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아버지 유형이 대학생의 진로탐색자기효능감과 아버지와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박은선 ( Eun Sun Park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8 동서정신과학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fathering styles on the university students` attachment and career search self-efficacy. 252 university students did fathering style questionnaire, career search self-efficacy inventory,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object relation inventory. The compassion Mentor fathers had the most positive effects on attachment and career search self-efficacy of their children. The fatherless and the time-bomb fathers` children had the weakest attachment and career self-efficacy. the superachieving fathers` children had strong career search self-efficacy, but their attachment with fathers were relatively unstable. These results shows the fathering style influence differently to attachment and career search self-efficacy, an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fathering style in counselling. The significancies and limit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과학기술 실패 보도 프레임 연구

        박은선(Eun Sun Park),이광형(Kwang Hyung Lee),김찬석(Chan Souk Kim) 한국언론학회 2012 한국언론학보 Vol.5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 frame on the failure in science and technology to find how the news media affect the general public in perceiving the failure in science and technolog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ews frame of scientific failure in Korea and America has been conducted. The news of failure in the First Launch Vehicle in two countries, ‘Vanguard’ and ‘Naro’ as case studies were chosen. 4 newspapers, ‘New York Times’, ‘Washington Post’, ‘Chosun Ilbo’, ‘Dong-A Ilbo’ were selected and 4 frames, such as responsibility, encouragement, learning, and business frame were established.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ame of responsibility’ and ‘the frame of learning’ of media between America and Korea. Especially, in the case of America, media is more positive and affirmative at using the ‘encouragement’ and ‘learning’ frame than in Korea. Because almost all the ordinary people are getting scientific information from the press, it is, therefore, very important how the media reports the failure in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정체감, 진로장벽,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 분석

        박은선()Park Eun Sun),박혜훈(Park Hye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정체감, 진로장벽,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3년제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259명을 대상으로, 진로정체감과 진로장벽 및 회복탄력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Win program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장벽,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 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정체 감은 진로장벽과 부적 상관이, 회복탄력성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정체감에 대한 진로장벽, 회복탄력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장벽이 진로정체감을 예측하는 가장 유의미한 부적 예측요인으로 밝혀졌으며, 회복탄력성이 추가될 경우 설명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분석한 결과, 진로장벽의 하위요인인 직업정보부족이 예비유 아교사의 진로정체감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부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낙관적 태도가 진로정체감을 설명하는 정적 예측 변인으로, 추가적으로 진로장벽의 하위요인인 흥미부족이 진로정체감을 설명하는 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교육에 있어 진로장벽을 낮추고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career barriers and resil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s of three-year colleges in Seoul and Kyeonggi-do.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of career identity , career barriers , resilience of pre-service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Win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career barriers, and resil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at the career ident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barriers and static correlation with resili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and resilience on the career ident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barriers of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the most significant negative predictors of career identity prediction, and when resilience is added explanatory power is increased. As a result of analysis by sub-factors, lack of job inform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barriers, was the most negative predictive variable explaining the career identity of pre-service teachers. Next, optimistic attitude toward career identity. In addition, the lack of interest,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barriers, was found to be a negative predictive variable explaining career ident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seek ways to lower career barriers and increase resilience in career education.

      • 정체수역 하천수 정화를 위한 인공부도의 여재 종류별 수질정화능 비교

        박은선(Eun-Sun Park),윤영한(Young H. Yoon),김원재(Weon-Jae Kim),임현만(Hyun-Man Lim),정진홍(Jin-Hong Jung),박재로(Jae-Ro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정체수역의 형성과 녹조발생 등으로 인하여 저하된 하천수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미세기포, 광산화소재 및 식생여재 등 다양한 요소기술들을 융복합하여 현장적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융복합부도의 하향류 여과에 의한 수질정화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경기도 D하천수를 대상으로 여재의 종류(제올라이트, 화산재, 인공토양(RM))에 따른 오염물질별 처리효율을 분석하였다. 수질정화능 분석을 위한 평가항목으로는 SS, COD, T-N, T-P 및 Chl-a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인공토양(RM)가 다른 여재보다 모든 수질항목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일부 성인의 식용곤충에 대한 인식, 구매 및 섭취 실태

        박은선(Eun-Sun Park),최미경(Mi-Kyeong Choi)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2

