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과거(大過去) 시제(時制)와 ‘-었었-’

        문숙영 ( Mun Suk-ye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1 No.4

        本稿는 ‘-었었-’의 作用域을 바탕으로 ‘-었었-’의 意味 機能과 範疇를 살펴보고, 그간 ‘-었었-’에 부여되었던 다양한 意味는 ‘-었었-’의 範疇的 特性과 基本意味로부터 도출되는 含蓄임을 보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었었-’은 해당 상황을 ‘-었-’이 지시하는 時點을 기준으로 그 앞에 位置시키는 大過去 時制 形態素이다. ‘-었었-’은 過去 속의 過去에 狀況이 위치하기 때문에 現在와의 接點을 가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斷續, 두 事件 關聯, 正反對의 狀況 後續이라는 함축을 가진다. 大過去 時制는 絶對-相對時制의 일종이므로 基準時가 되는 상황에 대해서만 先時的이며, 대과거 시제는 본질적으로 과거이기 때문에 過去 時制 요소인 ‘-었-’으로도 代置될 수 있다. 大過去의 固有 機能은 과거 사건을 年代的으로 관련짓는 데, 즉 事件의 發生 順序를 逆順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T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the meaning and category of ‘-eoteot-' and explaining why many researchers have interpreted ‘-eoteot-' in different ways. The meaning of ‘-eoteot-' is that there is a reference point that is located before the present moment, and that the situation in question is located prior to that reference point is marked with ‘-eot-'. Thus the situation referred by ‘-eoteot-' does not occupy the time up to the present moment, so that there are conversational implicatures that the situation does not continue to the present or the opposite situation follows or two situation is related and so on. However these implicatures can be easily cancelled. The ‘-eoteot-' is a pluperfect morpheme and a kind of absolute-relative tense in Korean. Since the pluperfect indicates a time point before some other time point in the past, the situation referred to by the ‘-eoteot-' is itself located in the past and can also be referred to by ‘-eot-'. The pluperfect ‘-eoteot-’ should exist to relate situations chronically to one another. In other words, ‘-eoteot-’ is used to indicate reverse order of situations.

      • KCI등재

        영어권에서의 한국어 문법 기술 -단행본 시리즈를 중심으로-

        문숙영 ( Mun Suk-yeong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7 No.-

        이 글은 영어권 언어학 저서에 소개ㆍ기술되고 있는 한국어 문법 현상의 종류와 그 내용을 살펴본 것이다. 한국어 문법 현상이 어떤 수준으로 기술되고 있으며 일차 자료로 삼은 것은 무엇인지, 한국어 관련 논저 중 무엇이 통용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조망하기 위한 기초 작업의 성격을 띠는 것이다. 검토 대상은 단행본 저서이다. 여기에는 하나의 주제 아래 여러 논문을 엮은 저서도 포함된다. 대상 저서에서 한국어에 대한 기술이 발견되면 이 기술의 바탕이 된 일차 자료나 논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추가하였다. 살펴본 단행본은 Typological Studies in Language 시리즈, Current Issues in Linguistic Theory 시리즈, Cambridge Studies in Linguistics 시리즈, Cambridge Textbooks in Linguistics 시리즈, Oxford Handbooks 시리즈다. 이 외에, 세계 언어를 문법적ㆍ구조적 속성에 따라 분류한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도 살펴보았다. 2장은 단어 형성, 3장은 수, 지시사, 대명사 등의 명사 범주, 4장은 격조사의 교체나 생략 및 화제/대조의 ‘은/는’ 등 조사를 다루었다. 5장은 시제와 상, 양태와 서법, 경어법과 부정 등 동사 범주를, 6장은 피동과 사동, 7장은 병렬 구성, 부사절, 명사절, 관계절 등 복문을 살펴보았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kinds of grammatical phenomena in Korean that have been mentioned in linguistic books published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and investigates how accurate the descriptions and explanations are. This work seeks to investigate whether the books give an exact explanation, and on which primary materials their descriptions are based. Our examination objects are primarily book series, not articles in academic journals. If the primary data in a book are those from other journals or thesis, we collect and add the descriptions from them. The book series we consider are the Typological Studies in Language series, the Current Issues in Linguistic Theory series, the Cambridge Studies in Linguistics series, the Cambridge textbooks in Linguistics series, and the Oxford Handbooks, which amounts to about 400 volumes, as well as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which is a database of structural (phonological, grammatical, lexical) properties of languages.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Ch2. word formation, Ch.3 nominal categories, Ch.4 case affixes and Topic marker, Ch5. verbal categories, Ch.6 passive and causative, and Ch.7 complex sentences.

