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과거시제 형태소 습득에 있어서 입력처리 교수의 효과

        김창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1

        The Effects of Processing Instruction on the Acquisition of Past-tense Maker in Korean Kim, Chang-Goo Previous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how that the ‘input’ plays an important role for successful grammar learning. However, Korean language teachers tend to focus on the output practice rather than the input intakes to developmental system in today’s Korean class yet.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relative effects of input-based instruction technique, named Processing Instruction(hereafter, PI) with output-based traditional instruction technique(hereafter, TI) on past-tense maker in Korean. Twenty three beginning Korean learners of Chinese were divided two groups(PI & TI), and received instruction on target item separately. The learners’ knowledge of target form was evaluated by comprehension tasks and production task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aners in both groups gained from instruction and retained the knowledge of target form after 2 weeks in production tasks.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case of comprehension tasks, the PI group gained greater than TI group in posttest,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 difference in delayed post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cessing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technique than traditional technique, especially at least on comprehension of past tense maker in Korean.

      • 오픈형 플랫폼 기반 이동 로봇 관제

        김창구 한국통신학회 2022 정보와 통신 Vol.39 No.8

        본 고에서는 서비스 로봇 운영관리에 필요한 클라우드 기반의 이기종의 멀티 로봇을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 크롬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높아지는 인건비와 직접 대면 하지 않는 비대면 서비스가 확산 되면서 로봇 서비스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통신인프라의 발달, 5G 시대에 도래 하면서 로봇을 적용 할 수 있는 서비스 범위도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제조사의 이기종 로봇 도입이 증가하며 서비스 로봇 운영관리를 효율화 하기 위한 솔루션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크롬스는 로봇에 에이전트를 설치 하거나 표준 MQTT 프로토콜에 동작하도록 맞추게 되면 로봇 기종에 상관 없이 통합 관리가 가능합니다. 지도 편집 기능을 사용해 관리자가 로봇의 주행 경로를 설정하고 클라우드를 통해 원격으로 배포하여 즉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로봇의 작업과 스케줄을 미리 지정하여 운영자의 개입 없이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운영 할 수 있습니다. 로봇은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정상 상황을 판단하고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에게 알람을 발송 합니다. 지도를 기반으로 다수의 로봇을 통합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로봇의 트래픽이 밀집 되는 경로에 경유지를 추가 하거나 우선 순위를 배정 할 수 있는 트래픽 컨트롤 기능을 제공합니다. 로봇의 소프트웨어는 클라우드를 통해 원격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하기 때문에 항상 최신 버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격조사「-에」와「-에서」간 과잉일반화 오류 연구 : 학습자의 격조사 선택 전략을 중심으로

        김창구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07 한국어문화교육 Vol.1 No.1

        이 글에서는 중국인 학습자가 이른바 ‘장소’를 나타내는 한국어 격조사 「-에」와 「-에서」를 습득하는 단계에서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인 ‘과잉일반화’ 오류를 학습자의 조사 선택 전략과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중국인 초,중, 고급 학습자 3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빈칸 채우기 테스트, 학습자 내성과 회상 실험을 이용하여 연구를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에」와「-에서」간 과잉일반화 오류의 방향에 있어서 피험자들은「-에」를「-에서」로 과잉 적용함으로써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잉일반화 오류의 원인으로는 학습자들의 격조사 선택 전략, 즉 ‘장소를 나타내는 추상명사+-에’, ‘장소를 나타내는 구체 명사+-에서’와 같은 선행명사의 유형이 격조사 선택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상급 단계의 학습자들은 ‘덩이화 전략’ 외에도 ‘장소명사+-에서+ 무엇을 하다’, ‘장소명사+-에 무엇이 있다’와 같이 이른바 ‘패턴 전략’을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점유자의 과실취득의 범위와 수익자의 반환범위

