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방암 생존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김윤선(Kim Yoon Sun),태영숙(Tae Young Sook) 대한종양간호학회 2011 Asian Oncology Nursing Vol.11 No.3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Methods: The subjects were 159 female patients who visited out-patient department (OPD) after the mass removal surgery for breast cancer and had completed adjuvant treatments such as chemotherapy radiation therapy at a university hospital and a general hospita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the Ferrell QOL scale the Mishel uncertainty scale the Fitts & Osgoods body image scale revised by Jeon & Kim.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and the Kang family support scale. Results: The level of QOL in the participants was in the middle. There wer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QOL uncertainty self-esteem and family suppor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QOL with the perceived health condition and the best support person. In a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QOL was body image (21.7%). Altogether uncertainty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 explained 28.6% of the variance of QOL of the participants. Conclusion: Body image uncertainty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QOL.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need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to improve QOL of breast cancer survivors.

      • KCI등재

        도시 주거지 학교와 공원의 주차장 입체화 사례의 형태와 이용 특성 분석

        김윤선,양우현,Kim, Yoon-Sun,Yang, Woo-Hyun 한국주거학회 2011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2 No.5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ife environment and economic growth, the more highly a city has developed, the more concentrated is the urban function. That is, a city is required for adding more infrastructure. But, both limited land resources and financial problems made it impossible to add infrastructure. So, the necessity of multi-dimensional planning of urban infrastructure was recognized. Especially, in the urban residential area, a mixed-use of the playground of a school and the empty space of a park is desired to serve the issue of insufficient parking spaces. Schools and park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a town, and playing a central role for the town life. For this reason, they are highly demanded in urban residential areas and also expected to be effective. However, we need to consider not only parking convenience but also the safety of users in design process, because people using parks and schools include young students and the elderly. In this study, we mainly examine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utilization of schools and parks with parking facilities in urban residential areas. Then, we analyzed cases through comparing and evaluating in terms of convenience and safety. and weighed up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schools and the parks having parking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references for preparing design standards for such facilities.

      • SCOPUSKCI등재

        페닐프로피온산계 해열진통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입도분포와 약물봉입 및 용출특성

        김윤선,김길수,Kim, Yoon-Sun,Kim, Kil-Soo 한국약제학회 1998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28 No.4

        Solid Lipid Nanoparticle(SLN), one of the colloidal carrier systems, has many advantages such as good biocompatibility, low toxicity and stability.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drug lipophilicity and surfactant on the drug loading capacity, particle size and drug release profile were examined. SLNs were prepared by homogenization of melted lipid dispersed in an aqueous surfactant solution. Ketoprofen, ibuprofen and pranoprofen were used as model drugs and tweens and poloxamers were tested for the effect of surfactant. Mean particle size of prepared SLNs was ranged from 100 to 150nm. The drug loading capacity was improved with the most lipophilic drug and low concentration of surfactant. Particle size and polydispersity of SLNs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d lipid and surfactant. The rates of drug release were controlled by the loading drug and surfactant concentration. SLN system with effective drug loading efficiency and proper particle size for the intravenous or oral formulation can be prepared by selecting optimum drug and surfactant.

      • KCI등재

        난자-난구세포 복합체에서 발현하는 Rpia 유전자의 종 특이적 발현

        김윤선,윤세진,김은영,이경아,Kim, Yun-Sun,Yoon, Se-Jin,Kim, Eun-Young,Lee, Kyung-Ah 대한생식의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4 No.2

