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속의 문화콘텐츠로 활용

        김형근(Kim, Hyung Kun) 실천민속학회 2012 실천민속학연구 Vol.20 No.-

        이 글은 민속을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 중 TV 다큐멘터리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어떻게 민속을 다루고 있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어떻게’라는 방식은 곧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그 영상의 주제의식과 연관된다. 그 주제의식은 단순히 방송을 만드는 PD와 작가만의 의도는 아니다. 끊임없이 시청률을 인식해야 하는 방송 환경상 시청자들이 바라보고자 하는 인식과도 결부된다고 하겠다. 따라서 민속 소재가 TV 다큐멘터리에서 어떻게 다뤄지는가를 살피는 일은 우리 사회가 어떻게 ‘민속’을 바라보고 있는 것과 연관된다. 민속을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를 이 글에서는 1) 사실 전달의 다큐멘터리, 2) 감성 환기의 다큐멘터리, 3) 의미 지향의 다큐멘터리로 분류하여 그 양상과 의미를 말하였다. 가장 기본적으로 사실을 알려줌으로 해서 우리가 잊고 있는, 전승이 끊어지고 있는 우리의 것을 알리며, ‘한국’ 또는 ‘한국인’의 정체성들을 환기시키는 다큐멘터리가 가장 일반적인 제작 방식이었다. 하지만 구성의 단순성과 ‘재미’ 내지 ‘감동’을 찾으려는 시청자에게는 진부함으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그러면서 ‘사실’보다는 ‘감성’의 차원으로 접근하는, 추억과 향수를 전하는 다큐멘터리가 제작된다. 한편으로 사라지는 것의 아쉬움에 그치지 않고, ‘민속’의 가치가 오늘날도 이어질 수 있는 예들을 찾아가며 지속성을 이야기하는 다큐멘터리들도 있다. 이 글은 질 좋은 다큐멘터리가 제작, 방송되지 못한, 경제적 가치에 휘둘리는 방송을 비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다큐멘터리에 민속의 소재를 많이 다룰 것을 촉구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민속’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TV 다큐멘터리 기획자의 고민은 결국 민속학자의 실천적인 고민과도 맞물려 있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writing is focused on TV documentaries among the cultural contents whose subject matter is folklore. This is aimed to deal with how folklore has been dealt with. The method of ‘how’ is related to what thematic consciousness the TV documentaries attempt to convey. Such thematic consciousness is not simply the intention of the producers and authors only who create broadcasting. In terms of the broadcasting environments, in which they need to constantly pay attention to viewer ratings, it can be said that their themes will be linked to the perceptions that the viewer wants to have. Therefore, examining how the subject matter of folklore has been dealt with in TV documentaries is closely connected with how our society looks at ‘folklore.’ In this writing, the documentaries based on folklore are divided into 1) fact-conveying documentaries, 2) emotion-arousing documentaries, and 3) meaningoriented documentaries to discuss their aspects and meaning. The most ordinary documentaries take the form of giving us an awareness of the things that used to be ours, but we have forgotten and have failed to pass down, by informing us of them, and of arousing the identity of ‘Korea’ or ‘Koreans.’ However, they may be considered banal by the viewers who look for the simplicity of composition, ‘fun’ and ‘touching.’ Under such circumstances, people produce the documentaries that touch ‘emotion’ rather than ‘fact’, thus conveying memories and nostalgia. Meanwhile, there are some documentaries searching for the examples that can still hold the values of ‘folklore’ and discussing their continuity, not simply feeling frustrated with the disappearance of folklore. Nevertheless, this writing is not aimed at criticizing the realities of broadcast under the control of economic value where high-quality documentaries are neither produced nor broadcast. Nor does it promote that more subject matters of folklore should appear in documentaries. It simply attempts to confirm our perspectives on ‘folklor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oncerns of TV documentary planners are closely interlocked with the practical concerns of folklorists.

