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안 석호의 식물플랑크톤 분포와 현존량

        병렬 ( Mun Byeong Lyeol ),이옥민 ( Lee Og Min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0 No.4

        송지호, 쌍호, 매호, 향호 등 4개의 호소로부터 총 12개의 채집 정점을 선정하여 2001년 5월, 8월 그리고 11월 등 3회에 걸쳐서 식물플랑크톤의 종분포와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본 조사수역으로부터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종분포는 Engler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한 결과 총 164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이는 4문 4강 26과 59속 139종 22변종 2품종 1미동정종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문별로 살펴보면 남조식물문이 31종 2변종으로 33분류군이 출현하였고, 황갈조식물문의 규조강이 84종 16변종으로 총 100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또한 유글레나식물문은 6종 1변종으로 7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녹조식물문은 18종 3변종 2품종 1미동정종으로 총 24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각 정점의 우점종은 Synedra fasciculata, Nitzschia amphibia, Cyclotella comta, Oscillatoria planctonica 등 5종의 규조류와 3종 남조류로 나타났다. 아우점종은 Trachelomonas cervicula 와 Spirotyra sp.를 제외하면 Nitzschia obtusa를 비롯하여 대부분이 규조류로 나타났다. 현존량은 조사된 4개의 석호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냈다. 본 연구수역에서 출현한 종 중 Oscillatoria chlorina등 16분류군이 오염수역에 분포하는 종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정수역에 분포하는 종으로는 Cocconeis placentula 1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Microcystis flos-aquae 등 4종은 비릿한 냄새를 내서 악취를 낼 수 있는 종류들이다. 식물플랑크톤의 종분포와 현존량을 통하여 볼 때 조사수역은 오염수역에 분포종이 다수 분포하며, 높은 현존량을 나타냄으로써 모두 부영양화된 수역으로 판단된다. The distribution and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were investigated at 12 stations of Songjiho, Ssangho, Maeho and Hyangho as of four lagoons in the east coast from May to November, 2001. It turned out to be total of 164 taxa, and classified as four phylums, four classes, 14 orders, 26 families, 59 genera, 139 species, 22 varieties, two forms and 1 unidentified species by Engler`s classification system. Among 164 taxa, 16 taxa including Oscillatoria chlorina were identified as indicators of water pollution and only Cocconeis placentula was the indicator of the clean water. Standing crops of all stations investigated appeared to be relatively high values. Based on the present study upon the distribution and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it is regarded as the state of the eutrophication in Songjiho, Ssangho, Maeho and Hyangho as of four lagoons in the east coast.

      • KCI등재

        리튬이온 배터리 노화상태 추정을 위한 건전성 지표 추출 및 CNN 적용

        태석(Tae-Suk Mun),한동호(Dong-Ho Han),권상욱(Sang-Uk Kwon),백종복(Jong-Bok Baek),김종훈(Jong-Hoon Kim) 대한전기학회 2021 전기학회논문지 Vol.70 No.10

        Due to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lithium-ion batteries used in electric vehicles (EVs) vary according to battery aging, accurate prediction of the state-of-health (SOH) reflecting the aging state is importa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sider factors affecting battery characteristics, such as frequent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ng temperature, and state of charge, so there is a limitation in predicting battery SOH. Even in a model that considers the aging state of the battery under these various conditions,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complexity of the calculation process and parameters becomes serious. Therefore, in this paper, in order to research on the estimation of the aging state during operation of the INR18650-25R battery, a health indicator (HI) that can reflect the internal state of the battery according to aging is extracted. This research produce a learning image through the extracted HI and build a model study that enables algorithm learning through the image. The experimental profile used for model training and validation was an Urban Dynamometer Driving Schedule (UDDS), and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with strength in image learning was applied for the estimation algorithm.

