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구 용어 연구 II - 전통가구 종류 및 경첩을 중심으로 -

        문선옥,Moon, Sun-Ok 한국가구학회 2009 한국가구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describes the furniture terms in English relating to the types (Jang, Nong, Bandazi) and hinges (Gyeongchup) of traditional Korean wood furniture considering furniture globalization. Traditional Western chest, commode, wardrobe, cupboard, secretary, cabinet, and bookcase, which store something such as clothing, books, tablewares, small things and so on, could be compared with the Jang, Non, and Bandazi in terms of the pieces' use in researching the terms between English and Korean language. Hardwares decorating surfaces of the pieces, including the furniture types and details, were studied according to the shapes and the uses in order to explore the two terms. As a result, the terms of chest (Gaew), commode (Seolapjang), cupboard/buffet (Chanjang), wardrobe (Ottjang), cabinet (Jang), secretary (Jang), bookcase (Checkjang), and Half-opened chest (Bandazi) were analyzed and proposed in Korean and English language. In addition, the terms of the hinges between the two furniture were studied as well.

      • KCI등재

        Critical Discourse of Postmodern Aesthetics in Contemporary Furniture (III) - Consideration of the Ecology of Our Environment in New Design Furniture in terms of the Postmodern Aesthetics of Communication

        문선옥,Moon Sun-Ok,Daniel Vesta A. H. Korea Furniture Society 2003 한국가구학회지 Vol.14 No.1

        이 논문은 우리 환경의 생태계 보호를 위하여 뉴 디자인 가구가 어떻게 창조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즉, 오늘날 포스트 모던 시대에 뉴 디자인 가구 디자이너들이 환경 문제의 해결점의 하나로 새롭고 다른 방향으로 자신들의 가구를 창조할 수 있는가에 관한 담론이다. 우리가 안고 있는 생태계 보호를 위한 가구를 디자인할 때 필요한 재사용 및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들, 유행을 초월한 가구, 가구의 견고성, 대량 생산 가구 등이 심각하게 분석되었다. 이 분석에 따르면 뉴 디자인 가구 디자이너들은 재활용된 재료들, 주거 환경 및 지속성, 새로운 가구 미학을 내포한 새로운 가구 디자인 철학을 얻을 수 있었다. 대량 생산된 가구는 경제성 때문에 많은 대중에게 접근되는 좋은 점보다는 우리에게 더 많은 쓰레기 더미를 준다라는 사실이 뉴 디자인 가구 다자이너들에게는 매우 심각한 문제였다. 따라서 가구 디자이너들이 양보다는 질에 중점을 둔 가구를 창조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환경적 책임을 느낀 뉴 디자인 가구 디자이너들은 튼튼하면서 재활용될 수 있으며 유행을 초월한 기능적이면서도 미적인 가구를 창조할 때만이 뉴 디자인 가구론 구입하는 소비자들이 뉴 디자인 가구를 올바른 방향에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가구재로써 노령 밤나무재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

        문선옥,김철환,김종갑,Moon Sun-Ok,Kim Chul-Hwan,Kim Jong-Gab 한국가구학회 2004 한국가구학회지 Vol.15 No.2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of wood furniture made of aged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which has been largely planted in the southern area since 1960s and has hardly been used as furniture materials. Firs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hestnut wood including specific gravity, stiffness, and shrinkage were compared with Zelkova serrata, Acer palmatum Thunb., Fagus crenata var. multinevis, Quercus, Tagayasan,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Juglans sinenis, Pteronrpus santalinus, Diospyros ebenum, and Fraxinus rhynchophylla, which have largely been used in manufacturing furniture. The chestnut wood had appropliate physical properties for wood furniture like other furniture woods. A piece of small table 50 cm in width, 50 cm in length and 60 cm in height by the chestnut tree was created for a current interior space. Since the diameter of the chestnut tree planted since 1960s is below around 30 cm, the top plate of the table had to be put together by an end-joint technique using a small strip.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reate a greate motivation for furniture designers, furniture studios and furniture companies in Korea to use the woods from the aged chestnut tree in developing furniture in the future.