      • KCI등재후보

        동해안 오구굿의 지역 편차

        김형근(Kim Hyung-k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연구 Vol.26 No.-

        무속학계에서 ‘동해안’은 1960년대 후반부터 써왔다. 그 당시 연구 대상이었던 특정 세습무 집단이 군ㆍ시ㆍ도라는 행정 단위를 넘나들며 연행을 하고 있어서 이를 동해안이라고 표현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통합 개념으로서 동해안은 이들 특정 세습무 집단의 활동 지역, 즉 무권역으로서의 의미를 넘어, 이 지역 의례마저도 공통된 것으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실상 동해안이라고 묶여진 지역들에는 각기 고유한 무속 양상이 존재했었다. 현재 동해안 오구굿의 양상은 경북형만을 볼 수 있고, 경남형은 부분적인 제차만을 볼 수 있는 정도에 그쳐 비교의 균형이 맞지 않는 한계가 있다. 또한 강원형과 경북형은 교류 관계가 오래되어 현행 행정 명칭으로 구분해내기가 힘들다. 그럼에도 여기서 구분하여 기술하는 이유는 연행자들이 강원도식, 경상북도식이라는 관념을 분명히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동해안 오구굿’의 동해안 개념은 30년 밖에 안된 것이다. 그 이전의 개념과 실상이 다르다. 동해안이라고 통합되기 전에 이 동해안에는 강원도형, 경상북도형, 경상남도형 오구굿들이 각각 존재하고 연행되었다. 오히려 이보다 더 세부적인 구분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함을 담고 있었는데, 오구굿의 쇠퇴의 길과 함께 전승력이 강했던 경상북도형에 의해 점차 공통화가 이루어졌다. 통합되기 이전 강원도형의 특정은 제마수장단으로 연행된 세존굿과 죽은 망자의 영이 무녀에게 살려 넋두리하는 혼개미에 있었다. 경북형은 무집단의 연행 능력을 보이는 문굿, 바리데기 무가 없이 초망자굿과 유사했던 발원굿, 저승차사 이야기를 구송하는 시무염불이 특정적이었다. 경남형은 바리데기 무가가 방심굿에서 불려지고, 염불의 비중이 높다는 것이 큰 특정이었다. 강원, 경북형이 그 제차의 유사함과 동시에 무악의 유사한데 비해 경남형은 이 둘 모두에 이질적이다. 그러나 제한된 정보량에서 내놓은 결론이어서 앞으로 더욱더 성실한 현장 연구로 보완해야 할부분이 많다. The researches on the east coast Ogugut only have been 30 years since the beginning. Although the shamanism researchers have been using the concept "the east coast"since then, the meaning of this concep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oncept. Before it was all combined as "the east coast," there were individual Ogugut performed by Gangwondo, Gyungsangbookdo, and Gyungsangnamdo. They even can be classified more in detail since each performance contained different characteristics. However, as Ogugut deteriorated, Gyungsangbookdo performance which had the strongest transmission power combined all. Therefore, the current name of "the east coast Ogugut"is an expanded version of Gyungsangbookdo Ogugut. Although it is now performed according to Gyungsangbookdo's characteristics, people still add regional characteristics to their own Ogugut to correspond to the people of each community.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studies on the east coast Ogugut that were somewhat lack in research. It conducted intensive field-work that enabled detailed documentation and analyses on the actual field experience. Also, this study did not stay as a report but conducted a full-scale research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performances of each ritual as well as the structure of the ceremonies of the whole ritual process. Only Pyolshingut has been stood out in this area. However, this study expanded the area of research by clarifying the performance customs and rules of this area by comparing the structures of Pyolshingut to Ogugut which is a different repertory of the shamanic group that performs Pyolshingut.

      • KCI등재

        크런치 운동 시 부수적인 기합 기법과 청각적 격려 적용이 정상인의 복부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 대조 예비 연구

