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디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문화배양효과 연구

        배상률,이재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청소년들이 폭력적 미디어에 얼마나 노출되어 있고 이들 미디어가 뿜어내는 거친 세상의 모습들을 부지불식간에 자신이 속한 세상으로 인식하고 있는지 밝히기 위함이다. 또한, 폭력뿐만 아니라 매체들의 왜곡된 메시지들은 다양하게 청소년들의 가치관과 자아관 그리고 세계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7년 단기종단연구로 2010년부터 실시한 1~2차년도 패널조사를 바탕으로 텔레비전과 게임이 미치는 문화배양효과를 다양한 통계적 기법을 이용해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체이용량이 많을수록 청소년의 시민적 참여활동(civic participation) 의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각에서 제기되는 게임의 자존감 고취 역할은 이 연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게임을 많이 하는 청소년들은 우리사회를 불안하게 바라보고, 타인에 대한 믿음이 약하며, 폭력이나 비행을 저지를 확률이 비교적 높다. 이 연구는 기존의 배양효과 연구가 취하지 못했던 종단 조사를 활용해 미디어 사용량의 변화에 따른 배양효과의 증감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이용자(heavy users)들이 게임을 즐기는 시간을 줄이게 되면 미디어의 부정적 영향력에서 차츰 회복될 수 있다. 셋째, 텔레비전은 중학생들에게 폭력성을 배양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텔레비전은 소비지상주의와 외모지상주의에 입각한 프로그램들과 비현실적인 외모를 가진 연예인들을 내세워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자존감을 훼손시킬 수 있다. 넷째, 텔레비전을 통해 범죄자, 우리사회와 섞이지 못하는 이방인, 사회 부적응자, 코미디의 소재로 이주민들에 대한 이미지가 배양이 된 청소년들은 자신의 급우나 이웃, 단짝 친구로 이들과 함께하는 것을 불편해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미디어교육을 반영한 입시제도 개선과 미디어 교육 인력양성, 국립 온라인 게임중독 예방센터 설립과 온라인 게임 및 영상물 심의·규제 강화 등 네 가지 정책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ltivation effects on adolescents’ perceptions. Due to the omnipresence of media, youths are exposed to media at anytime and anywhere and also receive violent as well as suggestive contents. Online/video game playing has been one of the most popular leisure activitie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This paper examined various cultivation effects on adolescents, arising from long-time exposure to the media, through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in 2010 and 2011.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as the media usage increases, youths are less aware of civic participation. Excessive television viewing or game addiction can become the main reason that inhibits youths’ healthy social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of leisure activities between their peers. Secondly, the argument that playing game enhances one’s self-esteem did not appear in this research. Instead, heavy users of online gaming think that society is unstable, shows low faith to others, and are prone to juvenile delinquency. This research utilized longitudinal research, which other existing studies on cultivation effects did not take, and empirically suggested increase and decrease of cultivation effect according to changes in media usage. According to the result, heavy users are able to recover from the negative impact of media when they reduce the time spent on online gaming in the long term. Due to the characteristics (i.e., nonviolent) of Korean television programs for youth, the typical cultivation effect (i.e., mean world syndrome) on heavy viewers was not discovered in this research.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 following four major governmental policies have been proposed: a) adapting media educational curriculum, b) training media education teachers, c) establishing a national game addiction prevention center and d) regulating online games and TV programs.

