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 지대치 삭제시 축면 경사각과 만곡 반경에 대한 조사

        김혜은,우이형,배아란,김형섭,Kim, Hye-Eun,Woo, Yi-Hyung,Pae, Ah-Ran,Kim, Hyeong-Seob 대한치과보철학회 201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9 No.1

        연구 목적: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위한 치아 형성이 실제 임상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조사하고 향후 치아 형성에 대한 교육 자료 및 추가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지르코니아 치관 제작을 위해 milling center에 보내진 모형을 조사하여 Lava CAD/CAM System으로 스캔 한 후 'ImageJ' 프로그램 상에서 측정하여,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각 치아마다 근원심면과 협설면에서의 축면 경사각을 측정하였다. 또한, 견치를 제외한 전치에서 절단연 0.4 mm 하방 부위의 bucco-lingual diameter 측정하였다. 결과 및 결론: 실험군 내에서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은 $18.67^{\circ}$로 문헌에서 추천하는 각도 보다 크게 나타났다. 지르코니아 완전도재관의 지대치 형성 시 축면 경사각은 협설과 근원심면, 악궁 내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Peak 0.4의 평균값은 1.18 mm로 밀링버의 최소직경을 고려한 요구조건인 0.8 mm 보다 큰 값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각 부위 rounding 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how teeth for restoration is made in a clinical practice and utilize it as future educational material of teeth formation and basic data for additional research. Materials and methods: This experiment investigated the models sent to milling center for production of zirconia crowns. After scanned with Lava CAD/CAM System (3M ESPE, Seefeld, Germany), they are measured on 'ImageJ (version 1.32j,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A)' program and compared and analyzed. Convergence angle from mesio-distal surfaces and bucco-lingual surfaces of each teeth are measured. Also, bucco-lingual diameter of the region lowered as much as 0.4 mm from incisal edge in anterior teeth except canines.(This measure is defined as the Peak 0.4) The analysis of data between each group was conducted by Windows SPSS statistic program, and was proved significant on 95% confidence level by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analysis (Sheff${\'{e}}$ test). Results: The mean value of convergence angle was $18.67^{\circ}$ It is ranked as molar ($26.70^{\circ}$) > premolar ($16.87^{\circ}$) > anterior teeth ($14.81^{\circ}$) in the order of mesio-distal convergence angle; anterior teeth ($22.32^{\circ}$) > molar ($20.93^{\circ}$) > premolar ($15.41^{\circ}$) in the order of bucco-lingual convergence angle. The mean value of Peak 0.4 was 1.18 mm. Conclusion: Convergence angle of abutment of zirconia all ceramic crown has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ocation in the arch. Due to the nature of production of zirconia all ceramic crown, convergence angle of abutment and line angle finishing degree can have an effect on internal suitability of restoration.

      • KCI등재

        한의학 증상용어의 형태소 분석을 위한 자연어 표기 분석

        김혜은,성호경,엄동명,이충열,이병욱,Kim, Hye-Eun,Sung, Ho-Kyung,Eom, Dong-Myung,Lee, Choong-Yeol,Lee, Byung-Wook 대한예방한의학회 2013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7 No.2

        Objectives : In many cases, patient's symptoms have been recorded on EMR in natural language instead of medical terminologies. It is possible to build a database by analyzing the symptoms of Korean Medicine(KM) that indicates patient's symptoms in natural language. Using the database, when doctors record patient's symptoms on EMR in natural language, conversely it'll be also possible to extract the symptoms of KM from those natural language. The database will enhance the value of EMR as a medical data. Methods : In this study, we aimed to make data structure of the terminologies that represent the symptoms of KM. The data structure is combinations of smallest unit in natural language. We made the database by analyzing morpheme of the natural language to express the symptoms of KM. Results & Conclusions : By classifying the natural language in 15 features, we made the structure of concept and the data available for morphological analysis.

