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발전소 고온부의 수명 평가를 위한 소형 시편용 크리프 시험기의 개발

        김효진,정용근,박종진,Kim, Hyo-Jin,Jeong, Yong-Geun,Park, Jong-Jin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4 No.10

        The most effective means of evaluating remaining life is through the creep testing of samples removed from the component. But sampling of large specimen from in-service component is actually impossible. So, sampling device and small-specimen creep tester have been applied. Sampling device has been devised to extract mechanically small samples by hemispherical, diamond -coated cutter from the surface of turbine rotor bores and thick-walled pipes without subsequent weld repairs requiring post weld heat treatment. A method of manufacturing small creep specimen, 2min gage diameter and 10min gage length, using electron beam welding to attach grip section, has been proven. Small-specimen creep tester has been designed to control atmosphere to prevent stress increment by oxidation during experiment. To determine whether the small specimens successfully reproduce the behavior of large specimens, creep rupture tests for small and large specimens have been performed at identical conditions. Creep rupture times based on small specimens have closely agreed within 5% error compared with that of large specimen. The errors in rupture time have decreased at longer test period. This comparison validates the procedure for fabricating and testing on small specimen. This technique offers potential as an efficient method for remaining life assessment by direct sampling from in -service high temperature components.

      • KCI등재후보

        하이브리드 에너지하베스팅 블록의 성능개선 및 발전성능 평가

        김효진,박지영,진규남,Kim, Hyo-Jin,Park, Ji-Young,Jin, Kyu-Nam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6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7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ybrid energy harvesting block merge the vibrations and the pressure 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y. Th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of the energy block improved in this manner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energy performance of the products previously developed. In previous models, the center has placed a piezoelectric, the two sides had arranged a vibration applying electromagnetic inducing type. Improved model was disposed three in a row of three unit modules for one block. We change the design in the following way. That is, a unit module has been placed the upper piezoelectric body, the lower portion were arranged three electron donation. In laboratory conditions, th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of the improved energy block is as follows. Once when the vibration, power generation was determined to 1.066W. When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up to 235%. When the vibration in a row 5, power generation was determined to 1.830W. When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the performance is improved to 177%. The purpose of developing a hybrid energy block is intended to produce electricity by the pressure and vibration when a vehicle passes through the energy block installed in the car park the mouth portion. Electricity produced will try to take advantage of for the purpose of operating a guiding beacon and LED signage in the parking lot entrance.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need in the experiment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ower generation in the field.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진동과 압력을 병합한 하이브리드 에너지하베스팅 블록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이와 같이 개선된 에너지블록의 발전 성능을 측정하고 앞서 개발된 제품들과의 에너지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전 모델에서는 중앙부에 압전체, 그리고 양측면에 진동인가형 전자기유도부를 배치했었다. 개선모델은 하나의 블록에 세 개의 단위모듈을 연속으로 배치하였다. 하나의 단위모듈의 상부에는 압전체를, 하부에는 세 개의 전자기부를 두는 방식으로 설계 변경하였다. 이와 같이 개선된 에너지블록에 대한 실험실 조건에서의 발전성능 평가결과, 1회 연속 가신 시에는 1.066W로 선행 대비 235%, 5회 연속 가진 시에는 1.830W로 선행대비 177%의 성능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이브리드 에너지블록의 개발목적은 주차장 출입부에 설치하여 차량이 에너지블록을 통과할 때 압력과 진동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때 생산되는 전기는 주차장 출입구에 경광등과 LED 안내전광판 가동용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실제 주차장에 설치를 통한 실험실조건과 실제조건에서의 발전성능을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소유주지배 및 계열광고회사 보유가 광고비지출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김효진 ( Kim Hyo-jin ) 한국세무회계학회 2021 세무회계연구 Vol.- No.70

