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희철,박영자,Pak, Hee-Chul,Park, Young-Ja 한국수학사학회 2008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1 No.2
대학교육에서 다변수함수의 미분은 수리적 분석을 요하는 학문의 발전과 더불어 점차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학교양교육에서 학생들에게 도입되고 있는 다변수함수의 미분 정의는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쉽지 않게 느껴지는 면이 있다. 이에 본 저자가 최근 몇 년간 교양수학을 가르치면서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고안한 방법이 있어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한 이 방법은 다변수함수의 미분 정의에 대한 직관적이면서 기하학적인 설명법으로서 엄밀한 증명에 의한 접근 방법은 아니지만 다변수 미분의 의미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t has been noticed the greater importance of mathematical education, particularly of multi-variable calculus in the undergraduate level with remarkable progress of all sorts of sciences requiring mathematical analysis. However, there was lack of variety of introducing the definition of differentiation of multi-variable functions - in fact, all of them basically rely on the chain rules. Here we will introduce a way of defining the geometrical differentiation of the multi-variable functions based upon our teaching experience. One of its merits is that it provides the geometric explanation of the differentiation of the multi-variable functions, so that it conveys the meaning of the differentiation better compared with the known methods.
박희철,이홍균,Park, Hee-Chul,Lee, Hong-Kyu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8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15 No.1
Fourteen cases of pericardia I tumor were clinically experienced from June 1966 to July 1981, for 15 years in St. Mary's Hospital,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atholic Medical College. There were three primary tumors of the pericardium, liposarcoma, teratoma and malignant mesothelioma, and 11 metastatic pericardial tumors. In metastatic pericardial tumors, eight were originated from the lung, one was breast, and the other two cases were unknown origin. There were 6 adenocarcinoma, one small cell carcionoma ~nd one alveolar cell carcinoma in 8 cases from the lung, and 5 male and 3 female patients were composed the metastatic pericardial cancer from the lung. In clinical symptoms were dyspnea in all cases, and 9 cases had the generalized edema and enlarged liver size. Six patients had been operated, three of the primary pericardial tumor and three of metastatic pericardial tumor. Two of the primary tumors were cured satisfactorily by the mass removal, but one died due to cardiac arrest at postoperative one day. In metastatic tumors, operation were performed as two pericardial window formation and one left lower lobectomy with pericardial fenestration, but one was died in second operative day. Other nine metastatic tumors were diagnosed by needle biopsy in one case and by cell block of effusion in eight cases.
복부 방사선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발생하는 오심 및 구토에 대한 온단세트론과 메토클로프라미드의 효과
박희철(Hee Chul Park),서창옥(Chang Ok Suh),성진실(Jinsil Seong),조재호(Jae Ho Cho),임지훈(John Jihoon Lim),박원(Won Park),송재석(Jae Seok Song),김귀언 (Gwi E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2
목 적 :본 연구는 중등도 정도의 오심 및 구토의 발생 위험도를 가지는 복부 방사선치료를 받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오심 및 구토에 대한 항구토제의 효과와 부작용 여부를 비교하는 전향적 무작위 임상연구로, 예방 목적으로 항구토제를 사용할 때 현재 통상적으로 많이 처방되는 항구토제인 메토클로프라미드(metoclopramide)에 비하여 온단 세트론(Ondansetron; Zofran )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효과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의 포함 기준은 병리학적으로 암으로 확진되고 전이성 원인이 아닌 원발 부위에 치료를 받는 환자, 신체수행도가 ECOG 기준으로 2기 이하인 환자, 항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없는 환자로 하였다. 1997년 3월부터 1998년 2월까지 총 60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내원한 순서에 따라 미리 준비된 난수표에 의하여 각각 온단세트론 투약군(O군)과 메토클로프라미드 투약군(M군)으로 할당하였다. O군의 온단세트론 용량은 8 mg, bid 로 하였고, M군의 메토클로프라미드 용량은 5 mg, tid 로 하였다. 평가 항목은 오심의 정도, 구토 회수, 식욕감소의 정도로 하였다. 환자에게 일일 기록카드를 교부하여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인 오심의 정도, 구토의 횟수, 식욕감소의 정도를 기록하도록 하였다. 치료기간을 일주일 간격으로 나누어 각 주별 오심 및 식욕감소의 정도, 평균 구토횟수를 구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 참여한 60명의 대상 환자 중 55명의 환자에서 분석이 가능하였다. M군은 28명, O군은 27명이었다. 환자 특성 및 방사선치료에 관한 특성은 연령을 제외하면 차이가 없었다. 연령은 M군이 52.9±11.2세, O군이 46.5±9.6세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M군에 비해 O군에서 오심의 정도, 구토의 횟수, 식욕감소의 정도의 세 항목 모두 낮은 점수 분포를 보였다. M군의 경우 방사선치료를 시작한 후 5주째 각 항목별 점수가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혼합모형을 이용한 반복측정 자료의 분석 결과 오심의 정도에는 원발암의 종류, 투약군이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였다. 구토의 횟수에는 성별, 연령, 총선량, 투약군이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였다. 