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ranexamic Acid가 부인암 세포주 및 생쥐 신피막하에 이식된 암조직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박태철(TC Park),박대순(DS Park),윤희종(HC Yoon),한상균(SK Han),박종섭(JS Park),김도강(DK Kim),남궁성은(SE Namko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1

        저자들은 자궁경부암, 난소암, 융모상피암 세포주들의 배양액에 각기 다른 농도의 tranexamic acid를 첨가하여 배양액내에서 종양의 성장억제효과로 세포수의 감소와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고, 생체실험으로서 장액성 난소암조직을 tranexamic acid 가 첨가된 배양액 에 처리한 후 마우스의 신피막하에 이종이식된 종양조직절편에서 감수성의 결정을 조직학적 판정점수로 측정하여 보조적인 항암치료제로 tranexamic acid 의 효용성을 밝히고자 실험했 떤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난소암 세포주는 tranexamic acid 농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세포수의 감소와 종양세포의 파괴가 증가되면서 세포성장의 억제가 관찰되었다. 자궁경부암 및 융모상피암 세포주는 배양액내에 tranexamic acid를 첨가하엿으나 세포증식의 억제효과는 없었다. 2. 생체내 신피막하 이식 4일후 장액성난소암조직의 변화는 사전처리된 tranexamic acid 농 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조직학적 판정기준에 의한 점수가 감소됨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tranexamic acid 는 장액성 난소암조직에 대한 성장억제효과가 있었으며 따라 서 악성난소암의 보조적인 치료제로서 임상적가치가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After treating the carcinoma of uterine cervix ovarian carcinoma and choriocarcinoma cell lines with tranexamic acid in different concentration we obaserved effects of tranexamic acid on the growth inhibition of gynecologic cancer cell lines in vitro And we tried to find out the antitumor effects of tranexamic acid by evaluating morphologic changes of the ovarian carcinoma tissue which was xenografted in the subrenal capsule of immunocompetent mi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e observed the inhibition of the tumr cell proliferation in serous cystadeno carcinoma cell line of ovary , by the proportion to the tranexamic acid concentration . But squamous carcinoma cell line of uterine cervix and choriocarcinoma cell line were added by tranexamic acid in a culture fluid, but there was no any phenomena of restraint against the tumor cell proliferation. 2. The morphologic changes of the serous cystadenocarcinoma tissue of ovary four days after the subrenal capsular xenograft in immunocompetent mice showed decreased of the histologic score by the proportion to the tranexamic acid concentration was well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ranexamic acid is associated with the inhibition of the tumor cell proliferation in serous cystadenocarcinoma of ovary , it is of clinical value as an adjuvant antitumor chemotherapeutic agent.

      • KCI등재

        재발성 부인암 평가에 있어서 전산화 단층촬영의 의의

        윤여홍(YH Yoon),박종섭(JS Park),김세일(SI Kim),한구택(GT Han),남궁성은(SE Namkoog),이헌영(HY Lee),김승조(S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2

