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자궁경부암 환자의 예후인자에 관한 분석

        양대식(Dae Sik Yang),윤원섭(Won Sub Yoon),김태현(Tae Hyun Kim),김철용(Chul Yong Kim),최명선(Myung Sun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4

        목적 : 자궁경부암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가장 많은 발생을 보이는 악성종양으로 비교적 완치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경부암의 치료는 병원 마다 매우 다양해졌으나 방사선에 의한 치료가 주이며 높은 완치율을 얻고 있다. 치료의 실패는 대부분 3년이내에 일어나며, 국소재발시에는 자궁방 결합조직에서 더 많이 재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치료성적과 재발여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생존률과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81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970명중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8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는 방사선 단독치료군과 수술후 방사선치료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환자에 대하여 나이, 임상적 병기, 세포병리학적 소견, 재발유무 등이 치료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고 특히 치료 후 자궁경부질세포진검사(Papanicolaou smear; Pap smear), 배아성항원(Carcinoembryogeric antigen; CEA)의 편평상피암종항원(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SCC antigen) 수치가 생존률과 국소재발에 유의한 인자인가를 알아보았다. 결과 : 전체환자의 평균나이는 51.3세(방사선 단독치료군; 53.1세, 수술 후 치료군; 48.3세)였고,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38.6개월(방사선 단독치료군; 38.8개월, 수술후 치료군;38.4개월)이었다. 방사선 단독치료군의 경우 대상환자는 521명이었고, 임상병기는 CIS; 5명, IA;3명, IB;36명, IIA; 77명, IIB; 284명, IIIA; 31명, IIIB; 47명, IVA; 21명, IVB; 3명, 재발암; 14명이었다. 세포병리학적 소견상 편평상피암; 495명, 선세포암; 23명이었고 완치상태로 추적관찰된 환자는 314명(60.3%), 국소재발; 47명(9%), 대동맥 림프절전이; 28명(5%), 폐전이; 19명(4%), 골전이; 12명(2%)이었다. 수술 후 평상피암; 291명, 선세포암; 32명이었고, 완치상태로 추적관찰된 환자는 276명(85%), 국소재발; 8명(2%) 대동맥 림프절전 이; 7명(2%), 폐전이;10명(3%), 골전이; 10(3%)이었다. 전체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5년 생존율은 71.@%(방사선 단독치료군; 55.8%, 수술 후 치료군; 88.1%)였고, 생존율에 있어서는 단변량분석상 임상병기(p=0.0001), 재발유무(p=0.0001), 방사선치료 후 자궁경부질세포진검사(p=0.0329), CEA수치(≥5ng/ml, p=0.0001), SCC수치(≥2ng/ml, p=0.0001)가 의미있는 인자로 나타났고, 재발율에 있어서는 CEA가≥5ng/ml인 경우, SCC는 ≥2ng/ml인 경우가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방사선치료 후 Pap smear, CEA, SCC는 생존율과 재발율에 모두 비교적 의미있게 작용하는 예후인자로 나타나 앞으로 방사선치료 후 환자의 추적관찰시 자궁경부암의 국소재발과 전이 그리고 생존율을 미리 예견할 수 있는 지표로 삼을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survival and recurrence rates of the uterine cervical carcinoma patients whom received the radiation therapy respectively. The prognostic factors, such as Papanicolaou (Pap) smear, carcinoembirogenic antigen (CE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SCC) antigen has been studied. Methods and Materials : From January 1981 to December 1998, eight-hundred twenty-seven uterine cer-vical cancer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l of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radiation therapy only (521 patients) group and the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326 patients) group. The age, treatment modality, clinical stage, histopahthlogy, recurrece, follow-up Pap smears, CEA and SCC antigen were used as parameters with the Kaplan-Meier method and the Cox hazard model, respectively, Median follow-up was 38.6 months. Results : On the radiation therapy only group, 314 patients (60%) achieved complete response (CR), 47 patients(9%) showed local recurrence (LR), 78 patients (15%) developed distent metastasis (DM). On the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showed 276 patients (85%) CR, 8 patients (2%) LR, 37 patients (11%) DM. The 5-year suvival rate in univariate analysis were clinical stage (p=0.0001), treatment modality (p=0.0010), recurrence (p=0.0001), Pap smear(p=0.0329), CEA (p=0.0001) and SCC antigen (p=0.0001). Conclution : This study indicated that after treatment, the follow-up sudiesof Pap smear, CEA and SCC antigen were signficant parameter and prediction factiors for the survival and recurrence of the uterrine cervical carcinoma.