      • KCI등재

        기획논문 : 학교 문법에서의 "문법 요소" 기술 내용 연구

        문숙영 ( Suk Yeong Mun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6 언어와 정보 사회 Vol.27 No.-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descriptions of grammatical elements in school grammar textbooks through comparison and contrast among a total 11 book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Grammatical elements in textbooks in 2002, 2012, and 2014 are used to refer to grammatical categories of Korean, such as tense, passive, causative, negation, quotative, etc. We examine whether the each definition and explanation on the category is correct, and whether the technical terms used in explaining the phenomena are reasonable. Ultimately, this paper is aimed at discovering some problematic descriptions and putting them right.

      • KCI우수등재

        통사적/비통사적 합성어 구분의 위상에 대한 문제제기

        문숙영 ( Mun Suk-yeong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100

        본고는 합성어를 통사적인 것과 비통사적인 것으로 나누는 방식이 그다지 유의미하지 않으므로 합성어 종류로서의 독보적인 지위를 거두어들일 것을 주장하였다. 분명한 기준에 의해 일관되게 분류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현실적인 어려움을 감수할 만큼 이론적 정당성이 있는 구분도 아니라는 이유에서이다. 살펴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외에서는 통사적/비통사적 합성어가 합성어의 주요 종류로 다루어진 바가 별로 없어 보인다. 둘째, Bloomfield(1933)에서도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양 극단 사이에 수많은 半-통사적 합성어가 있다고 하였다. 셋째, 통사적 합성어와 유사한 것으로 구 합성어가 있으나, 최근에 이는 대개 비핵 자리에 구가 오는 합성어를 가리키는 데 쓰여 왔다. 넷째, ‘통사적’이라는 말의 의미가 너무도 다양해서 무엇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분류의 결과가 달라진다. 게다가 다양한 해석 중 어떤 것도 틀렸음이 증명될 수 없다. 다섯째, 단어형성기제로 유추를 인정한다면 구 구조가 유추적 토대가 되어 단어가 만들어질 가능성도 인정되어야 한다. 이를 인정하면 합성어의 내부구조가 구와 닮았다고 해서 통사부에서의 형성을 보증하지 않는다. 여섯째, 조사나 어미, 구, 용언의 활용형 등 통사적 구성이 합성어 내부에 나타나는 일이 종종 있는데, 이는 통사적 산물이 합성어에 포함되더라도 으레 통사부에서 형성된 것으로 간주할 수는 없음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is to argue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syntactic and asyntactic compounds has nothing to do with understanding the nature of compound words, and that it is not possible to classify them clearly. The evidences are as follows. Firstly, syntactic and asyntactic compound words have not been treated as the main types of compound words, except for Bloomfield(1933). Secondly, phrasal compound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synonyms for syntactic compounds, are used to refer to words with a phrase in non-head position, in recent papers on word formation. Thirdly, the interpretation of "syntactic" is so various that classification of compounds could be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interpretation you choose. Moreover, none of the various meanings can be proven wrong. Fourthly, the phrasal structure could also be used as an analogical schema in forming compounds. Therefore, even though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mpound word is the same as the that of phrase, it cannot be guaranteed that the word was formed in syntax component, not by morphological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인용과 화시소의 전이

