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가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배경희 ( Kyung Hee Ba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41 No.-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의 중요성을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통해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 304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사회참여는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참여의 하위영역별 분석에서는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정치활동, 지역사회활동, 여가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실천적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304 immigrant women who resided in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Kyunggi, and Inchon city.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Leisure activities, one of the subdomains of social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Political activities, regional societal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life-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 social work practice intervention that would increase social participation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was proposed.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보호고용 정신지체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음주동기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

        배경희(Bae Kyung-Hee),김유순(Kim Yu-So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4

        본 연구는 현재 보호고용 중인 정신지체인의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는 어떠한지, 이들의 주된 음주 동기는 무엇이며, 음주행위에 가장 영향을 끼치는 음주 동기는 무엇인지 등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br/> 본 연구에 참석한 정신지체인 97명의 직무스트레스 총점은 2.66(SD=.58)으로 ‘보통’ 보다 약간 낮은수치를 보여주었다. 직무스트레스를 세부 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금전적 보상관련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음주동기에 있어서는 가장 주된 음주 동기는 사교동기(M=1.9175)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음주행위를 살펴보았을 때, 음주빈도에서는 1년에 3-4회 음주한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1회 음주량으로는 맥주 500cc 2잔 정도가 가장 많았다. 음주행위에서 음주빈도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요인들로는 대처동기(beta=.497), 연령(beta=-.312), 금전적 보상 관련 스트레스(beta=.225)로 대처동기로 인해 음주할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직장에서 금전적 보상 관련 스트레스를 많이 느낄수록 음주빈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음주량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요인들은 고양동기(beta=.718), 함께 음주하는 사람(beta=-.296), 양적역할과다(beta=-.299) 관련 스트레스로 정서적 고양을 목적으로 음주할수록, 혼자 음주하는 경우에, 그리고 직장에서 양적역할과다 관련 스트레스를 적게 느낄수록 음주량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Effects of job stress and drinking motivations on the drinking behavior of Korea's mentally challenged in sheltered employm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vestigate job stress, drinking motivation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drinking behavior of Korea's mentally challenged. The 97 subjects' average job stress level was slightly below average. The subjects were found to experience salary-related stress the most out of the five sub-areas of job stress. The strongest motivations of drinking was the social motivation. In terms of drinking behavior, the most common drinking<br/> frequency was 3-4 times a year. The most common drinking amount was two 500cc mugs of beer. Th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the variance of the frequency of drinking was motivations to cope with, age, and salary-related stress. The mentally challenged drink more often when they have coping motivations and salary-related stress, and when they are younger. Th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the variance of the amount of drinking was motivations to emotional uplifting, drinking colleagues, stress from role overload. The mentally challenged drink more when they have motivations to emotionally uplift themselves and less role overload-related<br/> stress and as they drink alone.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가구소득과 직업유무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자본 조절효과 검증

        배경희(Bae Kyung-Hee),김석준(Kim Seok-J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3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가구소득과 직업유무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이다. 분석자료는『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조절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연령, 학력, 자녀유무, 한국어능력을 투입했으며, 독립변수는 가구소득과 직업유무 그리고 조절변수인 사회자본 요인은 신뢰, 참여, 네트워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가구소득, 직업유무 모두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가구소득과 직업유무가 사회자본 요인들과 상호작용을 할 때 가족관계 만족도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효과는 사회자본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른 비교를 통해 더욱 분명하게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만족도에 대한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기초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regards to the influence that family income and job status have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We conducted the second analysis of “2009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y State” and used moderated regression analyses. Controlled variables included age, education level, offspring status, and Korean proficiency, while independent factors included family income and job status. Moderating variables of social capital included trust, participation, and network.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e demographic variables, as well as family income and job statu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married immigrant women’s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In particular, when factors of social capital interacted with family income and job status, the study showed that it had a differe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Moreover, the moderating effects have been shown to be more certified through its comparison of the increasing and decreasing trends of social capital. This research has been shown to be significant, based upon the findings on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respect to married immigrant women’s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results in the context of social welfare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성별에 따른 지문 융선 밀도(ridge density) 차이에 관한 연구

        배경희(Bae Kyung Hee),남궁주영(Namgoong Joo Yeong),신지수(Shin Ji Soo),유제설(Yu Je Seol)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4 경찰학연구 Vol.14 No.2