      • SCOPUSKCI등재

        두경부 암 환자의 경부 림프절 전이 분석

        양대식(Dae Sik Yang),최명선(Myung Sun Choi),최종욱(Jong Ouck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4

        목 적 : 두경부 암 환자에서 경부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원발병소의 해부학적위치 및 특성, 원발병소의 크기 즉 병기와 조직병리학적 종류 따라 영향을 받는다. 두경부 암 환자에서 경부 림프절의 전이 양상은 다른 나라에서 분석, 연구되어 있고, 현재 두경부 암 환자 치료와 처치를 이를 기조로 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두경부 암 환자에 대한 경부 림프절 전이에 대한 우리나라 환자의 통계는 없어 이번 통계를 시행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 1981년 1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본 병원 방사선 종양학과에 내원한 환자중조사가 가능한 9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는 방사선 종양학과에 내원시 면밀한 경부 촉진과 함께 컴퓨터 단층 촬영영상 상에서 확인을 하였다 환자는 크게 경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군과 전이가 없는 군으로 나누었고, 경부 림프절의 병기는 미국 암 연합회에서 추천한 방식에 의하였다. 원발병소의 위치 및 주위로의 침윤 등은 면밀한 관찰과 촉진,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 수술소견 및 조직병리학 소견을 참조하였다. 결 과 : 방사선 종양학과에 방사선 치료를 위해 내원한 997명 중 416명(42%)에서 경부 림프절 전이를 보였고, 581명(58%)에서 전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부 림프절 전이를 보인 림프절의 병기 분포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N1 : 106(25.5%), N2a : 100(24%), N2b : 68(16.4%), N2c : 69(16.6%), N3 : 73(15%). 두경부 암 환자에서 원발병소의 빈도는 다음과 같다. 후두암 : 283(28.5%), 부비동암 : 182(18%), 구인두암 : 144(14.5%), 비인강암 : 122(12%), 구강암 :92 (9%), 하인두암 : 71(7%), 타액선암 : 58(6%), 미지원발부위암 : 31(3%), 피부암 : 14(2%). 두경부 암 환자중 가장 경부 림프절 전이가 높은 원발병소는 비인강암(71%)으로 나타났고, 다음은 하인두암 (69%), 구인두암(64%), 구강암(39%) 순이었다. 경부 림프절 전이를 보였던, 416명 중에서는 구인두암 92명(22%), 비인강암 87명(21%), 후두암 79명(19%)의 순이였다. 병리조직학적으로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편평상피암종으로 전체 환자중 65.4%을 차지 하였고, 다음은 악성 림프종이 109명으로 11%였다. 결 론 : 두경부 암 환자에서 경부 림프절 전이의 양상이 외국 통계와 비교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원발병소의 해부학적 특성에 따라 경부 림프절 전이가 좌우되며 원발병소의 병기가 진행됨에 따라 경부 림프절 전이 빈도도 증가 되며 또한 경부 림프절의 병기도 증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Purpose : It is well known that the risk of lymph nodes metastases to head and neck cancers are influenced by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primary tumor, as well as the degree and types of histological differentiation. However, data on the statistical analyses of lymph node metastases from the head and neck cancers among Korean population are not available at present. In order to obtain current status of such data, we have analyzed cancer patients at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Korea university hospital for radiation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 We have evaluated nine-hundred and ninetyseven (997)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who visited to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between November 1981 to December 1995. After careful physical examinations and CAT scan,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ith positive lymph node metastases and with negative lymph node metastases. The nodal statu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NM system of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Results : Four-hundred and sixteen patients out of the 997 patients were lymph node positive (42%) and 581 patients were lymph node negative (58%) when they were first presented at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According to the AJCC classification, the distribution of positive lymph node is as follow:N1:106 (25.5%), N2a:100 (24%), N2b:68 (16.4%), N2c: 69 (16.6%), N3:73 (15%),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lymph node metastases according to the primary sites is as follow : larynx : 283 (28.5%), paranasal sinuses:182 (18%), oropharynx:144 (14.5%), nasopharynx:122 (12%), oral cavity:92 (9%), hypopharynx:71 (7%), salivary gland:58 (6%), unknown primary:31(3%), skin:14(2%). The most frequent primary site for the positive lymph node metastases was nasopharynx (71%) followed by hypopharynx (69%), oropharynx (64%), oral cavity (39%). The most common histologic type was squamous cell carcinoma (652/997: 65.4%), followed by malignant lymphoma (109/997:11%). Conclusion : Statistical results of lymph node metastases from head and neck cancer at our department were very similar to those obtained from other countries. It is concluded that the location of primary cancer influences sites of metastases on head and neck, and stage of the primary cancer also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metastatic lesions. Since the present study is limit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one institute, further statistical analyses on Korean cancer patients are warrented.

      • KCI등재

        Real-time Body Surface Motion Tracking using the Couch Based Computer-controlled Motion Phantom (CBMP) and Ultrasonic Sensor: A Feasibility Study

        이석,양대식,박영제,신동호,허현도,이상훈,조삼주,임상욱,장지선,조광환,신헌주,김철용,Lee, Suk,Yang, Dae-Sik,Park, Young-Je,Shin, Dong-Ho,Huh, Hyun-Do,Lee, Sang-Hoon,Cho, Sam-Ju,Lim, Sang-Wook,Jang, Ji-Sun,Cho, Kwang-Hwan,Shin, Hun-Joo,Kim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07 의학물리 Vol.18 No.1