        김형근 ( Hyung Kun Kim ),김창용 ( Chang Yong Kim ),강정현 ( Jeong Hyeon Kang ),김형동 ( Hyeong Dong Kim ) 대한물리의학회 2016 대한물리의학회지 Vol.1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upplementary Ki-hap technique and verbal encouragement on the activation of abdominal muscles during performance of crunch exercise in healthy subjects. METHODS: 93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group, crunch exercise group (CG), crunch exercise with Ki-hap group (CKG), and crunch exercise with Ki-hap and verbal encouragement group (CKVG), with 31 subjects in each group, respectively. The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over three trials in each group, an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each subject by one examiner in three trials. The activation of rectus abdominis (RA), external oblique (EO), and internal oblique (IO) muscles were evaluated using electromyography (EMG) during performance of crunch exercise with non-Ki-hap, Ki-hap and Ki-hap combined with verbal encouragement. RESULTS: Our results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increase in the EMG patterns of all muscles during performance of crunch exercise in the CKG (p<0.05) compared to the CG and CKVG.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crease in the activation of EO and IO muscles in those of the CKVG (p<0.05) compared with the CG. CONCLUSION: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addition of the Ki-hap technique and verbal encouragement during performance of crunch exercise, at the same time, would suggest positive evidence for improving activation of abdominal muscles.

      • KCI등재

        한국무속의 죽음세계 연구

        김형근(Kim Hyung Kun) 한국무속학회 2017 한국무속학 Vol.0 No.34

        한국무속의 죽음관은 다양한 방면에서 해명할 수 있다. 각 무권역마다 다양한 죽음 관련 무속 의례를 규명함으로써 가장 밑바탕을 그려볼 수 있다. 물론 통시적 연구가 함께 뒤따른다면 더욱더 좋겠다. 이런 밑바탕 작업이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되어 있는 지역이 서울, 동해안, 전라도이다. 부족하지만 연구의 성과들이 있는 지역이 남해안과 황해도이다. 하지만 경기도와 제주도는 거의 연구가 없어 장차 연구의 과제 지역이다. 그래서 현단계에서 가능한 전국적 비교 연구는 테마(theme)를 잡아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바로 이런 작업을 시도했다. 불교 명부신앙의 하나인 ‘시왕신앙’이 한국 무속 전반에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지 비교했다. 전국적으로 ‘시왕’은 두루 존재하고 있고, 그 양상 또한 다양하게 보여주고 있어 비교 가능하다. 이를 통해 문화의 수용과 변용을 해명하고,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설명할 수 있다. 불교에서 시왕(十王)신앙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 과정을 살폈다. 그를 통해 시왕신앙은 정통 불교적인 면모보다는 민간신앙적 면모를 살필 수 있었다. 그래서 한국 무속에서도 지장신앙은 좀처럼 유입의 정도가 적으나 시왕은 많이 발견되는 것이다. 한국 무속에서 이러한 불교 시왕이 어떻게 수용되고 변용되었는지 서울, 경기도, 동해안, 경북 내륙, 남해안, 전라도, 제주도 등의 망자천도굿에서 살폈다. 그 양상은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었다. 1) ‘시왕’이라는 용어의 변용, 2) 사후공간을 시왕세계로 인식, 3) 축원무가 구비공식구로의 시왕, 4) 지옥을 관장하는 심판관으로서의 시왕이 그것이다. 적극적으로 시왕을 수용하는 사례는 4)의 사례였다. 개별적인 굿거리 또는 독립적 무가를 가지고 있는 경우인데 동해안 남부의 ‘시왕탄일굿’, 남해안의 ‘시왕탄일굿’, 경북 내륙의 ‘열왕’, 전라남도의 ‘희설’ 등이 그에 해당된다. 하지만 이들 굿거리가 그 지역 오구굿의 핵심적 죽음관은 아니다. 한국 무속에서 망자천도굿은 어디로 갈 것인지의 목적지 보다, 망자의 존재론적 변환을 통해 저승 존재로 자리매김하는 것에 그 요체가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굿과 무당을 담아낸 사각 프레임, 기록과 표현의 간극

