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 양육태도가 아동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우울을 매개로

        김지윤 ( Kim Jiyoon ),박은혜 ( Park Eunhye ),이종은 ( Lee Jongeun ),강현아 ( Kang Hyunah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1

        본 연구는 부모 양육태도와 아동 수면시간 간의 관계에서 아동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의 초 패널 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1,939명의 초등학교 학년 학생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통계분석방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긍정적 양육태도를 가질수록 아동의 수면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아동 수면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 둘 다 아동 우울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아동 수면시간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우울은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아동의 우울은 부정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수면시간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부모 양육태도와 아동 우울이 아동 수면시간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 증진과 아동의 우울 감소를 위한 다양한 개입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s depression i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al child rearing attitudes and child’s sleep duration. For the purpose, the data of the of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Data gained from 1,939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2.0 and Amos 18.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 rearing attitudes considered good for their children influenced child’s sleep duration. However, child rearing attitudes considered harmful to their children did not directly affect child’s sleep duration. Second, child rearing attitudes were shown to influence significantly child’s depression. Lastly, we did not find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s depression in the relation betweenchild rearing attitude considered good and child’s sleep dur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revealed that child’s depression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child rearing attitudes considered harmful nd child’s sleep dur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attentions are warranted to the effects of parental child rearing attitudes and child’s depression on child’s sleep.

      • KCI등재

        1950~60년대 재야공간으로서의 다방과 문인 네트워크 : 문단의 ‘명동시대’를 중심으로

        김지윤(Kim, Jiyoon)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0 No.27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ocial network that established internal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ties through the ‘Dabang’(cafe) space, which formed the ‘myeongdong era’ of Literary Society in the 1950s and 1960s. Unlike previous studies on the exchange of literary people centered on Dabang , they tried to connect the network of writers in Busan refuge with the network of writers in the so-called ‘Jaeya’(out of the system) before and after. Through this, this study examined in the context of what kind of people interacted and what kind of genealogy it became in the “Jaeya and jaeya space,” or the space that became the base of literary researchers. Such work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the movements of those in the day who resisted the power that had invaded in the absence of authority and tried to overcome the plight of the times through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and the publicness.

      • KCI등재

        1960년대 여자대학 학보 연구 -『이대학보』, 『숙대신보』의 글을 중심으로-

        김지윤 ( Kim Jiyoon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0 No.-

        1960년대 여대생 집단은 70~80년대 본격적인 여성문학의 시대를 열어간 주역이 된 세대이며 변화된 여성 의식과 행동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공동체로 재조명되어야 한다. 기존에 1960년대 ‘젊은-여성’ 그룹을 중심으로 한 교양담론에 대한 기존 연구는 가정주부나 독신여성을 중심으로 연구된 경우가 많았고, 여대생을 다루더라도 당시 사회가 여대생에 대해 갖는 인식을 규명하려는 것이라 당대를 살아가는 주체로서의 여대생 자신이 어떤 세대의식과 관점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살펴보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글은 여대생들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직접 만든 매체와 그들이 쓴 글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그들의 공통감정, 시대의식 및 변화한 젠더의식을 규명하려 했다. 학보는 여대생들이 직접 참여하여 스스로 주체가 되어 기획하고 글을 쓰고 만들었던 매체라는 점에서 그들이 갖고 있던 시대와 현실에 대한 공통감각을 파악하기에 적절하다. 학보는 대학사회의 여론형성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으므로 여자 대학 학보의 글을 통해 여대생 집단 내의 공동의 문제의식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학보가 변화한 여성 의식을 표출할 공론장이며, 자신들의 의견과 이해를 표명하는 미디어라고 생각했고 그들의 글쓰기는 공공성을 창출하기 위한 시도였다. 여대생들이 주체가 되어 기획하고 내용을 구성하며 절차와 운영을 정했던 대학 내 미디어는 여자 대학생들의 미디어 공공성을 창출하는 장으로서의 의미를 지녔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일간지 대학소식란에서 여자대학 학보 기사를 발췌 편집해온 보도 태도나, 학보의 외부 필진 청탁 글들의 논조를 보면 당시 사회가 여자대학 신문과 여대생에 대해 가지고 있던 젠더화된 시각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960년대 여자대학 학보는 새로운 여성의식과 미디어 공공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준 매체이며, 여대생들 역시 1960년대의 교양담론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가치 담론에 갇히기를 거부하며 공공성을 실현하는 참여적 주체가 되려는 정신적 공동체였다는 사실이 재평가되어야 한다. 이 글은, 그간 주목되지 못하고 누락되었던 이들의 목소리를 복원하며 이들이 변화된 여성 의식과 행동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집단일 뿐만 아니라 1960년대 세대적 역사적 주체의 이름으로 부각되었던 ‘문학청년’과 동일한 범주 내에서 재조명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이는 당대의 청년담론은 물론 이후에도 계속 되는 여성담론의 계보를 다시 살펴보려는 문학사적 의미를 가진다.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value of Journal of Women's University in 1960s that have not been noted academically. In the '60s, a group of female college students should be re-examined as an important community that shows a changed way of women's consciousness and behavior. It is necessary to look at what generation of consciousness and perspective a female college student of the time had. Starting with this sense of problem,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mselves tried to study and analyze the academic records of planning and making. The articles of the Journal of Women's University are appropriate to grasp the common sense of the times and reality they had in the sense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writing and making. In addition, the academic records play a role in forming public opinion in the university community, so the writings of the academic records show a common sense of problem within a group of female college students. At that time, female college students thought that the university newspaper was the public sphere to express their changed feminine consciousness, and their writing was an attempt to create publicness. They are the same generation that opened the era of women's literature in earnest in the 70s and 80s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cademic reports of women's universities, which were not subject to academic lighting, and to identify the internal, common feelings, and women's consciousnes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 the time.