        호흡운동 조절 방사선치료 시 환자체표면 움직임을 추적하여 실시간 보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시스템은 치료테이블에 기반을 둔 동 팬텀(CBMP, couch based computer-controlled motion phantom), 초음파 센서 및 제어, 구동, 분석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하였다 동물실험 결과 호흡주기는 2.9초이었고, 호흡진폭은 6mm이었다. 실시간 체표면 추적시스템의 유용성 평가에 중요한 항목인 호흡운동 획득-보정간의 지연시간은 $2.34{\times}10^{-4}sec$ 초이어서 호흡운동 조절 방사선치료 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실시간 체표면 추적 기술의 임상적용에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spiration sating radiotherapy techniqu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of body surface and Internal organs during respiration, is categorized into the method of analyzing the respiratory volume for data processing and that of keeping track of fiducial landmark or dermatologic markers based on radiography. However, since these methods require high-priced equipments for treatment and are used for the specific radiotherapy. Therefore, we should develop new essential method whilst ruling out the possible problems. This study alms to obtain body surface motion by using the couch based computer-controlled motion phantom (CBMP) and US sensor, and to develop respiration gating techniques that can adjust patients' beds by using opposite values of the data obtained. The CBMP made to measure body surface motion is composed of a BS II microprocessor, sensor, host computer and stopping motor etc. And the program to control and operate It was developed. After the CBMP was adjusted by entering random movement data, and the phantom movements were acquired using the sensors, the two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n, after the movements by respiration were acquired by using a rabbit, the real-time respiration gating techniques were drawn by operating the phantom with the opposite values of the data. The result of analysing the acquisition-correction delay time for the data value shows that the data value coincided within 1% and that the acquistition-correction delay time was obtained real-time $(2.34{\times}10^{-4}sec)$. And the movement was the maximum movement was 6 mm In Z direction, In which the respiratory cycle was 2.9 seconds. This study successfully confirms the clinical application possibility of respiration gating techniques by using a CBWP and sensor.

      • SCOPUSKCI등재

        Air Cavity Effects on the Absorbed Dose for 4-, 6- and 10-MV X-ray Beams : Larynx Model

        김창선,양대식,김철용,최명선,Kim Chang-Seon,Yang Dae-Sik,Kim Chul-Yong,Choi Myung-Su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4

        목적 : 공기동을 포함한 병소 부위에 X-선원을 조사할 경우 공동과 근접한 영역에서의 저흡수선량 효과는 잘 알려져 있다. 공기-연조직 사이의 불균질면의 한 예로 후두 모형 즉, 조직 둥가물질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공기동을 만들었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의 선질 조사면의 크기 공기동의 크기에 따른 공동 가까이에서의 흡수선량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대상 및 방법 : 4-, 6-, 10-MV X-선원을 이용하여 2cm(폭)$\times$L(cm, 길이)$\times$2cm(높이)인 공기동을 포함한 후두 모형의 아크릴 팬톰에 대하여 흡수선량을 측정하였다. 흡수선량의 측정장비로 평행판전리함과 전리계를 이용하였다. 제작한 후두의 기하학적 치수는 상부 연조직$\cdot$공기동$\cdot$하부 연조직의 두께가 각각 4-, 2-, 4-cm이었다. 공기동이 없이 균일한 연조직 팬톰에 대한 공기동이 있는 경우의 흡수선량의 비(O/E)를 공기 공동-연조직의 경계로부터 거리를 변화시키면서 측정하였다. 표준화된 중강곡선과 최대흡수선량에 대한 입사면 반대쪽 표면에서의 흡수선량의 비를 초사면의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측정하였다. 공기동의 크기에 따른 효과를 알기 위하여 여러 가지 조사면에 대하여 투영된 크기가 4cm(폭)$\times$L인 공기동의 높이(Z)를 변화시켜서 측정하였다. 결과 : 4-MV선원에서 $5cm\times5cm$ 이상의 조사면에서는 저흡수선량 효과가 없었다. 6-이나 10-MV선원에서 작은 조사야 즉, $4cm\times4cm$와 $5cm\times5cm$에서는 후두에 저흡수선량 부위가 나타났으며 $6cm\times6cm$ 이상의 조사면에서는 이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선원의 선질이 증가할수록 저흘수선량인 조직층이 증가하였고 이때 표면 흡수선량의 크기는 변하지 않았다. 조사면의 크기가 $4cm\times4cm$에서 $8cm\times8cm$로 증가할 때 최대흡수선량에 대한 입사면 반대쪽의 공기동의 표면 선량은 4-, 6-, 10-MV 선원에서 각각 0.95, 0.92, 0.91에서 0.99로 증가하였다. 6-이나 10-MV 선원에서 공기동 표면에서의 흡수선량은 $5cm\times5cm$ 조사면에 있어서 예상값보다 각각 2-, 3-퍼센트의 감소가 있었고 또 4-MV에서는 감소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4cm\timesL\timesZ$ 공기동에서 그높이(Z)를 0.6에서 4.8cm까지 변화시켰을 때 조사면의 크기가 $8cm\times8cm$에서 공동의 크기에 무관하게 O/E>1.0이 관찰되었다. 결론 : 조사면내 공기동에 의한 저흘수선량 효과는 방사선의 선질$\cdot$조사면의 크기$\cdot$공기동의 크기에 의존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고선질 선원이 공동을 포함한 병소 특히, 종양이 공기동의 표면까지 미치는 부위에 조사될 째 특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 경운 가능하면 조사되는 부위가 저전량이 되지않도록 저선질의 선원(예를 들면, 4-MV)을 쓰고 또 조사면을 넓혀야한다. 6-이나 10-MV 등의 고선질의 X-선을 쓰는 경우에는 조사면의 부위에 저선랸 부위가 생기므로 한번의 추가 조사를 더 시행할 필요가 있다. Purpose : When an x-ray beam of small field size is irradiated to target area containing an air cavity, such as larynx, the underdosing effect is observed in the region near the interfaces of air and soft tissue. With a larynx model, air cavity embedded in tissue-equivalent material, this study is intonded for examining Parameters, such as beam quality, field size, and cavity size, to affect the dose distribution near the air cavity. Materials and Methods : Three x-rar beams, 4-, 6- and 10-MV, were employed to Perform a measurement using a 2cm $(width){\times}L$ (length in cm, one side of x-ray field used 2cm (height) air cavity in the simulated larynx. A thin window parallel-plate chamber connected to an electrometer was used for a dosimetry system. A ratio of the dose at various distances from the cavity-tissue interface to the dose at the same points in a homogeneous Phantom (ebservedlexpected ratio, O/E) normalized buildup curves, and ratio of distal surface dose to dose at the maximum buildup depth were examined for various field sizes. Measurement for cavity size effect was performed by varying the height (Z) of the air cavity with the width kept constant for several field sizes. Results : No underdosing effect for 4-MV beam for fields larger than $5cm\times5cm$ was found For both 6- and 10-MV beams, the underdosing portion of the larynx at the distal surface was seen to occur for small fields, $4cm\times4cm\;and\;5cm\times5cm$. The underdosed tissue was increased in its volume with beam energy even for similar surface doses. The relative distal surface dose to maximum dose was changed to 0.99 from 0.95, 0.92, and 0.91 for 4-, 6-, and 10-MV,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field size, $4cm\times4cm\;to\;8cm\times8cm$, For 6- and 10-MV beams, the dose at the surface of the cavity is measured less than the predicted by about two and three percent. respectively. but decrease was found for 4-MV beam for $5cm\times5cm$ field. For the $4cm\timesL\timesZ$ (height in cm). varying depth from 0.0 to 4.8cm, cavity, O/E> 1.0 was observed regardless of the cavity size for any field larger than about $8cm\times8cm$. Conclusion : The magnitude of underdosing depends on beam energy, field size. and cavity size for the larynx model.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caution must be used when a small field of a high quality x-ray beam is irradiated to regions including air cavities. and especially the region where the tumor extends to the surface. Low quality beam. such as. 4-MV x-ray, and larger fields can be used preferably to reduce the risk of underdosing, local failure. In the case of high quality beams such as 6- and 10-MV x-rays, however. an additional boost field is recommended to add for the compensation of the underdosing region when a typically used treatment field. $8cm\times8cm$, is employed.

