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장관 간질종양의 수술 후 재발한 환자에서 발생한 Imatinib의 부작용과 효능 - 증례와 문헌고찰

        배정호,김광하,김동욱,이봉은,송근암,Jung Ho Bae,Gwang Ha Kim,Dong Uk Kim,Bong Eun Lee,Geun Am Song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3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1 No.2

        A 79-year-old man was diagnosed with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 of the gastric cardia. We performed proximal subtotal gastrectomy and started imatinib therapy as adjuvant treatment after surgery. Whole body skin rash with urticaria was onset on 10 days after imatinib treatment, and the patient decided to stop imatinib because of side effect. After 3 months, PET CT revealed GIST was recurred at spleen and abdominal lymph nodes, abdominal wall. The patient was then restarted on imatinib therapy. On follow-up imaging studies, the tumor almost disappeared, but both pleural effusion and pericardial effusion were found. In this paper, we describe a case of clinical course and side effects in recurred GIST after adjuvant imatinib mesylate treatment.

      • KCI등재

        도플러 효과를 기반으로한 내부 소음원의 3차원 위치 추정

        배정호,성우제,이근화,Bae, Jung-Ho,Seong, Woojae,Lee, Keunhwa 한국음향학회 2016 韓國音響學會誌 Vol.35 No.4

        본 연구는 해상 운항체에서 발생하는 소음원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었다. 해상 운항체인 선박이나 잠수함의 내부에 존재하는 소음원과 같이 근접이 어려운 경우라도 상대적으로 이동한다면 외부의 수중청음기에 수신된 신호는 도플러 효과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 물체에 의한 도플러 효과를 바탕으로 소음원의 3차원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해상 운항체의 알고 있는 위치에 추가의 음원을 설치하여 예상되는 도플러 중심의 범위와 최단 접근점의 범위를 점차 줄여가며 최소자승법을 통하여 내부 소음원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알고리즘을 통해 계산한 값과 이론값을 비교하여 효용성을 입증하였으며, 수치시험을 통해 고정된 두 개의 외부 수중청음기와 음원 역할을 하는 수중체에 고정시킨 한 개의 신호발생기로 도플러 효과를 기반으로한 소음원의 3차원 위치 추정이 가능함을 증명하였다. This study deals with a method to localize a noise source occuring in a marine vehicle in a 3D environment. Even when access to the noise source is limited for a marine vehicle, such as a ship or a submarine in operation, the signal received on a hydrophone located elsewhere contains Doppler effected noise by moving relatively. This study suggests noise localization algorithm in 3D based on Doppler effect by moving marine vehicle. Using a known source mounted on the vehicle, the noise source was estimated by reducing the range of Doppler center and closest point of approach via the least square method. The algorithm was verified through various simulations and it was shown that the noise could be localized in 3D based on Doppler effect by employing two fixed hydrophones located at the vehicle's exterior points and a known reference signal generator located somewhere on the vehicle.

      • KCI등재

        단일차선추출 및 중심점 분석을 통한 차선이탈검출 알고리즘

        배정호,김수웅,이해연,이현아,김병만,Bae, Jung-Ho,Kim, Soo-Woong,Lee, Hae-Yeoun,Lee, Hyun-Ah,Kim, Byeong-Ma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6 No.1