        목 적: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생쥐의 미성숙 난자와 성숙 난자 사이에 차이 나게 발현하는 유전자(DEGs)의 목록을 보유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pentose phosphate pathway (PPP)에 필수적 효소인 Ribose 5-phosphate isomerase A (Rpia)를 선택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난자 성숙 과정에 관련된 Rpia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생쥐와 돼지의 난소에서 Rpia의 발현을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방법: 생쥐의 각 조직에서 11개의 MII-selective DEGs의 발현을 RT-PCR방법으로 확인하여 난소에서 강하게 발현하는 4개의 유전자를 선택하였고, 다시 이들 4개 유전자 중 난자에서 높게 발현하는 Rpia를 선택하여 생쥐 및 돼지의 난자, 난구세포, 과립세포에서의 발현을 비교분석 하였다. 돼지 Rpia 염기서열은 밝혀져 있지 않아 EST clustering 기법을 통해 동정하였다. 결 과: EST clustering 기법으로 찾아낸 돼지 Rpia 염기서열은 GenBank에 등록하였고 (Accession Number EF213106), 이를 근거로 primer를 작성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Rpia 유전자는 생쥐에서는 난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반면 돼지에서는 난자, 난구세포, 과립세포에서 모두 발현하는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결 론: 본 연구는 생쥐와 돼지의 난소에서 Rpia유전자 동정에 대한 첫 보고로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생쥐와 돼지의 COCs는 서로 다른 경로로 포도당의 대사가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차이점이 두 종의 난자를 체외 배양할 때 나타나는 난자 성숙률의 차이를 가져오는 기전 중의 하나가 아닐까 추측된다. 난자 성숙을 조절하는 기전을 연구함과 동시에 체외에서 난자 성숙이 어려운 종의 최적의 IVM (in vitro maturation)조건을 찾기 위해서는 앞으로 난자와 주변세포의 포도당 대사과정에 미치는 Rpia의 기능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We previously identifi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between germinal vesicle (GV) and metaphase II (MII) mouse oocyte. The present study was accomplished as a preliminary study to elucidate the role of ribose 5-phosphate isomerase A (Rpia), the essential enzyme of the pentose phosphate pathway (PPP), in oocyte maturation. We observed expression of Rpia in the mouse and porcine oocytes. Methods: Expression pattern of the 11 MII-selective DEGs in various tissues was evaluated using RT-PCR and selected 4 genes highly expressed in the ovary. According to the oocyte-selective expression profile, we selected Rpia as a target for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porcine Rpia sequence using EST clustering technique, since it is not yet registered in public databases. Results: The extended porcine Rpia nucleotide sequence was submitted and registered to GenBank (accession number EF213106). We prepared primers for porcine Rpia according to this sequence. In contrast to the oocyte-specific expression in the mouse, Rpia was expressed in porcine cumulus and granulosa cells as well as in oocytes.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characterization of the Rpia gene in the mouse and porcine ovarian cell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mouse and porcine COCs employ different mechanism of glucose metabolism. Therefore, the different metabolic pathways during in vitro oocyte maturation (IVM) in different species may lead different maturation rates. It is required to study further regarding the role of Rpia in glucose metabolism of oocytes and follicular cell fore exploring the regulatory mechanism of oocyte maturation as well as for finding the finest culture conditions for in vitro matura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춘천지역 일부 여대생의 아침식사 빈도에 따른 BMI, 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상태

        김윤선(Yoon-Sun Kim),김복란(Bok-Ra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10