      • SCOPUSKCI등재

        불완전절제된 수막종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김태현(Tae-Hyun Kim),양대식(Dae-Sik Yang),김철용(Chul-Young Kim),최명선(Myung-Sun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ossible efficacy of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for incompletely resected meningiomas. Methods and Materials : From August 1981 to January 1997, forty- four patients with intracranial meningioma were treated by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Of the 44 meningiomas, 18 transitional, 13 meningotheliomatous, 6 hemangiopericytic, 4 atypical, 2 fibroblastic and 1 malignant meningioma were identified. We classified all patients into two groups by the histology. The benign group was consisted of the meningotheliomatous, transitional and fibroblastic types. The malignant group was consisted of the atypical, hemangiopericytic and malignat types. In the means of surgery, 37 patients were resected incompletely and 7 patients were managed by biopsy only. After surgery, all patients were received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Radiotherapy was deliverd using Co- 60 or 4 MV photon beam to a total dose of 50 to 66 Gy (mean dose :57.4 Gy) with a 1.8 to 2 Gy per fraction. The median follow- up was 48 months (range : 21∼101 months).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influence by age, sex, location, histology and radiation dose on local control has been done using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s : 5- year local control rate was 93.8% for the benign histology and 51.8% for the malignant histology (p=0.0110) and overall local control rate at 5 years was 87.4%. The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such as age, sex, location, and radiation dose were not significant except for the histology. Conclusion :Adjuvant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appears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local control in the patients with incompletely resected meningiomas. 목 적 : 불완전절제된 수막종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을 분석하여,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81년 8월부터 1997년 1월까지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수막종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23세부터 66세였고, 평균연령은 51세였으며, 여자 32예, 남자 12예였다. 병리조직학 분류에 따라 보면, 수막성 수막종이 13예, 이행성 수막종이 18예, 섬유아세포성 수막종이 2예, 혈관주위세포성 수막종이 6예, 이형성 수막종이 4예, 악성 수막종이 1예였다. 병리조직학 소견을 양성군(수막성, 이행성과 섬유아세포성 수막종)과 악성군(이형성, 혈관주위세포성과 악성 수막종)으로 재분류 하였으며, 양성군과 악성군은 각각 33예, 11예였다. 불완전절제술이 시행된 경우가 37예였고, 조직검사만 시행한 환자가 7예였다. 방사선치료는 Co-60과 4MV X- ray를 이용하여 일일선량 1.8∼2.0 Gy씩 주 5회 치료하였고 원발병소에 50.4∼66 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전체환자의 평균 추적기간은 48개월이었다. 결 과 : 국소재발된 경우는 6예였고, 5년 국소제어율은 87.4%였다. 양성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93.8%였고, 악성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51.8%로 차이를 보였다(p=0.0110). 사망한 경우는 2예로, 1예는 유암으로, 1예는 재발에 의한 사망이었고, 5년 생존율은 97.3%이었다. 결 론 : 불완전절제된 수막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는 국소 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고령의 비소세포성폐암 환자의 방사선 및 병용치료에 대한 효과 평가

