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측두골 골절후 발생한 안면마비 환자의 안면신경감압술: 25명 환자들의 증례분석
남한가위 ( Han Ga Wi Nam ),황형식 ( Hyung Sik Hwang ),문승명 ( Seung Myung Moon ),신일영 ( Il Young Shin ),신승훈 ( Seung Hun Sheen ),정제훈 ( Je Hoon Jeong ) 대한외상학회 2013 大韓外傷學會誌 Vol.26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retrospective review of patients who had a sudden onset of facial palsy after trauma and who underwent facial nerve decompression. Methods: The cases of 25 patients who had traumatic facial palsy were reviewed. Facial nerve function was graded according to the House-Brackmann grading scale. According to facial nerve decompression,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the surgical (decompression) group, with 7 patients in the early decompression subgroup and 2 patients in the late decompression subgroup, and the conservative group(16 patients). Results: The facial nerve decompression group included 8 males and 1 female, aged 2 to 86 years old, with a mean age of 40.8. In early facial nerve decompression subgroup, facial palsy was H-B grade I to III in 6 cases (66.7%); H-B grade IV was observed in 1 case(11.1%). In late facial nerve decompression subgroup, 1 patient (11.1%) had no improvement, and the other patient(11.1%) improved to H-B grade III from H-B grade V. A comparison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within 2 weeks to those who underwent surgery 2 weeks lat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rovement of H-B grades (p>0.05). The conservative management group included 15 males and 1 female, aged 6 to 66 years old, with a mean age of 36. At the last follow up, 15 patients showed H-B grades of I to III(93.7%), and only 1 patient had an H-B grade of IV(6.3%). Conclusion: Generally, we assume that early facial nerve decompression can lead to some recovery from traumatic facial palsy, but a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should and will be prepared to compare of conservative treatment to late decompression.
한-칠레 자유무역협정이 부산항 물동량에 미치는 영향분석
남기찬(Kichan Nam),남형식(Hyung-Sik Nam),강달원(Dal-Won Ka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7 No.6
자유무역협정은 국가 또는 지역간에 교역의 장벽이 되는 관세를 폐지하는 것으로서 궁극적으로 해상운송 및 항만물동량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은 2004년 처음으로 칠레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였고 그 이후 양국간 교역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 협정이 해상운송과 항만물동량에 미치는 여향을 분석한 연구는 극히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칠레 자유무역협정이 부산항에서 처리하는 대칠레 수입 컨테이너 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1년까지 물동량, GDP, 관세율, 해상운임 등을 포함하는 횡단면 자료와 시계열 자료가 결합된 패널자료를 수집하여 중력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GDP와 관세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해상운임 변수는 통계적 유의성과 모수 부호에 일관성을 보이지 못하였다. Free Trade Agreement(FTA) aims at abolishing tariffs on trade among nations or regions resulting in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maritime transportation and port. Korea made the first FTA with Chile in 2004 and the trade volume between two countries has seen significant increase. The literature on such impact, however, seems to be very limit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analyze the impact of Korea-Chile Free Trade Agreement on the imported container throughput from Chile at the Busan Port. For this both cross-sectional and time series data are collected that comprise container throughput, Gross Domestic Product (GDP), import tariff, and maritime freight rate, from 2000 to 2011, and the gravity model is applied. The main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dependent variables, GDP and import tariff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maritime freight rate is not consistent with regarding to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parameter sign.