        김형근(Kim Hyung-Kun) 한국무속학회 2016 한국무속학 Vol.0 No.33

        이 글은 ‘굿의 대중화’라는 큰 기획 주제 아래 발표된 글이며, 굿과 무당을 촬영한 사진을 대상으로 그 양상과 의미를 살핀 글이다. ‘굿의 대중화’란 굿을 대중들이 널리 하도록 권면하는 의미가 아닌 오랜 기간 한국의 전통문화, 민속이었던, 그리고 지금도 누군가에게는 살아있는 문화인 ‘굿’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알리는 작업이라 생각하며, 이런 작업에 ‘사진’이라는 매체가 기능한바가 있다 생각한다. 굿 또는 무당의 사진은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목적으로 찍어왔다. 현장 기록을 위한 학자 사진, 사진 작품으로서의 작가 사진, 국가기관 용역으로서의 작가 사진, 언론 보도용 기자 사진, 취미로서의 아마추어 작가 사진, 일상 기록으로서의 일반인 사진 등이 그러한 양상이다. 이 글에서는 이중 1) 객관적 기록의 무속사진과 2) 예술적 감각 또는 작가적 해석의 무속 사진을 분석하였다. 객관적 기록의 무속사진에는 민속학자들이 찍은 사진이 대표적인데, 송석하, 임동권, 장주근, 김태곤 등의 사진들이 최근 국립기관에 기증되어 학자와 일반인들에게 공개되고 있다. 이런 사진들은 ‘객관성’을 생명으로 하고 있다. 기술적으로 부족하기도 하겠지만 이런 객관성을 위해 인상적인 과도한 줌의 사용 내지는 아웃포커싱, 색감의 조절은 하지 않는다. 촬영된 장면에 중심 대상과 주변 대상을 함께 잡으면서 맥락을 살린다. 따라서 이런 사진들은 향후 사적인 기록으로서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예술적 감각 또는 작가적 해석의 무속 사진에서는 굿과 무당을 소재로 삼은 김수남, 육명심, 이갑철의 작업을 다루었다. 학자적인 입장에서는 이들의 작업이 충분히 만족스럽지는 못하다 평가한다. 맥락이 없이 텍스트만 있는 형국이며, 그 텍스트마저도 작가정신에 의해 가공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술과 학문은 다른 지향점을 하고 있기에 사실에 충실한 사진을 찍어야만 한다고 주장할 수는 없을 것이다. This text was announced under a big planning subject of the ‘popularization of Shmanism’ and is a text that examined the aspect and meaning of the photo that Gut and shaman were shot. The popularization of Shamanism is a work that informs the value and meaning of Shamanism which was a Korean traditional culture for a long time rather than meaning to encourage the people to carry out Shamanism widely, and which is a living culture to somebody now. This paper addresses the media of ‘photo’ among this work. The photos of Gut or shaman have been shot by various people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scholar photo for the field record, artist photo as the photo work, artist photo as the national agency service, reporter photo for media coverage, amateur artist photo as hobby, and ordinary person photo as the daily record. This text analyzed the 1) shamanism photo of the objective record and 2) shamanism photo of the artistic sense or artist interpretation. The photo shot by the folk scholars is representative among the shamanism photos of the objective record. As the photos by Song Seok-Ha, Lim Dong-kwon, Jang Joo-Keun, and Kim Tae-gon were donated to the national agency recently to be disclosed to scholars and general people. The life of these photos is objectivity. Although it is inadequate technically, the impressive excessive zoom is not used, out-focusing is not used, and the colors are not adjusted for this objectivity. The context is emphasized by capturing the center target and surrounding target together on the shot scene. Therefore, these photos are highly important as the future private record. The shamanism photos of the artistic sense or artist interpretation dealt with the works by Kim Soo-Nam, Yook Myeong-Sim, and Lee Gap-Cheol, which made Gut and shaman a material. Scholars evaluate their works are not fully satisfactory because only the text exists without the context and even that text is processed by the artist spirit. However, since the art and learning aim for different things, it may not be right to argue artists should shoot only the photo faithful to the fact.