        [연구목적] 광고비 회계처리는 계열광고회사를 통한 비정상적 활용 등 상대적으로 경영자의 재량적 의지에 의해 의사결정이 가능한 항목이므로, 과연 광고비지출의 동기를 설명할 수 있는 소유지배구조가 기업의 수익성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소유주지배와 계열광고회사 보유가 광고비지출의 수익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광고비지출 및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유가증권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외환위기 이후인 2000년부터 2019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한다. [연구결과]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소유주지배는 경영자지배에 비해 광고비지출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열광고회사를 보유한 그룹의 소속기업에서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광고비지출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계열광고회사에 대한 지배주주의 지분율은 광고비지출에 영향을 미치지만(김효진과 이기훈, 2015) 계열광고회사 보유 자체가 광고비지출을 늘리게 하는 요소는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우선 광고비지출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광고비지출이 증가할수록 기업의 수익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익성이 높은 기업에서 재량적 지출을 높이는 현상에 의한 착시효과일 수도 있다. 따라서 기업소유구조가 광고비지출의 수익성에 미치는 추가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유주지배 변수와 광고비지출의 상호변수를 활용한 분석결과, 소유주지배 기업의 경우 광고비지출과 수익성간의 양(+)의 관련성이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소유주지배 기업의 경우 광고비지출을 활용한 이익극대화보다는 상대적 특권적소비 동기를 엿볼 수 있다. 셋째, 계열광고회사 보유를 나타내는 더미변수와 광고비지출간 상호변수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계열광고회사를 보유한 대규모기업집단 소속기업의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광고비지출과 수익성간 양(+)의 관련성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계열광고회사를 통해 광고비지출 회계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김효진과 이기훈(2015)의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를 통해 기업소유구조 및 계열광고회사가 광고비지출의 수익성에 미치는 구조적 역학관계를 도출한다면, 소유지배구조가 광고비지출의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 요소임을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모바일을 이용한 광고의 형태 다양화와 함께 광고비지출의 수익성 형태가 변화하는 가운데 계열광고회사를 활용한 회계처리가 이슈가 되고 있는 시기에 그 영향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기업지배구조 관련 정책결정자와 잠재적 투자자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owner-Controlled and inhouse agency affects the associations between advertisement expenditures and profitability (ROA). The majority of prior advertisement expenditure related research have investigated the impa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firms on the amount of advertisement expenses. There were not sufficient study about the impacts of corporate ownership/governance structure on the associations between advertisement expenditures and profitability.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s whether firms with an owner-controlled system and/or a manager - controlled system and firms with an inhouse agency spend more money to advertisement expenditures and firms with an owner-controlled system exert the influence on the return of entertainment expenses. [Methodology] The final sampl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consist of 8,436 firm-year data, selected from the KRX listed firms of the fiscal year during 2000-2019. In this study, Advertisement expenditure is measured as the sum of advertisement expenses and employee benefits. OverAdvertisement expenditure is measured as the exceed amount against the industry average of an advertisement expense across industries. [Findings] The empirical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nies with an owner-controlled system have spent more amount of money to advertisement expenditure than the companies with a manager - controlled system. By the way, the firms with the inhouse agency have spent less amount of money to advertisement expenses than the firms without an inhouse agency.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advertisement expenditures and ROA are significantly positive. However,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advertisement expenses and ROA would be relieved with an owner - controlled system compare to a manager-controlled syste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fitability of advertisement expenditures would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corporate ownership/governance structure. Third,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advertisement expenditures and ROA would be weakened with an inhouse agency compare to without an inhouse agency.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profitability of advertisement expenses is relatively lower in the firms with an inhouse agency and support the arguement that an existence of inhouse agency and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structure affect advertising expenses as a tool of accounting choice with related party transactions. These results show that advertisement expenses could be utilized as the means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opportunistic action in the perspective of related party internal transactions (Kim and Lee, 2015). [Implications] I can argue that controlling shareholders’ (or managers’) perquisites consumptions using advertisement expenses could be strengthened by the owner-controlled system and an existence of related advertising company (inhouse agency) in Korea.