        세계적으로 식용곤충은 중요한 잠재적 미래식량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식용곤충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을 개발하고 보급하기 위해서는 식용곤충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 453명 (남자 172명, 여자 281명)을 대상으로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식용곤충에 대한 인식, 구매 및 섭취 실태를 설문조사한 후 성별 및 연령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식용곤충을 인지하고 있는 대상자는 87.0% 이었으며, 알고 있는 식용곤충의 종류는 벼메뚜기 (92.4%), 누에번데기 (70.3%) 순이었고 식용곤충에 대한 정보는 방송·신문·잡지·인터넷 기사 및 광고에서 얻는다는 응답 (36.8%)이 가장 높았다. 식용곤충(제품)의 구매 또는 섭취 경험은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45.9% vs. 31.0%, p < 0.01), 연령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01). 이용해본 식용곤충 종류는 누에번데기 (76.5%), 벼메뚜기 (63.9%) 순이었으며, 구매한 곳은 음식점 (42.2%), 제품의 형태는 조리식품 (42.2%)이 가장 높았고, 이용한 주된 이유는 호기심에서 (30.1%), 식품 섭취 목적으로 (23.5%), 맛이 있어서 (22.9%) 순이었다. 식용곤충의 만족도는 맛 (3.4점), 가격 (3.3점), 품질 (3.3점), 안전성(3.1점), 모양 및 외형 (2.7점) 순이었으며, 특히 모양 및 외형의 경우 60대 이상이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식용곤충(제품)에 대한 향후 이용 의사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며 (65.7% vs. 42.3%, p < 0.001), 연령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식용곤충 이용 의사에 대한 이유는 영양적 측면 (3.6점), 건강관리 측면 (3.4점), 환경적 기여 (3.3점), 호기심 (3.2점), 맛(2.8점) 순이었으며, 식용곤충 이용 의사가 없는 이유는 거부감 (4.1점), 신체적 안전 우려 (3.5점), 제품의 낮은 신뢰 (3.5점), 비싼 가격 (3.2점) 순이었다. 식용곤충에 대한 거부감은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4.3 vs. 3.9, p < 0.001),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다 (p < 0.001). 식용곤충 이용 시 필요한 정보는 원산지 (63.8%)가 가장 높았으며, 선호하는 제품의 형태는 분말형태 (39.5%), 음식에 첨가 (24.1%), 환 형태 (20.1%) 순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소비자들의 식용곤충(제품)에 대한 높은 인지도에 비해 실제 이용 경험이나 향후 이용 의사는 낮았으며, 특히 여자와 낮은 연령층에서 낮았다. 또한 식용곤충의 모양 및 외형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아 식용곤충을 이용하지 않는 주된 이유인 거부감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앞으로 여성과 젊은 층의 식용곤충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시키고 다양한 소비자 요구를 반영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recognition, purchase, and intake status of edible insects in adults, who are the main consumers of edible insects, and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expand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dible insects and related products in the future. Methods: A total of 453 adults (172 males and 281 females) aged 19 years and older were surveyed regarding their awareness of edible insects, purchase and consumption experience, and intention to purchase and consum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s.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December 2018 to January 2019. Results: Those who had knowledge of edible insects accounted for 87.0%, whereas those who had more than average knowledge were 75.9%, suggesting recognition was relatively high. Men had more experience than women in purchasing or consuming edible insects and related products (45.9% vs. 31.0%, p < 0.01). In terms of age, experience was 22.5% in 20–30s, 44.6% in 40–50s, and 63.1% in 60s and older, showing significant growth as age increased (p < 0.001). The satisfaction level of edible insects was highest in taste (3.4 points), and especially for shape and appearance, it decreased as age reduced (p < 0.001). The most common reason for not being willing to use edible insects was feeling repulsive (4.1 points), which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women than in men (4.3 vs. 3.9, p < 0.001), and lower with age (p < 0.001). The most needed information display for using edible insects was country of origin (63.8%), the main nutrient in edible insects was protein (93.6%), and the most preferred form of products was powder (39.5%).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recognition of edible insects was high, whereas experience of using edible insects and intention to use edible insects were low especially in women and younger group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consumers are dissatisfied with edible insects due to their appeara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xpanding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dible insects and related products in the future.

