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세 영아의 물질과의 내부작용에서 나타나는 놀이 리토르넬로

        백지혜,이지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바깥놀이에서 나타나는 영아들의 물질과의 내부작용을 Deleuze의리토르넬로적 관점으로 새롭게 분석하여 영아 놀이의 본질을 해석해 보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D 시에 위치한 C 어린이집의 2세 영아 10명의 바깥놀이 장면에서 수집되었다. 연구자는 2023년 5월부터 8월까지 참여관찰을 통해 기록한 영상을 전사하여 반복적으로 분석하며 결론을 도출하였다. 영아들의 바깥놀이에서 나타나는 반복적 내부작용 안에서 차이를 포함한 리토르넬로의 ‘하부-배치’, ‘내부-배치’, ‘사이-배치’ 성분을확인할 수 있었다. ‘하위-배치’에서 영아는 수많은 카오스의 존재를 온몸으로 확인하고지각하였으며, 놀이가 되기 위한 리듬과 환경을 만들었다. ‘내부-배치’에서는 영아들마다 독특한 영토적 모티브와 영토적 풍경을 구성하며 더욱 심화되고 세련된 놀이 영토를 형성하였다. ‘사이-배치’에서는 상상과 모험으로 이행하여 새로운 배치물을 형성함으로써 탈영토화를 이루어나갔다. 본 연구는 차이 생성을 통해 영토와 탈영토화를 이루어 나가는 리토르넬로가 영아의 놀이 안에서 이루어짐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영아 놀이가 예술성과 배움의 과정임을 나타내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Gilles Deleuze used the term “ritornello” to describe the formation, existence, and relationships of living beings. This study aimed to interpret the nature of toddler play by analyzing the intra-action between toddlers and materials in outdoor play from Deleuze's perspec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outdoor play scenes of 2-year-old toddlers (n=10) at a daycare center C located in D city. The researcher transcribed the images record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from May to August 2023 and repeatedly analyzed them to draw a conclusion. In the repetitive intra-action of toddlers’ outdoor play, the components of ritornello's “infra-agencement,” “intra-agencement,” and “inter-agencement,” including differences, were confirmed. In the “infra-agencement,” the toddlers perceived the existence of chaos with their entire body and created a play out of the rhythm and environment. In the “intra-agencement,” each toddler constructed a unique motifs territoriaux and contre-points territoriaux, developing a deeper and more sophisticated territory of playing. In “inter-agencement,” de-territorialization was achieved by transitioning to imagination and adventure and forming a new agencement. The results confirmed that ritornello, which achieves territorialization and de-territorializ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differences, occurs in toddler play.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toddler play is a process involving creativity and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행복에 대한 유아의 인식 탐구

        백지혜,윤유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1

        본 연구는 유아가 행복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두 곳의 만 5세 유아 9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유아가 인식한 행복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면담과 이미지표상을 실시하여 그 내용을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사람의 특성은 ‘함께하는 사람, 긍정적 정서를 표현하는 사람, 성취하는 사람, 희망사항을 누리는 사람, 기본적 만족을 누리는 사람’으로 범주화 되었으며, 행복한 시간의 특성은 ‘놀이시간, 학습시간, 욕구충족시간’으로, 행복한 공간의 특성은 ‘놀이하는 공간, 함께하는 공간, 긍정적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공간, 욕구충족을 위한 공간’으로 범주화 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유아를 위한 행복교육의 방향은 관계를 지향하는 교육, 몰입과 성취를 위한 교육, 다양한 행복의 자원을 개발하는 교육, 기본적 욕구를 고려하는 교육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young children’s perceptions of happiness. The participants were ninety 5-year-old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and a daycare center in the Dae-Gu area. Eighty young children were interview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and were asked to draw a picture representing happiness and describe it in detail.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narrations on how they experienced happiness and thought abstractly about it in their everyday liv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happy persons were sorted into five categories such as the person who be with others, who express positive emotions, who achieve their goals, who enjoy what they want to do, and who enjoy their basic needs. The characteristics of happiness were sorted by play time, activities for study, and time for basic needs. The conditions of happy spaces were sorted by places for play, good moods, basic needs, and staying with others. This study established some ground rules for making desirable happiness images and the results were characteristics with children’s recognition of happy situations.

      • KCI등재

        유아들의 음악하기를 통한 음악적 주체 되어가기의 의미

        백지혜 미래음악교육학회 2023 미래음악교육연구 Vol.8 No.1

        This study looked at the reality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looked back on how the goal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experiencing the essence of music, was realized in that reality. In addition, on the premise that music education accompanied by philosophical thoughts is necessary for more desirable execu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e aspects of music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he light of Deleuze's philosophy of difference creation and the lens of post-humanism based on materiality.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music researchers working with young children should recognize that the purpos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s to help young children develop as a whole and at the same time experience the essence of music. It is proposed to ruminate through philosophical thinking whether it is becoming a subject in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music. 본 연구는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유아음악교육의 실제를 살펴보고, 그 실 제 속에서 유아음악교육의 목표인 음악본질을 경험하는 음악하기가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되돌아보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유아음악교육의 실행을 위해 철학적 사유가 동반되는 음 악교육이 필요함을 전제하고, 들뢰즈의 차이생성의 철학과 물질성에 기초한 포스트휴머니즘 의 렌즈에 비추어 음악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유아들과 함께하는 교사 및 유아음악 연구 자들은 유아음악교육의 목적을 유아의 전인발달을 도움과 동시에 음악의 본질을 경험하게 하는 것임을 인식해야 하며, 목적에 맞는 음악활동과 놀이가 전개되고 있는지 살피며 유아들이 음악과의 관계맺음에 있어 주체가 되어가고 있는지 철학적 사유를 통해 반추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강점에 기초한 행복증진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경험 탐색

