoy in comfortable sights. In such way making and enjoying Buyong-dong garden with full of Pungsu oriented meanings and aesthetics, Kosan Yoon Sun-Do enjoyed and sublimated his experience in nature into art.

      • KCI등재

        진경산수화에 표현된 풍토경관에 관한 기초연구 - 겸재 정선의 작품을 중심으로 -

        유가현,성종상,Yoo, Kahyun*,Sung, Jong-Sang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1

        본 연구는 진경산수화를 토대로 한국의 산악과 산천지형, 색(色), 광(光), 인간행태 등을 분석하여 지역적인 풍토경관을 해석해 보고자 하는 시론적 고찰이다. 근대 이후 적극적 국토개발의 원인으로 변형된 지형과 달라진 생활상 등을 살펴봄을 통해 우리의 본래적인 풍토경관을 이해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현재는 옛 모습을 찾아보기 어려운 서울과 한강변의 주변지역은 원지형과 경관, 일기와 기후 등의 자연현상, 인간행태 등과 연관된 해석에 주목하였고, 지금도 일반에게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금강산 등지는 과거에 이를 대했던 인식의 풍토에 중점을 두었다. 지형지물의 모습과 일기, 시절 등을 통틀어 나타나는 경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풍토라는 개념을 들어 기술하였다. 이에 실재하는 한국의 산천 모습을 주로 담고 있는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를 시각적 사료로 활용하였다. 다만 전작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각 지역의 특징적인 장면을 담고 있는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해악전신첩(海嶽傳神帖)" 등 그 주제와 장소별로 대상을 달리하는 작품군 중 대표성이 있는 사례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옛 풍토경관은 다양한 산악지형에 적응해 가던 생활모습이 담긴 풍경이며, 산을 대하던 인식의 풍토가 함께 반영된 정경(情景)이라 여겨진다. 이는 국토의 대부분이 산으로 이루어져 필연적으로 산악지형과 연관되어온 삶의 방식과도 관련이 있고, 이러한 환경적 요인은 풍토경관의 모티브가 되었다고 본다. This research is an introductory study that hopes to interpret the cultural scenic landscape by analyzing Korea's mountains, streams, topography, color, light, human behavior, and more based on real landscape paintings. It places its purpose on understanding our intrinsic cultural scenic landscape by investigating the changed topography and the differing life patterns caused bythe active national land development after the modern era. With Seoul, which is now difficult to find images of its past, and the surrounding areas of the Han riverbed, the interpretation related to its original topography, landscape, climate, weather, and human behaviors was observed while the main focus was placed on the climate of the perception held by people regarding Mt. Geumgang and other ranges which are not fully opened to the public yet. In order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figures of features and appearing landscapes including color, light, and more, it was described through the concept called climate. Hereupon, the real landscape paintings by Gyunjae(Jeong-Seon), mainly bearing features of existing Korean mountains, wereutilized as visual historical material. However, not having all his works, other pieces with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were utilized such as "Gyeong-Gyo-Myeong-Seung-Chup(a painting with picturesque sceneries around old Seoul)" and "Hae-Ak-Jeon-Shin-Chup(a landscape painting including even the spirits of the seas and mountains)" which contain the regions' distinct scenery. As a result, the old cultural scenic landscapes of Korea are regarded as containing diverse mountains and where the conceptions of the treatment of mountains were reflected.

