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놀이상황에서 발달지체유아의 발화능력과 어휘다양도 연구

        박순길,한재금,류성용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aking ability and lexical divers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play situations, we investigated spontaneous speech(length in morphemes, phrasal length, length in words) ability and lexical diversity of 30 preschoolers residing in I city, Jeollabuk-do Province. In each group, there were 10 subjects who have intellectual disability, autism and brain lesions, respectively. Their spontaneous utterances were evaluated in natural situations during animal play, market play, hospital play and house play. As a result,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alyzing mean length of utterance and it appeared that the utterance length of morphemes, phrases, word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as longer than that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and children with autism. Secondly, regarding lexical diversity, overall lexical diversity, number of different words and total number of word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vers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and children with autis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ech program that improves the grammatic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utism disorde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and it will be an important direction in developmental retardation intervention. 본 연구는 놀이상황에서 발달지체유아의 발화능력과 어휘다양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라북도 I시에 거주하는 미취학 아동 중 생활연령과 언어연령, 지적능력이 동일한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뇌병변장애 유아 각각 10명씩 전체 30명을 대상으로 자발화(형태소길이, 구문길이, 낱말길이) 능력과 어휘다양도를 알아보았다. 유아에게 익숙하고 흥미와 연령을 고려하여 선정한 실물과 유사한 놀잇감을 선정하였으며, 동물놀이, 시장놀이, 병원놀이, 소꿉놀이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발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평균발화길이를 분석 하였을 때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지적장애 유아의 형태소길이, 구문길이, 낱말길이의 발화길이가 뇌병변장애, 자폐성장애 유아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휘다양도는 지적장애 유아가 전체어휘다양도와 다른 낱말 수, 총 낱말 수에서 뇌병변장애와 자폐성장애 유아에 비하여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며 발화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뇌병병장애와 자폐성장애 유아의 문법발달을 향상시키는 발화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고, 발달지체유아 중재에서 중요한 방향이 될 것이다.

      •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수학에 대한 인식 태도 연구

        박순길,강지우,고대용,김다희,임언미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09 學校敎育硏究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udy on awareness attitud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52 W elementary school of Gwang Ju, 105 H elementary school of Gyeong Ju making up 257 in total.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were done to draw out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different study purpo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wareness attitudes of mathematics education was non-significant compared to those in the male-female group. Second, it can be said that the awareness attitude of Gwang Ju toward the elementary students was more positive compared to the Gyeong Ju elementary students. Third, it can be said that the awareness attitude of mathematics attend a lecture group toward the elementary students was more positive compared to the non-mathematics attend a lecture group.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태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W초등학교 3학년 152명과 경주시 H초등학교 3학년 105명이며, 연구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t검정을 하였으며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태도에서 남녀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나 흥미에서 남녀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지역별로 대도시에 사는 초등학교 3학생들이 중소도시에 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보다 인지적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수학학원에 다니고 있거나 다닌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학원에 다니지 않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보다 수학에 대한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전체인식태도에서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통합교육 환경에서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인식태도

        박순길,박정순,전헌선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 of peers toward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y in the inclusive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s and three-way ANOVA were done to draw out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different study purpo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ttitude of peer groups toward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in the inclusive class was non-significant compared to those in the non-inclusive class. Second, peers in the higher class levels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hysical disability compared to peers in the higher class levels. Therefore, pe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as the class levels got higher. Third, it can be said that the attitude of male peers toward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more positive compared to the female peers. Finally, peers in the higher class level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conclusion, therefore, peer groups in the higher class level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ereas those in inclusive classrooms and in the non-inclusive classroom had non-significant compared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인식태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을 보면 1학년 138명, 2학년 62명으로 전체 200명이었다. 연구목적별로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t검정, 삼원변량분석을 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인식태도는 전체적으로 통합반과 비통합반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초등학생들에게서 나타난 장애학생들에 대한 뚜렷한 인식의 차이가 고등학교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태도 점수가 평균보다 높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인식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둘째, 고등학교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인식태도는 2학년이 1학년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일반 초등학교 지체부자유 아동에 대한 또래아동의 인식태도는 학년이 낮을수록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들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통합교육 환경에서 학년이 높을수록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인식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인식태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전체 인식태도, 각 하위영역별 모두에서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 지체부자유 아동에 대한 또래들의 인식태도는 성별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들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지체부자유 학생들에 대한 인식태도가 성별에서 그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교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인식태도는 1학년보다 2학년이 더 긍정적인 인식태도를 보이며, 전반적으로 또래학생들은 지체부자유 학생들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인식태도는 통합반과 비통합반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학년에서는 1학년보다 2학년에서 더 긍정적인 인식태도를 가지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체부자유학교 초등부 뇌성마비 아동의 읽기를 예측하는 인지-언어적 변인 연구