        부인과 종양환자의 추적관리중 전산화 단층촬영술의 가치를 평가하고자 1983년 2월부터 1987년 3월까지 가톨릭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 종양부에 입원한 자궁경부암 환자 51명, 난소암 환자 32명, 자궁내막암 환자 5명을 대상으로하여 치료후 6개월의 간격으로 정기적인 전산화 단층촬영을 실시하여 재발을 진단하여 임상적인 이학적 소견과 비교하였고 재발이 의심스러운 51명의 환자에서는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과 수술 및 생검조직 소견을 비교하였 다. 1. 종양환자의 추적검사로 전산화 단층촬영술과 이학적검사 방법으로 평가하여 재발을 발견 할 수 없었던 경우는 전자에서 36예, 후자에서 41예였고 병소가 쇠퇴된 소견을 보인경우는 두 경우 모두 12예로 동일했고 병소가 안정된 소견을 보인 경우는 전산화 단층상 6예, 이학 검사상 10예였으며, 병소가 진행된 것으로 진단된 경우는 전산화 단층촬영 검사상 34예, 이 학적 감사상 25예였다. 2. 골반 중심부의 재발로 진단된 경우는 전산화 단층촬영상 26예, 이학적 검사상 27예였으 며, 골반벽의 재발로 평가된 경우는 전산화 단층촬영 18예, 이학적 검사소견 13예여다. 대동 맥 주위의 재발은 전산화 단층촬영상 19예에서 발견해낸 반면, 이학적 검사로는 한 예에서 도 발견할 수 없었고, 골반외 전이의 평가는 전산화 단층촬영검사상 16예에서 확인되었고, 이학적 검사상 19예에서 발견되었다. 3. 재발이 의심스러운 경우에전산화 단층촬영 소견과 수술 및 생검조직 소견을 비교하여 결 과가 일치하였던 진단의 정확도는 78.4%, 민감도는 87.5% 특이도는 63.2% 양측예측도는 80.0% 음성예측도는 75.0%였다. Eighty-eight patients with previously treated gynecologic malignant disease were evaluated periodically with C.T scanning and clinical examination of recurrent tumor at the Department of Obsterics and Gynec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from February, 1983 to march 1987. Among them operation or biopsy was performed on 51 patients who were suspicious of recurrence . And the findings of computerized tomography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surgicopathologic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uring the follow up, the evidence of recurrene was not found 36 cases by C.T scannig and in 41 cases by clinical examinations. Regression of the lesion was seen in 12 cases ecah by C.T scanning and clinical examinations, progression of the lesion was found in 34 cases by C.T scanning and in 25 cases by clinical examinations. 2. Recurrence at the site of central pelvic pelvic wall, paraaortic area nad distant organs was found in 26, 18, 19 and 16 cases by C.T scanning and in 27, 13, 0 and 19 cases by clinical examinations respectively. 3. C.T can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urrence in the suspicious recurrenct cases with an accuracy of 40/51 (78.4%) sensitivity 87.5% specificity 63.2% positive predictive value 80.0% and negateive predictive value 75.0%

      • KCI등재

        부인의 자궁경부 및 직장 도찰 피검물에서의 혐기균의 분리빈도

        정재근(JK Jung),배석년(SN Bae),박종섭(JS Park),윤순옥(SO Yoon),김은중(EJ Kim),이종훈(C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7 No.3