식욕감소의 정도에는 연령, 투약군이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였다. 따라서, 투약군이 유일하게 세 가지 항목 모두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전 치료기간 동안 양 투약군 모두 약제의 투여로 인한 부작용은 없었으며, 일반혈액검사 및 일반화학검사에서도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연령이 적으면 오심 및 구토의 위험도가 증가하는 점을 고려하면, 양 투약군 간에 연령의 차이가 있었던 점이 통계적 변별력을 저하시켰을 가능성이 있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들은 중등도 정도의 오심 및 구토의 발생 위험도를 가지는 상복부 및 전복부조사를 전통적인 분할조사법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경우 현재 흔히 사용되는 항구토제인 메토클로프라미드에 비해 온단세트론이 오심 및 구토, 식욕의 저하 등의 급성 부작용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온단세트론을 투여하는 경우에도 오심 및 구토가 호전되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으므로 이 부작용을 더욱 경감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들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Purpos e : This study is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comparing the efficacy a nd complication of anti-emetic drugs for prevention of nausea and vomiting after radiotherapy which has moderate emetogenic potenti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nti- emetic efficacy of ondansetron (Zofran ) 8 mg bid dose (Group O) is better than the efficacy of metoclopramide 5 mg tid dose (Group M) in patients undergoing fractionated radiotherapy to the abdominal region. Materials and Methods : Study entry was restricted to those patients who met the following eligibility criteria : histologically confirmed malignant disease; no distant metastas is ; performance status of not more than ECOG grade 2; no previous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Between March 1997 and February 1998, 60 patients enroll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s igned a written statement of informed consent prior to enrollment. Blinding was maintained by dos ing identical number of ta blets including one dose of matching placebo for Group O. The extent of nausea, appetite loss , and the number of emetic episodes were recorded everyday us ing diary card. The mean score of nausea, a ppetite loss and the mean number of emetic episodes were obtained in a weekly interval. Results : Prescription error occurred in one patient. And diary cards have not returned in 3 patients due to premature refusal of treatment. Card from one patient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because she had a history of treatment for neuros is . As a result, the analys is cons isted of 55 patients . Patient characteristics and radiotherapy charcteristics were s imilar except mean age was 52.9±11.2 in group M, 46.5±9.6 in group O. The difference of age was statistically s ignificant. The mean score of nausea, appetite loss and emetic episodes in a weekly interval was higher in group M than O. In group M, the symptoms were most s ignificant at 5th week. In a panel data analysis us ing mixed procedure, treatment group was only significant factor detecting the difference of weekly score for all three symptoms . Ondansetron (Zofran ) 8mg bid dose and metoclopramide 5 mg tid dose were well tolerated without s ignificant s ide effects . There were no clinically important changes in vital s igns or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with either drug. Conclusion :Concerning the fact that patients with younger age have higher emetogenic potential, there are poss ibilities that age difference between two treatment groups lowered the statistical power of analysis . There were s ignificant difference favoring onda nsetron group with respect to the severity of nausea, vomiting and loss of appetite. We concluded that ondansetron is more effective anti- emetic agents in the control of radiotherapy- induced nausea, vomiting, loss of a ppetite without s ignificant toxicity, compared with commonly used drug, i.e., metoclopramide. However, there were patients suffering emes is despite the administration of ondansetron. The poss ible strategies to improve the prevention and the treatment of radiotherapy- induced emes is must be further studied.
Management of post-transplant HCC recurrence: Radiation therapy
박희철 ( Hee Chul Park ) 대한간학회 2012 춘·추계 학술대회 (KASL) Vol.2012 No.-
외과 수술 및 수술 전 후 환자 관리의 발전에 따라 간이식은 간암 환자의 완치 목적 치료 방법으로 널리 인정되고 있다.1 그러나 완치 목적을 이룰 수 있는 환자를 잘 선택해서 간이식을 하더라도 재발이 생길 수 있다. 과거에는 16-34%의 환자가 간이식 후 재발했으며 Milan Criteria를 만족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약4-10%에서 재발이 생긴다. 2대부분의 재발은 약 2년 이내에 생기고 2년이 지난 후에도 20-30%의 재발이 생긴다. 2주로 재발이 생기는 부위는 이식된 간, 폐, 뼈, 뇌, 부신 등의 순서로 잘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2간 내에만 재발하는 경우가 23%, 간 내 재발과 간 외 전이가 동시에 생긴 경우가 39%, 간 외 전이만 발생한 경우가 39% 등의 분포를 보인다.2,3 본원의 경험으로는 폐, 간, 뼈, 뇌, 복부림프절 등의 순서로 발생했다.