        문숙영 ( Mun Suk-yeong ) 국어학회 2012 국어학 Vol.65 No.-

        이 글은 직접인용과 간접인용의 구분기제로 알려진 화시소의 전이 현상을 중심으로 하여, 간접인용을 화시 중심의 일원화 과정으로 설명할 수만은 없음을 살펴보고, 언어 유형적으로 인용의 종류를 나눌 때 가능한 접근법이 무엇인지를 논의한 것이다. 간접인용이라 하더라도 시제와 장소의 화시소는 인용화자의 관점으로 잘 전이되지 않으며, 시간의 화시어나 인칭 대명사도 부분적으로만 전이가 일어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언어에 따라 일부의 인칭 대명사만 인용화자의 것으로 바뀌거나 일부의 인칭 대명사는 원래화자의 것이 유지되는 방식으로 간접인용과 직접인용이 구별되는 일도 있다. 이런 현상은 간접인용이 시점을 인용화자로 일원화하는 과정인 것만은 아님을 시사한다. 따라서 화시소의 부분 전이 현상이 수의적인 것인지 의무적인 것인지를 구별할 필요가 있고, 언어마다 간접인용의 지표의 종류나 범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인용의 유형론은 해당 언어에서 이런 중간 유형을 허용하느냐의 문제보다 전이의 정도차를 보이는 화시소의 종류 및 그 전이의 의무성 여부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반직접인용이나 간접인용처럼 관점의 전이가 허용되는 형식의 출현 배경으로는 화자의 주관화 경향과 이런 주관화를 허용하는 구술 내러티브의 특징을 생각해볼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shifts in deixis which are crucial properties distinguishing direct and indirect speech reports. It has been said that the perspective of the original speaker shifts towards that of the reporter and his speech situations in indirect speech. Much indirect speech, however, don't show so much shifts according to current reporting situation, but rather it's common to contain the viewpoint of the original speaker as well. This paper argues that this bi-perspective found in reported speech is partl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deixis themselves, partly because of the way of telling direct and indirect speech apart in some languages. Also we emphasize that multiple perspective is possible even within one sentence. On the basis of these facts, thus, it is claimed that obligatory shifts in deixis are distinguished from optional ones in classifying the kinds of reported speech. As for incomplete shifts in personal deixis, it may be the manifestations of speaker's subjectification.

      • KCI등재

        접속문의 시제 현상과 상대시제

        문숙영(Suk Yeong Mun) 한국어학회 2011 한국어학 Vol.50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fact that relative time reference may not be restricted to subordinate verb forms and coordinate verb forms may not receive only absolute time reference in Korean. This may be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In addition, there may be cases that omission of ``eoss-`` C3Ill10t be permitted even in subordinate clauses. Appearance of ``relative Present`` in these clauses may result from the need of Present meaning and the shift in deictic center, namely a speaker`s location is moved from speech situation to the time of event took place.

      • KCI등재

        한국어 탈종속화(Insubordination)의 한 종류

        문숙영(Mun, Suk-yeong) 한국어학회 2015 한국어학 Vol.69 No.-

        This paper discusses several characteristics found in Korean insubordination. According to Evans (2007), ‘insubordination’ refers to the conventionalized main clauses use of what appears to be formally subordinate clause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6 forms, ‘-deunji’ ‘-eosseumyeon’, ‘-gineun1’ ‘-gineun2’ ‘-gileul’ and ‘-neun/eul subakke’, which have not been classified as sentence-final forms. They have several grammatical phenomena in common. First, they are not always allowed to recover a main clause or main verb, in other words, very restricted main verbs can come after these constructions. This means that the range of meanings of the insubordination construction becomes quite narrow and specific, compared to when they are used as ordinary subordinate clauses. Second, their illocutionary force does not change depending on intonation, unlike what we call ‘banmal(반말)’, and the sentence types of these constructions may often be vague. Third, some of them still cannot take tense endings and they can refer to past events, without taking past tense.