        윤원섭(Won-Sup Yoon),양대식(Dae-Sik Yang),김철용(Chul-Yo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2

        목 적: 70세 이상 고령의 비소세포성폐암 환자에서 단독방사선치료 및 화학방사선병행요법에 대한 독성과 생존율 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에서 2002년까지 만 70세 이상의 Ⅲ기 비소세포성폐암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57명에 대해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중앙추적조사기간은 9개월(1∼53.4개월)이었다. 단독방사선치료(갑군)를 시행한 환자가 33명, 동시화학방사선치료(을군)를 시행한 환자가 16명, 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병군)를 시행한 환자가 8명 이었다. 남자, 여자가 각각 51, 6명, 중앙연령은 74 (70∼85)세였다. Ⅲa와 Ⅲb기가 각각 23, 34명이었다. 갑군과 을군의 비교 시 종양의 크기가 갑군이 더 큰 것 외에는 의미 있는 분포의 차이는 없었다. 방사선치료의 분할선량은 동시화학방사선치료 시에는 1.8 Gy로, 그 외의 경우는 방사선치료범위를 고려하여 1.8∼3 Gy로 하였고 분할선량에 따라 51∼63 Gy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계획된 방사선량을 모두 조사받은 경우를 완전종결로 하였고 그렇지 못한 경우를 불완전종결로 하였다. 결 과: 57명 중 52명의 환자가 추적조사기간 중 사망하였다. 갑, 을, 병군에서 완전종결 환자는 28, 10, 7명이었고 앙방사선치료기간은 각각 35, 60.5, 35일이었다. 전체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10.1개월이었고 1년, 2년 생존율은 39.8, 17.6%였다. 갑, 을, 병군의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8.9, 8.2, 11.7개월이었고 1년 생존율은 38.4, 37.5, 50%였다. 방사선치료가 불완전 종결된 갑, 을, 병군은 각각 5, 6, 1명으로 N병기(N3)(p=0.081), 치료방법의 차이(p=0.079)가 불완전 종결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았다. 을군에서 병용 화학요법제를 시행한 8명 중 4명은 부작용으로 치료를 중단하였다. 예후인자의 평가에서 T병기(T3 이상), 종양의 크기(5 cm 이상), KPS (70 이하), 불완전 종결이 단일변량분석과 다변량분석에서 유의하였다. 론: 고령의 비소세포성폐암 환자에서 단독방사선치료는 타 치료와 비교 시 대등한 생존기간을 나타냈으며 동시 화학방사선치료에 비해 부작용으로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가 적어 대체로 고령의 환자가 치료에 잘 견디는 치료였 다. 고령의 환자에서 동시화학방사선치료를 고려할 시에는 치료의 견딤 정도를 고려하여 환자의 선택 및 약제의 선 택에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o compare radiation therapy alone to combined modality therapy about survival rate and tolerance of elderly patients (70=or≥)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8 and 2002, 57 patients given radiation therapy due to NSCLC (Stage III)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Radiation therapy alone (RT), concurrent chemoradiation (CRT), and sequential chemoradiation (SCRT) was done to 33, 16 and 8 patients, respectively. Patients' median age was 74 (range 70∼85). Male and female are 51 patients and 6 patients, respectively. 23 patients were stage IIIa and 34 were stage IIIb. Patients' characteristic distribution of RT and CR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mass size that RT has a bigger than CRT. The fraction size of radiation therapy was 1.8 Gy in CRT and 1.8∼3 Gy in other groups. Total radiation dose was 51∼63 Gy according to the fraction size. If the prescribed total radiation dose was successfully irradiated, we stated that it was completion of radiation therapy. Results: 52 patients were dead. Median period of radiation therapy was as follow: RT, 35 days, CRT, 60.5 days and SCRT, 35 days. Overall median survival time (MST) was 10.1 months. The 1 yr- and 2 yr-overall survival rate was 39.8% and 17.6%, respectively. MST of RT, CRT and SCRT was 8.9, 8.2 and 11.7 months, respectively. The 1 yr survival rate of RT, CRT and SCRT was 38.4%, 37.5% and 50% (not significant). Patients given incomplete radiation therapy were 12 (RT, 5 CRT, 6 SCRT, 1). N stage (p=0.081) and the difference of treatment methods (p=0.079) were the factors affecting incompletion of radiation therapy, but it was not significant. In case of combined-agents chemotherapy, 4 of 8 ceased radiation therapy. T stage (T≥3), mass size (≥5 cm), Karnofsky performance scale (≤70) and completion of radiation therapy were the prognostic factors in uni- and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In elderly patients with NSCLC, radiation therapy alone was a treatment method with similar survival period compared with other methods. Generally, patients given radiation therapy alone was tolerable to a treatment. Before planning concurrent chemoirradi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NSCLC, physicians pay attention to a selection of patients and chemotherapy agents considering general condition and toxicity.