      • KCI등재

        2000년대 이후 남성복에 나타난 타이포그래피의 유형과 특성 연구

        김혜은 ( Kim Hye Eu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의상에 활발히 사용되는 타이포그래피 중 2000년대 이후 남성복에서 사용된 타이포그래피를 유형별로 분석해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는 문헌연구와 2000년 S/S부터 2017년 F/W까지 사례 분석을 통해 남성복에서의 타이포그래피의 유형을 정리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형은 브랜드 이미지를 강조해 브랜드 정체성 표현, 사회적 메시지와 디자이너의 생각을 표현하는 사회 문화적 의미 전달, 텍스트성보다는 조형적 요소를 강조한 이미지 사용으로 나뉠 수 있고 이는 여성복 위주의 현대 패션과 아트웨어를 연구한 선행연구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00년대 이후 남성복에 나타난 타이포그래피의 유형 분석을 통해 도출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복에서의 타이포그래피는 사용 목적에 따른 표현의 합목적성을 가진다. 목적에 따라 이미지성, 텍스트성을 강조한다. 둘째, 유형의 복합성을 가진다. 타이포그래피 사용 유형이 하나 이상 복합적으로 사용된다. 셋째, 기호의 상징성을 갖는다. 언어 문자는 사회에서 약속한 기호로 의미를 가진다. 이와 같이 사용된 타이포그래피는 텍스트성이 강조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이미지성이 강조된다. 넷째, 표현의 유희성을 갖는다. 현대 사회의 특성으로 유희의 추구는 타이포그래피에도 나타나 문자나 이미지를 사용해 유희성을 강조한다. 다섯째, 개성을 표현하는데 유용한 요소이다. 의상의 기능 중 하나인 개성의 추구는 타이포그래피를 통해 디자이너의 개성을 추구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처럼 타이포그래피는 문자를 바탕으로 텍스트성과 이미지성을 통해 의미 전달, 패션의 미적 측면을 충족시켜 의상에 신선함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패션디자인의 유용한 장식 요소이다. 본 연구는 타이포그래피 의류제품 기획과 디자인 자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현대 남성복에서의 타이포그래피의 위상과 가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se the types of typography in order to identify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menswear since the 2000s. Research method includes a literature study about typography and case analysis from 2000 Spring/Summer to 2017 Fall/Winter menswear collections. Through it, the types of typography in menswear are clarifi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drawn. The types of typography are verified as the expression of brand identity by highlighting a brand image, the conveyance of socio-cultural meaning by expressing social messages or designers` thoughts and the usage as image by emphasiz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extuality. This analysis can be similar to precedent researches which focus more on contemporary womenswear and art wear.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ly, the expression of typography fits to objective as text or image. Secondly, some typography is too complex to be figured out as one type. Thirdly, the typography has symbolic meaning as language or brand. Fourthly, the expression is humorous and playful. Finally, the typography gives aid to the expression of personality of designers and wearers efficiently. It can be concluded that typography delivers the meaning and fulfills the aesthetic qualities through text image and finally it is useful decorative elements in fashion design by giving freshness and persona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ashion products planning. Further, it can be an opportunity to figure out status and values of typography in contemporary menswear.

      • KCI등재

        번역시가로서의 소악부 형성 과정과 번역 방식 고찰

        김혜은 ( Hye Eun Kim ) 한국시가학회 2011 韓國 詩歌硏究 Vol.31 No.-

        본고는 번역시가로서의 소악부 형성 과정과 번역 방식을 고찰함에 목적이 있다. 먼저 번역시가로서 악부가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 알아보았다. 고려시대 소악부는 유우석의 <죽지사>를 전범으로 하여 민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7언절구 형식의 한역시이다. 원가가 현전하는 소악부를 중심으로 원가와 번역시의 관계를 살펴보면 매우 복합적인 형태로 얽혀 있음을 알 수 있다. 직역과 의역이 한 작품 안에 혼용되어 있기도 하고, 소재를 그대로 차용하는 경우, 좀 더 구체적이거나 비유적인 소재로 바꾸는 경우도 있다. 또한 부대설화와 고려가요 등에서 일부와 그 밖에 관련 소재에서 일부를 취합하여 번역하는 경우도 살펴 보았다. 본고에서 시도한 일련의 작업들로 원가와 번역 작품의 상관관계를 다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원작과의 비교·대조를 통하여 번역작의 특수성을 밝혀낼 수 있다. 하지만 고려시대 소악부만으로는 번역시가의 전면모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원가가 남아 있는 경우가 많지 않아서 번역작들이 갖고 있는 공통적 특질을 가려내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려시대의 번역시가의 구체적인 상을 잡기 위해서는 번역작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와 고려 향가와 한시, 민요와 한역시 문제, 현토와 번역 관계 규명등을 아울러 고찰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들이 축적될 때 비로소 고려시대 번역시가라는 틀이 형성되리라 기대해 본다. Soakbu paper forming process as the translation poetry and as the purpose of discussion is how the translation. First, as the translation poetry, accounting for any location to see what akbu saw. Consider the Yu woo-suk`s soakbu is "Jukjisa" as a model based on a folk song that was created seven mortar type of language is at translatio Chinese poem. Original song`s Current impart soakbu is around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Original song and translating highly complex forms that can be seen as tied. Construe and paraphrase in one piece so there are mixed, and in some cases, accept, and more specifically, if you have or are switching to non-material. Additionally an work from portion if you translate besides troops narrative and Goryeo gayo portion extract one intensive volumetric personality having translations completed with case that also examined. Attempted in this paper are a series of tasks, Original song and multifaceted relationship with translation of the work is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original and translated through the job can see the uniqueness of. Goryeo gayo, but the face of market soakbu alone translation is difficult to pinpoint. If original song is not much left. Accordingly, with translations of works that tries to filter out common trait is a difficult. Therefore, the translation of the Goryeo gayo to catch the image, how the translation of the work scope will be set starting from the issue of Hyangga to consider a Chinese poem, folk song and translation of Chinese poem problems, identifying relationships, etc. In addition, discussion hyeonto and should be translated. These studies considered only when the accumulation period shall be formed frame, hope the translation poetry.