        Fingerprints collected from the crime scene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evidence and have a great value in determination of individuality. Fingerprints are used to identify suspects, victims or related individual and provide leads of crime scene investigation. But fingerprints collected from the crime scene and the items of evidence of crime are mostly insufficient to determine human identification, but still they are useful to offer the informations of ridge density which are used to infer the sex determination of the unknown individual. In general, females are supposed to have a higher ridge densities than males. Characteristics of thermal ridges varies in individual, but females often have finer ridge shape and narrow space between ridges than males. The present study show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es in ridge density of South Korean young population with statistical analysis of total 2000 fingerprints from 200 individuals between ages of 20 and 40 (100 males and 100 females). Epidermal ridges are counted in 5㎜ × 5㎜ section of radial, ulnar, and lower areas. The differences between sexes in ridge density is analyzed by Student's t-test and likelihood ratio for suggesting relative probabilities to infer the gender of unknown source. The results can contribute to provide a clue of forensic identification with other evidences in South Korean population.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연숙(Seo Yeon-Sook),배경희(Bae Kyung-He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사회복지학 Vol.63 No.4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어사용능력과 거주기간을 사회적응 매개변수로 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이다. 서울과 인천,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총 247명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분석방법은 빈도 및 기술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응은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활동은 사회적응을 높이고 이를 통해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근로활동지원 및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dap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mental health in a sampl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Social adaptation was assessed with Korean proficiency and th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Participants comprised of a total of 247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reside in Seoul, Incheon, Gyeo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PASW Statistics 18.0 and the AMOS 18.0 softwa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cial adaptation was a full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mental health. It is plausible to state that employment status may enhance social adaptation, which in turn improve mental health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implication of our findings is that as employment and social adaptation are important elements of mental health among the marriage immigrate women, education and social support system regarding these antecedent factors should be implemented.

      • KCI등재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회복지향의 통합재활프로그램의 효과

        봉은주(Eun-ju Bong),시영화(Youn-Hwa Si),박명숙(Myung-Sook Park),배경희(Kyung-Hee Bae),정미진(Mi-Jin Jung),양미화(Mi-Hwa Yang),김송자(Song-Ja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회복지향의 통합재활프로그램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증상, 인지?사회적 기능, 재활동기, 정신건강회복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인지분화, 정서관리, 직업재활, 가족교육으로 구성된 4개의 소프로그램과 함께 동기강화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연구대상은 지방소재의 일개 국립병원에 입원한 정신신분열증 환자로, 실험군 18명과 대조군 16명으로 구성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인지?사회적 기능에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으나, 재활동기수준(유지단계에서 p=.027)과 정신건강회복수준(p=.039)에서만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제한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입원세팅에서 단기간의 회복지향의 통합재활프로그램은 증상감소나 기능향상보다는 재활 동기나 정신건강회복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임상세팅에서 보다 회복지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a recovery oriented integrated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ve?social function, rehabilitation motivation, and mental health recovery. This program is involved motivation enhancement program with 4 subprograms composed of cognitive rehabilitation, emotion managemen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mily education program. The subjects were 34 patirents with schizophrenia who had been hospitalized at National Mental Hospital on local area. The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ith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18 patients) and a control group(16 pati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 0. The results of the data show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ymptom,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readiness of rehabilitation(maintenance, p=.027) and mental health recovery (p=.039). Short term recovery oriented integrated rehabilitation programs in inpatient settings are more available for motivation of rehabilitation and mental health recovery than symptom reduction or functional improvement.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efforts to create more recovery oriented service provision in clinical settings.

      • KCI등재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 가족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가 양육부담 및 대처행동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배경희,정영숙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4

        The purpose is to find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the parental stress of rear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ping behavior,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which help to clarify the differences among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221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has large and statistically high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ental stress and family coping behavior. Also, the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were regressed and found that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Noting that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the families is likely to affect positivel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families, the policy formulations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In addition, programs that can provide social support and assist the families to cope with their adverse life conditions and psychological stress should be developed. These intangible supports will provide important psychological benefits to families to educate the disabled children in reaching their fullest potential.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아동 가족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가 부모의 양육부담과 대처행동, 그리고 이들 가족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발달장애아동 가족의 양육부담은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발달장애아동 가족의 양육부담을 줄이기 위해 경제적 지원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양육부담에 미치는 순수한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경제적 요인보다 사회적 지지와 같은 정서적, 심리적 변수가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사회적 지지, 대처행동 등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의 상대적 기여도는 사회적 지지가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심리적ᆞ정서적 측면을 포함한 사회적 지지는 양육부담을 효율적으로 대처하며 삶의 균형을 회복할 수 있게 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발달장애아동 가족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가 양육부담 및 대처행동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며, 우리 사회는 이들 가족을 향한 공동체적 인식변화와 관심을 가져야 한다.

      • KCI등재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환자의 불안, 자기효능감 및 주장행동에 미치는 효과

        배경희,김정숙 병원간호사회 2005 임상간호연구 Vol.11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on anxiety, self-efficacy and assertive behavior of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20 admitted patients composed of two groups in N hospital: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10 patients, respectively. The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as carried out from Oct. 4th, 2004 to Sept. 29th, 2004 and every 70 minutes per session, twice sessions per week, totally 14 sess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Fisher's exact test and Mann-Whitney U test.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bout state-anxiety invento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bout self-efficacy(p=.006) and assertive behavior(p=.027). Conclusion: The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for schizophrenic patients may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self-efficacy and the assertive behaviors, and could be use in clinical set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