김은식(Eun-Sik Kim),최형식(Hyung-Sik Choi),남기흥(Ki-Heung Nam),김영배(Young-Bae Kim),김세동(Se-Dong Kim)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1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5월
병원전기설비의 접지시스템 및 감전보호방식에 적용하여야 할 중요한 규격, 특히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49조(의료실의 접지 등의 시설)와 국제표준 IEC 60364-7-710(건축전기설비- 특수장소에 대한 요구사항-의료장소)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각 규격 간의 접지시스템 및 감전보호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김호준,야야파라 HPS,조원희,남형식,임선영,Kim, Hojun,Jayapala, HPS,Jo, Won Hee,Nam, Hyung Sik,Lim, Sun Young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6
태종대 구역별 바람맥이, 굴통머리, 참물개, 조홍택, 고래등 구역에서 채취한 자연산 돌미역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한 결과 굴통머리 구역에서 채취한 돌미역의A+M 및 MeOH 추출물들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1.44±0.04 mg/g 및 0.66±0.13 mg/g으로 5종 돌미역들 중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다. 지방산 조성분석 결과 굴통머리 돌미역은 30.1%의 n-6 지방산 및 10.0%의 총 n-3 지방산을 함유하였고 5종 돌미역 중 가장 높은 다가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을 함유하였다. 5종 돌미역 추출물들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했을 때 모든 돌미역 A+M 추출물에 의한 소거활성이 MeOH 추출물보다 높았고 그 중 굴통머리A+M 추출물에 의한 소거능 활성이 가장 높았다(p<0.05). 5종 돌미역A+M 및 MeOH 추출물을 0.05 및 0.025 mg/ml의 농도로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처리하여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들은 측정시간 120분이 지남에 따라 높은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바람맥이 및 굴통머리 구역에서 채취한 돌미역A+M 추출물에 의한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가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굴통머리 구역의 돌미역이 높은 함량의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 함량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높은 함량은 세포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 및 DPPH 소거능과 상관성이 있다고 여겨지며 또한 굴통머리 구역 돌미역은 높은 함량의 EPA와 DHA를 함유하고 있어 향후 해조류유래 n-3 지방산 활용 기능성 식품 혹은 지역 대표 수산식품으로 개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ompared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sea mustards sourced from five different areas (Barammaegi, Gultongmeori, Chanmulgae, Johongtaek, and Goraedeung) in Taejongdae, Youngdo, Busan. The contents of total flavonoids and phenols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ir antioxidant effect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ssays were used. Acetone/methylene chloride (A+M) extracts from all the sea mustards contained higher amounts of total flavonoids and phenols than methanol (MeOH) extracts. Among the sea mustards obtained from the different areas, the total flavonoid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the A+M extract of the sea mustard from Gultongmeori was 1.44±0.04 mg/g and 1.72±0.06 mg/g, respectively. In terms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the Gultongmeori sea mustard had higher percentages of total n-6, total n-3, eicosapentaenoic acid (EPA, 20:5n-3),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22:6n-3) than the sea mustards from the other areas. The A+M extract of the sea mustard from Gultongmeori was more effective in terms of scavenging free radicals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other sea mustards, as assessed by the DPPH and ABTS assays (p<0.05). In a 120-minut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ssay, all the extracts tested decreased cellular ROS production induced by H<sub>2</sub>O<sub>2</sub> compared to that produced by exposure to an extract-free control (p<0.05). The extracts from Barammaegi and Gultongmeori had a greater inhibitory effect on cellular ROS produc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ntioxidant effects of sea mustards might be associated with a higher amount of flavonoids and phenols. This study suggests that food-processed products from sea mustard can be developed as functional foods for promoting health in the local population.
머신러닝을 이용한 새로운 Munk-type 쇄파파고 예측식의 제안
최병종(Byung-Jong Choi),남형식(Hyung-Sik Nam),이광호(Kwang-Ho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5 No.3
쇄파는 연안류, 표사이동, 충격파압, 에너지소산 등과 같은 연안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물리현상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항만 구조물의 설계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설계인자 중 하나이다. 쇄파에 대한 연구들은 쇄파가 가진 고유의 복잡성으로 인해 주로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쇄파파고와 쇄파수심 등과 같은 쇄파지표를 예측하기 위한 많은 경험식이 제안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의 쇄파지표에 대한 경험식은 일정한 방정식의 가정하에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가정한 방정식의 계수들을 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회귀 혹은 분류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분야에 있어서 높은 예측성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선형기반의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천수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쇄파의 한계파고를 산정하기 위한 새로운 Munk형식의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새롭게 제안된 쇄파지표식은 단순한 형태의 다항식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경험공식과 유사한 예측성능을 보였다. Breaking wave is one of the important design factors in the design of coastal and port structures as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various physical phenomena occurring on the coast, such as onshore currents, sediment transport, shock wave pressure, and energy dissipation. Due to the inherent complexity of the breaking wave, many empirical formulas have been proposed to predict breaker indices such as wave breaking height and breaking depth using hydraulic models. However, the existing empirical equations for breaker indices mainly were proposed via statistical analysis of experimental data under the assumption of a specific equation. In this study, a new Munk-type empirical equation was proposed to predict the height of breaking waves based on a representative linear supervised machine learning technique with high predictive performance in various research fields related to regression or classification challenges. Although the newly proposed breaker height formula was a simple polynomial equation, its predictive performance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currently available empirical formula.
강병문,이석원,채희동,강은희,추형식,김정훈,장윤석,남주현,Kang, Byung-Moon,Lee, Suk-Won,Chae, Hee-Dong,Kang, Eun-Hee,Chu, Hyung-Sik,Kim, Chung-Hoon,Chang, Yoon-Seok,Nam, Joo-Hyun 대한생식의학회 1999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6 No.1
Since the blastocyst is broken and spreads out on a flat plastic culture dish (two dimensional culture) during in vitro development, it has been difficult to study the implantation process. It also has been difficult to analyse the interactions between endometrial epithelial and stromal cells because of the lack of a long-term in vitro model which can stimulate in vivo characteristics, as these cells eventually fail to proliferate or cease to express differentiated functions. Recently nontransformed cell lines, CUE-P and CUS-V2, derived from rat endometrial epithelium and stroma were reported. In this study, morphology of CUE-P and CUS-V2 was examined and oxytocin gene expression by CUE-P cells was demonstrated by RT-PCR. The CUE-P cells have a cuboidal morphology and CUS-V2 cells resemble fibroblast and exhibit a spindle-like morphology. In RT-PCR, same size of PCR products of oxytocin gene at hypothalamus, uterus and CUE-P cells were demonstrated. These results showed three dimensional culture system could be made by using the new cell lines.