      • KCI등재후보

        Mechanical Check용 Spherical device의 제작 및 특성 평가

        이병구(Byung-Koo Lee),양대식(Dae-Sik Yang),권영호(Young-Ho Kweon),한동균(Dong-Kyoon Han),고신관(Shin-Gwan Ko)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7 방사선기술과학 Vol.30 No.2

          PACS의 도입에 발맞추어 시작된 digital 의료영상은 현재 방사선 진단 및 치료 영역에서 일반화되었으며 특히 진단영역에서는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치료영역에서의 digital image 구현은 상대적으로 느린 성장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BR>  본 논문은 이러한 analog에서 digital로 변화하는 흐름을 인식하여 정도관리(Quality Assurance) 업무 중 mechanical check 부분을 digital image base 업무로 대체하여 수행하고, 기존의 육면체 또는 사각형틀의 개념을 탈피한 구형(球形)의 Spherical mechanical check device(SMCD) 고안하여 그 실용성을 실험하였다.<BR>  Source(target)에서 image detecter 간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고, Spherical mechanical check device(SMCD)의 중심까지 거리가 일정하다면 어느 방향에서 SMCD를 exposure하더라도 그 크기는 항상 일정하게 영상으로 표현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정확한 반구(半球)를 2개 정밀 제작하여 그것을 합쳤을 때 정원(正圓)의 구(球)가 되도록 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radiation field와 light field의 일치도, radiation field 크기의 정확도(5×5, 10×10, 15×15㎝), Collimator field 크기의 정확도(5×5, 10×10, 15×15㎝), Gantry rotation isocenter check, Collimator rotation isocenter check, Room laser accuracy check, Collimator rotation angle check와 Couch rotation angle check 등 기존의 mechanical check를 digital image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Flat 또는 정육면체 형태의 mechanical check device로는 쉽게 하기 힘든 non-coplanar field에 적용되는 Gantry와 Couch가 동시에 rotation되었을 때 그 isocenter의 일치도를 real time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Digital medical image commenced with an introduction of PACS has become more popular today in the radiation diagnosis and radiation treatment and made great progress, in particular, for medical testing field, whereas it has made slow progress for radiation treatment field.<BR>  In order to accommodate the current trend of digital from analog, a spherical mechanical check device (SMCD) that is the form of spherical differing from the existing form of flat or cube has been designed and tested its practicability to replace the part in mechanical check with digital image from QA operation. <BR>  If the distance maintains constance between source(target) and image detector with constant distance to the center of spherical mechanical check device(SMCD), the size will be shown as a constant image at all times regardless of its direction exposed. For the test, two accurate hemispheres are made and put together which results in a sphere of the equilateral circle.<BR>  It enables a variety of implementation of the existing mechanical check using digital image as follows: congruity level of radiation field and light field, size accuracy of radiation field and collimation field, gantry rotation isocenter check, collimation rotation isocenter check, room laser accuracy check, collimation rotation angle check, couch rotation angle check, and more. In addition, it has proved its practicability in checking isocenter congruity level as real time at the time of simultaneous rotation between gantry and couch that is applied to the non-coplanar field, which had been hard to apply as a device formed of existing flat or cube.

      • SCOPUSKCI등재

        불완전절제된 수막종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김태현(Tae-Hyun Kim),양대식(Dae-Sik Yang),김철용(Chul-Young Kim),최명선(Myung-Sun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1

        목 적 : 불완전절제된 수막종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을 분석하여,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81년 8월부터 1997년 1월까지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수막종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23세부터 66세였고, 평균연령은 51세였으며, 여자 32예, 남자 12예였다. 병리조직학 분류에 따라 보면, 수막성 수막종이 13예, 이행성 수막종이 18예, 섬유아세포성 수막종이 2예, 혈관주위세포성 수막종이 6예, 이형성 수막종이 4예, 악성 수막종이 1예였다. 병리조직학 소견을 양성군(수막성, 이행성과 섬유아세포성 수막종)과 악성군(이형성, 혈관주위세포성과 악성 수막종)으로 재분류 하였으며, 양성군과 악성군은 각각 33예, 11예였다. 불완전절제술이 시행된 경우가 37예였고, 조직검사만 시행한 환자가 7예였다. 방사선치료는 Co-60과 4MV X- ray를 이용하여 일일선량 1.8∼2.0 Gy씩 주 5회 치료하였고 원발병소에 50.4∼66 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전체환자의 평균 추적기간은 48개월이었다. 결 과 : 국소재발된 경우는 6예였고, 5년 국소제어율은 87.4%였다. 양성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93.8%였고, 악성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51.8%로 차이를 보였다(p=0.0110). 사망한 경우는 2예로, 1예는 유암으로, 1예는 재발에 의한 사망이었고, 5년 생존율은 97.3%이었다. 결 론 : 불완전절제된 수막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는 국소 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ossible efficacy of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for incompletely resected meningiomas. Methods and Materials : From August 1981 to January 1997, forty- four patients with intracranial meningioma were treated by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Of the 44 meningiomas, 18 transitional, 13 meningotheliomatous, 6 hemangiopericytic, 4 atypical, 2 fibroblastic and 1 malignant meningioma were identified. We classified all patients into two groups by the histology. The benign group was consisted of the meningotheliomatous, transitional and fibroblastic types. The malignant group was consisted of the atypical, hemangiopericytic and malignat types. In the means of surgery, 37 patients were resected incompletely and 7 patients were managed by biopsy only. After surgery, all patients were received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Radiotherapy was deliverd using Co- 60 or 4 MV photon beam to a total dose of 50 to 66 Gy (mean dose :57.4 Gy) with a 1.8 to 2 Gy per fraction. The median follow- up was 48 months (range : 21∼101 months).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influence by age, sex, location, histology and radiation dose on local control has been done using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s : 5- year local control rate was 93.8% for the benign histology and 51.8% for the malignant histology (p=0.0110) and overall local control rate at 5 years was 87.4%. The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such as age, sex, location, and radiation dose were not significant except for the histology. Conclusion :Adjuvant postoperative external irradiation appears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local control in the patients with incompletely resected meningiomas.