        부인 생식기 계통 및 직장내에서의 혐기균의 분리빈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산부인과 외래환자 87명, 임신부 68명, 정기 신검자 및 단순 검사의뢰자 60명 합해서 2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부 검사 대상자에서는 자궁경부 도찰과 직장 도찰을 동시에 하였다. 이들 도찰물을 thioglycollate배 양액에서 증균시킨후 BHIBSA평판 배지에 획선 도말하여 Gas Par Jar내에서 협기균을 분리 배양하였 다. 배양 후 분리균주에 대한 그람염색상의 형태, 생화학적 성상, 연령별 분포를 관찰 조사하고 또한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 검사물 297건중 혐기성 세균이 218주(73.4%)가 분리되었다. 자궁경부 도찰물 190건 중에서 혐 기균주는 142주가 분리되었고 (74.7%), 직장 도찰물에서는 107건중 76주가 분리되었다.(71.0%). 자궁경부 에서는 그람음성 간균이 70.4%, 그람양성 구균이 26.8%였으며, 직장에서는 그람음성 간균이 27.6%였다. 2. 연령별로는 21세에서 40세 사이가 전체의 72.9%였으며, 자궁경부에 78%, 직장에 63.2%를 점유하였 다. 3. 자궁경부에서 분리된 혐기균 주에서는 Bacteroides ovatus, B. fragilis, B. vulgatus, Peptostretococcus products 순으로 많았고, 직장도찰물에서는 Eubacterium aeroficience, b. fragilis, Peptostreptococcus productus순이었다. 4. 자궁경부 및 직장에서 분리된 혐기성균주의 대부분이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이 높았으나 Chloramphenicol과 kanamycin에 대하여는 다소 감수성을 나타냈다. To observe the distribution and frequency of anaerobes from the uterine cervix and rectum in women, a total of 297 specimens (cervix; 190, rectum; 107) were obtained from 123 swabs from healthy women (n=60), 106 swabs from out-patient women(n=87) and 68 swabs from pregnant women (n=68). 82 swabs (n=41) of 229 specimens were abtained both from the uterine cervix and rectum in the same persons. Cervical and rectal swabs were put into thioglycollate medium and immediately transferred to the labortory. After 48 hours incubation in thiogly collate medium at 37℃, anaerobes were isolated by culture on the brain heart in fusion blood supplemented agar (BHIBSA). Sugar fermentation on isolated anaerobes was performed by miniteck plate and sensitivity to antiiotics was measured by_Kirby-Bauer method.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under the anaerobic condi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otal 218 strains of anaerobes were isolated from 297 specimens. 142 strains were isolated from 190 specimens of uterine cervix (74%), 76 strains from 107 specimens of rectal swabs(71%). In uterine cervix, gram negative bacilli (70.4%) were predominantly isolated, and the next was gram positive cocci (26.8%). In rectal swabs, the rate of isolated anaerobes between gram positive (32.9%) and negative (39.5%) bacilli were similar. 2. Most strains of anaerobes isolated from uterine cervix (78.1%) and rectal swabs (63.2%) were distributed in 20∼40 year old age. 3. Of total 142 strains isolated from uterine cervix, the most frequent strains were Bacteroides obatus, B. fragilis, B. vulgatus and Peptostreptococcus productus in the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Of total 76 strains isolated from rectal swabs, the most frequent strains were Eubacterium aeroficience, B. frgilis, P. productus in the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4. Isolated anaerobic strains were mostly resistant to tested antibiotics. A few strains were susceptible in some degree to chloramphenicol and kanamycin.

      • KCI등재

        자궁의 정맥내 평골근종증 1예

        유영옥(YO Yoo),이상태(ST Lee),박종섭(JS Park),김창이(CY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2

        결론 저자는 1981년 6월 11일 본원 산부인과에서 극히 희귀한 자궁의 정맥내 평활근종증을 28세의 경산부에서 경험하고 자궁전적출술과 좌측 부속기 절제술로 치유하였기에 과거의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lt seems to be rare to experience intravenous leiomyomatosis of the Uterus. In intravenous leiomyomatosis tumors, which histologically benign smooth musle proli-feration, arise from the media and permeate the lumina of the dilated vessels of the uterus. Although masses of smooth muscle cells are seen within veins, and spread is frequently beyond the uterus, intravenous leiomyomatosis seems incapable of distant metastasis or of independent growth once the main tumor mass has been removed.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intravenous leiomyomatosis of uterus a 28 year old married women post operatively and a brief review of the case and its literature are presented.

      • KCI등재

        혈-화농성 자궁강질환의 임상적 고찰

        박종섭,이준모,최영석,이형근,박동춘,김진범,전준연,안상복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10

        Background:Hematopyometra, an accumulation of bloody, purulent material in the ute-rine cavity, is a relatively uncommon event. The incidence is almost 0.01∼0.5% in gynec-ologic patients. The most common cause of this condition is interference with the normal drainage of the uterus;endocervical obstruction by malignant disease. Other obstructive causes are the benign tumors in uterus, senile endocervicitis, long-term use of intrauterine device, cervical occlusion after surgery or radiation, intrauterinel infection, and congenital cervical anomaly. Methods:This repor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hematopyometra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at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Hospitals from 1991 to 1995. Forty cases of hematopyometra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y charts, radiologic and pathologic findings concerning with the clinical features. Results:1) The most frequent age of hematopyometra patients was 50 to 59 years(45 %) and mean age was 63 years old. 2) Four patients(10 %) were at premenopausal period, and remaining 36 patients(90 %) were at the period of menopause(p<0.01). 3)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the patients were variable;profuse vaginal discharge(75 %), vaginal ble- eding or spotting(40 %), and lower abdominal pain(30 %). 4) The associating medical cond- itions or possible risk factors of hematopyometra are senile atrophic change(52.5 %), IUD inserted condition(25 %), genital malignant diseases(17.5 %), and uterine myoma(5 %). 5) The bacterial infection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hematopyometra and the causative ag ents are streptococci(50 %), E. coli(42 %), and mixed type(17 %). 6) Eight cases of them showed generalized peritonitis in the preoperative clinical course and three patients had been serious condition by septicemia. 7) The genital malignant diseases are associated with he- matopyomerta in 7 cases(17.5 %) of them(cervical cancer;4 cases, endometrial cancer;2 cases, and ovarian cancer;1 case). 8) All the cancer patients could be followed-up at le-ast for 2 years. Two patients, who were diagnosed for cervical cancer in the stage Ⅱb and Ⅲ, died of the persistent or recurrent disease in the period of following-up after the pri-mary treatment.