      • KCI등재

        무가와 연행 맥락 해석을 통한 경기도 도당굿 ‘군웅’의 성격

        김형근(Kim, Hyung-Kun)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7 No.-

        이 글은 전국의 굿에서 두루 존재하는 ‘군웅’ 신격의 해명을 위한 하나의 단계적 글이다. ‘군웅’은 많은 지역에서 무(武), 군(軍)신으로서 제액을 막아주는 구실을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이기도 하지만, 서울, 경기, 제주도는 그 특수성이 있어서 별도로 다루어야할 사정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서울굿의 ‘군웅’에 대해 의미 해명을 이미 시도하였고, 이번에 경기도 도당굿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하나의 굿거리의 해명은 가장 작은 단위로 무가를 중심으로 한 그 굿거리의 분석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러나 그 굿거리가 전후의 다른 굿거리와 어떤 관계를 맺으면서 한판의 굿으로 완성되는지 그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 아울러 다른 기능의 굿에서는 그 굿거리의 존재 또는 의미 내지는 기능을 비교함으로써 하나의 굿거리 의미를 밝힐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경기도 도당굿에서 군웅굿은 여러 직능신을 개별적으로 모셔 대우하는 ‘각신 대우’의 단계에 존재하고 있다. 굿의 끝부분에 연행되며, 화살 쏘기를 통해 제액방지를 핵심으로 하고 있는 것은 서울의 마을굿인 부군당굿이나 도당굿들에서 보는 보편적인 모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굿거리의 위치나 내용 등이 서울의 마을굿과 유사하지만 그 연행의 모습은 다르다. 경기도 도당굿에서 ‘군웅굿’은 무가에서는 좀처럼 ‘군웅’이 어떤 신격인지 단서를 내주지 않았다. 오히려 연행으로 배치된 ‘활쏘기를 통한 제액 방지’를 통해 마을의 액살을 방지해주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경기도 도당굿은 마을굿이다. 대표적인 개인굿인 도신굿과 새남굿에서는 군웅굿이 조상굿과 같은 굿거리로 때로는 긴밀하게 전후로 연결된 굿거리로 존재하고 있음을 통해 개인굿의 군웅은 ‘조상’관련 신격으로 관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is one of the phases of articles to clarify the “Gunwung(軍雄)” divinity present in shamanistic rituals in Korea. In many regions, “Gunwung” is common in that it plays a role of divinity, general and military, preventing calamity and misfortune; however in its uniquenes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Jeju Island, there is a reason why the divinity has to be dealt with separately. Thus, this researcher already attempted to clarify the meaning of “Gunwung” in Seoulgut, and this research has Dodanggut of Gyeonggi province as its subject. An explanation about gutgeori, or shaman’s performance, starts from analyzing it from its smallest unit, a shaman song (巫歌). But, one must understand the context of how a particular gutgeori makes a relation with another gutgeori to complete one full round of a ritual. In addition, by comparing with the existence, meaning or function of that gutgeori in the ritual of another occasion, one can expec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complete gutgeori. “Gunwunggut” in Dodanggut of Gyeonggi province exists in phases of “treating ministers” in individually serving various functional deity (職能神). It is confirmed that the end of the ritual is performed and misfortune being prevented by shooting an arrow are conventions in Bugundanggut, the Maeulgut of Seoul or Dodanggut. Overall, the location and content of the gutgeori are similar to the Maeulgut of Seoul, but its performance is different. In Dodanggut of Gyeonggi province, gunwunggut’s shaman songs barely hint what divinity “gunwung” is. Rather, it can be known that “preventing misfortune through shooting an arrow” allocated as a performance prevents calamity and misfortune of the village. On the contrary, Dodanggut of Gyeonggi province is a Maeulgut (a well-wishing ritual for a village). In Dosingut and Saenamgut, the representative Gaeingut (a well-wishing ritual for an individual), since gunwunggut, which is treated like a Josanggut (a well-wishing ritual for ancestors), exists as a closely connected gutgeori, it is known that “gunwung” of Gaeingut is regarded as ancestor-related divinity.

