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욕시 공립학교에 나타난 배치 특성에 관한 연구 - 맨하튼 가로체계와 외부공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필수,전유창,Kim, Pil-Soo,Jeon, You-Chang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2013 敎育施設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tterns of public school building layout types, open space and relationship with communities in the Manhattan grid plan. The study illustrates how building layout patterns of school facilities are influenced by societal demands in the urban grid environment.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the Island of Manhattan was transformed into a physical representation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via the development of the grid street plan.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streets as urban space, it is quite important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and open space relationships between buildings and streets. Moreover, the strategic planning of schools' outdoor space vitalizes public streets as a critical community anchor. This research reviews 118 Manhattan public schools and categorizes them by (1) building layout type, (2) site type, (3) circulation and public open space, which are the biggest factors that determine the layout patterns of the public schools in Manhatta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layout patterns are classified into seven types : "ㅡ", "L", "ㄷ", "ㅁ", "H", "T" and "other" type. Of these, "ㅡ" type and "L" type occur most frequently, because these configurations most flexibly fit into the limited grid-locked blocks, the various types of site & topography, and adapt most dynamically to the open spaces created by using avenues and streets.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ase study for future efforts to plan open spaces for campuses that effectively utilize the streets in proximity.

      • KCI등재

        뉴욕시 공립학교에 나타난 공용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미첼/지아골라 건축사무소 계획안들을 중심으로-

        김필수,전유창,Kim, Pil-Soo,Jeon, You-Chang 한국교육시설학회 2011 敎育施設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common space of public schools in New York City and how the common space can perform a decisive role in enriching public space not as simply connecting between programs but as common space for a wide range of uses for communities as well as students. This study illustrates with a general design guideline of SCA(School of Construction Authority) and how the rules help the common space as an interactive link between community and site/site and school building/building and outdoor space/outdoor space and lobby in the urban context. Since its founding in New York City, 1958, Mitchell/Giurgola Architects office has dedicated itself to working with institutions and public and private schools for 50 years and has been working with SCA for 10 public schools since 1990. Through five school examples by Mitchell Giurgola architects, the study describes how the office suggests public "place" interweaving inner public space and outer public space through lobbies. A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proposed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on common space in domestic schools by analyzing of positive aspects of SCA school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정의, 규제 경계, 이용자 보호를 중심으로-

        김필수 ( Kim Pil Soo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一鑑法學 Vol.- No.57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과 국회에 계류 중인 토큰증권 가이드라인 관련 자본시장법 및 전자증권법 개정안은 금융관계법령과 기술발전 사이의 간극을 메우기에는 부족하며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제점 중에서 가상자산 정의 조항, 가상자산과 증권 규제 경계, 이용자 보호 관련 조항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법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 주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자산 정의 조항의 문제점과 가상자산과 증권의 규제 경계와 관련한 문제점을 규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의 포괄적인 가상자산의 정의를 가상자산의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인 정의 조항으로 변경한 후 이를 기초로 특성과 위험에 부합하는 규제 체계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규제 경계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금융법제의 정의 조항을 함께 정비하고 기존 금융법제의 규제 공백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규제 경계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랩드토큰(wrapped token)에 대한 규율체계의 정비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가상자산 매도ㆍ매수의 해석과 관련한 논란이 가상자산사업자 규율체계의 모호성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는 점과 이용자(투자자)와 가상자산사업자 간의 법률관계에 적용될 수 있는 법리가 달라지는 원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규명하고 입법적 보완 방안으로서 자금에 대한 정의 규정을 신설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상 이용자 예치금 보호 조항의 문제점을 규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상자산사업자의 이용자 예치금에 관한 자료 관리 의무와 이에 대한 감독을 보다 강화하는 방안, 가상자산사업자가 관리기관 명의의 계좌를 개설하고 관리기관 명의의 계좌에 예치금을 예치하도록 규제하는 방안 등을 이용자 예치금 보호 강화를 위한 대안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넷째,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상 이용자의 가상자산 보호와 관련한 문제점을 규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콜드월렛 보관 의무만으로는 이용자를 보호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유럽연합 암호자산시장규정(MiCA)의 입법례 등을 참고하여 이용자 가상자산에 대한 도산격리를 명시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가상자산 보관ㆍ관리업 진입규제를 높은 수준으로 설정하고 가상자산 보관ㆍ관리업 라이센스를 확보하지 못한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해서는 이용자의 가상자산을 모두 가상자산보관ㆍ관리업자 또는 신탁업자에게 의무적으로 신탁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가상자산사업자로부터 이용자의 가상자산의 보관ㆍ관리를 위탁받은 보관ㆍ관리업자의 법적 책임을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defining virtual assets, the ambiguity surrounding the regulatory scope between virtual assets and securities, and the issues in user protection provisions. It argues for the refinement of the comprehensive definition of virtual assets to better reflect their characteristics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rresponding regulatory framework.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need for revising definition clauses in existing financial laws to minimize regulatory uncertainty and bridge gaps. Moreover, it points out that controversies over the interpretation of buying and selling virtual assets could lead to ambiguity in the regulatory framework for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and suggests defining “funds” as a legislative solution. Furthermore, the study identifies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user deposit protection provisions, proposing measures such as enhanced management obligations and the introduction of account segregation. Finally, it underscores the insufficient protection of user virtual assets and recommends explicit provisions for bankruptcy remoteness and clarifying custodians’ responsibilities, drawing on the example of the EU’s 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 (MiCA). By identifying current issues and suggesting targeted legislative improvement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sound and comprehensive regulatory framework for virtual assets in South Korea.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일본 애니메이션과 K-POP의 확산과정 비교를 통한 K-POP의 성공요인과 위협요인 분석