      • KCI등재

        바깥놀이 중심의 미술활동이 만3세 유아의 놀이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박은선(Park Eun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바깥놀이중심의 미술활동이 만3세 유아의 놀이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시에 소재한 S유치원과 K유치원 만 3세 유아 38명(비교집단19명, 실험집단 19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13 주 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때 실험집단은 바깥놀이 중심의 미술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기초한 실내중심 미술활동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을 적용 전과 후에 놀이성과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바깥놀이 중심의 미술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놀이성과 정서지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현장에서 만3세 유아의 놀이성과 정서지능 증진을 위해 신체의 움직임과 오감을 활용하고 놀이중심, 과정중심으로 진행되는 바깥놀이 중심 미술활동을 적극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activities centered on outdoor play for 3 years old on playful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38 3 years old children who attend S and K kindergarten in Seoul. The experiment group engaged in an art activities centered on outdoor play over 13 weeks, the comparative group engaged in an indoor-based art activities based on Nuri curriculum. The pre-test for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evaluated before applying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art activities centered on outdoor play showed meaningful changes in total score of playful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현대미술감상, 표현활동을 통한 유아창의성교육 수업의 교육적 의미탐색

        박은선(Park, Eun-Su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5

        본 연구는 현대미술감상, 표현활동을 통한 유아창의성교육 수업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기간은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였으며, 연구참여자는 Y시에 소재한 K대학교의 ‘유아창의성교육’ 강의를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32명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은 10주 동안 주 1회 현대미술 감상, 표현활동을 통한 창의성교육 수업에 참여하였으며, 창의성교육에 대한 개방형 설문지, 현대미술 감상활동에 대한 반성적 저널, 학기말 성찰기록지를 작성했다. 또한 연구자는 수업 중 활동을 관찰하고 기록하였으며, 2회의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현대미술 감상, 표현활동을 통한 유아창의성교육 수업을 통해 ‘상상의 즐거움’, ‘내적동기와 몰입’, ‘소통과 협력’, ‘내 안의 창의성 발견’, ‘창의성에 대한 인식변화’, ‘창의성 교육에 대한 자신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교육에 있어 현대미술 감상 표현활동의 활용이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밝혔으며, 나아가 창의성 교사교육에 있어 학습자의 직접 참여, 예술 활동의 활용, 상상, 몰입, 협력의 경험, 반성적 사고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arly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classes through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March to June, 2018 and the participants were 32 students who listened to Creativ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t K university in Y city.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early childhood creative education classes, including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once a week for 10 weeks. Participants of the study filled an open questionnaire about creativity education, made a reflective journal about the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y, and wrote a reflection paper at the end of term. The researcher observed and documented the activities of the curriculum and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a) joyful imagination, b) intrinsic motivation and immersion, c)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d) discovering their own creativity, e) a change of perception about creativity, and f) greater confidence in creativity educ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of educational value to utilize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activities for creativity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he learner’s direct involvement in the education of creativity for pre-service teachers, the utilization of art activities, imagination, immersion, cooperation experience and opportunities for reflective thinking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Design-led Intervention for Reducing Overrealiance on Food Delivery Services(FDS): Design-led Intervention for sustainable behaviour

        박은선(Eun Sun Park),김두영(Dooyoung Kim),홍지연(Jeeyeon Hong),Shannen Patricia Widjaja,신현재(Hyunjae Shi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3

        COVID-19 대유행은 음식 배달 서비스(FDS) 이용 증가를 초래하였으며, 건강에 해로운 식습관 형성 및 지나친 포장용기 사용으로 인한 환경 문제 등 지속가능하지 않은 행동 습관을 촉진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해 대체 행동 및 지속가능성 지향 동기를 촉진하기 위한 행동 변화 개입을 디자인하였다. 예비 조사를 통해 음식 배달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수집하고, 개입 대상 그룹을 식별하기 위해 페르소나를 생성하였다. 4명의 참가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맞춤형전략을 개발하였다. 행동 변화 개입 디자인은 대체 행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추적하기 위해 빙고 게임을 차용하였으며, 강화와 보상을 제공하기 위해 보너스 반응 비용 체계를 도입하였다. 개입의 효과는 질적 및 양적 데이터를 통해 평가되었다. 개입은 FDS 사용 빈도의 감소와 참가자들의 지속가능성 인식의 향상을 보여주었다. The COVID-19 pandemic boosted food delivery service (FDS) usage, causing unsustainable habits and environmental concern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behavioural change intervention to promote sustainability-oriented motivations. The intervention involved the use of a bingo board to set and track goals for alternative behaviours. The intervention showed a reduction in FDS use frequency and an improvement in participants' sustainability awareness. The bingo board provid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acting as reinforcement, while the bonus response cost served as both a reinforcement and a punishment.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need for developing design-led interventions for promoting sustainable behaviou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