      • KCI등재

        전주시 덕진공원의 장소성

        김연금,성종상,Kim Yun-Geum,Sung Jong-Sang 한국조경학회 2005 韓國造景學會誌 Vol.33 No.3

        Deokjin Park in Jeonju City was the site of a pond during the Koryo Period. Although Jeonju City has developed rapidly in modem times, Deokjin Pond was preserved and was developed into a park It can be theorized that Deokjin Pond's latent character has made it possible for it to adapt to the changes it has undergone throgh the years. In this study, the placeness of Deokjin Park is determined by examining its role in the adaptation process. Placeness can be determined by examining the objective character of a certain environment and the subjective experience related to it. For this paper, documents about the history of Deokjin Park were examined so that the facts related to it c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a number of Jeonju citizens were asked about their memories of Deokjin Park since memories reveal people's subjective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eokjin Pond is an ideal space for Feng Shui. It is a holy place because the tomb of the founder of the Chosun Dynasty is close to it. In addition, it has scenic value as it is part of the Jeonju Palkyoung (eight sceneries). To this day, we can see people washing their hair in the pond, proof that Deokjin Pond is still the subject of folk beliefs. When Korea was under Japanese rule, Deokjin Pond became Deokjin Park because of its ideal location, scenic value, and grand possibilities as an amusement center. Over the years, though its scenic value decreased after the death of its pine trees. Jeonju City, however, was able to revive the park's charm though a series of renovation projects and through the addition of several facilities. Deokjin Park is now surrounded by many cultural buildings. The significance of Deokjin Park can be expected to evolve with these changes. This study helps to predict the future of Deokjin Park and to elucidate the importance of landscape architec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evolving place."

      • KCI등재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 출품작에 나타난 프로세스적 설계 분석

        소진,성종상,배정한,So, Jin,Sung, Jong-Sang,Pae, Jeong-Hann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2

        용산공원과 같은 대형 공원의 설계는 특정 시점의 완결적 마스터플랜을 생산하는 전통적인 설계 방식보다는 다양한 층위에서 프로세스에 중점을 두는 접근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2012)의 여덟 개 출품작에 나타난 프로세스적 설계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각 출품작을 프로세스적 설계의 주요 대상, 단계별 계획 구성의 시간적 기준과 특징, 프로세스적 설계의 표현 방법 등 세 가지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세스적 설계 방법론의 현재 수준을 비판적으로 점검하는 동시에 국제공모를 통해 수렴된 용산공원의 미래 좌표를 보다 합리적이고 전략적인 방향으로 제안하는 이중의 의의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각 출품작에서 프로세스를 계획한 대상은 공간의 물리적 개발 순서, 생태성의 복원 과정, 공공성의 회복 과정, 경제성을 고려한 운영계획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고려사항으로는 주변 도시 조직과의 연결, 광역 녹지 체계와 수 체계의 연결, 부지 내 기존 건물 및 기반 시설의 활용 등이 있었다. 단계별 계획의 시간적 기준은 크게 일정한 시점과 기간을 설정하는 것과 단계의 순서만을 설정하는 것으로 구분되었다. 프로세스적 설계의 표현 방법은 대부분 단계별 계획의 형식을 취하고 있었으며, 일부 작품에서는 시나리오 구성 등과 같은 방식이 시도되었다.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의 출품작들은 프로세스적 설계를 적극적으로 시도했다기보다는 프로세스적 설계의 방법 중 하나인 단계별 계획을 설계의 한 부문으로 도입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설계 관례인 마스터플랜 방식을 거부하기보다는 마스터플랜과 프로세스적 설계 사이의 절충적 입장을 취했다고 볼 수 있다. Designing large parks such as Yongsan Park requires the open-ended process-oriented design approach in complex layers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self-completed master plan metho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oriented design in the eight invited entries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Master Plan of the Yongsan Park, Korea"(2012). For this purpose, it analyzed each entry according to three criteria: objects of process-oriented approach, time factor and its features of phasing plan, and presentation method of the process. This analysis can not only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level of the process-centered design methodology but also suggest strategic future directions for Yongsan Park. The objects of process-oriented design in the eight works were order of physical space development, restoration process of ecosystem, recovering process of publicity, and economic operation and management. Main considerations in the objects were connections to adjacent urban fabrics, links to regional green and water system, reuse of existing buildings and infrastructures in the site. The temporal criteria of the phasing plan had two aspects. One was planning a certain time and period, and the other was just establishing an order of phases. Most of the presentation method of process was the phasing plan, but some of the entries suggested a scenario plan. The eight works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Master Plan of Yongsan Park" did not attempt process-oriented designs entirely and completely. Rather, they tried to introduce the phasing plan as part of a process-centered design. Also, they took an eclectic approach between master plan and process-oriented design instead of rejecting the conventional master plan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