      • KCI등재후보

        하이브리드 에너지하베스팅 블록의 차량주행 발전성능 평가

        김효진,박지영,진규남,노명현,Kim, Hyo-Jin,Park, Ji-Young,Jin, Kyu-Nam,Noh, Myung-Hyu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6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7 No.4

        이 연구는 평소에 주변에 상존하지만 버려지는 미활용 에너지를 수확하여 전기로 생산하는 에너지하베스팅에 관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에너지원들 중에서 도로나 주차장을 주행하는 차량의 진동과 압력을 동시에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에너지 하베스터를 개발하였다. 1단계 연구에서는 프로토타입 에너지하베스터, 이를 개선된 하이브리드 모듈, 그리고 하이브리드 모듈의 성능을 개선한 최종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그 결과는 이전 논문으로 발표하였다. 본 논문은 최종 개발된 하이브리드 모듈을 실제 주차장에 설치하여 차량의 주행에 따른 압력과 진동, 그리고 차량주행 속도에 따른 발전성능을 측정하고 앞서 발표된 실험실 조건에서의 측정결과와 비교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수행한 실험실 조건에서의 에너지블록의 최대전력은 1회 가진시 1.066W, 5회연속 가진시 1.830W로 측정되었다. 반면에 이 연구에서 실시한 실제 주차장 주행차량 속도별 측정결과는 5km/h 주행시 평균 0.310W, 10km/h에서 0.670W, 20km/h에서 1.250W, 30km/h에서 2.1600W로 측정되었다. 즉, 차량의 주행속도가 높을수록 발전성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실조건에 대비해서 주행속도 20km/h까지는 발전성능이 떨어지며, 실험실 조건의 1회 가진시 대비해서는 20km/h이상, 그리고 5회연속가진에 대비해서는 30km/h 이상일 때 발전성능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실험실과 실제차량이라는 재하조건의 차이로 사료된다. 따라서 향후 도로용 에너지블록의 적용은 주차장 조건보다는 주행도로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Energy harvesting technique is to utilize energy that is always present but wasted.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the energy harvester of the hybrid method utilizing both vibration and pressure of the vehicle traveling a road or parking lot. In the previous study, we have developed a prototype energy harvester, improved hybrid energy harvester, and developed a final product that offers improved performance in the hybrid module. The results were published in the previous paper. In this study, we installed the finally developed hybrid module in the actual parking lot. And we measured th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due to pressure and vibration, and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nd we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obtained in laboratory conditions. In a previous study performed in laboratory conditions the maximum power of the energy block was 1.066W when one single time of vibration, and 1.830W when succession with 5 times. On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we obtained the average power output of 0.310W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t an average 5 km/h, 0.670W when at an average 10 km/h, and 1.250W when at an average 20 km/h, and 2.160W when at an average 5 km/h. That is, the higher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has increased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However, when compared to laboratory conditions, th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of the energy block in driving speed by 20km/h was lower than those in laboratory conditions. In addition, when compared to one time of vibration of laboratory conditions,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was higher when the running speed 20km/h or more and when five consecutive times in laboratory conditions, it was higher when the running speed 30km/h or more. It could be caused by a difference of load conditions between the laboratory and the actual vehicle. Thus, applying the energy block on the road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that on the parking lot.

      • KCI등재후보

        하이브리드 에너지하베스팅 블록 개발 및 발전성능 평가

        김효진,박지영,진규남,노명현,Kim, Hyo-Jin,Park, Ji-Young,Jin, Kyu-Nam,Noh, Myung-Hyu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4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5 No.2