        김창구 유럽헌법학회 2010 유럽헌법연구 Vol.8 No.-

        점유자가 권원 없이 과실을 취득한다는 것과 수익자가 타인의 재산을 부당하게 이득을 취한다는 것은 다르다. 그래서 민법에는 제201조 내지 203조와 제741조와 제747조 및 제748조에 각 규정하고 있다. 이는 전자가 물권편에서 점유의 장에, 후자는 채권편에서 부당이득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두 규정들은 권원 없이 타인의 재산으로부터 과실 내지 이득을 취한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다. 그래서 서로의 규정이 충돌한다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중요한 입법 해석상의 문제점을 나타내게 된다. 예컨대 동일한 내용의 사실관계에 대해서 어느 규정에 의해서 과실을 취득할 것인지 아니면 부당이득으로 반환해야 하는 의무를 부담하게 해야 하는 지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물권행위의 독자성을 인정했을 경우에 무인론과 유인론에 따라서 그 결과가 달리 된다는 것이다. 즉 무인론에 의하게 되면 민법 제748조를, 유인론에 의하게 되면 민법 제201조를 적용하여 그 반환범위를 결정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반환범위에서 차이가 나고, 그 차이에 따라서 점유자나 회복자 그리고 수익자나 손실자는 또 다른 다툼의 여지를 남기게 된다. 이는 지극히 합리적인 해결방안이 되지 못한다. 그리고 부당이득의 문제에서도 급부부당이득의 경우와 침해부당이득의 경우로 나누어서 접근할 수밖에 없게 된다. 즉 전자는 민법 제748조가 적용될 것이고, 후자의 경우는 민법 제201조를 적용하는 결과로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하나의 내용에 대한 입법의 구조가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은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는 결국 손실자에게나 수익자에게는 비합리적인 결과를 낳게 한다. 왜냐하면 급부부당이득의 경우는, 이를 물권적반환청구권으로 귀결되어 회복자가 점유자에게 청구하게 되는 과실반환청구권의 행사를 차단하는 결과를 도출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침해부당이득의 경우보다도 그 반환의 범위가 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는 민법 제201조 이하와 민법 제741조 이하의 규정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지의 문제, 그리고 전자가 후자에 우선적용 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문제로 귀결된다. 이에 대해 최근의 대법원은 전기사업자의 고압 송전선 설치와 관계해서 민법 제201조 제2항과 민법 제748조 제2항의 관계에서 전자는 후자의 특칙이 아니라고 판결한바 있다. 이러한 판결의 의미는 악의의 점유자의 과실반환의무는 그 법적인 성질이 불법행위에 준해서 과실을 지급해야 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기도 하다. 이는 위 판결에는 이자는 물론 지연이자까지 지급해야 한다고 한 것 자체가 그런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하겠다. 회복자 내지 손실자를 지나치게 보호한 결과라고 본다.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he possessor acquiring the fruits without title and the beneficiary’s unfairly taking advantage of others’ properties. Civil Law Act 201, Act 741, Act 747 and Act 748 each defines this. The former is defined in the chapter of possession of chapter of rights, while the latter in the chapter of unjust enrichment in the chapter of claim. However, these two definitions show similarities in terms of taking fruits and advantages without titles. Accordingly, clashes between regulations on these definitions happen, and problems of legalization interpretation accompany. For instance, for the same facts of case, problems of acquiring the fruits or returning the unjust enrichment gains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applied. This means that by deeming the independence of rights, the results differ in case of indeterminism and determinism. By indeterminism, Civil law Act 748 is applied while the other case applies Act 201 to determine the boundaries of return. This determination makes differences of returns and accordingly leave another cause for conflicts for possessors or returners or for beneficiaries or losers. It is not a rational solution. Moreover, in case of unjust enrichment as well, we need to tell the differences between unjust performance enrichment and unjust infringement enrichment for unjust enrichment. The former applies Act 748, while the latter applies Act 201. These problems are all caused as the structure of legalization is not well clarified to a single content. Also, this results in irrational outcomes for losers or beneficiaries. In case of unjust performance enrichment, because, consequently results in infringing the enaction of fruit return request by the recoverer to the possessor, by right of return request and enlarge the boundaries of return compared to unjust infringement enrichment. Therefore all these conclud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lauses each under Civil Law Act 201 and Act 741, and whether the former can be applied in advance of the latter. Regarding this, the Supreme Court recently judged for an installment of high-tension electricity lines of an electricity company that the clause no. 2 of Civil Law Act 201 is not an exception case of the clause no. 2 of Act 748. The judgment implies that the fruit return obligation of the possessor in bad faith should return the fruit based on the illegal actions in terms of legal context. The judgment above concluded that the possessor should pay the delay interests as well as the interests. We can interpret this as a result of over-protecting the loser or the recoverer.