        본 논문에서는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를 활용하여 차선을 추출하고, 차량이탈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논의한다. 하드웨어 기술의 발달로 지능형 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서, 카메라를 활용한 차선인식 및 차량이탈검출과 관련하여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제시 되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에서는 영상에서 2개의 차선을 모두 찾아야 하기 때문에 처리속도 및 실제 운행환경에서의 다양한 여건으로 인하여 검출률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빠른 속도와 높은 검출률을 위해 단일차선을 추출하고, 중심점 분석을 통한 차선이탈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카메라의 기하학적 모델링을 통하여 차선이 존재하는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원본 이미지를 이등분한 후에 허프변환(Hough Transform)을 사용하여 한 차선의 일부를 찾아낸 후에, 일정 크기로 복원한다. 복원한 차선을 설정된 중심점과의 거리계산을 통하여 차선이탈을 판단한다. 실차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을 기존의 알고리즘과 비교 검증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이 빠르고 정확함을 보였다. Lane extraction and lane departure warning algorithms using the image sensor attached in the vehicle are addressed. With the research about intelligent automobile, there have been many algorithms about lane recognition and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However, since these algorithms require to detect 2 lanes, the high time complexity and the low recognition rate under various driving circumstances are critical problems. In this paper, we present a lane departure warning algorithm using single lane extraction and center point analysis that achieves the fast processing time and high detection rate. From the geometry between camera and objects, the region of interest (ROI) is determined and splitted into two parts. Hough transform detects the part of the lane. After the detected lane is restor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lane departure is estimated by calculating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n real driving environments, the presented algorithm is compared with previous algorithms. Experiment results support that the presented algorithm is fast and accurate.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의 조직역량이 사회적책임 활동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선제적 CSR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정호,박현숙,Bae, JeongHo,Park, HyeonSuk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6 서비스연구 Vol.6 No.4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조직역량과 선제적 CSR 활동 및 기업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중소기업 고유 특징과 조직역량 및 CSR 관련한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가설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전국 중소기업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였고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SPSS, AMOS 통계기법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소기업 각 조직역량은 적극적인 CSR 활동인 선제적 CSR 활동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제적 CSR활동은 기업성과와 정(+)의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선제적 CSR이 조직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중소기업 특유의 조직역량이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선제적 CSR을 통하여 통합되어지고 매개되어질 때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경영성과에로 연결되어짐을 발견할 수 있었고 또한 본 연구는 CSR 및 자원기반연구 관련 문헌 및 향후 중소기업 CSR 정책수립에 기여할 것이다. With regards to CSR, Proactive CSR has been less researched in small & medium enterprises(SMEs). This research examines empirically the relation between SME's organizational capabilities, proactive CSR and corporate performance as well as a mediating role of proactive CSR between capabilities and corporate performance. Using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rom 485 SMEs in Korea, we find that all specified capabilitie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adoption of proactive CSR by SMEs and that proactive CSR is, in turn, associated with an improvement in corporate performance. In addition, we also find a mediating role of proactive CS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nd performance. The study is likely to contribute to both SMEs CSR strategy and RBV research.

      • KCI등재

        구개부에 발생한 점액표피양 암종의 치험례

        배정호,윤규호,박관수,정정권,신재명,홍성철,Bae, Jung-Ho,Yoon, Kyu-Ho,Park, Kwan-Soo,Cheong, Jeong-Kwon,Shin, Jae-Myung,Hong, Sung-Chul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6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8 No.2

        Mucoepidermoid carcin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malignant salivary gland neoplasm. It occurs over a wide age range, and is most common in the parotid gland and usually appears as an asymptomatic swelling. Pain or facial nerve palsy may develop. Minor salivary gland tumors also typically appear as asymptomatic swellings, which are sometimes fluctuant and have blue or red color that can be mistaken clinically for a mucocele. Histopathologically the mucoepidermoid carcinoma is composed of a mixture of mucous-producing cells and squamous (epidermoid) cells. Low-grade tumors show prominent cyst formation, minimal cellular atypia, and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mucous cells.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minor salivary glands are treated usually by assured surgical excision. For low-grade neoplasm, only a modest margin of surrounding normal tissue may need to be removed, but high-grade or large tumors warrant wider resection.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also may be used for more aggressive tumors.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oral minor salivary glands generally have a good prognosis, because they are mostly low-to intermediate grade tumors. We present a case of mucoepidermoid carcinoma managed with surgical enucleation and postoperative irradiation and a good clinical result with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구개부에 발생한 점액표피양 암종의 치험례