        백지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usic education to enhance happiness based on character strengths. The participants were 27 college students from a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Daegu. Music education to enhance happiness based on character strengths was conducted for 15 weeks. To analyze the meanings of their experiences on music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write their self-reflective journals 10 times, individually interviewed one time, and their musical activities were video recorded during the period. Further, several research journals were also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music was conceptualized as being "what we can do once we do" and "another name of beautiful touch”; (b) as learners, their impressions on the music education to enhance happiness based on character strengths were "to become a delicate and capable sound organizer," to become a musical thinker with imagination and creativity, and "to become a happy learner by way of one's character strengths"; and (c) as pre-service teachers, their conceptualizations on the music education were "to explore and enlarge musical concepts by doing hands-on activities", "to become an efficient teacher with reflective thinking by learning others' character strengths" and to organize musical activities in order to deliver aesthetics of music".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character strengths and aesthetic music activities should be paid more attention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es of pre-service teachers. 본 연구는 강점에 기초한 행복증진유아음악교육 수업을 예비교사들이 경험한 후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에 소재한 A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 재학생 27명에게 15주 동안 강점에 기초한 행복증진유아음악교육 수업을 실시하였고, 그들의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반성적 저널, 음악표현활동 동영상 녹화, 1회 개별면담을 실시 및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음악에 대한 경험적 정의로 ‘음악은 한 번 해보면 할 수 있는 것’, ‘음악은 아름다운 감동의 또 다른 이름’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학습자로서 경험한 강점에 기초한 행복증진유아음악교육 수업에 대한 의미는 ‘소리 구성자로서 섬세함과 유능함 갖기’, ‘음악으로 상상하여 창의적으로 사고하기’, ‘강점을 활용하여 행복하게 연습하기’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로서 경험한 강점에 기초한 행복증진유아음악교육 수업의 의미는 ‘음악적 개념을 경험적으로 탐색하며 심화하기’, ‘반성적 사고를 통해 서로의 강점을 학습하며 교사다워지기’, ‘유아에게 음악의 아름다움을 전하는 수업 만들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직전교육에서 유아음악교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강점활용과 심미적 음악표현활동에 주목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그림책을 이용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백지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ic instruction using picture books and related creative activities on the musical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children from two intact classes of a kindergarten in Seoul, Korea-- the 4-year-old class and the 5-year-old class. The children in each clas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one half of the children from each class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group. The treatment group (n = 20) experienced music instruction using picture books with related music creative activities for 8 weeks, and the control group (n = 19) received general music classes in which the picture books were read, but children did not engage in creative music activities related to the books. The researcher administered Webster’s Measure of Creative Thinking in Music II (MCTM-II) to both group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instruction. Mann-Whitney U test revealed the following: there was a statistically difference for musical extensiveness, musical flexibility, musical originality, and composite creativity scores (MCTM-II) between the two group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chieving a higher sc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musical syntax. Therefore, music instruction using picture books with related creative activities can support musical creativity by providing opportunities to experience and create music in various ways.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20명과 비교집단 19명 총 39명으로 8주 동안 16회의 실험처치를 실시하고 Webster의 음악창의성검사(MCTM-II)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음악적 언어와 창의적 구조를 가진 그림책을 선정하여 음악활동을 구성하여 실험처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두 집단의 수집된 자료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한 결과 실헙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음악창의성의 하위영역 중 음악논리성을 제외한 음악지속성, 음악융통성, 음악독창성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창의성 증진에 효과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지역소설에 재현된 집단기억의 장소 발굴: 일제강점기 대구를 중심으로

        백지혜,정희선 국토지리학회 2020 국토지리학회지 Vol.54 No.4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대구를 공간적 배경으로 한 지역소설을 중심으로 작품에 재현된 집단기억이 투영된 기억의 장소를 발굴하고, 사회의 집단기억이 어떠한 방식으로 장소에 투영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출신 작가의 작품으로서 역사적 고증을 거쳐 집필된 『객사』(1970)와 『북성로의 밤』(2012)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텍스트 분석과 플롯 분석을 수행하였다. 『객사』에서는 공간을 점유한 권력의 주체와 피지배 계급 간의 불평등이 공간을 통해 가시화되어 민족적 정체성의 공간, 일제 지배의 공간, 계급 간 충돌의 공간으로 그 상징성이 나타났다. 『북성로의 밤』에서의 상징공간은 권력의 형태에 따라 일제 권력의 공간, 계급 간 대립의 공간, 권력 전환의 공간으로 드러났으며,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달성공원, 북성로, 진골목을 대구의 ‘기억의 장소’로 도출하였다. 기억의 장소는 상징적 기호와 같이 집단기억을 매개하는 장이라는 점에서 이들 장소에 내재된 긍정적 기억뿐만 아니라 망각되고 있는 불편하고 어두운 역사의 기억 역시 보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locate the places of collective memories represented in literary works, focusing on the local novels with the spatial background of Daeg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well as to examine how the collective memories of society were projected onto the places. The novels of Daegu-born authors, 『Gaeksa』(1970) and 『Bukseongroeui bam』(2012)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both text and plot analyses. In 『Gaeksa』, the inequality between the colonial ruling class and the dominated class was visualized through spaces, and their symbolism appeared as a space of national identity, a space of Japanese rule, and a space of conflicts between classes. In 『Bukseongroeui bam』, it was divided into a space of Japanese imperial power, a space of confrontation between classes, and a space of power conver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es, Dalseong Park, Bukseong-ro Street, and Jin Alley were derived as places of collective memories in Daegu. Since the places of memory are a field mediating collective memories as symbolic signs, it is necessary to preserve not only the positive memories inherent in these places, but also the uncomfortable and dark memories of history that are being forgott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