      • KCI등재후보

        도시속의 민속콘텐츠 활용양상

        김형근(Kim Hyung-Kun) 실천민속학회 2007 실천민속학연구 Vol.9 No.-

        민속콘텐츠는 민속문화를 콘텐츠화한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본고는 민속콘텐츠르 누가 만드냐를 기준으로 국가ㆍ공공기관과 민간으로 나누어 그 현황을 살펴보았다. 현황과 함께 어떠한 문제점들이 있는지도 보았다. 그 예로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문화원형사업,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향토전자대전 사업,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지식정보 사업, 국립민속박물관이 진행하고 있는 민속아카이브 사업,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의 문화지도 구축 사업의 예로 살펴보았다. 국가나 공공기관에서의 민속콘텐츠 사업을 통해 콘텐츠 사업은 경제 이익을 위한 수단만이 아님을 강조했다. 가치를 창출하는 것도 중요한 이익이고, 그것의 가치를 인정해야 한다고 했다. 민속콘텐츠를 개발하려는 민간의 활동은 저조한 편에 속한다. 국가나 공공기관에 비해서 경제에 더 민감하기 때문이다. 그 중 코리아루트의 활동이 주목된다. 문화는 다채롭고 풍부해지는 것이 미덕이라면 민속콘텐츠를 매개로 한 민속문화의 확산을 위해서는 민속콘텐츠가 많이 만들어지는 것이 좋은 일이다. 따라서 코리아루트와 같은 민속콘텐츠 제작 업체들의 활발한 활동이 기대된다. Folk content can be defined as folk culture that has been made to content. This article has looked into folk content divided into the nation,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citizens, with the standard of who makes it. I have also looked into what kind of problems there are along with the present situation. For example I have examined the cultural archetype business of Korea Culture & Content Agency, digital encyclopedia of Korea local culture busines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knowledge information business of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folk archive business being promote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cultural map construction of Institute of Korean Culture, Korea University. I emphasized through folk content business of the nation or public institutions that content business is not just a means for economical profits. Creating value is also an important profit, and we need to acknowledge the value of it. The work of private citizens who try to develop folk content is pretty inactive. This is because they are more sensitive to economy than the nation or public institutions. Among this Korearoot company's activities are noticeable. If it is a virtue that culture becomes variegated and abundant, it is good that folk content are created for the spread of folk culture with folk content as a medium, Therefore I expect active work from folk content production enterprises like Korearoot.

      • KCI등재

        제주도 <맹감본풀이(□만이본풀이)>의 구조와 의미

        김형근 ( Hyung Kun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0 탐라문화 Vol.0 No.36

        저승사자를 잘 대접한 □만이의 신화로 알려져있는 <맹감본풀이>. 수렵수호신에 대한 본풀이가 될 수도, 액을 막는 의례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무가가 될 수도 있는 복합성이 <맹감본풀이>의 실상이다. 그러나 <맹감본풀이>의 핵심은 `해골`에 있고, 그 해골은 수렵을 직업으로 하는 조상신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래서 실제 본풀이에 부합되는 의례는 `맹감코사`였고, 오늘날 시왕맞이의 액막이 등에 불리는 것은 후대적인 변형이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따라서 <맹감본풀이>의 주목해야 하는 키워드는 `사냥`, `해골`이다. 지금까지 본풀이 연구가 그 서사성의 특징으로 인해 무가 자체만의 연구가 진행되었다면, 이제는 의례와 부합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맹감본풀이>가 저승사자에 대한 본풀이가 될 수 없다는 의례 실상이 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맹감`, `죽음`, `저승사자`라는 카테고리 속에 우리의 인식이 묶여있기 때문이다. 의례의 맥락 속에서 본풀이의 기능과 그 본풀이의 의미가 통하는지 검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런 측면에서 더욱더 제주도 굿 실상에 대한 집중적인 현장 기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Mangambonpuri> known as a myth of samani that treats the death angel well. The complexity of being bonpuri for a hunting patron saint or being a shaman song emphasizing the need of ritual to prevent misfortune is the truth of <Mangambonpuri>. However, the key of <Mangambonpuri> is in `skull` and the skill emphasizes that an ancestor god hunts as a job. So, the ritual suitable to actual bonpuri was `Mangamkosa`(shamanistic ritual for Mangam), and the reason why it is today called as a charm against Siwhangmaji seems to be the transformation of future generations. Therefore, the key words of <Mangambonpuri> are `hunting` and `skull`. If bonpuri studies are conducted only about a shaman song due to its narrative characteristics, now the study suitable to the ritual is required. The reason is that although actual conditions of the ritual say that <Mangambonpuri> cannot be bonpuri, our perception is bonded in the categories such as the death angel, `mangam`, `death`, and `the death angel. It seems to need to verify if the function and the meaning of bonpuri is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ritual. From this perspective, the more intensive field record about gut of Jeju island is required. Jeju island is the last region with live gut and a place where rich myths are handed down, so that `Jeju island bonpuri archive center` needs to be urgently built. Archiving should be made by colleting scattered data and searching the daily disappearing fields.

