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시간 다중 기준국 GNSS/GPS 반송파 미지정수 결정 기술 연구

        박재익,이은성,허문범,Park, Jae-Ik,Lee, Eun-Seong,Heo, Mun-Beom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1990년대 제안된 RTK(Real-Time Kinematics)는 GNSS/GPS 반송파 위상(carrier phase) 관측값을 이용한 방식으로 cm 수준의 정확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어 측지 측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 가지 중요한 단점은 이 방식을 사용하는 기준국과 사용자는 10~20km 이내에 존재해야만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해를 산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궤도오차, 대류층 및 전리층 오차에 공간 상관성(spatially correlated) 있기 때문인데, 사용자 주변을 둘러싼 다중 기준국들의 측정치를 조합하여 보상하거나 모델링하여 줄이는 방식인 다중 기준국 네트워크 기반의 RTK 알고리즘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중 기준국 네트워크 기반의 RTK 프로세스에서 기준국간 미지정수 결정은 전 과정의 핵심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으며, 관련되어 많은 기술들이 제안되고 연구되어 왔다. 특히, 198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후처리 기반으로 꾸준하게 연구되고 있는 Blewitt에 의해 전리층 제거 조합과 Wide-lane 반송파 위상 조합을 활용한 미지정수 검색 방법이 대표적이며 이후에도 Gao, Colombo등 다양한 연구자에 의해 활용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실시간으로 다중 기준국 반송파 미지정수를 결정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L1, L2 관측값 조합으로 인한 관측값의 잡음 수준이 증가하는 영향을 피하기 위해 L1, L2 반송파 위상 및 의사거리를 그대로 관측값으로 사용하여 사용자 위치 및 속도, 기준국간 이중 차분된 전리층 지연 수직성분, 대류층 wet 지연 수직 성분, 이중 차분된 미지정수를 미지의 상태변수로 확장 칼만필터를 통해 직접적으로 추정하는 방식으로 미지정수의 실수해를 결정하였고, 정수해는 실시간에 적합한 MLAMBDA 기법과 비율테스트를 통한 정수해 검정기법을 통해 결정하였다.

      • 위성기반 보강항법시스템(SBAS) 최신 기술 동향

        박재익(Park, Jae-Ik),이은성(Lee, Eunsung),허문범(Heo, Moon-Beom),남기욱(Nam, Giwook)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6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4 No.1

        SBAS는 GNSS가 제공하는 신호 오차에 대한 보정 정보와 무결성 정보를 정지궤도 위성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항공기가 사용할 수 있도록 ICAO에서 국제표준으로 정한 시스템이다. 미국, 유럽, 일본, 인도 등 우주개발 선진국들은 이미 SBAS를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고, 러시아와 중국 등은 구축을 진행 중에 있다. 한국 정부도 2022년 APV-1 SoL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SBAS 개발에 착수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주개발 선진국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구축한 SBAS 최신 기술 동향 파악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이를 적극 반영한다면 한국형 SBAS 개발에 보다 만전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외 SBAS 최신 기술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SBAS provides corrective and integrity information for errors found in the signals provided by GNSS by means of GEO satellites and it has been designated as international standards for aviation purpose by ICAO. USA, Japan, India, and EU, which have already deployed SBAS in service; Russia and China ar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one. South Korea’s government has also started to develop its own SBAS with the goal of providing APV-I SoL service as early as from year 2022. By surveying the latest trending technologies around SBAS, which pioneers of aviation technology have embraced, we hope to identify a general theme that they are heading towards. This paper is a survey of latest SBAS-related technology trend in South Korea and in the world.