선박 대형화에 따른 부산항 선석 생산성 및 효율성 비교분석
김정훈 ( Kim Jong-hoon ),남형식 ( Nam Hyung-sik ),강달원 ( Kang Dal-won ) 한국해운물류학회 2024 해운물류연구 Vol.40 No.1
컨테이너를 이용한 해상운송이 본격화됨에 따라 컨테이너선의 크기는 꾸준히 증가했으며 최근에는 24,000TEU급 선박의 운항이 일반화되어 있다. 컨테이너선은 TEU 당 운송비용을 낮추는 규모의 경제 실현을 목적으로 대형화되어 왔지만 규모의 비경제성, 항만 운영의 부정적 영향 등의 이유로 선박 대형화 타당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항 터미널별 선형에 따른 선석 생산성을 분석하고,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선형과 선석 생산성과의 인과관계 및 변동 수치를 분석하였다. 이후 DEA 분석을 통해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들의 상대적 효율성을 살펴보았으며, 향후 항만 효율성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항만개발 및 설립 시 선석 생산성을 극대화하며 선석의 제약 요소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할 것을 제시하였다. As maritime transportation using containers began in earnest, the size of container ships steadily increased, and in recent years, the operation of 24,000TEU-class ships has become common. Container ships have been enlarged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economies of scale that lower transportation costs per TEU, but the feasibility of expanding ships has been raised due to non-economy of scale and negative effects of port operations. As a result, this study analyzed the berth productivity by ship size at Busan Port terminals and analyzed the change in the causal relationship ratio between ship size and berth productivity through simple regression analysis. Afterwards, through DEA analysis, the relative efficiency of Busan Port container terminals was examined, and suggested measures to improve port efficiency in the future. Also, it was suggested to consider ways to maximize berth productivity and minimize the constraints of berths when developing and establishing ports in the future.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한 부산지역의 미래성장 유망산업 및 정책 평가에 관한 연구
류동근(Dong-Keun Ryoo),남형식(Hyung-Sik Nam) 한국항만경제학회 2014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0 No.1
최근 우리나라 정부와 지자체들은 북극해와 관련한 다양한 정책을 발굴하고 북극해 대응 기구를 구성하여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북극해 정책 수립에 앞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북극해 및 북극항로 활성화에 따른 국내 유망산업은 무엇인지,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해양, 해운, 항만물류, 수산 정책 중 어떤 정책들이 북극해 및 북극항로와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 지역의 미래 유망산업에 대한 성장성과 경쟁력을 평가하고, 북극항로 활성화를 위한 추진 사업의 중요성과 시급성 그리고 부산지역 경제 기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해양·해운·항만물류, 수산 관련 업계 관계자, 해양수산부 및 부산시의 정책담당자, 관련학계, 연구원 등 총 64명의 전문가 집단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북극항로 상용화에 대비하여 부산경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북극항로를 이용하는 선박이 부산항에서 선박급유, 선박수리, 선용품공급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산업의 육성이 필요하다. 한편 동남권에는 조선산업이 발달되어 있다. 북극항로의 상업화로 내빙선박의 수요가 증가하고 국내 조선 및 조선기자재 산업이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북극항로를 이용하는 특수선박에 대한 조선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극지용 선박 건조를 선점해야 할 것이다. 북극항로가 활성화되면 부산항은 북극 자원개발을 위한 해양플랜트 전진기지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부가가치 해양플랜트, 기자재 및 관련 서비스업 육성, 해양플랜트 공급기지 구축 등의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북극해와 관련된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북극해 사업 진출 확대와 향후 북극해 및 북극항로 이용에 따른 전문 인력 수요 증대에 주도적으로 선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단기적으로는 북극항로 전문인력 양성은 러시아 등의 교육 전문기관과의 제휴를 통하여, 극지 전문인력 양성 교육 기술을 습득해야 한다. 그리고 중장기적으로는 해운·항만·물류분야의 전문 인력인 빙해역 항해사(Ice Navigator), 선박관리 전문가, Ice Pilot의 양성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수산산업의 경우 북극해 지역까지의 어장 확대로 인해 원양 어획량 증대가 예상되며 이에 따른 원양어업과 수산물 가공업이 유망산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원양 어업과 관련해 조업 가능 대상국의 법?제도 파악과 극지 조업이 가능한 어선 및 어업장비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Because the thawing of the Arctic ocean is slowly accelerating due to global warming, recently exploring resources in Arctic ocean and transporting resources by using the North Pole route have been getting spotlight. Since the original route transported by the Suez Canal from Korea to Europe could be shorten about 8,000km in distance(decreased about 38% compared to the original route), which means shortening about 10 voyage dates, it is expected to bring huge logistics cost reduction. Once the North Pole route is commercialized successfully, it w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s future of Busan port and guides for economic development of Busa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usan port and the economic growth of Busan area by researching promising industry, based on the effect of freight transporting by the Northern sea route on the economy of Busan.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64 people of experts in the shipping and port industry, relevant government, and academics. The survey finding shows that port logistics industry is a promising business in Busan in terms of its growth and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develop feeder network facilities that prepare for commercialization of the Northern sea route as a short and medium term plan and provide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in polar regions. Ship supply business would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t is identified that revitalization of shipbuilding and ocean plant industry should be done in terms of Arctic business. With regard to the fishery industry it is found that modernization of fishery ship and development of fishery equipment used in polar areas should be carried out.