        박순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 between reading(reading, spelling, comprehension of sentences, vocabulary), cognitive-linguistic predictors (phonological awareness morphonological awareness and visual perceptual). This study was also concerned with finding out what primary factors of cognitive-linguistic predictors are best at predicting reading by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erebral palsied of the higher grades showed higher level of reading, phonological awareness and morphonological awareness and visual perceptual abilities compared to cerebral palsied of the lower grades. Second,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unting numbers of syllables, onset-phoneme distinction, rime-phoneme distinction, visual-sequential memory, visual form constancy and reading for the cerebral palsied of the lower grades.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unting numbers of syllables, morphonological awareness, visual-spatial relationship, visual discrimination and reading for the cerebral palsied of the higher grades. Third, it can be concluded that visual-sequential memory, visual form constancy, counting numbers of syllables can greatly predict reading for the cerebral palsied of the lower grades, whereas visual-spatial relationship, visual discrimination, counting numbers of syllables was more significant in predicting reading for the cerebral palsied of the higher grades. 본 연구는 지체부자유학교 초등부 뇌성마비 아동의 읽기(읽기, 쓰기, 이해력, 어휘력)를 예언하는 음운인식(음절탈락, 음절수세기, 초성음소변별, 종성음소변별), 형태소인식, 시지각 변인(시각변별, 시각기억, 시공간관계, 시각형태항상성, 시각계열기억, 시각전경배경, 시각완성)과의 관계를 집단별(저/고학년)로 알아보았으며, 저학년 17명, 고학년 16명으로 전체 33명이 연구대상이다. 통계적 분석으로는 t-test,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부 뇌성마비 아동의 읽기 관련 변인, 음운인식, 시지각 능력 특성들에서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초등부 저학년 뇌성마비 아동에서는 음절수세기, 초성음소변별, 종성음소변별, 시각계열기억, 시각형태항상성이 읽기 관련 변인들과 상관이 높았고, 고학년 뇌성마비 아동에게서는 음절수세기, 형태소인식, 시공간관계, 시각변별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읽기에서 저학년은 시각계열기억, 고학년은 시공간관계가 영향을 주는 변인이고, 쓰기에서 저학년은 시각형태항상성, 고학년은 음절수세기이며, 이해력은 저학년은 시각계열기억, 고학년은 시공간관계와 시각변별이었다. 또한 어휘력에서는 저학년은 시각형태항상성과 음절수세기이었으며, 고학년은 음절수세기가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다. 따라서 초등부 저학년에서는 시각계열기억, 시각형태항상성, 음절수세기가 읽기 관련 변인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이며, 고학년에서는 시공간관계, 시각변별, 음절수세기가 예언 변인들이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읽기 습득오류 및 쓰기 형태상오류 분석

        박순길,문경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8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one-on-one interviews with target reading and writing of N University in Gwangju humanities, natural kill the entire division of 60 120 students to analyze the error of students. An article on the Internet regarding environment was used for reading materials, and the article was one page which took approximately 3 minutes and 30 seconds to read. For writing,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freely for two subjects including economy and employment. Reading error type errors were classified as acquisition, transfer errors, errors were classified as skilled, writing the type of error morphologic errors, semantic errors, punctuation errors. As a result, an acquisition error occurred the most in case of the reading error, and a morphologic error occurred the most in case of the writing error. Also, for each type of course, students in science course showed more errors for both reading and writing than students in humanities course. According to errors for each academic year, freshman students showed more errors for both reading and writing than senior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읽기 및 쓰기오류를 분석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N대학교 인문계열, 자연계열 각각 60명씩 전체 1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사용된 읽기 자료는 환경분야의 인터넷 기사를 참고하였고, 한 페이지 분량의 약 3분 30초 정도 소요된다. 쓰기 자료는 경제와 취업에 관한 두 가지 주제에 관해 자유롭게 기술하게 하였다. 읽기오류 유형은 습득오류, 전이오류, 숙달오류로 구분하였고, 쓰기오류 유형은 형태상오류, 의미상오류, 문장오류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읽기오류는 습득오류가 가장 많았고, 특히 생략에 대한 오류가 가장 많았다. 쓰기오류는 형태상 오류가 가장 많았으며, 특히 띄어쓰기 오류가 가장 많았다. 또한 계열별로는 자연계열 대학생이 인문계열 대학생보다 읽기, 쓰기 모두에서 오류가 많았다. 학년별 오류를 보면 1학년이 4학년보다 읽기, 쓰기 모두에서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이러한 오류들은 중, 고등학교를 거치면서 확립된 경향으로 보여지며, 대학교육에서 올바른 국어 사용에 대한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뇌성마비 유아의 문식성과 인지언어적 변인과의 관계