      • KCI등재

        인용과 화시소의 전이

        숙영 ( Mun Suk-yeong ) 국어학회 2012 국어학 Vol.65 No.-

        이 글은 직접인용과 간접인용의 구분기제로 알려진 화시소의 전이 현상을 중심으로 하여, 간접인용을 화시 중심의 일원화 과정으로 설명할 수만은 없음을 살펴보고, 언어 유형적으로 인용의 종류를 나눌 때 가능한 접근법이 무엇인지를 논의한 것이다. 간접인용이라 하더라도 시제와 장소의 화시소는 인용화자의 관점으로 잘 전이되지 않으며, 시간의 화시어나 인칭 대명사도 부분적으로만 전이가 일어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언어에 따라 일부의 인칭 대명사만 인용화자의 것으로 바뀌거나 일부의 인칭 대명사는 원래화자의 것이 유지되는 방식으로 간접인용과 직접인용이 구별되는 일도 있다. 이런 현상은 간접인용이 시점을 인용화자로 일원화하는 과정인 것만은 아님을 시사한다. 따라서 화시소의 부분 전이 현상이 수의적인 것인지 의무적인 것인지를 구별할 필요가 있고, 언어마다 간접인용의 지표의 종류나 범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인용의 유형론은 해당 언어에서 이런 중간 유형을 허용하느냐의 문제보다 전이의 정도차를 보이는 화시소의 종류 및 그 전이의 의무성 여부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반직접인용이나 간접인용처럼 관점의 전이가 허용되는 형식의 출현 배경으로는 화자의 주관화 경향과 이런 주관화를 허용하는 구술 내러티브의 특징을 생각해볼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shifts in deixis which are crucial properties distinguishing direct and indirect speech reports. It has been said that the perspective of the original speaker shifts towards that of the reporter and his speech situations in indirect speech. Much indirect speech, however, don't show so much shifts according to current reporting situation, but rather it's common to contain the viewpoint of the original speaker as well. This paper argues that this bi-perspective found in reported speech is partl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deixis themselves, partly because of the way of telling direct and indirect speech apart in some languages. Also we emphasize that multiple perspective is possible even within one sentence. On the basis of these facts, thus, it is claimed that obligatory shifts in deixis are distinguished from optional ones in classifying the kinds of reported speech. As for incomplete shifts in personal deixis, it may be the manifestations of speaker's subjectification.

      • KCI등재

        접속문의 시제 현상과 상대시제

        숙영(Suk Yeong Mun) 한국어학회 2011 한국어학 Vol.50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fact that relative time reference may not be restricted to subordinate verb forms and coordinate verb forms may not receive only absolute time reference in Korean. This may be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In addition, there may be cases that omission of ``eoss-`` C3Ill10t be permitted even in subordinate clauses. Appearance of ``relative Present`` in these clauses may result from the need of Present meaning and the shift in deictic center, namely a speaker`s location is moved from speech situation to the time of event took place.

      • KCI등재

        대과거(大過去) 시제(時制)와 ‘-었었-’

        숙영 ( Mun Suk-ye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1 No.4

        本稿는 ‘-었었-’의 作用域을 바탕으로 ‘-었었-’의 意味 機能과 範疇를 살펴보고, 그간 ‘-었었-’에 부여되었던 다양한 意味는 ‘-었었-’의 範疇的 特性과 基本意味로부터 도출되는 含蓄임을 보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었었-’은 해당 상황을 ‘-었-’이 지시하는 時點을 기준으로 그 앞에 位置시키는 大過去 時制 形態素이다. ‘-었었-’은 過去 속의 過去에 狀況이 위치하기 때문에 現在와의 接點을 가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斷續, 두 事件 關聯, 正反對의 狀況 後續이라는 함축을 가진다. 大過去 時制는 絶對-相對時制의 일종이므로 基準時가 되는 상황에 대해서만 先時的이며, 대과거 시제는 본질적으로 과거이기 때문에 過去 時制 요소인 ‘-었-’으로도 代置될 수 있다. 大過去의 固有 機能은 과거 사건을 年代的으로 관련짓는 데, 즉 事件의 發生 順序를 逆順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T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the meaning and category of ‘-eoteot-' and explaining why many researchers have interpreted ‘-eoteot-' in different ways. The meaning of ‘-eoteot-' is that there is a reference point that is located before the present moment, and that the situation in question is located prior to that reference point is marked with ‘-eot-'. Thus the situation referred by ‘-eoteot-' does not occupy the time up to the present moment, so that there are conversational implicatures that the situation does not continue to the present or the opposite situation follows or two situation is related and so on. However these implicatures can be easily cancelled. The ‘-eoteot-' is a pluperfect morpheme and a kind of absolute-relative tense in Korean. Since the pluperfect indicates a time point before some other time point in the past, the situation referred to by the ‘-eoteot-' is itself located in the past and can also be referred to by ‘-eot-'. The pluperfect ‘-eoteot-’ should exist to relate situations chronically to one another. In other words, ‘-eoteot-’ is used to indicate reverse order of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