        배정호,윤규호,박관수,정정권,신재명,홍성철,Bae, Jung-Ho,Yoon, Kyu-Ho,Park, Kwan-Soo,Cheong, Jeong-Kwon,Shin, Jae-Myung,Hong, Sung-Chul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6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8 No.1

        Mucoepidermoid carcin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malignant salivary gland neoplasm. It occurs over a wide age range, and is most common in the parotid gland and usually appears as an asymptomatic swelling. Pain or facial nerve palsy may develop. Minor salivary gland tumors also typically appear as asymptomatic swellings, which are sometimes fluctuant and have blue or red color that can be mistaken clinically for a mucocele. Histopathologically the mucoepidermoid carcinoma is composed of a mixture of mucous-producing cells and squamous (epidermoid) cells. Low-grade tumors show prominent cyst formation, minimal cellular atypia, and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mucous cells.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minor salivary glands are treated usually by assured surgical excision. For low-grade neoplasm, only a modest margin of surrounding normal tissue may need to be removed, but high-grade or large tumors warrant wider resection.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also may be used for more aggressive tumors.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oral minor salivary glands generally have a good prognosis, because they are mostly low-to intermediate grade tumors. We present a case of mucoepidermoid carcinoma managed with surgical enucleation and postoperative irradiation and a good clinical result with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모델기반 테스트 기법 및 무장통제장치 적용 사례

        배정호,장부철,구봉주,Bae, Jung Ho,Jang, Bucheol,Koo, Bongjoo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7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0 No.5

        Model-based test, a well-known method of the black box tests, is consisted of the following four steps : model construction using requirement, test case generation from the model, execution of a SUT (software under test) and detection failures. Among models constructed in the first step, state-based models such as UML standard State Machine are commonly used to design event-based embedded systems (e.g., weapon control systems). To generate test cases from state-based models in the next step, coverage-based techniques such as state coverage and transition coverage are used. Round-trip path coverage technique using W-Method, one of coverage-based techniques, is known as more effective method than others. However it has a limitation of low failure observability because the W-Method technique terminates a testing process when arrivals meet states already visited and it is hard to decide the current state is completely same or not with the previous in the case like the GUI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ere can exist unrevealed faul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Extended W-Method. The Extended W-Method extends the round-trip path to a final state to improve failure observability. In this paper, we compar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with requirement-item-based technique, W-Method and our Extended W-Method. The result shows that our technique can detect five and two more faults respectively and has the performance of 28 % and 42 % higher failure detection probability than the requirement-item-based and W-Method techniques, respectively.

      • KCI등재

        사회규범과 크리티컬 매스가 온라인 게임 이용자의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정호(Jungho Bae),김문섭(Moon Seop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의 기존 이용자 유지 및 신규 이용자 유치 방안을 제시하고자 온라인 게임 이용자들의 긍정적 구전에 미치는 요인과 그 구조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기존 연구에서는 게임의 속성이나 이용자의 속성이 온라인 게임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하지만 네트워크 기반으로 이용자 간 커뮤니케이션을 동반하는 온라인 게임의 특성상 개별 소비자의 이용뿐만 아니라 확산을 통한 일정 수준의 소비자 확보가 온라인 게임 시장에서 성공의 핵심 요인이다.즉,게임 이용자가 증가할수록 게임 이용자가 얻게 되는 가치가 증가할 것이라는 네트워크 외부성을 고려해야 한다.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의 사회규범적 특성 및 크리티컬 매스의 특성이 온라인 게임에 대한 태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연구결과 사회규범적 특성과 크리티컬 매스의 특성은 온라인 게임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또한 사회규범적 특성과 태도는 이용자의 구전의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력을 직접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이러한 결과는 이용자 확보를 위해 긍정적 구전 확산을 원하는 온라인 게임 기업들에게 사회규범 및 크리티컬 매스의 활용 방안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specific structure with factors that affect online game users’ positive word of mouth(WOM) for online game companies to maintain existing and new users. In previous studies the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online games and attributes of users on intention to play online games is mainly focused on. However online games are products with communication on network, so that critical mass through diffusion as well as the use of product by individual consumers is important iss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etwork externality effect that the more value can be obtained by more game users. The authors verified that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like social mass and critical mass, affecting consumers’ attitude and WOM.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social norm and critical mas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positive attitude and WOM intention for online games. Another results verified that social norm and users’ attitude affect positive WOM intention directly. These results suggest managerial implication regarding social norm and critical mass to online game companies that desire for WOM to get more online game users.

