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생들의 화학평형 개념에 대한 연구

        성은모,박미애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6 과학교육연구논총 Vol.12 No.1

        대학교 학생들의 수업전과 후의 화학평형개념을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선행개념에 큰 변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전통적 수업에 의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산 염기 개념의 변화

        성은모,손진철,김창호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8 과학교육연구논총 Vol.14 No.1

        The conceptual change about acid and base was studied with the students in middle school. Before teaching about acid and base to the students of the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the acid base concepts, which the students had previously, were analyzed by paper and pencil tests. And after teaching about acid and base, the same tests with same group of students were carried out and analyzed. The teaching method was traditional: giving instructions by teacher without any discussion. The analyzing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 big change in acid-base concepts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learning. And also the developing of concepts to the higher level was hardly observed. To improve this situation, further studies about preconceptions of the students are necessary and the resear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lass.

      • PN , PN+ , PN- 의 분광학적 특성에 대한 이론 연구

        성은모,정우훈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7 과학교육연구논총 Vol.13 No.1

        The spectroscopic constants of PN, PN^+ and PN^- were calculated by using Mφller-Plesset perturbation method(MP4 and MP3) and configuration interaction(CISD) method. The results from PN molecule gave good agreements with experimental results. The spectroscopic constants of PN^+ and PN^- are also expected to be close to real molecular constants, which are not available in the lab.

      • 1,2-Ethanediol 의 구조에 대한 이론적 연구

        성은모,정재안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9 과학교육연구논총 Vol.15 No.1

        The ab initio molecular orbital calculations were performed to study the conformation of HOCH₂CH₂SH, HOCH₂CH₂OH and HSCH₂CH₂SH. The calculations were carried out. by using Hartree-Fock(HF) and Mφller-Plesset(MP) method with 6-31G^* basis set. 2-Mercaptoethanol and ethylene glycol have the stable gauche conformations indicating the presence of an intramolecular hydrogen bond. But 1,2-ethanedithiol has the stable trans conformation about 0.51㎉/㏖ lower than the gauche conformation.

      • 고등학교 공통과학중 화학실험능력 평가도구 개발

        성은모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과학교육연구논총 Vol.16 No.1

        The tool for evaluating experimental performance skills of integrated science was developed and was applied to the students of high school. The tool evaluated basic skills in the laboratory such as measuring volume of liquid with mass cylinder, reading the temperature of solution and weighing the weight of chemical reagent with balance. The results of evaluation show a reasonable distribution of grade over the class of about 45 students and it gives good possibility of evaluating performance skills during the lab work.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민첩성 수준에 따른 행동특성 분석

        성은모 ( Eunmo Sung ),진성희 ( Sung-hee Jin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4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 인재가 갖춰야 할 핵심역량으로 학습민첩성이 강조되고 있다. 학습민첩성의 개발 가능성이 논의되면서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그러나 그동안 개발된 학습민첩성 측정도구가 자기보고식 역량진단 측정 방법으로 결과의 신뢰도와 일반화에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학습민첩성 측정점수를 이해하기 위하여 행동지표에 따른 행동특성을 수준별로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전국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계열별 변형비례배분으로 표집한 총 1030명의 대학생들이며, 이중에서 학습민첩성 측정문항에 응답한 412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도구는 학습민첩성(변화수용성, 지적호기심, 학습주도성) 측정도구 6문항과 학습민첩성 하위 영역의 행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측정도구 4문항(새로운 변화 경험 횟수, 호기심 수준, 질문 정도, 질문 횟수)이다. 학습민첩성의 행동지표인 새로운 변화 경험 횟수, 호기심 수준, 질문 정도, 그리고 질문 횟수가 학습민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학습민첩성 측정점수를 표준점수(Z점수)로 변환한 후 점수 분포에 따라 학습민첩성 수준을 4개의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민첩성의 행동지표는 학습민첩성에 정적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습민첩성 측정점수를 표준화한 Z점수로 구분한 4개의 수준은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기보고식 역량진단 측정 방법이 참여자의 주관적 인식의 개입이 있다 하더라도 신뢰할 수 있는 결과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학습민첩성 측정 행동지표의 활용 방안과 추후 연구가 제안되었다. Learning agility has been emphasized as the core competency that future talen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possess. As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learning agility is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tools to measure it have been carried out. 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e reliability and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because the developed learning agility measurement tools use the self-report measurement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behavioral indicators of student’s learning agility in higher education context.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030 university students sampled by the modified proportional distribution of nationwide students by major fields. In the data analysis, 412 samples that responded to the learning agility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earch instrument is composed of four items for measuring the learning agility and four items for analyz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learning agility (Acceptability of change, intellectual curiosity, learning directedness).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new change experiences, curiosity level, level of questions, and frequency of inquiry, which are behavioral indicators of learning agility, on learning agility. After converting the learning agility measurement score into the standard score (Z score), the learning agility level was classified into four levels according to the score distribu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behavioral indicators of learning ag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agility,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ur levels divided by the standard score (Z score) of learning ag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self-report measures were reliable results even if there was intervention of participant's subjective percep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utilization of the learning agility behavior indicators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 유형분류에 따른 스마트미디어 유용성, 학습민첩성, 학업성취도의 차이 분석: 잠재계층분석(Laten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성은모 ( Eunmo S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3

        고등교육에서 대학생들의 학습경험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전략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21세기라는 시대적 사회적 학습의 흐름에 따라 스마트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형학습과 더불어 비정형학습이 보다 확산되고 변화하는 지식과 정보를 적시에 확인하고 이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는 고등교육의 특성상 스마트미디어의 최적정 교육적 활용은 중요한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이를 위해 고등교육에서 대학생들이 학습을 위해 스마트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하는가를 분석하는 과제는 그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고등교육에서 학습을 위해 대학생들이 스마트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그 유형을 분류하고, 그 스마트미디어 활용 유형에 따라 스마트미디어를 인식하는 유용성, 지속적인 학습을 추구하는 학습민첩성, 그리고 대학교육의 교육과정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고등교육에서 대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 비교연구<sub>II</sub>’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746명을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스마트미디어 활용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스마트미디어활용 유형은 ‘다기능 고활용형’, ‘정보활용형’, ‘학습 및 관리 도구 활용형’, ‘소극적 저활용형’ 등과 같이 네 개의 잠재계층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스마트미디어 활용 유형에 따른 스마트미디어 유용성, 학습민첩성, 그리고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미디어 유용성과 학습민첩성에 있어서는 다기능 고활용형이 다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정보활용형이 다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교육에서 대학생들이 스마트미디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대학교육에서 대학생들의 학습경험의 질을 향상사키기 위한 스마트미디어의 활용방안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types on smart media usag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mart media usefulness, learning ag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he latent classes of smart media usage in higher education. To address those goals, the data, the questionnaires of smart media usage, smart media usefulness, learning ag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collected from ‘A Study on Korean Youth Competency Measurement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I: IEA ICCS 2016’.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746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the types on smart media usage in university students with latent class were classified 4 classes such as Multiple high-using(class 3) Information using(class 4), Learning & management tool using(class 2), and Passive low-using(class 1). ANOVA was employ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mart media usefulness, learning ag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4 classes of smart media usage. As a result, the Multiple high-us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on smart media usefulness and learning agility. Also, Information us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other groups on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some suggestions for strategical using the smart media in higher education were proposed at the conclus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