      • KCI등재
      • KCI등재

        모체 말초혈액내에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Y-특이 DNA 염기서열의 검색

        남궁성은,박종섭,김수평,이종건,나종구,신종철,이종승,백은정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1

        저자들은 Y 염색체의 단완에 존재하는 DYS14 유전자좌로부터 얻은 single-copy Y-특이 DNA 염색기서열에 대해 이중 종합효소연쇄반응(dual PCR)을 시행하여 모체에는 존재하지 않는 Y-특이 DNA 염색기서열이 모체의 말초혈액내에서 발견되는 시기와 발견정도를 알아보고, 또한 이를 반성유전질환의 산전 선별검사로써 이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차 증폭에서는 정상남자의 말초혈액에서 얻은 DNA의 10^4배 희석까지 Y-특이 양성 띠가 발견되었으며, 2차 증폭에서는 10^8배 희석까지 발견되었다. 반면에 정상여자에서는 1차 및 2차 증폭 모두 Y-특이 양성띠가 발견되지 않았다. 2. 남아인 경우, 24 cycle의 2차 증폭에서는 임신 6주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3. 이차 증폭의 회수(18,21 및 24 cycle)에 따른 예민도가 임신 제 1기에서는 각각 18.2%, 45.5% 및 72.7%이었고, 임신 제 2기에서는 각각 12.5%, 37.5% 및 75%이었으며, 임신 제 3기에서는 각각 16.7%, 33.3% 및 83.3%이었다. 4. 24 cycle의 2차 증폭에서의 음성예측도는 임신 제 1기에서 83.3%, 임신 제 2기에서 71.4%, 임신 제 3기에서 80.0%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종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모체혈액내의 Y-특이 DNA 염기서열의 발견은 임신초기부터 가능할 뿐아니라 비교적 높은 예민도 및 특이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임상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극소수의 태아세포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과 좀 더 특이한 Y-특이 DNA 염기서열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detection of a Y-specific DNA sequence from the peripheral blood of a pregnant woman who bears a male fetus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ortance as it would open up the possibility of prenatal diagnosis of genetic diseases, especially X-linked recessive inheritance, using small amount of maternal peripheral blood. Numerous attempts have been to identify XY cells in the blood of mother bearing male fetus. However, the results have been controversal.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use of a dual polymerse chain reaction for the detection of a Y-specific DNA sequence(DYS14) from unsorted peripheral blood of 43 pregnant women who had a gestatinal age of 5 to 40 weeks. The Y-specific band was detected as early as 6 weeks in gestation. The sensitivities for 25 male fetuses were 16%, 40% and 76% in the 18, 21 and 24 cycles of the second PCR, respectively. In the 24 cycles of the second PCR, the sensitivities for male fetuses were 72.7%(8/11), 75%*6/8) and 83.3%(5/6)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imester,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specificities were 83.3%(5/6), 71.4%(5/7) and 80.0%(4/5). Overall 19 of 25 male fetus were positive(76%) and 14 of 18 female fetus were negative(specificity 77.8%). Thus,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82.6%(19/23) and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70%(14/20). This study was suggested the usefulness of dectection of T-specific DNA sequence from the maternal peripheral blood by using polymerse chain reaction. However, further inverstigatio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eliability for clinical application because of its false-negative and especially false-positive results.

