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 성숙도 단계의 골령 평가를 위한 Greulich-Pyle 방법을 이용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활용

        김지훈,서혜준,박소영,이은경,정태성,남옥형,최성철,신종현,Jihoon Kim,Hyejun Seo,Soyoung Park,Eungyung Lee,Taesung Jeong,Ok Hyung Nam,Sungchul Choi,Jonghyun Shin 대한소아치과학회 202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bone age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based on the Greulich-Pyle (GP) method to find out the bone age corresponding to each stage of cervical vertebral maturation (CVM) and the middle phalanx of the third finger (MP3).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118 patients who visited pediatric dentistry at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Pusan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2013 to 2021. The CVM stage was divided into 5 stag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Baccetti, and the MP3 stage was divided into 5 stages according to the methods of Hägg and Taranger. Based on the GP method, bone age was evaluated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The pubertal growth spurt in the CVM stage was CVM II and III. The mean bone age in CVM II was 11.00 ± 1.81 years for males and 10.00 ± 1.49 years for females, and in CVM III, 13.00 ± 1.46 years for males and 12.00 ± 1.44 years for females (p < 0.0001). The pubertal growth spurt in the MP3 stage was MP3 - G stage. The bone age at the MP3 - G stage was 13.14 ± 1.07 years for males and 11.40 ± 1.09 years for females (p < 0.0001). Bone age evalu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worth using in clinical practice, and it is expected that a faster and more accurate diagnosis will be possible.

      • KCI등재

        상용 65 n CMOS 공정을 이용한 100~110 GHz 저잡음 증폭기와 커플러

        김지훈(Jihoon Kim),박홍종(Hongjong Park),권영우(Youngwoo Kwon) 한국전자파학회 2013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4 No.3

        본 논문에서는 상용 65 n CMOS 공정을 이용하여 100~110 GHz에서 동작하는 저잡음 증폭기와 커플러를 구현하였다. 제작된 LNA는 3단 공통 소스 FET로 구성되었다. 단위 공통 소스 셀의 높은 이득 특성을 얻기 위해 이를 고려한 레이아웃을 하였다. 또한, 저잡음 특성과 충분한 이득을 얻기 위해 성능을 최적화시켰다. 커플러는 CMOS 공정의 multimetal을 이용한 broadside 커플러로 구성하였다. Density rule을 만족시키기 위한 metal strip을 사용해 이에 의한 영향을 고려해 커플러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제작된 저잡음 증폭기의 측정 결과, 100 GHz에서 5.64 dB, 110 GHz에서 6.39 dB의 이득과 10 % 이상의 3-dB 대역폭, 11.66 dB의 잡음 지수를 얻었다. 커플러는 100~110 GHz 대역에서 2~3 dB의 삽입 손실, 1 dB 이하의 magnitude mismatch와 5° 이하의 phase mismatch를 얻었다. In this paper, a 100~110 GHz LNA and A coupler using standard 65 n CMOS process is presented. The LNA consists of three common source FET stages. A few layout types are considered to get high gain characteristic of unit common source cell. Also, optimized performance to achieve low noise characteristic and enough gain. Coupler is composed of broadside coupler using multimetal in CMOS fabrication. In the coupler, the metal strip to meet density rule is used, and the coupler is designed with consideration of the metal strip to function properly. Gain of fabricated LNA is 5.64 dB at 100 GHz and 6.39 dB at 110 GHz. Bandwidth is over 10 % and noise figure is 11.66 dB at 100 GHz. Fabricated coupler has shown insertion loss of 2~3 dB at 100~110 GHz band. Magnitude mismatch of coupler is below 1 dB and phase mismatch of coupler is below 5°.

      • 디자이너를 위한 지식재산권교육 커리큘럼의 개발 : 독립디자이너를 위한 교육을 중심으로

        김지훈(Kim Jihoon),문삼섭(Moon Sam sup) 한국디자인학회 2010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Recently Korean design is gaining a positive reputation in the world market. However, for robust growth and an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design, the design rights should be strenuously protected and the creation of authentic designs must be encouraged in society. Nevertheless, independent designers are hardly aware of the fact that legitimate protection of their intellectual properties in their designs against infringements plays significant role in creative industry compared with in-house designers working for large organizations which can manage their intellectual properties systematically and strategically. In that sense we implemented the curriculum for the teaching of intellectual property for winners of Korea Industrial Design Exhibition and Seoul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and Korea Next Generation Design Leaders sponsored by Ministry of Knowledge and Economy and investigated results of the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f survey data collected from participants of the curriculum to gain insights into more designer-centered teaching program.