동해신항 유인물동량 추정을 위한 컨테이너화물 기종점 분석 연구
정동훈 ( Jeong Dong-hun ),안우철 ( Ann Woo-chul ),남형식 ( Nam Hyung-sik ),강달원 ( Kang Dal-won ) 한국해운물류학회 2023 해운물류연구 Vol.39 No.1
최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과 전쟁 이전의 코로나 19로 인해 대러 교역 물동량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강원도 동해안권 항만은 부산을 비롯한 대형항만에 비해 극동러시아를 비롯한 환동해권 교역에 지리적 이점을 기반으로 수도권과 횡축물류권을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특히 동해신항에 컨테이너 화물 처리를 위한 잡화부두 1선석이 건설 중에 있으며, 신항건설이 완료되면 동해항도 잡화부두로 기능 변경을 통해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신항을 대상으로 하는 극동러시아, 일본 서안, 베트남을 대상으로 컨테이너 화물의 기종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약 126,192TEU가 동해항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컨테이너 처리를 위한 항만의 인프라, 항로 개설 등 동해신항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도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Due to the recent war between Russia and Ukraine in 2022, and the global pandemic from 2020 to 2021, trade volume with Russia has been decreasing. Ports in the east coast of Gangwon-do have a geographical advantage in the Far East and Russia trades compared to major domestic ports like Busan. Based on this circumstance, ports in Gangwon-do are creating a foundation to build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horizontal distribution area. Additionally, in accordance with the relocation of bulk cargo from Donghae Port to Donghae New Port, Donghae Port is also scheduled to handle container cargo by changing its function to a general pier. During the study, container cargo’s OD were analyzed for far East Russia, Japan's West Bank, and Vietnam, which are targeted at the Donghae New Por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estimated that about 126,192TEU can use the Donghae New Por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rive strategies for revitalization of Donghae New Port, such as the port infrastructure for container handling and the opening of routes.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생산성 및 효율성 분석 -부산항을 중심으로-
김정훈(Jong-Hoon Kim),류원형(Won-Hyeong Ryu),박신우(Shin-Woo Park),남형식(Hyung-Sik Nam)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1
컨테이너를 이용한 해상운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컨테이너선의 크기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24,000TEU급 선박의운항이 일반화되어 있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등장에 따른 효율성 및 생산성이 항만의 운영 관점에서 타당한지에 대한 의문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2022년 제10회 부산국제항만컨퍼런스에서는 글로벌 주요 정기선사들의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발주 현황을 분석하여 소강상태에 접어든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요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선박 대형화 요인은 TEU당운송 비용을 낮추는 규모의 경제 실현이며 이는 단일선박으로 대량의 화물을 수송함으로써 단위당 운송비용의 절감과 운송의 효율증가에 비해연료 소모량의 증가가 낮아 단위당 운송비용의 절감 수준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연 항만의 측면에서 이러한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추세가 항만 운영에 있어서 타당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형별 생산성 및 효율성을 비교·분석하여 항만 운영에 있어 선박 대형화의 효과를 평가한다. As containerized maritime transport began in earnest, the size of container ships has steadily increased, and recently, the operation of 24,000 TEU-class vessels has become regular. However, concerns about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such mega container ships from a port operational perspective have continued to be raised. The 10th Busan International Port Conference requested an in-depth study on the trends of container ship enlargement by analyzing the order status of ultra-large container ships from major global liners. Generally, the factor that drives the upsizing of ships is the realization of economies of scale that lowers transportation costs per TEU, which leads to a higher level of cost reduction per unit transportation compared to the increase in fuel consumption due to transporting large amounts of cargo with a single ship. However,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is trend of container vessel enlargement is feasible for port oper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roductivity and efficeiency of different ship sizes to evaluate the effect of ship size on port op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