      • KCI등재

        인유두종 바이러스검출을 이용한 자궁경부 상피내종양의 분자생물학적 진단방법

        남궁성은,박종섭,김용욱,허수영,박동춘,정인광,나윤택,김차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11

        This study analysed 83 cervical neoplastic patients with HPV-16 DNA detected by PCR by in the patients of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comparing the histopathology from Papanicolaou smear and colposcopic guided biopsy, quantitative evaluation of HPV DNA by Hybrid Capture test and the preservation of HPV-16 E2 DNA with PCR. Our analysis revealed: 1. Atypical transformation zone seen by colposcopy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one where zone covered less than 25%, one between 25~50% and one greater than 50%. When compared with histopathologic findings, CIN and CIN III were present in 31%(10/32), 31 %(8/26), and 75%(18/24) respectively. 2. Comparing of cervical histopathologic results with HPV DNA amounts, viral titer greater than 5.0 was found in non-specific cervicits(13.3%; 4/30), HPV+CIN I(31.3%; 5/16) and CIN II + III(69.4%; 25/36). 3. Comparing of cervical histopathologic results with the preservation of intact HPV-16 E2 DNA using PCR, E2 DNA was present in non-specific cervicitis(7%; 2/30), HPV+CIN I(0%;0/16), and CIN III + III(47%; 17/36). 4. The presence of HPV-16 E2 DNA was compared with HPV DNA titer. When HPV-16 E2 DNA was present, titer was greater than 5.0 in 89%(17/19), while HPV-16 E2 DNA was absent, titer was greater than 5.0 in only 27%(17/63). Our analysis revealed that high HPV DNA titer and complete HPV-16 E2 DNA correlated well with advanced grade of CINs. I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 that HPV DNA titer and HPV-16 E2 DNA presence can clinically assist in predicting the prognosis of CINs.

      • KCI등재

        HPV DNA Test 의 임상적 효용성

        남궁성은,박종섭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3

        자궁경부암의 진단 방법으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정기적인 세포진 검사이며, 비정형 세포 진단시에는 질확대경과 그에 따른 생검 진단으로 확인한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과연, $quot;자궁경부암 검진방법으로 HPV DNA test를 사용해야 하는가$quot;하는 의문은 부인과 의사들이 각자의 판단에 의하여 알아서 결정해야 하는 숙제로 아직 남겨져 있다. 그러나, 현대 의학의 발전은 자궁경부암의 발생이 특정한 종류의 HPV 감염에 의한 결과이며, 분자생물학적으로 HPV의 종류로 구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세포진 검사와 질확대경의 한계점을 보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임상적 사용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시점에 있다는 것은 공통적으로 긍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 HPV DNA test를 이용하여 임상적인 예후 판단을 할 수 있었다는 많은 연구 결과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더욱 우수한 성적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의 발전이 향후 기대된다. 분자유전학의 발전이 생물학적 이해를 돕고, 환자의 진단과 치료의 방법을 개선하리라는 것은 상당히 희망적이며, 이러한 과정중에서 한국 여성에게 가장 중요한 질환으로 알려진 자궁경부암의 퇴치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HPV DNA test에 대한 사용은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인 연쇄 효과로서 국민과 의료인에게 자궁경부암의 발생 기전을 올바르게 인식시켜서 국민들의 자궁경부암의 정기적인 진단수검율을 향상시키고, 세포학 진단 기술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질확대경의 도입을 확산시킴으로써 자궁경부암의 전구병소 단계에서 발견하여 침윤암의 발생 빈도로 하루 빨리 낮추도록 애쓰는 것이 의료인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생각된다. 나날이 발전하는 의학 지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HPV DNA test의 사용에 대한 배경과 적응증에 대한 원칙을 산부인과 의사들이 나름대로 인식한다면 검사의 남용과 그로 인한 환자의 불필요한 걱정과 의료진에 의한 과잉 치료 등의 문제점은 자연히 해결될 것이다.