      • KCI등재

        운동성 세균의 환경오염물질 감지를 위한 주화성 분자 기구

        김혜은(Hye-Eun Kim),카토준이치(Junichi Kato),이상호(Sang-Ho Lee),심현우(Hyun-Woo Shim),이창수(Chang-Soo Lee) 한국생물공학회 2009 KSBB Journal Vol.24 No.1

        일반적으로 운동성세균은 영양분에 대하여 유인반응(정주화성)을 보인다는 것은 100여년의 주화성 연구 역사를 통하여 잘 알려져 있다. 그 중에 일부 환경오염물질을 분해 가능한 운동성 세균은 환경오염물질에 까지 유인반응을 보인다. 이 환경오염물질 감지 기능을 잘 활용한다면 ‘환경오염원까지 자발적으로 이동하여 그 화학물질을 분해하는 레이더 탑재형 환경정화세균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환경오염물질 감지를 위한 주화성 분자기구를 정리하고 향후 전망을 논하고자 한다. Chemotaxis is the movement of an organism toward chemical attractant and away from chemical repellents. Several bacteria are known to cometabolically degrade some pollutants and attracted to the pollutants. The chemotactic responses to these compounds influence the efficiency of bioremediation because the first precondition of pollutant degradation is definitely confrontation between microorganisms and pollutants. In this review, we summarize present knowledge of about the chemotactic mechanism to environmental pollutants of Pseudomonas species.

      • KCI등재

        음양을 모티브로 이용한 태권도 격파용 도복 개발

        김혜은(Hye Eun Kim)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24 생활과학연구논총 Vol.28 No.1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국내 영화창작자의 저작인격권 보호 연구 - 성명표시권으로서의 크레딧과 작품에 대한 동일성유지권을 중심으로 -

        김혜은 ( Hye Eun K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2015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Vol.6 No.2