        이 연구에서는 주택과 도시 시설물에 적용이 가능하고, 시설물의 수요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하이브리드형 에너지블록을 압전과 전자기 유도방식을 동시에 활용하여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에너지하베스팅 블록의 종류별 특성과 요구조건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에너지블록의 개선방향 및 적용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방안에 따라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프로토타입 에너지블록의 특성 및 성능과 이 연구에서 개발된 하이브리드 에너지블록과의 성능을 비교분석 하였다. 비교결과, 하이브리드 에너지 블록이 기존 프로토타입에 비하여 1회 가진 시 12.7배, 그리고 5회 연속가진 시 28.9배의 출력을 나타냈다. 이는 연구목적인 W급의 전기에너지 생산목적에 부합되는 것으로, 주택 및 도시시설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ybrid energy blocks with piezoelectric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developed energy block is able to be applied to the housing and facilities in the city and is suitable to adjust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To develop the hybrid energy block,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various energy block types and drew improvement and application method to develop energy block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energy blocks and the developed hybrid energy blocks. According to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developed energy block shows higher performance of 12.7 times for adding one vibration and 28.9 times for five consecutive vibrations than that of a existing prototype energy block. This is consistent with research purposes for W-level electrical energy production. Thus, the new energy block will likely be possible to apply to the housing and urban facility.

      • KCI등재

        금융기관 보고이익의 정보유용성에 대한 연구 : K-IFRS 1109를 중심으로

        김효진 ( Kim Hyo-jin ) 한국세무회계학회 2020 세무회계연구 Vol.0 No.65

        [연구목적] IFRS 도입 이후 금융규제상 의무공시대상인 금융기관의 대손준비금조정후순이익이 회계기준상 당기순이익과 함께 재무제표에 공시된다. 정보이용자가 두 개의 정보에 대한 혼란 없이 정보를 획득한다면 표현충실성 관점에서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이익이 동시에 보고되는 경우 정보이용자는 오히려 혼란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이익정보가 정보이용자에게 증분적인 유용성을 제공하는지 정보유용성 시각에서 검증한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K-IFRS 도입 후 2011년부터 K-IFRS 제1109호 적용 두 번째 해인 2019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하고, 정보유용성의 측정치로 가치 관련성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연구결과] 실증분석결과, 당기순이익을 설명변수로 하는 모형의 설명력과 조정후순이익을 독립변수로 하는 모형의 설명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보고이익 변수 와 그 변화분을 설명변수로 하여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상대적 정보유용성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간을 구분하여 K-IFRS 제1109호 적용 전인 2011년~2017년까지 기간을 대상으로 상대 적 정보유용성을 분석한 결과, 회계기준상당기순이익에 비해 조정후순이익의 정보유용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1109호 적용에 따라 기대손실모형으로 회귀한 2018년~2019년 기간에는 여전히 회계기준상 당기순이익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조정후순 이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간별로 두 보고이익의 상대적 정보유 용성이 일관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당기순이익 및 조정후순이익을 함께 공시하면 시장에 혼란을 야기하여, 장부금액 등 정보유용성이 함께 감소함으로써 회계 정보의 가치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는 선행연구(김효진과 이기훈, 2016)의 주장과 일관된다. 서로 다른 이익정보의 공시 형태가 정보이용자에게 오히려 혼란을 야기하여 유용성을 증가시키지 못한다면, 회계기준과 금융규제상의 보고이익은 통일되어야 함을 시사함으로 써 K-IFRS 제1109호에 의한 기대손실모형으로의 회귀를 지지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IFRS 도입 후 당기순이익과 조정후순이익이라는 두 가지 이익 의 정보유용성을 비교함으로써 회계이익과 비회계이익의 동시 공시가 시장에서 유용성을 제 고하는지 검증하고, 이를 통해 K-IFRS 제1109호의 타당성을 검토함으로써 회계기준 입안 자 및 금융감독기구와 투자자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라 기대한다. [Purpose] The adoption of IFRS by Korean banks resulted in the reporting of non-GAAP adjustments to IFRS net income and book values of equity because of two different regulations-accounting standards and supervisory regulations. The banks are required to apply IFRS when they prepare financial statements, yet they also must comply with the supervisory regulations. The non-GAAP adjustments to IFRS income and book values must be reported on the financial statements simultaneously. Consequently, a conflict may be emerged because the market participants could be confused with different two incomes. This study examines the incremental information-usefulness of these simultaneous disclosure of two different reported earnings and adjustments to equity market participants over IFRSbased net income and book values of equity. [Methodology] This study directly measure the incremental information-usefulness of the non-GAAP adjustments over IFRS-based income and book values by including the non- GAAP adjustments as additional, independent variables in a single model. I measure the net income adjustment as the provision of regulatory reserve for additional loan losses for the current year and the book value adjustment as the regulatory reserve for additional loan losses at the end of the current year. The IASB pronounced IFRS 9 which supersedes IAS 39 and replaces the incurred-loss model with the expected credit loss model. The expected credit loss model becomes effective beginning in 2018 again. Therefore, I examine the relative information-usefulness between Ex-ante and Ex-post of IFRS 9. [Findings] This study shows that the non-GAAP adjustments to IFRS net income do not have incremental information-usefulness over IFRS-based net income. I document that the disclosure period lacks consistent information-usefulness. My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Kim and Lee (2016) which shows that non-GAAP book value has lower value-relevance than IFRS-based book value. I fail to support the hypothesis which states that a simultaneous disclosure of two reported earnings has incremental information-usefulness relatively. [Implications] My findings have policy implications as well. Even though the non-GAAP adjustments contribute to making banks’ IFRS-based financial statements compliant with the banking supervisory regulations, their impact on the capital markets is trivial without significant incremental information-usefulness. My findings raise a cost-effectiveness issue from a policy point of view, specifically based on IFRS 9 and empirically support the transition to expected credit loss model.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Korean banks and may not be generalizable to other jurisdictions.