      • KCI등재

        데페이즈망 기법을 적용한 화예 작품 창작 작품명: 새장과 파란 물고기

        문선옥 ( Moon Sun Ok ),이정섭 ( Lee Jeong Sup ),유택상 ( Yoo Taek Sang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7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여성으로서 가사와 육아의 생활로 이루어진 일상과 개인적 창작의 세계 사이에서 새로운 세계로의 탈출을 모색하며 작품의 창작을 행한 연구이다. 그 과정에서 초현실주의적 접근에 공감하고 데페이즈망 기법을 활용하여 작품 창작을 전개하였다. 구체적 과정으로는 이미지리서치를 통해 새장과 물고기라는 모티브를 얻을 수 있었으며 데페이즈망 기법에 대한 이해를 통해 새장에 있어야 할 새와 모순적이면서도 비현실적인 존재가 등장함으로 신비로우면서도 몽환적인 느낌을 표현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특히 물고기의 표현에 있어 몸통을 생략하고 마치 바람에 휘날리듯 물속을 펄럭이는 지느러미의 신비스럽고 화려함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색상의 선택에서는 신비스러우면서도 물과 하늘을 연상하게 하는 파란색을 선택하였다. 꼬리의 느낌이 중요했기 때문에 유연함과 비침이 있으면서도 늘어지거나 쳐지지 않고 약간의 풍성함을 가진 폴리에스테르원단을 재료로 이용하였으며 형태는 낚시줄을 이용하여 조성하였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creation of art work seeking for the escapement to a new world between everyday living as a mother and housewife and personal creative world as an artist. The researcher sympathized with the approach of surrealists and developed her art work applying depaysement technique. The researcher performed image research and got the motives of bird cage and fish and applied depaysement technique by replacing the bird with the unreal existence with which the bird conflict and expressed surreal and subtle atmosphere. Omitting the body of fish, the fish tale shown in wave shape as if in water presented mystery splendor and was so blue presenting water and sky. The polyester fabric was used to make the shape of the tale which is flexible, transparent, unstretchable, with a little abundancy and fishing gut was used to make final form.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호안 미로의 회화 작품 `무제`의 영감에 의한 화예 작품 작품명 : 오래된 향기를 찻잔에 담다

        문선옥 ( Moon Sun Ok ),이정섭 ( Lee Jeong Sup ),유택상 ( Yoo Taek Sang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7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호안 미로의 회화 작품 `무제`에서 받은 영감을 바탕으로 작가의 내적 정서와 개념을 화예 작품으로 창작하는 실험을 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낡음이 새로워지다`, `과거는 시간과 기억을 담는다`, `오래된 것이 향기롭다` 등의 개념적 전개를 통해 다양한 모티브를 실험하였으며, 낡은 느낌, 자연, 순환, 과일, 향기와 같은 다양한 제재를 중심으로 리서치를 행하여 찻잔과 티백의 모티브를 찾아내었다. 이어서 커피, 티 자국, 티백, 드라이플라워, 종이 재질감과 같은 시각적 탐구와 녹슨 철사, 와이어, 망사의 탐색과 같은 재료의 실험과 탐구를 통해 찻잔 형상 및 와이어 재료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1차 작업에서는 은은한 차의 향과 같은 느낌을 주기 위해 꽃과 색상을 자제하고 작업하였지만 풍성하고 품어 주어야 하는 자연의 느낌이 들지 않아 2차 작업에서는 1차 작업에서 부족했던 꽃의 양과 색상을 보완하여 다양한 색상과 많은 꽃을 사용하여 풍성하고 가득한 느낌을 주었다. 본 연구는 중요한 미술적 의미를 갖는 회화 작품에 대한 이해와 영감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느끼고 발전시킨 내용을 화예창작에 적용하는 실험을 해 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is research in on the creation of an floral art work based on personal emotion and concepts inspired by Joan Miro`s painting. The researcher experimented various motives based on concepts such as `old thing get renewed`, `past time holds time and memories`, and `aged scent of nature`. And she found out the motives of `Tea Cup`, and `Tea bag" by searching around old feeling, nature, circulation, friuts, and fragrance. Visual research of tea stain, tea bag, dried flowers, and stained papers as well as material research on stained wire, mesh, and wires were performed. The first creation in which the researcher restricted colors and variation of flowers to create subtle atmosphere was not natural enough and the researcher created the second version of the work using more colors and flowers.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could be found on that the researcher tried to create floral art work based on the subjective feeling and concepts found inspired by a painting work done by Joan Miro.