        김필수(Pil-Soo Kim),김종호(Jong-Ho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7 No.4

        K-POP은 세계적인 관심을 받으면서 2000년 전후 중화권에서 시작되어 아시아권으로 확산되었으며 이후 2000년대 중반부터 북미, 유럽 지역에서도 K-POP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한류의 탈(脫)아시아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애니메이션을 비롯하여 일본 문화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확산된 1970년대와 1980년대는 일본이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며 세계 경제를 이끌던 시기이다. 한국 역시 수출이 증가하고, 경제 강국으로 인정받기 시작한 1990년대 후반부터 한류가 확산되었다는 점에서 일본의 애니메이션 확산과 한류의 확산은 많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 애니메이션의 확산 사례와 K-POP의 확산 사례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K-POP의 성공요인과 위협요인을 분석한 후 K-POP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POP have been spreading quickly from china to asia around 2000 with worldwide interest on it. As the interest of K-POP in north america and europe escalates lately, likelihood and expectation for ‘beyond asia’ of K-POP is very high. Japan had led world economy with rapid economic growth form 1970’s and 1980’s when Japanese culture contents have proliferated worldwide. Global spread of K-POP and Japanese animation is similar in that K-POP diffusion started in late 1990’s when Korea drives export and is recognized as an economic power. Thus this study analyzed success and threat factors anddeduced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growth for K-POP by comparing global spreading process between Japanese animation and K-POP.

      • 대중문화 환경변화에 대응한 한류 지속 확산을 위한 전략

        김필수(Pil-Soo Kim),김종호(Jong-Ho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11

        미래 사회는 이야기와 감성으로 형성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올 정도로 문화 산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아시아를 중심으로 발전을 거듭한 한류는 미디어 환경의 급변과 콘텐츠 빅뱅이 임박하면서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맞이하고있다. 그러나 한류는 대중문화 강대국의 전략을 단순 수용해서는 국제문화시장에서 경쟁할 수 없으며 성공적인 확산도 불가능하다. 다시 말해 한류는 미국으로 대표되는 기존 대중문화 강대국들이 펼치는 문화 산업 확산 전략과 같은 방법을 통한 경쟁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대중문화의 글로벌 환경변화를 고찰하고 한류의 기회와 제약 요인들을 확인한 다음 한류의 탈아시아를 위한 전략들을 제시하는 데 있다. 더불어서 한류확산의 상황별 대응전략도 개발하였다. 결론으로 도출된 기본전략과 상황전략을 바탕으로 한류 확산을 위한 기업전략과 정부정책 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s the future society expected to be formed by story and sensibility, the importance of culture industry grows. Developing around Asia the Korean wave face a new opportunity to leap with the rapid change of media technology and contents Big Bang. However, a simple adoption or mimic of strategies of pop culture power would not allow the Korean wave to be competitive in the global culture market and successful spread. In other words, Korean wave cannot compete with other culture by the way that existing pop culture powers such as United States have adopted for the global spread of their cult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can environmental change in global culture industry and identify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of Korean wave. Based on that this study, formulates fundamental strategies of Korean wave to go beyond Asia. In addition, this study also developed contextual strategies for Korean wave sprea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corporate strategy and government policy for Korean wave spread based on fundamental and contextual strateg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