      • KCI등재후보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 : 교육과정, 교사, 학습자를 중심으로

        김창구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한국어문화교육 Vol.6 No.2

        이글에서는 일본 대학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교육과정과 교사, 학습자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미래를 전망한다. 주지하듯, 이른바 ‘한류붐’과 2002년 한일월드컵을 기점으로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듭해왔다. 일본 내 한국어 교육의 현황은 10여년전인 2005년 国際文化フォーラム을 통해 대대적으로 실시된 바가 있으나, 최근에는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다. 이번 조사의 결과, <전공한국어> 과정은 현재 약 23개 대학에 설치되어 있으며, <교양한국어> 과정을 설치하고 있는 대학도 전체 대학의 50% 이상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담당교원은 모어별로는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교원이 일본어 모어화자 교원보다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전공별로는 일본어 및 일본문학 관련 전공자가, 임용 형태별로는 전임강사의 수가 늘어가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동기는 십년 전의 그것과 다를 바 없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의 목적도 ‘여행’이나 ‘단위 취득’을 위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교육과정도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못하고, 한국어교육을 전공한 교원의 수도 부족하며, 학습자의 학습 동기도 높지 않다. 따라서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서 연구자들은 이론에 기반한 실천 연구를 통해 그 성과들을 축적하고, 그것을 한국어교육 현장에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교육의 실제와 접목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s universities, focusing on curriculum, teachers and students, and to prospect to it’s future, based on the analysis. Thanks for 2002 FIFA Worldcup Korea/Japan’s success, Korean language in Japan brought to remarkable growth. Since the large-scale survey on the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had carried out in 2005 by THE JAPAN FORUM, no survey has conducted. According to this time’s survey, ‘Korean as major course’ has been set up in 23 universities, ‘Korean as general course’ in over the 50% of universities. As for ‘Korean teachers’, more than half was occupied by the native teachers. As for ‘Major’ concerned, the teachers who majored in Japanese language or Japan studies occupied more than the ones majored Korean studies(inclu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 students’ motivation, they had extremely low motivation to learning Korean, along with the results of 10 years before. Here, I concluded that the curriculum is not established systematically yet, is insufficient in teachers who majored KFL, and the students’ motivation to language learning is too low. SO I suggested here that more Korean researchers have to do a classroom-based research extensively, thoroughly, based on theory, and have to accumulate the results, and then to apply them to the field.

      • KCI등재

        債權의讓渡와 擔保에 關한 公示制度

        김창구 대한변호사협회 2013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33

        Ever since the law on property and receivable security emerged in the order of bond trading, disclosure of receivable transfer by the civil law and the disclosure method of registration by the special law have co-existed. Requisites for counteraction and registration are those. As for the effect, it’s stated that registration has priority. However, it’s clear that it will bring confusion to the trading order if different rules have different effects for the same receivable. Uniformity of legislation is an urgent issue. Not only that, the purpose of the receivable security law is to revitalize the secured transactions. This is to reflect that the existing claims transfer system cannot keep up with the reality of the demand of security for claims. The reason started from the increase of demain for the future of claims transfer. This characteristics of future claims cannot have the disclosure method with requisites for counteraction by the existing civil law. This results from debtor and debt amount not being specified. Therefore, claim security registration system was adopted. Because it allowed you to register for claim security without specifying the debtor the debt amount and if registered you defend against 3rd parties Therefore, I expect the future claim transfer security to increase and cash flow through secured claim trade to be easier. However, since the claim security law that was established with this purpose was enacted without changing the civil law, some confusions from the difference of methods and effects of the two systems are expected. Thus, I purport to present an improvement plan. 담보거래질서에 동산·채권담보 등에 관한 법률이 등장하고부터 민법에 의한 채권양도의 공시와 특별법에 의한 등기라는 공시방법이 서로 병존하게 되었다. 대항요건과 등기가 그것이다. 그 효력에 있어서는 등기가 우선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동일채권에 대해 서로 다른 제도에 따라 상이한 효력을 갖게 된다면 거래질서의 혼란을 가져온다는 것은 명백하다. 입법의 통일이 시급한 문제이다. 그 뿐만 아니라 채권담보법의 등장은 담보거래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이는 기존의 채권양도제도가 현실의 채권담보수요를 따라잡지 못한다는 것을 반영함이다. 이유는 현실적으로 장래의 채권양도라는 수요가 증가함에서 출발했다. 이러한 장래채권의 특성이 기존의 민법에 의한 대항요건으로는 공시방법을 갖출 수 없다는 것이다. 채무자 및 채권액이 특정되지 아니한 결과다. 그래서 도입된 것이 채권담보등기제도이다. 이러한 채권담보등기법에 의해 채무자 및 채권액을 특정하지 않아도 채권양도담보 등기를 할 수 있고, 등기가 되면 제3자에 대항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채권담보등기로 인해 장래의 채권양도담보가 증가하고 담보거래를 통한 자금의 유동화가 원활해질 것을 기대한다. 그러나 이러한 취지에 터 잡은 채권담보법은 민법을 그대로 존치한 상태에서 제정된바, 양 제도의 방법과 효력의 차이에서 오는 혼란이 예상된다. 이에 그 개선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유동집합동산양도담보의 문제점과 등기제도의 개선방안