        영화는 예술성과 상업성이라는 양면적인 속성을 가진 문화상품이자 상업예술이다. 수익성이 중요한 산업적 속성 때문인지 영화는 온전한 예술작품으로 인정받지 못하며, 더불어 영화를 만드는 창작자들의 권리 보호에 대한 제도나 논의도 미비한 실정이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한국 영화산업의 보다 큰 발전을 위해, 그것의 기반이 되는 창작인력의 권리보호를 강화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고에서는 창작자의 권리 중에서도 창작자와 불가분적 관계인 저작인격권을 중심으로 다양한 해외의 제도와 사례를 국내 제도 및 사례와 비교, 검토한다. 특히 저작인격권인 ‘성명표시권으로서의 크레딧 문제’와 ‘작품에 대한 동일성유지권’ 위주의 분석을 통해 국내 영화 창작자들의 권리 보호방안을 구체적으로 강구한다. 성명표시권은 저작자가 자신이 그 저작물의 창작자임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이므로 영화에서의 성명표시권 문제는 크레딧 기재 문제라 할 수 있다. 영화를 창작하는데 참여한 사람들 및 단체의 이름과 종류를 밝히는 리스트를 크레딧(credits)이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크레딧 등재를 제작사나 연출감독의 판단에 일방적으로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크레딧과 관련된 부당한 일들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영화 크레딧 제도를 먼저 살펴본 후, 한국 영화 산업의 크레딧 문제를 ‘시나리오 작가와 크레딧’, ‘배우의 크레딧 순서’, ‘감독의 편집권’과 같이 직군별로 분석한다. 동일성유지권이란 저작자가 그의 저작물의 내용, 형식 및 제호의 동일성을 유지할 권리로서, 이미 완성된 작품을 창작자의 의사에 반해 제3자가 변경하지 못하게 할 권리이기도 하다. 영화저작물 고유의 특성상 동일성유지권의 침해문제가 실무에서 자주 제기되는데, 주로 어느 정도의 변형, 수정까지 허용할 것인지가 문제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미국, 프랑스와 국내 사례들을 검토하고, 이 외에 창작자들의 저작인격권 보호를 위한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한다. A film is a form of commercial art with an ambivalent nature: having of both ``artistic`` and ``commercial`` traits. Due to the film industry that emphasizes profitability, a film is not recognized as a complete work of art. Accordingly, systems and discussions to protect the right of film-creators are lacking. However, protecting the right of film-creators is essential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Korean film industry which is competitive on the global stage. This study focuses on the moral right which is inseparable from its owner, and contains reviews of and comparisons between various foreign systems and cases and Korean systems and cases. In particular, this study seeks a specific protection method for film-creators` right through an analysis mainly focused on ``Right to the integrity of works`` and ``Credit issues as a Right of paternity``. ``Right of paternity`` is the right to claim authorship. Therefore, the right of paternity in film is intricately linked with the issue of credit lists. Film credits refer to the list stating the names and roles of people and group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a motion picture. Unfair practices regarding film credits occur occasionally in Korea, as a production company or the film director holds full authority in deciding how to list credits. This paper first looks into foreign credits systems and then examines the Korean credits system by setting an independent topic for each job group such as ``screenwriters and credits``, ``order of credits for actors`` and ``editorial right for directors``. ``Right to integrity`` is the author`s right to maintain a coherent identity throughout a work`s content, form and title. So in other words, it is the right to prohibit modification of a completed work without the author`s consent. Due to the unique nature of films,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integrity happens frequently on the field, and determining the scope to which one will allow modification by third person often becomes a contested issue. Regarding this issue, this study examines cases of U.S, France and Korea and states challenges that will need to be overcome in the future to better protect Korean film-creators` moral rights.

      • KCI등재

        『고려사』「악지」 <속악>조(條)에 실린 노랫말 기사(記寫) 방식 고찰

        김혜은 ( Hye Eun Kim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3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2