      • KCI등재

        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것’ 명사절

        문숙영 ( Mun Suk-yeong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4 No.-

        본고는 ‘것’ 절은 명사절이며 ‘-은 것’과 ‘-을 것’은 ‘-음’ ‘-기’에 준하는 명사화소로 인정하는 것이 타당함을 주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것’ 절이 ‘-음, -기’로 대표되는 명사절 자리에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오래 전의 일이지만, 아직 명사화소의 하나로 온전히 대접받고 있지는 못하다. 그러나 ‘것’ 절은, ‘것’의 위상에 대한 의견 차이가 있다는 이유로 언급을 미루어둘 수 있는, 그런 비중의 절이 이미 아니다. ‘-음, -기’ 절만으로는 한국어 명사절의 분포를 극히 일부분밖에 기술할 수 없고, 보절 동사의 수가 다른 언어에 비해 극히 줄어드는 결과도 감당해야 한다. 본고에서 ‘것’ 명사절을 인정해야 하는 이유로 든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것’ 명사절의 ‘것’은 다른 구문에서의 ‘것’과 명사성 정도가 다르다. ‘것’ 보절의 ‘것’은 지시사의 수식을 받거나 복수표지를 붙이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색하다. 둘째, 보절 명사와 ‘것’ 간의 상호교체가 어려울 때가 많다. 셋째 상호 교체가 가능한 경우라 하더라도 보절 명사를 쓸 때와 의미화용적인 차이가 있다. 넷째, 구어에서는 ‘-음’이 거의 안 쓰이고 ‘-기’는 극히 제한된 용언 앞에서만 쓸 수 있으므로, 나머지 명제 논항 자리에서는 ‘것’ 절이 쓰임을 인정해야 한다. 다섯째, ‘-음, -기’의 자리를 ‘-은 것, -을 것’이 대체한 것이 아니라 이 셋이 동시에 경쟁했음을 보여주는 여러 증거가 있다. 여섯째, ‘것’ 명사절이 독자적으로 분포를 넓혀온 점이 있다. 즉 동사의 의미 변화에 따른 보절 동사의 확대나 보절 논항의 증가에 ‘것’ 명사절이 기여한 바가 분명히 있다. 본고는 명사절과 보절에 대한 언어 유형론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명사절의 특징도 살펴보았다. 전통적으로 명사화는 보절의 한 유형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한국어의 명사절과 유사한 부류로는 최근 티베트-버만어족의 언어에서 부각된 바 있는 ‘절 명사화’가 있다. ‘것’ 명사절의 발달에는 보절 명사로 쓰인 ‘것’ 구성이 다리 역할을 했을 수 있는데, 이는 유럽어와는 구별되는 한국어의 내포절 체계의 영향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명사화소의 의미 범주로는 서실법과 서상법을 수용하였다. 언어 유형적으로도 명사화소가 이런 서법을 구별하는 언어가 보고된 바가 있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maintain that ‘-eun/eul ges’ is used in nominalization of clauses, like ‘-eum’ and ‘-ki’. Our ‘ges’ clause is not yet recognized as a nominalizer due to the bound noun ‘ges’, even though it has been long used in the place of ‘-eum’ or ‘-ki’. We cannot describe the overall distribution of nominalized clauses in Korean, without ‘ges’ clause. The kinds of verbs taking complement-clause are very similar across the world languages. Therefore, it’s not possible to get the whole list of Korean verbs taking complement-clause, if we don’t regard the ‘-eun/eul ges’ clause as one of complement clauses. The basis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First, the ‘ges’ of ‘ges’ clauses cannot be modified by demonstratives and plural suffix ‘deul’, while ‘ges’ as a bound noun can take both of them. Second, it is not always possible that ‘ges’ is replaced with other nouns taking complement clauses, and vice versa. Third, there are subtle differences in semantic-pragmatic meaning, even when ‘ges’ is interchangeable with nouns, such as ‘fact, activity, process’ etc. Fourth, the occurrence of ‘-eum’ and ‘-ki’ is very restricted, only in written texts or in front of a few predicates, respectively. Fifth, there are several evidences that ‘ges’ clauses has been used as a kind of clausal nominalization, namely, ‘-eum’, ‘-ki’ and ‘ges’ has competed against one another. We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ges’ clause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and argue that Korean is a language making great use of clausal nominalization as a complement strategy. ‘ges’ complement construction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bridging context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nominalizer from a bound noun ‘ges’.

      • KCI등재

        시제의 의미 및 사용과 관련된 몇 문제

        문숙영 한국어학회 2009 한국어학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lies in examining some issues on what tense forms basically mean and when these forms are used. The past tense fundamently implies that given situations no longer continue, but this is just implicature. It means that there has been no presupposition that the past tense is combined only when the situation in question no longer continues into the present. Tense can be determined first by limiting the time at which the speaker wants to make an utterance(=TT) and then selecting a situation that is located at this time. TT, however, is a concept relevant to what (or what variable) affects tense determination, rather than to what is the referential meaning of tense form, in that the truth condition of the sentence depends on whether the situation in question is located in the given TT, even when tense is determined by TT. Many researchers have mentioned that the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eoss-’ or ‘-eosseoss-’ frequently occurs even in environments that do not require past tense or pluperfect tense. However, these usages must be understood to aim at implicatures implied in ‘-eoss-’ and ‘-eosseoss-’. Tense forms could be selected by their implicature as well as their deno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