        김창구 대한변호사협회 201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18

        Movable property has a limitation for being used as mortgage system such as the right of pledge because of its unstable disclosure system. According to the civil law, the right of pledge by occupation revision. Especially, validity of current collective movable property as transfer mortgage has been discussed because of its difficulty of specificity. Recently, to use movable property as mortgage, many countries are introducing disclosure system, that is registration. Hereupon, Korea and Japan which are following the civil law legislated a law for registration of movable property transfer mortgage. However, both contries are showing little of difference in the subject and object, and purpose and effectiveness of registration. I will suggest the problem through examine problems of both system. Although the system mentioned above is introduced, it does not mean that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ve movable property is approved. Also it does not mean that legal configuration and specific method etc. of collective movable property is developed in a new form. Because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ve movable property is approved, for legal configuration and specific problems, the existing theory has to be applied. However, according to new legislation, for being provided as mortgage, collective movable property can be the object of registration. So further research on this is required. To clarify registration of transfer for true transfer and mortgage is another problem occurred by introduction of new disclosure system. This can be led to dispute. Because, if it is considered as object of fraudulent, it can be changed to form of fake mortgage by mortgagor. Also, the extent of bona fide acquisition is became narrow. Even registration is realized, it does not mean that bona fide acquisition totally disappear, but it can bring stability to transaction system. Finally, vexatious process or expense of registration can cause disorder. In this aspect, related law has to be established. These few problems has to be researched continually. Accordingly, I hope that laws related to these problem are made. 동산은 공시제도가 불안하여 질권과 같은 담보제도로 활용하는 데는 한계를 가져왔다. 민법상점유개정에 의한 질권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유동집합동산의 경우는 더욱 그 특정성이 어려워 양도담보로서의 유효성에 대해 논의가 있어 왔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 세계적으로 동산을 담보로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등기라는 공시제도를 도입하는 국가가 늘고 있는 추세가 되었다. 이에 대륙법계인 일본과 우리는 최근에 동산양도담보등기를 위한 입법이 마련된 것이다. 즉 양국의 입법은 등기의주체와 객체 그리고 등기의 목적과 효력 등에 대해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양 제도의 차이점들을살펴보면서 문제점을 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동산을 양도하면서 등기를 하는 제도가 도입되었다고,유동집합동산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도 아니고, 유동집합동산의 법적구성이나 특정방법 등이 새로운형태로 전개되는 것도 아니다. 유동집합동산은 이미 그 유효성을 인정받아왔기 때문에 특정의 문제나법적인 구성에서는 여전히 종래의 이론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고 본다. 그러나 새로 도입된 입법에 의하면 집합동산의 경우도 담보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등기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기에 이에대한 연구는 여전히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공시제도의 도입으로 인해 먼저, 진정양도와 담보를 위한 양도의 등기상의 구별 문제이다. 이는 분쟁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사해행위의 대상이 되었을 경우에 설정자에 의한 가장담보의 형태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는, 선의취득의 범위가 줄어들게 되었다. 등기가 된다고 선의취득의 형태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거래의 질서에 상당정도 안정을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등기의 비용이나 절차의 번거로움이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관계법령의 제정에 주목된다. 이러한 몇 가지 문제점들은 계속적인 연구가필요한 분야임에는 틀림없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관계법령이 제정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