      • KCI등재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의 전승, 그 원형과 전형 사이 : 부산시무형문화재 기장 오구굿을 대상으로

        김형근(Kim, Hyung-Kun) 동남어문학회 2021 동남어문논집 Vol.1 No.51

        이 연구는 2014년 부산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기장오구굿’의 원형과 전형을 해명한 글이다. 1962년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에서는 문화재의 보존ㆍ관리 및 활용은 원형유지를 기본원칙으로 하였다. 그러나 무형문화는 유형과 다르기에 비로소 2016년 이른바 무형문화재법이 신설되어 과거 ‘원형유지’를 ‘전형유지’로 수정하기에 이른다. 이런 법조항의 개정이 되더라도 무형문화재를 전승하고 있는 현장 내지 전승자들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른다. 그것은 지금까지 문화재의 지정과 전승이 이른바 관리주체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며, 그간 ‘원형’에 대한 고착화된 사고가 주요 요인이었다. 따라서 원형과 전형에 대한 경계 논의, 그를 통해 향후 각 종목들이 어떻게 전승되어가야 하는지는 전승자의 역량으로만 남겨두어서는 변화가 일어날 수 없다. 전문식견을 갖춘 전문가와 현장 전승자, 정책이 함께 숙의하여 최선과 현실의 여건 속에서 변화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시무형문화재인 기장오구굿을 대상으로 원형과 전형의 경계면을 도출시키고, 향후 전승 방향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부산기장오구굿’은 다소 부정확한 명칭으로 ‘부산오구굿’이 더 적확한 표현이다. 이른바 동해안 세습무들이 전승하는 오구굿은 기장 뿐 아니라 부산시 전역, 더 넓게는 강원도 고성에서 부산에 이르는 동해안 일대에 보편적으로 행해진다. 다만 지역적으로 그 세부 유형이 나눠지게 되는 울산과 부산은 동해안 남부형이라 말한다. 무집단은 이를 소위 ‘남대(南帶)’, ‘아랫대’라고 부른다. 이 아랫대의 굿 원형은 우리가 알 수 없다. 남겨진 문헌 및 멀티미디어 자료가 없다. 더 중요하게는 원래의 이 지역 무당들이 소거되었다. 현재의 전승자는 1960-70년대에 아랫대가 아닌 경북 출신 김석출의 자손들이다. 사정이 이러하므로 부산기장오구굿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해안 남대(아랫대)와 안대(또는 웃대)의 차이를 인지해야 한다. 바로 이 논문은 이점을 해명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This study is an explanation of the original form and typical form of “Gijang Ogu-gut”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Busan in 2014. 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enacted in 1962, the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se of cultural properties is the basic principle of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However, since intangible culture is different from the tangible, the so-call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Law was newly established in 2016, leading to amendment of the past “original maintenance” to “typical maintenance”. Even if these laws and regulations are revised, the field or the transferees who are handing dow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do not know what to do. This is because the designation and transmission of cultural properties has been passively carried out by the so-called management entity, and the fixed thinking about the original has been the main factor. Therefore, the discuss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typical, and how each item should be transmitted in the future through it, cannot be changed by leaving only the competence of the conqueror. Cultural property experts, Transmitter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policymakers must deliberate together and change in the best and reality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derives the boundary between original and typical for Gijang Ogu-gut,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Busan, and discusses the direction of future transmission. Busan Gijang Ogu-gut is a somewhat inaccurate name, and Busan Ogu-gut is a more accurate expression. The so-called Ogu-gut, handed down by Seseupmu(hereditary shaman) on the east coast, is commonly practiced not only in Gijang, but also throughout Busan, and more broadly in the eastern coastal area from Goseong, Gangwon-do to Busan. However, it is said that Ulsan and Busan, where the detailed types are divided regionally, are the southern types of the east coast. so-called “Namdae(南帶, southern area). We do not know the archetypes of this lower stage. There are no literature and multimedia materials left. More importantly, the original local shamans were disappered. The current ancestors are the descendants of Kim Seokchul from North Gyeongsang Province in the 1960s and 70s. For this reason,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Busan Gijang Ogu-gut, one must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Namdae(南帶, southern area) and Andae (內帶, Northern area) on the east coas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is 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