방사선치료 관련 2009 간세포암종 진료 가이드라인에 대한 토의 및 설명
박희철 ( Hee Chul Park ) 대한간암학회 2010 대한간암학회지 Vol.10 No.-
According to the 2003 clinical practice guideline reported by Korean Liver Cancer Study Group (KLCSG) and National Cancer Center (NCC), Radiation therapy (RT) has been considered as alternative or complementary modality in cases where surgical resection is not possible, local treatment or trans-hepatic 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does not provide a cure. At that time, the guideline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beneficial role of RT in the management of HCC because RT lacked the high quality scientific evidences at that time. However, the 2003 guideline did the pivotal role in accentuating research efforts to enlighten the role of RT in HCC management. Recently, many scientific evidences are piled up strengthening the level of evidence. Also there was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reported studies dealing with RT role in HCC management. In the 2009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HCC, radiation oncologists participated as member of revision committee put every efforts to make good of RT related guideline. And to place RT related guidelines as a special feature of Korean version of HCC management guidelines. Discussions were made among radiation oncologists in the revision committee. The participating radiation oncologists realized that still there are no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exploring the role of RT in HCC management. The role of RT in the management of HCC is underestimated still. To prepare the next version of practice guideline, the every effort must go on to invigorate the role of RT in the management of HCC.
박희철(Hee Chul Park),최두호(Doo Ho Choi),안성복(Song-Vogue Ahn),강진오(Jin Oh Kang),김은석(Eun-Seog Kim),박원(Won Park),안승도(Seung Do Ahn),양대식(Dae Sik Yang),윤형근(Hyong Geun Yun),정은지(Eun Ji Chung),지의규(Eui Kyu Chie),표홍렬(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4
목 적: 본 연구는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게재 논문의 통계 오류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문제 제기를 통해 학회지의 학술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2007년 사이에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에 게재된 총 77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논문에 적용된 통계 방법론의 적정성 평가는 통계점검표를 활용하였다. 통계점검표에는 연구의 종류, 통계기법의 사용 범위, 각 논문에 적용된 통계 기법의 종류, 통계적 기법 적용의 타당성 항목이 포함되었다. 통계 오류는 ‘생략의 잘못’과 ‘시행의 잘못’ 항목으로 나누었다. 한 논문에서 서로 다른 항목이 여러 가지 관찰된 경우 각각 횟수로 측정하였다. 같은 항목이 2회 이상 측정된 경우 1회로 횟수를 측정하였다. 통계 전문가가 개별 논문을 대상으로 통계점검표를 작성하였다. 일차 평가자가 방사선종양학 전문가가 아닌 것에서 올 수 있는 평가 오류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개별 통계점검표는 간행위원회에서 한 차례 더 세부 점검을 하였다. 작성된 통계점검표의 통계 분석은 SAS (version 9.0, SAS Institute, NC, US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고 빈도분석을 시행하여 각 항목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결 과: 총 77편 중 원문을 다운로드 할 수 없었던 4편을 제외한 73편의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증례보고는 5편, 원저 논문은 68편이었다. 대상 논문 중 46편의 논문에서 통계적 추론을 사용하였고, 16편의 논문에서 단순한 기술통계를 사용했으며, 11편의 논문에서는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지 않았다. 추론통계를 사용한 46편의논문에서 사용된 추론통계의 횟수는 각각 분할표분석 17회(37.0%), 비교통계분석 23회(50.0%), 회귀분석 7회(15.2%), 상관분석 5회(10.9%), 생존분석이 27회(58.7%)였다. 통계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 결과를 분석할 때 통계적용의 오류가 없는 논문은 19%였다. ‘생략의 잘못’은 34편(50.0%)의 논문에서 총 50회 관찰되었다. ‘시행의 잘못’은 35편(51.5%)의 논문에서 총 47회 관찰되었다. ‘생략의 잘못’과 ‘시행의 잘못’이 모두 발견된 논문은 21편 (30.9%)이었다.결 론: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통계 분석 과정의 다양한 영역에 걸쳐 크고 작은 통계적 오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투고 논문의 심사 과정에서 통계 오류에 관한 적절한 심사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urpos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JKOSTRO) by evaluating commonly encountered errors. Materials and Methods: Papers published in the JKOSTRO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07 were reviewed for methodological and statistical validity using a modified version of Ahn’s checklist. A statistician reviewed individual papers and evaluated the list items in the checklist for each paper. To avoid the potential assessment error by the statistician who lacks expertise in the field of radiation oncology; the editorial board of the JKOSTRO reviewed each checklist for individual articles. A frequency analysis of the list items was performed using SAS (version 9.0, SAS Institute, NC, USA) software. Results: A total of 73 papers including 5 case reports and 68 original articles were reviewed. Inferential statistics was used in 46 papers. The most commonly adopted statistical methodology was a survival analysis (58.7%). Only 19% of papers were free of statistical errors. Errors of omission were encountered in 34 (50.0%) papers. Errors of commission were encountered in 35 (51.5%) papers. Twenty-one papers (30.9%) had both errors of omission and commission. Conclusion: A variety of statistical errors were encountered in papers published in the JKOSTRO.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a more thorough review of the statistical analysis is needed for manuscripts submitted in the JKOST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