      • KCI등재후보

        여성적 모티브를 가지고 행한 감각적 화예 작품 창작 -손을 내어밀다-

        문선옥 ( Moon Sun Ok ),이정섭 ( Lee Jeong Sup ),유택상 ( Yoo Taek Sang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빨간색에 대한 감각적인 접근에서 시작되었다. 빨간 드레스 에서 시작된 리서치는 펄럭이는 스커트와 빨간 구두, 빨간 망토로 이어지며 환상과 동화의 모티브와 연결되어졌다. 계속된 리서치에서 빨간색은 입술, 손톱, 찻잔과 같은 신체 부위와 소품으로 번져나갔으며 결국 백설 공주의 사과 모티브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연구자는 이 이미지에 드러난 손의 모양에 이끌렸는데 이러한 관심은 손을 활용한 다양한 창작 시도를 탐색하게 되었다. 테이프 조각(taping sculpture)과 비닐로 만든 볼륨 안에 사람이 들어가 행하는 퍼포먼스 사례에 영감을 받아 테이프 조각(taping sculpture)과 식물 오브제를 결합한 화예작품의 가능성을 탐구하게 되었다. 앞서의 다양한 이미지로부터 받은 영감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스케치를 행하였다. 그 가운데 손을 내밀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쥐는 형상을 조형화하였다. 손은 예술가에게 아주 중요한 수단이다. 그 수단을 이용해 갈구하던 그 무엇인가를 얻는 모습을 표현했다. 실생활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OPP투명테이프를 사용하여 연구자의 “손”의 형태로 제작이 되었다. 손 안의 장미는 아직은 완전히 펼쳐지지 않은, 그러나 그 안에 펼쳐짐이 보이는 욕망이나 희망과 같은 것이었기에 다소 갇혀진 그러나 투명한 유리볼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꽃은 예쁘고 가지런한 화훼용 장미가 아닌 들장미 느낌인 원예종- 목향장미(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Thory)를 사용하였다. 거칠지만 힘차게 피어나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여성적 색인 빨간색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이미지 리서치를 통해 결국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형상화한 작업이 되었다. 이번 작업을 통해 조형화 작업을 행할 때 자신의 내면을 들어다 보는 것과 시각적으로만 보여 지는 형태가 아닌 그 이미지에서 느껴지는 분위기를 읽는 법을 배울 수 있었다. The research started from the sensitivity of the color, red. The research led the researcher to the fantasy and fairy tales through the red dress, red shoes, red cape, red lips, red finger nails and red tea cup. It ended to the old fairy tale of the Snow White and red apple. And also the researcher`s attention was drown to the shape of hands shown on many images during the image research. Therefore the researcher started experiment on hand shape creation. Hands are very important tool to the artist. The researcher thought out a shape that hand is reached to something that is very dear to the owner of the hand. So the researcher made the shape of a hand out with vinyl tape and let the hand hold roses. Roses means desire or hope which was not fulfilled yet and reaching hand to the roses means that the owner of the hand is trying hard to get something. As the desire or hope was not fulfilled yet, the roses had to stay in a glass ball which is being seen but not fully free. Rosa multiflora were used to express strength and wildness of the desire. The shape of the hand was made after researcher`s hand because the story of the work is made from the researcher`s own story.

      • KCI등재후보

        음악의 느낌을 형상화한 화예 작품 창작 -輝(휘)-

        문선옥 ( Moon Sun Ok ),이정섭 ( Lee Jeong Sup ),유택상 ( Yoo Taek Sang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6 No.-

        본 작품은 청각적 자극인 음악을 듣고 그 느낌을 시각적 구성으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음악으로 받은 느낌 자체를 감지적 과정을 통해 스스로 형상화하도록 요구받았다. 연구자는 음악적 영감이라는 주제를 대하면서 ‘MAMBO’라는 곡을 통해, 살아 숨 쉬는 연주가 주는 역동성 속에 폭발적인 에너지를 느낄 수 있었으며 남미가 주는 밝고 경쾌한 느낌을 느낄수 있었다. 이어 행해진 이미지 리서치를 통해 음악과 남미의 느낌을 구체적인 형상으로 찾아갈 수 있었다. 리서치를 반복하면서 표현의 깊이와 다양성에 대한 연구가 깊어질 수 있었다. 음악의 느낌을 헤어의 뿌려짐과 같은 모티브로 전개시켜 물결이 일렁이는 것처럼 곡선을 이루는 형태와 좀 더 단순화되고 간결한 형태인 사선을 사용하여 내부의 힘이 외부를 향해 곧바로 솟아 품어져 나오는 형태의 두 가지 스케치를 전개시켜 최종적으로 ‘MAMBO’의 느낌을 더 잘 살리는, 튕겨지고 솟아나는 형태로 정리되었다. 구성 단계에서는 화기에 스티로폼을 넣고 그 위에 삼지 닥나무의 얇은 가지들을 부착하였고 삼지닥나무 중간에 LED전구를 넣었는데 전구의 방향을 다르게 배치하고 빛의 양을 조절하였다. 빛이 있는 부분에 하얀색 스카비오사를 꽂아 얇은 꽃잎에 빛이 비추도록 하였다. 색이 화려한 색상의 꽃을 사용하지 않고 하얀색 스카비오사만 사용하여 빛이 꽃잎을 투과하도록 작업하였으며 그린계열 색상을 삼지닥나무 끝부분에 채색하여 마무리하였다. The work was created through the self-expressive process in which inner perception of mood and emotion was expressed through the form and colors. The idea of the work was drown from sonic stimuli excluding visual motives where usage of visual motives drown directly were avoided and let the perceptive process of feeling, mood, sense and emotion form a composition. The researcher listened to the music ``MAMBO`` from the label that contains concert of 40th memorial of ``El Sistema`` and perceived the dynamic and lively breath of music as well as powerful explosion of energy. The researcher tried to describe the emotion of Venezuela and ``MAMBO`` with white Edgeworthia chrysantha and LED lights. LED lights were positioned in parallel with Edgeworthia chrysantha and the number of lights were controled. The white flowers of scabiosa were used for the LED lights shine through their petals. The work ended by coloring with green paints at edge of Edgeworthia chrysanth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