      • 청소년 사이버일탈 유형별 대책 연구

        배상률,박남수,백강희,고은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최근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청소년 사이버일탈에 대한 효과적인 정책 마련에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 청소년 대상 FGI, 관련 전문가 집단 델파이 조사를 하였다. 사이버 일탈의 유형들을 총 6대 유형(중독/과다이용문제, 사이버 괴롭힘, 성관련 일탈, 온라인 도박, 사이버 사기, 개인권리 침해 및 명예훼손)으로 구분한 후 각 일탈 유형발생 요인들을 총 다섯 개의 영역(매체특성, 청소년 개인특성, 가정환경, 학교환경, 제도 및 인프라)으로 분류하여 정책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터넷 사용이 많은 청소년들이 사이버일탈의 경험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터넷의 익명성과 비대면성의 특성이 청소년의 일탈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청소년 개인특성에 있어서 부정적 자아감, 자기 통제력이 낮은 청소년일수록 사이버일탈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환경에 있어서 부모-자녀간의 소통과 애착 정도가 낮을수록 사이버일탈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학교 내 교사와 또래의 지지는 청소년의 사이버일탈 발생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사회유대감과 사회지원의 획득은 사이버일탈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60인 사이버위원회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 사이버일탈의 악화와 저연령화에 전문가 다수가 동의하고 있으며, 현재 정부의 청소년대상 사이버일탈 관련 전반적인 정책에 대해 삼분의 이 이상이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전문가들은 청소년 사회에 가장 만연한 사이버일탈로 중독/과다이용문제, 사이버 괴롭힘, 음란물 접촉 순으로 평가하였으며, 청소년 사회에 가장 악영향을 미치는 심각성 면에서는 사이버 괴롭힘, 중독/과다이용문제, 성관련 일탈, 인터넷 도박 순으로 평가하였다. 미디어교육을 통한 사이버윤리 및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제고는 6대 일탈 유형 모두에서 top 3 대응책으로 제시되었다. 그 외에 중독/과다이용문제에 있어 부모교육이 가장 주요한 대응방안으로 나타났으며, 성관련 일탈과 온라인 도박에 있어서는 업계책임을 보다 엄격하게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 1위를 기록하였다. 이와 관련한 정책제언으로, 미디어교육 제도화, 통합 지원 및 관리 체계 구축, 디지털 디톡스 캠프 구축, 법적·행정적 제재 강화 노력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effective policies on juvenile cyber deviance which has emerged as a social issue. To do so, a literature review an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juveniles were carried out, and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the Delphi method was also conducted on a group of experts. Cyber deviant behaviors were divided into a total of 6 categories (addiction/excessive use; cyber bullying; sexually deviant behaviors; online gambling; cyber scams; infringement of the individual rights and defamation), and the policy priority of each category was examined based on 5 factors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s; hom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systems and infrastru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re juveniles used the Internet, the more likely they had experience of cyber deviance. Anonymous and non-face-to-face online environments tended to encourage deviant behaviors in juveniles. In term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s, those with negative self-esteem and low self-control were more likely to have cyber deviant behaviors. Those who had a weak attachment to and little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in their home environment were relatively more likely to have experience of cyber deviance. Support from teachers and peers in school was found to reduce the occurrence of juvenile cyber deviance. In addition, social connectedness and support were also likely to suppress juvenile cyber deviance. A survey was conducted on a cyber committee of 60 experts. The majority of the experts agreed that the cyber deviant behaviors of juveniles are increasing, and that their age is becoming younger, and over two thirds of the 60 experts negatively evaluated the overall policies of the government on juvenile cyber deviance. They pointed out that addiction/excessive use is the most widespread form of juvenile cyber deviance, followed by cyber bulling, and access to obscene materials. They answered that cyber bullying has the most negative influence on juveniles, followed by addiction/excessive use, sexually deviant behaviors, and online gambling. Improving cyber ethics and digital literacy ability through media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 top 3 measures in all the 6 categories. In terms of the category of addiction/excessive use, parent education was suggested as the most important measure. The experts answered that it is a top priority to more strictly hold relevant industries responsible for the sexually deviant and online gambling behaviors of juveniles. In this regard, they suggested policies such as institutionalizing media education, establishing an integrated support and management framework, starting a digital detox camp, and strengthening legal and administrative regulations.

      • KCI등재후보

        중도입국청소년의 실태 및 자립지원 방안 : 진로 및 취업을 중심으로

        배상률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17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2 No.3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잠재력과 역량을 개발하고, 유용한 인적자원으로 성장토록 하는 자립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중도입국 재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577명을 대상으로 교육, 일/노동, 진로/진학, 가정환경, 사회 인식 등 각 영 역별 세부문항들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보다 실효성 있는 중도입국 청소년 관련 정책 마련을 위하여 전국의 중도입국 청소년 지원 기 관의 현장 전문가 및 중도입국청소년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결과에 따르면,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한국어 실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학업과 취업에 있어 자신의 부족한 한국 어 실력으로 불이익을 받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개인적으로 고민하는 이슈 로는 진로문제가 가장 많았고, 돈 문제와 목표의식 부재가 그 뒤를 이었다. 현장전문가들은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정책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를 하 였으며, 그 중에서도 중도입국 청소년의 진로 및 취업 관련 정책에 대한 만 족도는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One of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pulsion system that can cultivate the unique potential and capacity of migrant youths helping them grow into useful members of society. The author conducted a survey with approximately 600 immigrant youths employ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questions on education, work/labor, career development, etc., In order to propose more efficient and workable policy proposals, approximately several on-site experts and teachers working at the school/organization for immigrant youths were survey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mmigrant adolescents ful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ability. They feel, however, that they are disadvantaged by their lack of Korean language ability in terms of education and employment.Career issues were the most common problems, followed by money problems and absence of goals and dreams.Field experts, however, evaluated the government policies of career developments for migrant youths neg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