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임산부를 대상으로 한 한국판 어머니됨에 대한 역기능적 태도 척도(AToM)의 타당화 연구

        김해미(Hae-Mi Kim),강수경(Su-Kyoung Kang) 한국아동학회 2019 아동학회지 Vol.40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ockols Attitudes Towards Motherhood Scale (AToM).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34 pregnant women. The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ToM scale were examined, and SPSS 23.0 and Mplus 7.4 were used for all data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12-items were composed of 3-factor structure (beliefs related to others’ judgments, beliefs related to maternal responsibility, beliefs related to maternal role idealization). The 12-item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items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was .86.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3-factor model and the factor loading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Validity analysis showed that general dysfunctional attitudes, pregnancy stress, happiness, and AToM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so criterion validity were verifi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application of the AToM scale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독일통일 이후 일-가족 조화정책과 여성경제활동

        김해순(Kim, Hae-Soon)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3 젠더와 문화 Vol.6 No.2

        본 논문은 독일통일(1990년) 이후 노동시장정책 및 가족지원정책과 연계해 시행된 일-가족 조화정책이 여성경제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하여 연구한 글이다.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독일의 일-가족 조화정책은 여성이 가사노동과 자녀양육을 전담하고 남성은 가족부양자로서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성별분업에 토대를 두고 있다. 성별분업은 여성차별을 내포한 분업구조이다. 여성의 낮은 임금과 고위직의 어려운 진출이 그 예가 되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가족 조화정책은 한계를 보인다. 둘째, 성별에 의거한 노동시장정책은 여성의 노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여성은 서비스분야, 저임금 그리고 시간제 근무에 집중되어 있고 노동시장에 수직적으로 통합되었다. 자녀보육시설이 확보되지 않아 여성은 전일제 근무가 어렵다. 그래서 대부분 여성은 연금이나 사회보험 등에 가입이 어렵고 남편에게 재정적으로 의존한다. 수입이 낮은 여성은 경제적 빈곤과 후에는 노후빈곤을 면치 못한다. 셋째, 일-가족 조화정책은 여성의 증가된 경제활동욕구를 만족시키고 남녀평등을 목적으로 하지만, 그 실현은 아직도 먼 곳에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and women’s employment after the unification of Germany (1990) with a focus on gender segregati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can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First, German work-family balance policy encourages a division of work based on gender segregation. The woman is in charge of housework and care of children. The man is a breadwinner on the labor market. This division of work discriminates against women expressed by low incomes and difficulties in being promoted into high positions.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stands in the way of solving these problems. Second, the labor market policy follows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Women are concentrated in the service sector. They are vertically integrated in the labor market based on gender discrimination: they work in part time, low-wage jobs that often lack pensions and social insurance. They must combine housework and child-care. Child-care facilities have not developed enough to allow women to work full time. Thus they become financially dependent on the husband. Woman with low incomes leads to poverty in their declining years. Third,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does not offer a solution of women’s problems. Gender equality has yet to be fully realized.

      • KCI등재

        증례 : 류마티스 ; 루푸스 환자에서 타크로리무스 사용 후 발생한 원위신세관산증 1예

        김해구 ( Hae Koo Kim ),이지현 ( Ji Hyun Lee ),구인혜 ( In Hye Ku ),강성민 ( Sung Min Kang ),최준설 ( Joon Sul Choi ),김성준 ( Sung Jun Kim )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지 Vol.89 No.4

        신세관산증은 정상 음이온차 대사산증 및 혈중 칼륨농도이상, 신경학적 증상이 특징인 질환으로 드물게 약제나 자가면역질환과 관련되어 발생한다. 저자들은 신경정신루푸스 환자에서 반복적이며 일시적인 근력 저하 및 하지 감각이상 등의 증상을 보여 발작장애의 악화로 생각하여 신경과적 약제를 조절하다 타크로리무스(tacrolimus)에 의한 신세관산증으로 진단한 예를 경험하고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nal tubular acidosis (RTA) refers to a group of disorders involving transport defects in bicarbonate reabsorption or hydrogen excretion. Features like metabolic acidosis with a normal anion gap, neurological symptoms, and electrolyte imbalances indicate RTA. Kidney transplantation, cirrhosis, sickle cell anemia, medications, and autoimmune diseases, particularly Sjogren’s syndrome and rheumatoid arthritis, are related to RTA. We encountered a rare case of a patient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ccompanied by RTA secondary to tacrolimus administration, who had muscle weakness and paralysis. Her symptoms improved after discontinuing tacrolimus and correcting the acidosis and potassium levels. Here, we report on this case and review the relevant literature. (Korean J Med 2015;89:478-481)