      • KCI등재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ELISA를 이용한 HPV-16 VLP에 대한 혈청반응

        김승조,남궁성은,박종섭,김현수,김찬주,박순희,안희경,황은성,정근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1

        1993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 종양학부에서 진단 및 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에서 치료전 채취한 혈청과 자궁경부 세포를 이용한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자궁경부암 전구병변 환자 20명은 HPV-16에 양성이었고, 나머지 4명은 다른 아형의 DNA HPV가 있거나, 발견되지 않았다. 96명의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69명은 HPV-16 DNA, 9명은 HPV-18 DNA에 양성이었고, 그외 3명은 HPV-16과 HPV-18이 동시에 발견되었다. 또한 7명에서는 다른 아형의 HPV DNA가 있었고, 나머지 8명은 HPV DNA를 발견할 수 없었다. 2. HPV-16 L1, L2 VLP에 대한 ELISA 결과는 정상 대조군의 9%에서 양성이었고, 자궁경부 전구병변의 환자에서는 50%(12/24), 자궁경부암 환자의 62.5%에서 각각 양성으로 나타나 자궁경부의 종양성 변화가 있는 환자에서 유의한 진단적 가치가 있었다. 3. HPV-16 DNA에 양성인 자궁경부암 환자의 68%(47/69)에서 HPV-16 VLP ELISA에 양성이었고, HPV-18 DNA에 양성인 환자의 44%(4/9)에서 HPV-16 VLP ELISA에 양성이었으나 HPV-16/18이외의 다른 HPV 아형에 양성인 환자에서는 14%(1/7)에서 ELISA 양성으로 나타나서 HPV-16또는 HPV-18 DNA 양성인 환자들과 다른 종류 HPV DNA에 양성인 환자들 사이에서 항체 반응 여부는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다. 4. 자궁경부암 환자의 임상기와 조직학적 특성에 따른 HPV-16 VLP에 대한 항체 형성을 관찰해 본 결과 각 임상기와 조직형에 따른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자궁경부암과 전구 병변 환자들의 대다수에서 ELISA 방법으로 HPV-16 VLP에 대한 항체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HPV-16 VLP ELISA 검사는 HPV-16 DNA 검사의 보조진단법으로 유용하며, HPV와 연관된 자궁경부 종양성 질환의 혈청학적 역학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late structural proteins of HPV-16 have recently been shown to self-assemble into virus-lide particles(VLPs) from baculovirus system when expressed in insect cells. The ability to generate preparative amounts of HPV-16 L1-L2 VLP may ha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serologic assay to detect anti-HPV-16 virion immune responses to conformational epitopes and for immunoprophylasis against HPV-16 infection. Methods: We attempted to investigate serologic responses in the sera obtained from Korean women with cervical neoplasia by ELISA using HPV-16 VLPs. PCR method using L1 consensus primers and type-specific oligomer probes was used to determine the presence and type of HPV infection in the study population(normal control; 23 cases, preinvasive lesions; 24 cases, and invasive cervical cancers; 96 cases). Result: 1) The sera of 93%(21/23) of women, who didn`t have HPV-ralated cervical lesions, were negative for HPV-16 VLPs in ELISA assay. The sera of 50%(12/24) of patients with preinvasive cervical lesion and 63%(60/96) of patients with invasive cervical cancer were ELISA positive for HPV-16 VLPs(p$lt;0.01). 2) The positive reactivities for ELISA of HPV-16 VLPs in cervical cancer patients according to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nor signific antly different. 3) Among women with cervical neoplasia, HPV 16 VLP was positive in 50%(10/20) of HPV-16 positive cases with preinvasive cervical lesion and 72%(50/72) of HPV-16 positive cases with invasive cervical cancer.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iderable number of patients with cervical neoplasia generated an IgG antibody response to the HPV 16 VLPs that can be detected by ELISA. These HPV-16 VLP ELISA may be useful in adjunctive diagnostic asay to HPV-16 DNA test and seroepidemiologic study of HPV-related cervical neopl-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