      • KCI등재

        여론조사의 대표성

        김지윤(Jiyoon Kim),강충구(Chungku Kang)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4 평화연구 Vol.22 No.2

        여론조사가 정치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정확한 조사를 위한 노력이 끊임없이 시도되어 왔다. 한국 여론조사는 최근까지 상용되어 오던 할당표집(quota sampling)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임의번호걸기(random digit dialing)을 시도하기도 하고, 유선전화의 한계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무선전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도 했다. 또한 분량이 긴 조사를 위해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조사를 도입하여 새로운 기술적 진일보를 이루려 노력해왔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한국 여론조사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할당표집으로 인한 문제점을 지적한 후, 한국에서 시도되는 다양한 조사방식에 대해 소개했다. 다음으로 다른 조사방식으로 구성된 표본들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조사방식에 따라 표본의 인구통계적 요소뿐 아니라 정치성향도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새로운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는 이중 표집틀 조사(유선+무선)와 혼합 조사(인터넷+전화)가 또 다른 표본 편향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여론조사의 정확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는 상황에서 현행 조사 방식의 한계가 여전히 존재한다. 난무하고 있는 여론조사 결과를 신중하게 받아들일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As the demand for public opinion polls increases in Korea, varied efforts to enhance the quality of surveys have been made. Random digit dialing(RDD) begin to replace traditional quota sampling and cell phones emerge as a indispensible survey device. Recently, advantages of internet survey are recognized by numerous researchers. In this paper, we first compare and explai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landline RDD, cell phone and internet surveys. Then we analyze data samples to examine if there is any demographic difference depending on sample collecting methods. Our result confirms presence of significant demographic gaps among landline respondents, cell phone only respondents and internet respondents. More importantly, the demographic gaps lead to political and ideological difference between sample groups. Our finding suggests a more cautious usage of mixed sampling methods such as dual frame or mixed mode survey.