      • KCI등재

        영화적 비디오 설치작품에서 영화와 비디오의 혼종화

        김지훈(Jihoon Kim) 현대미술사학회 2016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9

        1990년대 이후 많은 예술가들과 감독들이 비디오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영화의 이미지와 내러티브를 전유하고 조작한 무빙 이미지 설치작품들을 제작해 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작품들을‘ 영화적 비디오 설치작품’으로 규정하고, 이 작품들에서 영화와 비디오의 구성요소들이 이미지와 장치의 차원 모두에서 서로 결부되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포스트-시네마’와‘ 현대미술’ 담론에서 이러한 작품들이 논의되는 방식들을 비판적으로 점검하면서 연구자는 이를 영화적 구성요소들과 비디오에 기반을 둔 테크놀로지 사이의 복잡한 혼종화로 간주하고자 한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본 논문은 비디오 테크놀로지가 영화의 구성요소와 역사적 흔적들을 채택하고 변경하는 두 가지 미학적 작용으로서‘ 공간화(spatialization)’와‘ 시간화(temporalization)’를 제안한다. 하룬 파로키, 쿠틀루그 아타만, 더그 에이트킨, 더글러스 고든, 캔디스 브라이츠의 작품들에서 공간화와 시간화의 전략이 전개되는 과정에 대한 형식적인 분석을 통하여 본 논문은 영화적 비디오 설치작품에서 영화와 비디오의 특성들이 공존하고 있으며, 이 모호한 혼종화가 이미지의 영역뿐 아니라 그 이미지를 프레임화하고 이에 대한 관람자의 관계를 결정하는 장치의 영역에서도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Numerous artists and established filmmakers since the 1990s have extensively used video technologies to draw on and manipulate cinematic image and narrative, such that their works explore the sensorial and mnemonic power of cinema as an art of spectacle and how influential and global cinema was in shaping their memories and artistic ideas. This paper characterizes these works as “cinematic video installations”, analyzing the ways in which the medial components of film and video are correlated. Providing a critical remapping of how cinematic video installations have been discussed in both the discourses of post-cinema and those of contemporary art, I argue that cinematic video installations must be viewed as a complex hybridization of cinematic and video-based technologies. To demonstrate this, I identify in this paper spatialization (materializing the spectatorial experience of the film image, montage, and narrative in the theatrical or architectural forms of screen-related apparatuses) and temporalization (manipulating the time of the image by means of digital video’s capacities) as two key operations that video technologies execute in adopting and altering the components and historical traces of cinema. By performing formal analysis of the installation pieces by several artists and filmmakers such as Harun Farocki, Kutluğ Ataman, Doug Aitken, Douglas Gordon, and Candice Breitz, I demonstrate that the ambiguous cohabitation of cinematic and video-based specificities occurs not only in the domain of the image space, but also in the formation of the apparatus that frames the image and determines the viewer’s relation to the image.

      • KCI등재

        STS 높이에 따른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김지훈(JiHoon Kim),허진강(JinGang Hur),정지운(JiWoon Jung) 대한치료과학회 2015 대한치료과학회지 Vol.7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it to stand training on functional balanc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 Two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GMFCS Level Ⅱ. The training was applied for 30 times Sit to stand in low bench and high bench, 30 times was trained for 3 times in a days, two days a week for 6 weeks and to measure K-PBS, TUG, FTSST were tested, Results: Functional balance was improved after the experiment than before the experiment, according to the K-PBS, TUG, FTSST resul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different hight of bench training achieving functional balance with cerebral palsy.

      • KCI등재후보

        다영역 대화 모델링을 위한 다중 맥락 기법

        김지훈(Jihoon Kim),서정연(Jungyun Seo) 한국인지과학회 1998 인지과학 Vol.9 No.3

        자연언어를 이용한 대화 인터페이스의 기본 목적은 자연스러운 인간의 대화를 통한 인간과 컴퓨터간의 의사소통이다. 인간과 대화를 진행하게 되는 시스템은 사용자 발화의 의미를 파악해 야함은 물론이고 사용자의 의도, 대화 목적 등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대화시스템은 대화모델을 통해 대화를 자연스럽게 진행해 갈 수 있고 적절한 시스템 발화를 결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다음 발화를 예측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호 독립적인 여러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영역 대화 시스템의 경우 단일 영역 대화와는 달리 영역 상호간 참조를 위한 대화의 중단과 재기현상이 빈번히 발생한다. 특히 음성 인식과 통합되어 실시간으로 운용되게 되는 다영역 자연언어 대화 인터페이스의 대화모델은 안정성, 효율성과 더불어, 추가로 다중 영역 대화의 병렬 대화 현상의 제어기능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음성 인식을 이용한 자연어 인터페이스에 적합한 다영역 대화모델을 위해 대화흐름도를 이용한 대화 진행 기법을 제안하고. 다중 영역 대화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화의 중단, 재기 현상을 제어할 수 있는 다중 대화 맥락의 유지가 가능한 대화모델을 제안한다. Natural language dialogue interface techniques allow users to communicate with computers using human languages. A dialogue interface system should not only understand users utterances but also detect the users intentions. A dialogue interface system must have proper strategies for dialogues, called a dialogue model, for target domains. With a dialogue model, it can control dialogues in natural manner, decide the next utterances, and, most importantly, predict the users following utterances. A dialogue model usually strongly tied with domain knowledge of a target domain. In a multi-domain dialogue interface system, however, a user can make utterances in several domains in one dialogue. During a dialogue, furthermore, the user makes an interrupt to get some information in other domains and resumes dialogue with the information. To make a real-time speech dialogue interface system reliable and efficient, it is important to design a dialogue model so that it can control over the parallel dialogue phenomena frequently occurred in multi-domain dialogues. In this paper, we suggest a processing model for natural language interface using real-time speech recognition. We also propose a new dialogue model that maintains multi-dialogue threads that can solve dialogue interrupts and resume phenomena we often see in multi-domain dialog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