      • KCI등재
      • KCI등재

        1900년대 이인직의 사회적 상상

        박재익(Park Jae i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2

        이 글은 이인직의 사회적 상상을 위해 전근대의 잔재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유교규범, 미신과 같은 전근대적 규범들, 무당, 점쟁이, 귀신과 같이 주술적인 힘을 가진 것들은 신소설에서 배제의 대상이 아니라 재해석과 전유의 대상이었다. 이들은 소설 속 인물에 의해, 그리고 서술자에 의해 재해석되어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는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들은 알레고리적 잔재로서, '사용법을 잃어버린 도구들'로서 신소설 속 세계에 흩어져 있다. 이인직이 '사회'를 재현하는 방식에 있어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무엇보다도 이 알레고리적 이미지들이 소설속 인물들과 서술자에 의해 반복적으로 재해석되고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그가 신소설을 통해 재현하는 '사회'가 지닌 유동성은 알레고리적 장치(dispositif)들에 기입되는 힘관계의 역동성을 그대로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들은 일상생활에서 인물들의 삶의 방식과 도덕질서에 대한 상상에 끊임없이 개입하고, 이들의 미래에 대한 전망, 공동체에 대한 상상을 가능케 하는 힘으로 제시된다. This article aims to flesh out the image of 'Sahoe(society)' in Lee-injik's narratives. A narrative, as a sequence of events in everyday-life, presents significant images of 'sahoe'. The images presented in Lee-injik's narratives are different from that presented in Lee-injik's leading article such as "Sociology", "Society", "The prospectus of Korean newspaper". The 'sahoe' in those narratives is usually 'imagined', so this article also aims to examine how Lee-injik imagines the image of 'sahoe'. Imagined 'sahoe' could get its substance from Confucianism, superstition of long standing, the ghost, and the fortune-teller, the shaman, the things regarded as pre-modern and illogical. This ironic nexus was possible because those 'pre-modern things' were interpreted as signs that's empty, meaningless word, as allegorical image. They were re-interpreted constantly, so they could make a new meaning infinitely. Lee-injik imagines 'sahoe' from these allegorical images. His narratives are filled with social etiquettes, rules, social order of ranks. In a word, His narratives are operated by 'engagement' between people who imagines society he belongs to. The engagements were embodied with the pre-modern ways of life. 'Sahoe' in this context are inevitably uncertain concept. Lee-injik's narratives presents this uncertainty with senses of unrest, terror. Furthermore, the 'modern' way of life, such as capitalism, social Darwinism, all the modern knowledges imported by the student who studied abroad became allegorical images, too. Lee-Injik relativized these newcoming values. For these reason, reading his narratives as a story of 'modernizing', or 'an expression of the desire of modernize' is a matter for debate. His narrative shows the world filled with meaningless, allegorical images. These images also made his concept of 'Sahoe' expand.

      • KCI등재

        옥천군 사업추진과 주민참여제도 고찰

        박재익(Park Jae Ik),조계표(Cho Kye Pyo) 한국토지공법학회 2016 土地公法硏究 Vol.75 No.-

        본 논문은 민선시대 이후에 확대되고 있는 주민참여제도에 대하여 옥천군을 대상으로 그 도입과정과 운영상황을 분석한 후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민선시대에는 관선시대보다 주민참여가 더욱 활성화되었고 그 구체적인 운영방법이나 내용도 좋아졌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관선시대와 민선시대를 비교할 때 당연히 민선시대에 주민참여가 확대되었고, 방법도 다양하게 전개하고 있다지만 과연, 그 내용까지도 충실하게 운영되었는지는 의문이다. 왜냐하면 주민참여는 어디까지나 행정을 직접 책임지고 수행하는 공무원들이 주가 되고, 주민은 거기에 동참하는 형태를 취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하여 정부에서 제도화하여 전국에 일률적으로 적용 시행하는 제도 이외에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실정에 맞는 제도를 스스로 도입하여 운영하는 제도에 대하여 그 도입과정과 종류, 성격, 운영상황 등을 탐구하여 문제점이 있는지와 개선방안을 현실적 관점에서 고찰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problems of citizen participation system, which is being expanded after the age of popular election, focused on Okcheon-gun and to draw the improvement direction after analysing its introduction process and operational status. It has been evaluated that the participation of citizen in popular election era is higher than the participation in the era that the central government had chosen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and the way of its operation and details have been much improved. Behind the expansion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various participation methods, it may be asked whether details of citizen participation have been faithfully operated indeed. Because the citizen participation is carried on by officials who are in charged of its administrative work and the citizens conform to the way of which the officials have set. Therefore, besides the institutionalized system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implements over the nation,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roduction process, type, nature and operational status of the systems in which the local government voluntarily adopts and operates with fitting the local circumstances and to consider whether there are problems in the syst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m.

      • 심 우주 탐사를 위한 큐브샛 안테나 기술 동향

        박재익(Park, Jae-ik),이동헌(Lee, Donghun),김대관(Kim, Dae-Kwan),이상률(Lee, Sang-Ryoo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0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8 No.2

        큐브샛은 주로 저궤도 임무에 국한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우주로 접근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술 시연 및 제한된 기능의 우주 과학 활동에 사용된다. 큐브샛을 이용하여 태양계를 탐사하기 위해 심 우주로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은 하위 시스템의 크기제한, 가용한 전력, 통신 및 과학 탑재체를 위해 충분히 큰 무선통신 개구면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안테나 기술의 발전으로 고성능 통신이 가능해져 지구 궤도에서의 과학임무 및 큐브샛을 이용한 심 우주 탐사 임무가 가능해 졌다. 본고에서는 심 우주 탐사를 가능하게 해주는 최신 큐브샛 안테나 기술 동향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CubeSats have been constrained to low Earth orbit (LEO) applications. It provide low-cost access to space and have historically been used for flight technology demonstrations and limited-function space science activities. One of the factors preventing CubeSats from venturing into deep space to explore our solar system is the size constraint of each subsystem, available power, and nonavailability of sufficiently large radio frequency (RF) aperture for communication and science payloads. Novel antenna technologies have enabled high performance telecommunications, science in Earth orbit, and the first CubeSat mission to deep spac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development trend of state-of-art CubeSat antenna technology that enabled Earth science and deep space exploration mi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