        본 연구는 춘천지역 일부 여대생 253명을 대상으로 아침식사 빈도에 따른 신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침식사를 주 5회 이상 섭취군과 4회 이하 섭취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그 결과 아침 5회 이상 섭취군이 54.9%, 4회 이하 섭취군이 45.1%로 나타났다. 거주형태는 학교 주변에서 자취, 하숙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으며, 아침 5회 이상 섭취군은 부모님과 함께 생활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고, 4회 이하 섭취군은 자취, 하숙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나면서 부모님과 함께 생활할수록 아침식사 빈도가 높고 혼자 생활할수록 아침식사를 하지 않거나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신의 체형만족도는 아침 5회 이상 섭취군이 4회 이하 섭취군에 비해 자신의 체형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 5회 이상 섭취군의 신장, 체중 및 BMI는 각각 161.0±0.1 cm, 52.6±7.6 kg, 19.8±1.9 kg/㎡였으며, 4회 이하 섭취군은 각각 160.7±0.1 cm, 57.1±11.8 kg, 21.5±3.4 kg/㎡로 나타났는데, 체중과 BMI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BMI 분포를 보면 아침 5회 이상 섭취군은 저체중이 15.8%, 정상체중이 59.0%, 과체중이 15.8%, 비만이 9.4%였으며, 4회 이하 섭취군은 저체중이 13.2%, 정상체중이 43.8%, 과체중이 28.1%, 비만이 14.9%로 나타났다. 식행동 점수는 아침 5회 이상 섭취군이 4회 이하 섭취군보다 높게 나타나 규칙적인 식사패턴을 보였으며 ‘우유나 유제품을 매일 1잔 이상 마신다’, ‘과일이나 과일주스를 매일 먹는다’, ‘하루 세끼 규칙적으로 식사한다’ 문항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영양소 섭취상태를 알아본 결과 1일 평균 에너지는 아침 5회 이상 섭취군이 1,545.8 kcal, 4회 이하 섭취군이 1,378.2 kcal로 나타났고,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아침 5회 이상 섭취군이 각각 218.8 g과 56.1 g, 4회 이하 섭취군이 188.1 g과 49.7 g으로 5회 이상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섭취하였다. 또한, 비타민 A, 비타민 B₁, 비타민 B₂, 나이아신, 비타민 B6, 인, 아연과 콜레스테롤 섭취량도 아침 5회 이상 섭취군이 4회 이하 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에너지 필요추정량(EER)과 영양소의 권장섭취량(RNI)을 살펴보면 EER은 아침 4회 이하 섭취군(65.6%)이 5회 이상 섭취군(73.7%)에 비해 낮은 섭취율을 보였고, 비타민과 무기질에서는 조사대상자들이 비타민 B₁, 비타민 E, 인과 나트륨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를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었다. 이 중 권장섭취량의 80% 이하로 섭취하는 영양소를 알아본 결과 아침 5회 이상 섭취군은 비타민 C, 엽산, 칼슘과 철이었으며, 4회 이하 섭취군은 비타민 A, 비타민 B₂, 나이아신, 비타민 B6, 비타민 C, 엽산, 칼슘과 철로 나타나 아침식사의 빈도가 낮을수록 전체 식사에서의 영양소 섭취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비율은 56.4:14.6:27.7로 나타났으며, 아침식사 빈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아침식사 빈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거주상태가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여대생들의 높은 아침결식률이 전체 식사의 영양소 섭취에도 영향을 미쳐 여대생들에게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아침식사 섭취를 통한 에너지 및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을 증가시켜 다양하고 적절한 식사를 가능하게 해야 할 것이다. 한편 특정 영양소, 칼슘, 비타민 C와 철분 결핍의 우려가 심각해 이들 영양소들은 기존 식사에서의 섭취량을 양적으로 증가시키는 것과 동시에 질적으로 우수한 우유, 멸치, 녹색 채소류(브로콜리, 케일, 청경채 등), 과일, 육류 및 생선 등의 섭취를 유도하여 여대생들의 영양 상태 개선을 위한 꾸준한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아침결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비자택 거주자들의 식생활 교육 강화 및 거주상태가 고려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MI,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status according to frequency of breakfast intake in female college students (n=253) in Chuncheon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by employ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ietary assessment was measured by the 24-h recall metho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frequency of breakfast: Five to seven times per week (eating breakfast group, n=139) and none to four times per week (skipping breakfast group, n=114). The living with parents group showed significant high frequency of breakfast intake, whereas the self-boarding group showed significant low frequency of breakfast intake. The body image satisfaction score of the 5∼7 times/week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0∼4 times/week group.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the 5∼7 times/week group were 161.0±0.1 cm and 52.6±7.6 kg,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the 0∼4 times/week group were 160.7±0.1 cm and 57.1±11.8 kg, respectively. The average body mass index (BMI) values of the 5∼7 times/week and 0∼4 times/week groups were 19.8±1.9 kg/㎡ and 21.5±3.4 kg/㎡, respectively. The dietary behavior score of the 5∼7 times/week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0∼4 times/week group. The daily averages for energy, carbohydrate, and protein intakes in the 5∼7 times/week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0∼4 times/week group. Intakes of vitamin A, vitamin B₁, vitamin B₂, niacin, vitamin B6, P, Zn, and cholesterol in the 5∼7 times/week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0∼4 times/week grou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resident type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ssociated with breakfast intake frequency. Therefore, strengthening dietary education programs that largely focus on resident type will greatly contribute to prevent skipping breakfast.