      • SCOPUSKCI등재

        글로우방전 원자흡수시스템의 구성 및 최적화에 관한 연구

        김효진,장혜진,이개호,조정환,Kim, Hyo Jin,Jang, Hye Jin,Lee, Gae Ho,Jo, Jeong Hwan 대한화학회 1994 대한화학회지 Vol.38 No.3

        금속시료를 직접분석하기 위하여 원자흡수법에 의한 글로우방전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방전이 일어나는 양극과 음극은 가공성 세라믹을 이용한 arrestor에 의해 분리하였으며, 방전에 영향을 미치는 전류 및 전압, arrestor의 형태, 가스 압력 그리고 가스 흐름 등을 개인용 컴퓨터와 ADC/DAC board 및 RS-232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여러가지 방전에 미치는 실험변수들을 변화시키면서 시료손실속도, 원자흡광도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sputtering 된 후의 시료 표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A glow discharge atomic absorption system for the direct analysis of conducting solid samples has been designed and constructed. An arrestor made of machinable ceramic which is a main component for confining the discharge between cathode and anode is modified to have a better stability in discharge. Discharge voltage or current, shape of arrestor, pressure, and gas flow rate can be controlled by an ADC/DAC board with a personal computer. The effect of discharge parameters such as discharge voltage, pressure, and gas flow rate on the sample loss rate, absorbance, and the surface morphology of sample by SEM has been studied to find optimum discharge conditions.

      • KCI등재

        한국 고유의 품종을 이용한 제초제 저항성 유채 개발

        김효진,이혜진,고영삼,노경희,이영화,장영석,서미정,Kim, Hyo-Jin,Lee, Hye-Jin,Go, Young-Sam,Roh, Kyung-Hee,Lee, Young-Hwa,Jang, Young-Seok,Suh, Mi-Chung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0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7 No.3