      • KCI등재

        이상 시의 타이포그래피와 20세기 아방가르드 : 인쇄술과 문화적 액티비즘의 영향에 대한 고찰

        김지윤(Kim, Jiyoon)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이 논문은 이상 시의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연구이며 이상 문학에서의 시각 예술성에 대한 탐색이기도 하다. 이상은 많은 작품에서 타이포그래피적 실험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당시 현실에서 매우 획기적인 것이었다. 화가이면서 건축가였던 이상은 시각예술에 조예가 깊었고 문학뿐 아니라 다양한 예술 장르에 관심이 많았으며 인쇄술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있었다. 그는 활자의 형태미를 시의 새로운 속성이자 효과적인 표현기법으로 인식하였다. 20세기 모던 예술운동의 분위기를 이상은 창조적으로 받아들여 자신만의 ‘전위’의 길을 모색했고 작품 속에 직접 실험을 단행했다. 이 글은 이를 분석하기 위해 동시대 서구와 일본의 모던 아방가르드 예술운동과 관련된 논의를 살피고 경성고공에서 수학하던 시절의 분위기 및 당시의 전위 예술과 인쇄술에 대한 관심과 조예가 있었던 이상의 전기적 사실들을 점검하였다. 또한 당시 20세기 아방가르드의 모색과 겹쳐보며 이상의 작품세계가 당시의 타이포그래피 관련 동향과 동시대적인 사유를 어떻게 창조적이며 생산적으로 반영하고 있는가를 다양하게 조망해보려 했다. 이를 통해 인쇄술과 문화적 액티비즘의 영향을 고려하여, 이상 문학의 시각적 사고와 언어의 형태미를 구현하는 타이포그래피적 실험의 의미를 고찰해보았다. 이상은 작품을 통해 자신의 시각적 사고와 세계관을 표현했으며 인쇄술을 활용해서 예술적 효과를 얻으려고 했다. 이상의 인쇄술, 타이포그래피 등을 통한 실험은 예술을 통해 창조할 수 있는 잠재성에 대한 모색이며 현재를 통찰하며 혁신할 수 있는 창조적 주체가 되고자 하는 욕망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시적기법들은 당대의 관습에 도전한 것이며 인쇄를 통해 생각을 표현한다는 새로운 관념을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on the typography in Lee Sang’s poetry and an exploration of visual artistry in his literature. Lee Sang was an architect who majored in architecture from 1926 to 29 in the Gyeongseong engineering school of Architecture, and he also won the Joseon art contest by painting. It is natural that Lee Sang, a painter and architect, was well-versed in visual arts. Lee Sang conducted typographic experiments in his literary works. He was well versed in various genres of art, as well as literature, and recognized the formative beauty of type as a new attribute and effective expression technique of poetry. To analyze this, this article examined the atmosphere and the biographical facts of the time of learning in Gyeongseong engineering school of Architecture, and the art of avant-garde, the association of Japanese mavoyists demonstrated a unique way of realizing the generality of the times.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printing and cultural activism, I examined the typography as a morphological beauty of language and the visual thinking in Lee sang’s poetry.

      • KOICA 평가 체계 발전 과정과 향후 과제

        김지윤(Jiyoon Kim) 한국국제협력단 2022 국제개발협력 Vol.17 No.2

        KOICA의 평가체계는 1996년 처음으로 평가 전담부서가 설치된 이후, KOICA의 사업수행체계 및 정책의 변화에 맞추어 변화하고 고도화되어 왔다. 국내 무상원조 분야에서 KOICA가 선도주자이듯,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평가도 KOICA가 가장 많은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여 국내 개발협력생태계를 이끌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96년부터 현재까지의 KOICA 평가 체계의 발전과정을 돌아보고 2019∼2023년 평가 중기전략 수립 이후 최근의 KOICA 평가 체계 변화와 시사점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KOICA의 평가 체계는 2009년 한국 정부의 OECD/DAC 가입 이후로 체계적인 성과관리 및 평가 체계 구축에 대한 대내외 요구 증대에 부응하여 평가 제도 정비, 다양한 유형의 평가 수행, 평가의 환류 강화 노력을 기울여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다. 2018년 이후에는 KOICA의 평가 체계 고도화 노력이 더욱 강화되어 평가실의 평가 총괄 기능이 강화되고, 국별협력사업에 대한 사업 등급제가 도입되었으며, 평가보고서의 품질을 검토하는 독립평가패널위원회가 전체 평가 대상 사업으로 확대되었다. 아울러, 평가 환류 강화를 위해 제언의 분류를 더욱 세분화하고, 사업 이해관계자에 대한 평가 결과 공유를 강화하였으며, KOICA 기관내 성과관리 및 평가 역량 내재화를 위한 내부평가자 매칭 확대, 직원 교육 강화도 이루어졌다. 이러한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KOICA 평가는 급격하게 증가한 평가 업무의 효율성 증대 및 점진적인 평가 현장화, 국내 개발협력사업 평가 역량 강화 선도, 평가 환류 강화를 통한 증거기반 정책 수립 및 환류 체계 정착 등을 위해 지속 노력할 필요가 있다. KOICA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established an evaluation department in 1996, which has, since,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the Agencys systems and policies. As KOICA is one of the most specialized agencie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in Korea, it is also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the overall development process of KOICAs evaluation system from 1996, especially focusing on the recent change during 2019-2022, and attempts to determine its implications as well as the future challenges facing it. As a result, this study has learnt that KOICAs evaluation system has improved significantly since the Korean government joined OECD 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Once it became a member of DAC, the Korean government had to improve its overall ODA system, including the M&E system. KOICA has also put in a lot of efforts, such as setting up regulations, conducting various type of evaluation and strengthening utilization of evaluation lessons, to systematize evaluation. KOICAs evaluation is at the second-leap stage after its mid-term evaluation strategy for 2019-2023. The evaluation function has been centralized; additionally, the evaluation quality review process has been strengthened for improved accountability and quality. These efforts have enabled significant advancement of KOICAs evaluation system, however, certain challenges still remain in making it more effective. KOICA needs to decentralize the evaluation of individual programs in the long term and strengthen the evaluation capacity of both, its staff and external stakeholders. Moreover, it needs to improve the evaluation utilization in order to enhance evidence- based policies and programs.