      • KCI등재

        칸트의 인과율 증명

        배정호(Bae, Jeong-ho)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이 논문은 칸트가 『순수이성비판』 제2판 「경험의 유추들」중 「제2유추」에서 개진한 인과율 증명에 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은 이 증명과 관련된 칸트의 진술을 길잡이로 삼아 「제2유추」의 인과율 증명을 단 하나의 통일적이고 타당한 선험적 증명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논문의 내용은 해당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다음의 주장들을 정당화하는 것이다. 1. 「제2유추」의 증명 대상은 보편 인과원리로서의 인과율이다. 다시 말해 여기서 증명되는 것은 모든 변화는 어떤 원인을 갖는다는 것만 말해 줄 뿐, 그 원인이 무엇인지는 말해 주지 않는 인과율이다. 2. 증명의 목표는 인과율에 따른 객관적인 시간적 잇따름의 가능성이다. 달리 말해 인과율없이는 모든 변화의 시간 순서에 대한 객관적 규정이 불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3. 증명은 크게 보아 두 단계로 이루어진 하나의 논증 구조를 갖고 있다. 첫 단계는 분석적 증명으로서 객관적 변화에 대한 지각의 분석을 통해 인과율이 이 지각된 변화의 객관성을 위한 필요조건임을 증명한다. 이때 객관적 변화와 그것에 대한 지각의 가능성은 전제되어 있다. 이 전제는 둘째 단계에서 정당화된다. 둘째 단계는 종합적 증명으로서 객관적 변화와 그것의 경험적 인식 가능성을 이 가능성의 아프리오리한 조건들인 시간의 형식적 성질과 지성의 필연적인 종합 규칙(인과율)로부터 도출한다. 4. 칸트는 스트로슨의 비판과는 달리 지각 잇따름의 필연적인 규정성으로부터 상태 잇따름의 객관적(인과적) 규정성을 직접적으로 추론하는 것이 아니라, 부가적인 전제(지각 잇따름의 규정성은 지성의 아프리오리한 종합규칙에 근거한다는 전제) 아래서 그렇게 한다. 따라서 칸트의 증명은 스트로슨이 비판한 ‘불합리한 추론’에 근거하고 있지 않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precise nature and the central line of Kant’s proof of the causal principle stated in the Second Analogy of the 2nd. edition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The study argues for the following thesis: 1. The proof of the Second Analogy concerns only the causal principle called the “every-event-some-cause” principle, and not the causal law(s) called the “same-cause-same-event” principle. 2. The goal of the proof is to establish the possibility of knowledge of an temporal order of successive states of an object. 3. The proof is broadly an single transcendental argument in two steps. The 1st. step is an analytic argument that infers from the given perceptions of an oder of successive states of an objects to the conclusion that the causal principle is the necessary condition for the objectivity of dies perceived order. The 2nd. step is a synthetic argument that infers from the formal nature of ti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causal principle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die possibility of objective alterations and of empirical knowledge of these alterations. 4. The poof involves not the ‘non sequitur’ assumed by P. F. Strawson, that is, Kant infers not directly from a feature of our perceptions to a conclusion regarding the causal relations of distinct states of affairs that supposedly correspond to these percep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