      • KCI등재후보

        자궁경부암의 고선량률 근접치료

        윤원섭(Won Sup Yoon),김태현(Tae Hyun Kim),양대식(Dae Sik Yang),최명선(Myun Sun choi),김철용(Chul Yo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3

        목적 : 자궁경부암의 고선량률 근접치료는 각 기관마다 분할선량이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고 각 분할선량에 따른 치료 결과가 임상적으로 비교된 적이 적었던 바 저자들은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고선량률 근접치료의 분할선량에 따른 국소제어율과 합병증 발생을 비교하여 적정한 분할선량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11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자궁경부암으로 진단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2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A군은 122명(수술 후 방사선치료 67명, 근치적 방사선치료 55명)으로 외부방사선 치료 후 고선량률 근접치료의 분할선량을 line-A (선원으로부터 반경 2 cm를 이은 등량선)에 3 Gy를 주당 3회씩 6~10회 조사한 군이었고 B군는 102명(수술 후 방사선치료 49명, 근치적 방사선치료 53명)으로 외부방사선 치료가 시행된 후 분할선량을 line-A에 4 또는 4.5 Gy를 주당 2회씩 6~8회 조사한 군이었다. 외부방사선치료는 10 MV X-선을 이용하여 전골반부에 45~54 Gy (중앙값 54 Gy)를 조사하였다. 고선량률 근접치료는 이리디움(iridium)-192를 사용하였다. 합병증은 RTOG morbidity grading system에 따라 grade 1에서 5까지 나누어서 평가하였다. 결과 : A군과 B군의 5년 국소제어율은 각각 80%, 84%였고(p=0.4523) B군에서 더 높은 국소제어율을 보였다. 근치적 방사선치료군에서는 A군과 B군의 5년 국소제어율이 각각 62.9%, 76.9% (p=0.2557),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에서는 A군과 B군의 5년 국소제어율이 각각 91.7%, 91.6% (p=0.8867)였다. A군에서는 22명(18.0%)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B군에서는 30명(29.4%)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방광에 대한 합병증은 A군에서 12명(9.8%)이 발생하였고 grade 3 이상이 2명이었다. B군에서는 15명(14.7%)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grade 3이상이 3명이었다. 직장에 대한 합병증은 A군에서 12명(9.8%)에서 발생하였고 grade 3 이상이 1명이었고 B군에서는 22명(21.6%)에서 발생하였고 grade 3 이상이 10명이었다. 합병증에 대한 단일변량분석에서 고선량률 근접치료의 분할 선량이 작으면 전체 합병증(0=0.0405), 직장의 합병증(0=0.0147), 방광의 합병증(0=0.115)이 감소하였고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p=0.0860) 및 근치적방사선치료군(0=0.0370)에서도 분할선량이 작으면 합병증은 감소하였다. 결론 : 근치적 방사선치료 시 고선량률 근접치료의 적절한 분할선량에 대한 평가는 환자의 병기, 예후인자 등을 고려한 다양한 분할선량에 대한 세분화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 고선량률 근접치료의 분할선량은 국소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합병증에 대해선 분할선량이 커지면 다소 증가하는 면을 보여 분할선량을 3 Gy로 주 3회 시행하는 것이 하나의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Although high-dose-rate (HDR) brachytherapy regimens have been practiced with a variety of modalities and various degrees of success, few studies on the subject have been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ults of local control and late complication rate according to different HDR brachytherapy fractionation regimens in uterine cervical cancer patients. Methods and Materials : From November 1992 to March 1998, 224 patients with uterine conical cancer were treated with external beam irradiation and HDR brachytherapy. In external pelvic radiation therapy, the radiation dose was 45~54 Gy (median dose 54 Gy) with daily fraction size 1.8 Gy, five times per week. In HDR brachytherapy, 122 patients (Group A) were treated with three times weekly with 3 Gy to line-A (isodose line of 2 cm radius from source) and 102 patients (Group B) underwent the HDR brachytherapy twice weekly with 4 or 4.5 Gy to line-A after external beam irradiation. Iridium-192 was used as the source of HDR brachytherapy. Late complication was assessed from grade 1 to 5 using the RTOG morbidity grading system. Results : The local control rate (LCR) at 5 years was 80% in group A and 84% in group B (p=0.4523). In the patient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LCR at 5 years was 60.9% in group A and 76.9% in group B (p=0.2557). In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patients, LCR at 5 years was 92.6% In group A and 91.6% in group B (p=0.8867). The incidence of late complication was 18% (22 patients) and 29.4% (30 patients), of bladder complication was 9.8% (12 patients) and 14.7% (15 patients), and of rectal complication was 9.8% (12 patients) and 21.6% (22 patients), in group A and B, respectively. Lower fraction sized HDR brachytherapy was associated with decrease in late complication (p=0.0405) (rectal complication, p=0.0147 bladder complication, p=0.115). The same result was observed in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patients (p=0.0860) and radiation only treated patients (0=0.0370). Conclusion : For radiation only treated patients, a greater number of itemized studies on the proper fraction size of HDR brachytherapy, with consideration for stages and prognostic factors, are required. In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the fraction size of HDR brachytherapy did not have much effect on local control, yet the incidence of late complication increased with the elevation in fraction size. We suggest that HDR brachytherapy three times weekly with 3 Gy could be an alternative method of therapy.