      • KCI등재

        휴대전화를 이용한 정치 여론조사에 대한 연구

        김지윤(Jiyoon Kim),우정엽(Jung-Yeop Woo) 한국정당학회 2012 한국정당학회보 Vol.11 No.2

        유선전화 조사에서 RDD를 도입하여 표집틀의 확대가 이루어졌고 무작위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하더라도, 유선전화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서 RDD를 통한 유선전화 샘플에 포함되지 않는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점, 또 하나는 재택률이 높은 계층이 실제 조사의 대상에 포함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 여전히 문제이다. 이 논문은 유선전화 여론조사 1개와 휴대전화 여론조사 2개, 총 3개의 같은 질문지를 담은 여론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휴대폰 조사가 갖는 장단점과 유선전화 여론조사의 대안으로의 가능성을 분석했다. 유선전화 응답자들과 휴대전화 응답자들간에 어떠한 정치적 태도의 분석에서 추후층화 과정을 거치고 난 후에는 모든 차이가 오차범위 내에 있는 만큼, 통계학적으로 같은 결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가 조사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사 결과에 오류가 있다는 주장은 적어도 현 시점에서는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전화 여론조사 결과 기존 유선전화 여론조사와는 반대의 문제점(젊은 층과 남성층 과다 표집)이 발생하는 것은 휴대전화 여론조사가 여론조사의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는 없음을 보여준다. Even though there has been much progress in public opinion polls in Korea since the introduction of random digit dialing method which enlarges the sampling frame and also enables the ramdomization of sampling, there still exist problems. Those problems are caused by cell phone-only-households and different odds of being at home. This study use 1 landline survey and 2 cell phone survey which use common questionnaire to compare the pros and cons of cell phone survey.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survey modes after post-stratification. That means, it is incorrect to argue that a certain public opinion poll is inaccurate because it does not include cell phone survey.

      • KCI등재

        국회의원 선거결과와 분배의 정치학

        김지윤(Jiyoon Kim) 한국정치학회 2010 한국정치학회보 Vol.44 No.4

        이 논문은 분배의 정치학이 한국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 있다. 특히 이 연구는 기존의 한국의 정치적 재분배에 관한 여타 연구들과 다음 세 가지 부분에서 차별화된다. 첫째로 대통령 선거 결과가 아닌 국회의원 선거결과를 바탕으로 지지 선거구(supportive district)와 부동층 선거구(swing district)에서의 재분배정책을 비교 분석한다. 두 번째로는 분석의 단위를 행정구역이 아니라 선거구로 책정함으로써 콕스와 맥커빈, 린드벡과 와이벌의 이론적 틀에 근접한 경험적 연구를 실행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가 반드시 양당 경쟁체제 구도가 아닌 다당 경쟁체제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한다.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주어지는 보조금의 규모를 분석한 결과, 이전 선거에서 정부여당이 이긴 지역구의 경우, 승자와 차점자의 득표율 차이가 커질수록, 즉 정부여당의 안전한 지역구일수록 중앙정부로부터 적은 액수의 보조금을 전달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부여당이 승리한 지역구이지만 그 득표율차이가 적은 지역구는 상대적으로 많은 보조금을 지원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여당의 후보가 상위 그룹의 1, 2위 후보군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중앙정부로부터 현저하게 적은 액수의 보조금을 받는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stributive politics in Korea. The study discriminates itself from previous studies on Korean distributive politics on three points. First, it examines the legislative election results instead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results as an indicator of swing and supportive district. Second, the unit of analysis is not a municipality, but a district which best conforms to the theories proposed by Cox and McCubbins, and Lindbeck and Weibull. Third, the violation of the assumption on two party competitions is considered. The statistical tests exhibit that the core supportive districts won by the ruling party with a large electoral margin receive less amount of subsidies than the districts won by the ruling party with a slim margin. However, the level of margin of opposition parties’winning districts does not influence the amount of subsidie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Last, the districts in which a ruling party’s candidate did not finish either as a winner or a runner-up in the previous race receive considerably less amount of subsi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