      • 농업용수 비상급수를 위한 담수화시스템 실증화 연구

        김해도 ( Haedo Kim ),강석만 ( Seokman Kang ),박종환 ( Jonghwan Park ),이용직 ( Yongjig Lee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최근 물 부족이 발생하고 가뭄이 장기화되어 농작물 피해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공급 대책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2015년도에 발생한 농업적 가뭄의 특성은 산악지형이 잘 발달되어 있는 계곡형 저수지가 위치한 지역보다는 산지로부터의 유입수가 적어 인접한 하천 또는 배수로에서 양수기로 저수지에 물을 공급해야 하는 양수저류형 저수지가 위치한 지역에서 가뭄의 피해가 컸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지역이 충남 등 서남해안 지역과 강화도 같은 도서지역이다. 물론 과거부터 지금까지의 농업기반시설에 대한 투자로 평야부, 도서지역에 장대수로 혹은 양수저수지 등 대규모 기반시설을 설치하여 용수 수요에 잘 대처 하여왔다. 하지만 문제는 작년과 같이 물리적으로 강우가 적게 내린 년도가 몇 년에 걸쳐 발생한다면 지금의 기반시설로서는 용수수요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특히 하천과 바다가 접해 있는 하구역에는 농경지가 매우 발달되어 있는데 강우부족으로 바다로 유출되는 수량 자체가 모자라게 되면 지하수위도 저하되어 지하관정이 염해로 사용 못하게 된다. 특히 도서 및 간척지 염분농도는 내륙에 비해 비교적 높은 편이며, 작물생육 및 수확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콩 및 당근, 상추, 양파와 같은 채소류는 염해에 취약한 작물로서 전기전도도가 700us/cm을 초과하면 작물생육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농업용수 분야에서도 도서지역 및 해안간척지를 대상으로 담수화기술의 적용을 지속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지속시 비상급수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담수화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농업용수에 적합한 기존 담수화설비 공정을 분석하고, 100㎥/일 규모의 파일럿 담수화설비를 제작, 운영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담수화설비는 경제성과 원수의 위치를 고려하여 해수가 아닌 기수(EC 10,000us/cm 이하)수준의 염분 농도가 함유되어 있는 지하수를 대상으로 하였고, 가뭄 상황시 용수공급방법을 고려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담수화 설비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시설도 구비하였다. 현장적용은 김해시에 위치한 밭지역(시설재배)을 대상으로 운영중이며 운영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 중에 있다. 본 연구는 농촌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고 담수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시 사용가능한 대체수자원의 확보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한·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식재산권 관리제도 비교

        김해도(Hae Do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09 기술혁신학회지 Vol.12 No.3

        지난해 신정부 출범과 더불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제도를 연구자 친화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있었다. 그 결과로서 국가연구개발성과물의 지식재산권 단독소유 원칙이 강화되었고 비영리기관이 징수하는 기술료의 정부환수제도가 폐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지식재산권 관리법제는 여전히 많은 모순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특허관리와 관련된 한국과 미국의 제도를 비교 분석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하고 우리나라제도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특히 과학기술기본법 제11조의 위임규정에 따라 제정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의 지식재산권 귀속 및 관리 규정의 제반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관리 효율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공공연구기관의 직무발명 관리제도”와 “국가R&D의 지식재산권 관리제도”를 비교 분석하였고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식재산권 관리제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식재산권 관리제도 선진화를 위해서는 첫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법적 성격이 국제적 기준에 맞게 조정되어야 하고, 둘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적재산권 귀속법제를 개선하고 통일할 필요가 있고, 셋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술료제도에서 규제적 요소를 폐지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With the advance to the knowledge-based economy, science and technology (S&T) has been recognized as key factor in a nation's competitiveness. To cope with this kind of new trend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increase the R&D investment and to streamline acts and regulations concerning national R&D activities. Korea's total R&D expenditure for the year 2007 amounted to about 31.3 trillion won including government R&D of 8.9trillion won. With these efforts the capacity of Korea S&T has made great strides recently. Korea was ranked world's top 7 in R&D investment, top 12 in S&T paper publication and top 4 in patent application. Korean government enacted several pieces of legislation concerning S&T : the “Technology Transfer Promotion Act (1999)”; the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2000)”; and the “Presidential Regulation for Managing the Government R&D Programs (2001).” In addition, the government has put a lot of effort into promoting the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ies developed in public sector and improving the infrastructure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However in spite of these various efforts, the technologies obtained from the public sector have not been transferred to the industry properly. Only 24.2% of technologies developed in the public for the year 2005 were transferred to industry. The royalty revenues of the public for the year 2005 was 1.5% of their total R&D expenditure. It shows only a third of the percentage of royalty revenues for the public sector in the U.S.A. and a second of Europe. There are many obstacles of public technology transfer such as immaturity of technology market, lack of licensing experience, and inadequacy of legal system and government policy. In this study I compared the Korean legislative system of patent management of government R&D outputs with the American system, derived problems from Korean system, and suggested proper altern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