      • KCI등재후보

        속발성 담도부 종양에 의한 담도 폐쇄에서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

        윤원섭(Won-Sup Yoon),김태현(Tae-Hyun Kim),양대식(Dae-Sik Yang),최명선(Myung-Sun Choi),김철용(Chul-Yo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1

        목적 : 속발성 담도부 종양에 의한 담도 폐쇄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기간, 고식적 치료 효과, 예후인자, 치료에 수반된 부작용을 조사하여 방사선치료의 유용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12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속발성 담도부 종양에 의한 담도 폐쇄가 발생한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35세부터 82세(중앙 연령 58.5세)였다. 대상 환자를 원발 종양 부위에 따라 분류해 보면 위암이 12명, 담낭암이 6명, 간암이 3명, 췌장암이 2명, 대장암이 1명이었다. 환자의 중앙 추적 조사기간을 7.2개월(3~76개월)이었다. 외부방사선치료는 24명 중 18명에서 시행하였으며 매일 1.8~2.5 Gy씩 주 5회 분할치료를 하였고 30~61.2 Gy (중앙값 50 Gy)의 방사선량이 조사되었다.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는 주당 2회에서 3회를 치료하였고 16명의 환자는 일일분할선량을 3 Gy로, 8명의 환자에서는 분할선량을 2.5 Gy로 하루 2회 시행하는 방법으로 치료하였다.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의 총조사선량은 9~30 Gy (중앙값 15 Gy)이었다. 결과 : 대상 환자 24명 중 22명은 추적기간 중 사망하였다.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7.3개월이었고 6개월 이상 생존한 환자는 13명(54.2%), 1년 이상 생존한 환자는 5명(20.8%)이었다. 단일변량분석에서 1년 이상 생존에 영향을 준 유의한 인자는 총 방사선량(50 Gy 이상)(p=0.0200)이었고 다변량분석에서도 총 방사선량(50 Gy 이상)(p=0.0337)이 유의성을 보였다. 추적조사 기간 동안 5명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로 인한 담도염이 의심되었다. 1명의 환자에서 치료후 7개월에 혈액담즙증(hemobilia)이 발생하였으나 이는 방사선치료에 의한 후기 합병증보다는 종양의 국소적인 진행에 의한 천공으로 생각되었다. 결론 : 담도의 배액술을 시행한 후 고선량률 관내 근첩치료를 시행할 경우 기존의 배액술만 시행한 환자에 비해 생존기간의 연장이 기대되었고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를 외부방사선치료에 추가할 경우 추가 방사선량은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었고 예후인자인 총 방사선량을 늘릴 수 있었다. 외부방사선치료 및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에 따른 부작용은 대증 요법에 의해 효과적으로 조절되어 안전한 치료였다. Purpose : To analyze the survival period, prognostic factors and complications of patients having undergone high-dose-rate intraluminal brachytherapy (HDR-ILB) as a salvage radiation therapy, while having a catheter, for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inserted due to biliary obstruction caused by a secondary malignant biliary tumor. Methods and Materials :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24 patients having undergone HDR-ILB, with PTBD catheter insertion, between December 1992 and August 2001. Their median age was 58.5, ranging from 35 to 82 years. The primary cancer site were the stomach, gallbladder, liver, pancreas and the colon, with 12, 6, 3, 2 and 1 cases, respectively. Eigh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and HDR-ILB, while six were treated with HDR-ILB only. The total exernal beam, and brachytherapy radiations dose were 30~61.2 and 9~30 Gy, with median doses of 50 and 15 Gy, respectively. Results : Of the 24 patients analyzed, 22 di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with a median survival of 7.3 months. The 6 and 12 months survival rates were 54.2 (13 patients) and 20.8% (5 patients), respectively. The median survivals for stomach and gallbladder cancers were 7.8 and 10.2 month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univariate analysi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survival of over one year was the total radiation dose (over 50 Gy) (p=0.0200), with all the patients surviving more than one year had been irradiated with more than 50 Gy. The acute side effects during the radiation therapy were manag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During the follow-up period, 5 patients showed symptoms of cholangitis due to the radiation therapy. Conclusion : An extension to the survival of those patients treated with HDR-ILB is suggested compared to the median historical survival of those patients treated with external biliary drainage. A boost radiation dose could be effectively given, by performing HDR-ILB, which is a prognostic factor. In addition, the acute complications of radiation therapy were effectively controlled by conservative management, and it could be regarded as a safe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