        박순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cy and cognitive - linguistic variables of infants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20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re the children who want to take car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Gwangju and Chonnam area and the language therapy room. General infants come to a daycare center in Gwangju, And language age and Raven score. The language age of the infants with cerebral palsy is 45.28 months and the language age of the infants is 46.00 months. RAVEN, PRES, basic learning function test, phonological awareness test, TVPS-R and REVT were performed as research tools. First, cerebral palsy and reading, writing, elimination of syllable, centuries of syllable, accepting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were different among the groups. Second, correlations between literacy and cognitive - linguistic variabl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all variables.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literacy and cognitive - linguistic correlations of general infants was found to be correlated except for visual perception variables. Third, the syllable elimination, phonemic discrimination, visual discrimination, and accepting vocabulary were the best explanations for the reading ability of the whole infant. Visual prosodic variables were visual discrimination, formal consistency, recept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Therefore, the variables that explain the literac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re phonological awareness, visual perception, and vocabulary. 본 연구는 뇌성마비 유아의 문식성과 인지언어적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뇌성마비 20명, 일반유아 20명이고, 뇌성마비 유아는 광주광역시, 전남지역의 장애전담어린이집과 언어치료실에 내원하는 유아들이며, 일반유아는 광주광역시 소재 어린이집을 내원하고, 뇌성마비 유아와 언어연령과 레이븐점수로 동질성을 확보한 집단이다. 뇌성마비 유아의 언어연령은 45.28개월이고 일반유아의 언어연령은 46.00개월이다. 연구도구로는 RAVEN, PRES, 기초학습기능검사, 음운인식검사, TVPS-R, REV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알아보면, 첫째, 뇌성마비와 일반 유아의 읽기, 쓰기, 음절탈락, 음절수세기, 수용어휘력, 표현어휘력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었다. 둘째, 뇌성마비 유아의 문식성과 인지 언어적 변인간 상관관계는 모든 변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유아의 문식성과 인지 언어적 변인간 상관관계는 시지각 변인을 제외하고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유아의 읽기를 잘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는 음절탈락, 음소변별, 시각변별, 수용어휘력으로 나타났고, 쓰기 예언변인으로는 시각변별, 형태항상성, 수용어휘력, 표현어휘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뇌성마비 유아의 문식성을 잘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는 음운인식, 시지각, 어휘력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기초학습부진아동의 내․외적동기에 따른 학업적 실패내성, 우울, 학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순길,조증열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5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external motive, academic failure (emotion, behavior, task preference), depression (depressive emotion, behavioral disorder, loss of interest, self-degradation and physiological symptom), and academic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basic learning, and discover the influential variables on internal/external motive, targeting 56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in third and fifth grade of 10 elementary schools in G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conducted T-test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 by year and carried out the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self-determination motive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and fifth graders in terms of the external motives. Second, the influential variables for external motives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 included depressive emotion, loss of interest and physiological symptom. Therefore, as more third graders with underachievement study under the external motives compared to the fifth graders, it is concluded necessary to adopt a program to reduce the variables for depression that influence the external motives. 본 연구는 초등학생 기초학습부진아동의 내․외적동기, 학업적 실패내성(감정, 행동, 과제선호도), 우울(우울정서, 행동장애, 흥미상실, 자기비하, 생리적 증상), 학업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내․외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밝히는 목적이 있다. G광역시 10개 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아동 3학년과 학년 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학습부진아동의 학년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하였고, 내․외적동기 예언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하였다. 첫째, 초등학생 기초학습부진아동의 외적동기에서 3학년과 5학년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즉 기초학습부진아동은 부모의 강요나 처벌을 피하기 위해서 행동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학습부진 아동의 외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우울정서, 흥미상실, 생리적 증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초등학생 기초학습부진 3학년 학생들은 5학년 학생들보다 외적동기에 의해 공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우울 변인들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후보
      • 보육교사들의 이직 결정 요인 분석

        박순길,이윤아,정경희 인지발달중재학회 201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이직 결정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으며, 연구대상은 보육시설 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56명이며, 설문조사 방식으로 이직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를 알아보면 첫째, 근무환경, 직무부담, 지위 및 가사 등이 이직요인으로 나타났 다. 둘째, 월 평균 급여는 후생복지에 해당되고, 이는 후생복지와 지위 및 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들은 서로 관련되어 이직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무시간은 직무부담에 해당되고, 이는 직무부담과 후생복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들은 서로 관련되어 이 직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직 횟수 그 자체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이직요인으로 작용하 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이직요인들은 상호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연구에서 밝혀진 이직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보육교사의 이직을 결정하게 된 다. 이러한 보육교사의 높은 이직은 질 높은 보육환경을 제공하는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보육교사의 이직을 낮추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보상이나 후생복지 및 사회적 인 신분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보육할 수 있는 보육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교사들 의 전문지식이나 기술을 충분히 발휘하여 질 높은 보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