        화석에너지의 고갈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재생 가능한 식물자원으로부터 바이오에너지를 얻고자 하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바이오디젤의 원료로 사용 되기 적합한 형질전환이 된 유채를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로 한국 고유 유채 품종을 이용한 형질전환 체계를 구축하였다. 내한, 영산, 탐미, 한라 유채의 종자를 분양 받아 지방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종자의 약 32-40% 식물성 오일이 포함되어 있었고, 그 중 올레인산의 함량은 60mole%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오일 함량 및 올레인산 함량이 높고, 형질전환 효율이 비교적 높은 한라 유채품종이 그리고 $\beta$-glucuronidase (GUS)와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PAT) 유전자가 포함된 pCAM-BIA3301 벡터가 도입된 Agrobacterium tumefaciens GV3101균주가 형질전환에 사용되었다. 형질전환이 된 유채 식물체는 제초제에 대한 내성, PCR을 이용한 PAT 유전자의 도입 여부 및 GUS 활성 분석을 통하여 선별하였다. 그 결과 한라 유채의 경우, 10. 4% 형질전환 효율을 보였고, 제초제 저항성이 다음 세대 ($T_1$ 식물체)로 안정되게 유전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바이오디젤 원료로 사용될 다양한 유채 품종에 교배를 통해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를 쉽게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n interest in the production of seed-oil based fuel and raw materials, which comes from renewable plant sources, has been intrigued by the phenomenon of global warming and shortage of fossil fuels. Rapeseed (Brassica napus) is the most important oilseed crop, which produces seeds with 40% oil. It is desirable to develop genetically modified rapeseed producing oils, which can be easily converted to biodiesel. As an initial step for development of genetically modified rapeseed for the production of biofuels or bio-based materials, Korean rapeseed cultivars, Naehan, Youngsan, Tammi and Halla, were analyzed. Four Korean rapeseed cultivars produce 32 to 40% oil of seed dry weight, which is rich in oleic acid (more than 60 mole%). The cotyledonary petioles of rapeseed cultivar, Halla, were transformed us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 GV3101, carrying the uidA gene encoding $\beta$-glucuronidase (GUS) as a reporter gene and the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PAT) gene as a selectable marker. The stable integration of PAT gene in the genome of transgenic rapeseeds was confirmed by PCR analysis. Expression of uidA gene in various rapeseed organs was determined by fluorometric assay and histochemical staining. Transformation efficiency of a Korean rapeseed Halla cultivar was 10.4%. Genetic inheritance of transgenes was confirmed in $T_2$ generation.

      • SCIESCOPUSKCI등재

        키틴분해효소를 분비하는 형질전환 Bacillus subtilis의 사료내 첨가가 비육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혈액성상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효진,조진호,진영걸,유종상,왕원,황염,김인호,Kim, Hyo-Jin,Cho, Jin-Ho,Chen, Ying-Jie,Yoo, Jong-Sang,Wang, Yuan,Huang, Yan,Kim, In-Ho 한국축산식품학회 2008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8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with transgenic Bacillus subtilis secreting chitinase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characteristics and carcass traits in finishing pigs. A total of sixty-four pigs ($50.82{\pm}0.82kg$, average initial body weight) were assessed over a period of 84 days.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CON (basal diet without antibiotics), 2) AD (basal diet + 0.1% Virginiamycin), 3) CD0.5 (basal diet + 0.5% transgenic B. subtilis), 4) CD1.0 (basal diet + 1.0% transgenic B. subtilis). Each dietary treatment had 4 replicates of 4 pigs per pen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In terms of growth performance, the ADG (average daily gain) and gain/feed ratio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CD1.0 diet compared to the AD diet during weeks 0-4 (p<0.05). During weeks 4-8, the AD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AD diet compared to the CON and CD0.5 diets (p<0.05). The ADFI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AD diet compared to the other diets (p<0.05). During weeks $8{\sim}12$, the ADF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CON diet compared to the other diets (p<0.05), and the gain/feed ratio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CD0.5 and CD1.0 diets compared to the AD diet (p<0.05). Over the entire 84 day test period, the ADF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AD diet compared to the CD0.5 and CD1.0 diets (p<0.05). The gain/feed ratio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CD0.5 and CD1.0 diets compared to the CON diet (p<0.05). In terms of meat color, the L valu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CD0.5 diet compared to the CON and AD diets (p<0.05), and the a valu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CON diet compared to the other diets (p<0.05). In terms of sensory evaluation, meat color was significantly improved with the CON, CD0.5 and CD1.0 diets compared to the AD diet (p<0.05). Marbl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CON diet compared to the other diets (p<0.05). Firm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CD0.5 diet compared to the AD diet (p<0.05).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with transformed B. subtilis secreting chitinase improved gain/feed ratios and influenced meat color. Thus, we suggest that transformed B. subtilis secreting chitinase can partially substitute for antibio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