        본고에서는 <고려사> 악지 <속악>조에 실린 17작품을 중심으로 이들의 기사 방식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17작품은 이제현의 소악부류인 <오관산><거사련><처용><사리화><장암><제위보><정과정>, 원작 전역의 경우인 한문가요 <풍입송><야심사>, 俚語 생략형인 한문가요 <자하동>, 경기체가 <한림별곡>, 기타 한역시인 <한송정>, <삼장>, <사룡>으로 분류된다. 이렇듯 노랫말이 기사된 방식을 통하여 우리는 첫째, 구어의 운율과 리듬을 최대한 살리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다. <한림별곡><자하동><야심사><풍입송>은 장단구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들은 '가창'과 '구어'를 염두에 둔 작품들이다. 또한 <삼장>과 <사룡>은 엄격한 한시의 형식을 갖춘 절구가 아닌데, 이는 국문가요의 구어적 특질을 반영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번역된 한시의 미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제현의 소악부류와 장진공의 <한송정>은 모두 合律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도는 번역될 장르 중심의 형식적 운율을 우선시했음 알 수 있다. 셋째, 당대 문인들이 가지고 있었던 악부관을 알 수 있다. 경기체가와 한문 가요를 제외한 나머지 작품들을 통해 우리는 민정 문학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민정 문학을 편찬자의 의도에 따라 사서에 싣고자 하는 태도는 곧 ‘악부’에 대한 광의의 실천적 목적이 있었음을 반증한다. 이처럼 속악조에 실린 우리말 노래의 기사 방식은 고려 시대 노래에 관여하고 있는 양식 또는 그 양식을 바라보는 번역자의 시각 등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thesis I try to resume the way of description of 17 articles in 'Goryeosa' Akji aticle of 'sokak'. The 17 articles are categorized by ①Lee Je-hyun's Soackboo version, 'Ohguanshan' 'geosaryun' 'Cheoyong' 'Sarihwa' 'Jangam' 'Jewibau' 'Jeonggwajeong', ②as a whole translation version, Chinese writing song 'Pungipsong' 'Yashimsa', without Rustic lnguage version, Chinese writing song 'Jahadong', Kyunggichega 'Hallymbyeolgok', as another translation in classical Chinese poetry, 'Hansongjeong' 'Samjang' 'Saryong'. In these articles we can notice three things, First, we can find the endeavour that is trying to shift genuine oral rhythm to the text. 'Hallymbyeolgok' 'Jahadong' 'Yashimsa' 'Pungipsong' has Chng-dan-gu form due to concerning about 'Singing', ‘Oral language' also 'Samjang' 'Saryong' are a ‘절구',which does not have a formal form. We can see all of these distinguishing mark coming from the effort to reflect a characteristic of spoken language. Second, we can expect the aesthetic effect. Lee Je-hyun's Soackboo version and Jang Jin-gong's <Hansongjeong> are perfectly matched with formal rhythm. Through these instance, we also see that the formal rhythm is put on the first place in a row of priority. Last, we can catch the sight of the Ackboo of a literary man at those days. Through the last of articles except Kyunggichega and Chinese writing song, we can look around the literature of the people. The editor's intention to shift the literature of the people to history book also disproof there is some kind of practical purpose in a broad sense. Like above, the descriptive manner of korean song reflects a mode which involved Goryeo Dynasty song and a view of translator.

      • KCI등재

        국내 신진패션디자이너의 해외시장 진출 전략 연구 -영국 런던시의 지원 사업을 기초로-

        김혜은 ( Hye Eun Kim ) 한국의류산업학회 2016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8 No.3

        From the year 2000 on, Seoul has aimed to be a fashion city, and thus has been supporting young designers through Seoul Fashion Creative Studio, Generation Next, Le Dome, Concept Korea, etc. London is famous for nurturing young designers through the joint help of government, schools and industries: Alexander McQueen, Christopher Kane and Peter Pilotto are successful case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a direction for policies aimed at helping young designer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on the basis of London’s nurturing programs and ideas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he results are below. Firstly, a step-by-step supporting program is recommended. Secondly, long-lasting, sustainable programs are considered essential to support designers after the end of their contracts. Thirdly, practical assistance is preferred to monetary funding in order to lighten the designers’ lot and in the interests of transparency. The mentoring service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designers to eventually become independent. The support should be tailor-made according to items. Fourthly, the supporting programs should be promoted. Fifthly, government and industries should collaborate. Sixthly, ``de minimis`` against overlapped support should be legislated. For these, the change of supporting method can be helpful;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organisation plans and collects funds from governments and companies. Through these programs and any subsequent studies, Seoul could become a fashion city where young designers play active roles at a global level.

      • KCI등재

        청년의 부모의존동거에 대한 청년과 부모세대의 경험과 인식

        김혜은(Kim, Hye Eun),정소현(Jung, So Hyun),이강민(Lee, Kang Min),황윤서(Hwang, Yoon-Seo),이현정(Lee, Hyun-Jeong) 한국생활과학회 2021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0 No.6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adult children’s parent-dependent cohabiting situation from both young adults living with their parents and their parent generation. In April 2021,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200 young adults and 200 young adults’ parent generation was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1) Parent generation strongly believed that marriage or first employment was an appropriate time for their adult children’s residential independence, whereas the youth strongly perceived financial readiness as the main determinant regardless of life events. (2) Young adults did not favor the justification for residential independence of adult children as much as the parent generation. (3) Both young adults and parent generation perceived that the young adult generation had difficulties in separating, and that financial weakness was the main reason for the difficulties. (4) Both young adults and the parent generation showed low satisfaction with the youth-parent cohabitation and cohabitation was also found to negative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both generations including aggravated housework for parents and frustration of young adults. In conclusion, housing support policies and programs for young people such as expanding the supply of affordable housing and supporting housing expenses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accelerate young people’s residential indepen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