      • KCI등재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단원 교육 전후 영양지식, 식행동과 식이자기효능감 차이분석

        김윤선(Kim Yoon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술ㆍ가정 교과시간을 이용하여 식생활 단원을 수업한 후, 교육 전과 교육 후의 영양지식, 식행동 및 식이자기효능감을 비교하여 식생활단원 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식생활 교육의 주교재는 교과서를 바탕으로 10차시 식생활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설문내용으로 교육효과를 검증하였다. 영양지식 전체점수는 식생활 교육 전이 8.29±4.63점, 교육 후가 12.57±5.77점, 식습관 전체점수는 교육 전이 30.53±4.23점, 교육 후가 31.96±4.09 점이었으며, 식이자기효능감의 전체점수는 교육 전이 55.97±8.89점, 교육 후가 57.86±8.27 점으로, 세 변인 모두 교육 후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생활 교육 후 영양지식, 식습관과 식이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식이자기효능감과 식습관이 낮은 상관관계(r=0.274, P<0.01)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를 이용하여 실시한 식생활 교육으로 학생들의 영양지식, 식행동과 식이자기효능감 향상 등의 효과가 나타나면서 학교 식생활 교육이 가지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pre- and post dietary education in the food and nutrition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ubjects are male students(n=196) that are in their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his study is based on the textbook that provides 10-class dietary education.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by utilizing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 method. The total scores of nutritional knowledge(8.29 vs. 12.57, P<0.001), eating habit(30.53 vs. 31.96, P<0.05), and dietary self-efficacy(55.97 vs. 57.86,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post-dietary educ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eating habit and dietary self-efficacy post-dietary educ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0.274, P<0.01). From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school dietary education is emphasized through dietary education based on the textbook, that shows the effects of improving nutritional knowledge, eating habit and dietary self-efficacy.

      • 노인의 무력감 개념분석

        김윤선(Yoon Sun Kim),권수혜(Suhye Kwon),배지현(Jihyun Bae),이연향(Younhyang Lee) 고신대학교 전인간호과학연구소 2020 전인간호과학학술지 Vol.13 No.-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clarify the concept of powerlessness in the elderly.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RISS, MEDLINE, and CINAHL. Based on the Walker and Avant’s concept analysis method, the definition of powerlessness in the elderly, its attributes,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empirical referents were discussed. Results: Through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the attributes of the powerlessness in the elderly were identified as 1) sense of loss, 2) sense of worthlessness, 3) avoidance, and 4) negative emo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concept analysis will be of help fo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owerlessness in the elderly and provide theoretical basis for use of the concept in nursing practice for the elderly.

      • KCI등재

        춘천지역 남녀 대학생들의 영양소 섭취 상태

        김윤선(Yoon-Sun Kim),김복란(Bok-Ra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2

        본 연구는 춘천지역 대학생 306명(남 175명, 여 131명)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를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 나이는 남학생이 21.1±2.9세, 여학생이 20.3±2.2세였고(P<0.05), 평균 신장과 체중은 남녀 각각 175.2±6.2 cm와 68.2±9.9 kg, 161.7±5.2 cm와 55.1±6.5 kg으로 나타났으며(P<0.001), 평균 BMI는 남녀 각각 22.2±2.8과 21.1±2.1로 나타났다(P<0.001). 끼니별 결식률은 남녀 모두 아침결식률(31.7%, 29.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를 알아본 결과, 1일 평균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섭취하였다(P<0.001). 또한 비타민 A와 C를 제외한 비타민 B1(P<0.001), 비타민 B2(P<0.01), 나이아신(P<0.001), 비타민 B6(P<0.001), 비타민 E(P<0.001), 엽산(P<0.01), 칼슘(P<0.05), 인(P<0.001), 철분(P<0.001), 아연(P<0.001), 나트륨(P<0.001), 콜레스테롤(P<0.001)도 남학생이 유의적으로 높게 섭취하였다. 주중과 주말의 영양소 섭취 상태는 남학생이 1일 평균 에너지(P<0.01), 탄수화물(P<0.01), 단백질(P<0.05), 지방(P<0.01), 비타민 B1(P<0.01), 나이아신(P<0.01), 비타민 B6(P<0.01), 비타민 E(P<0.01), 철분(P<0.05), 아연(P<0.01), 나트륨(P<0.05)을, 여학생은 지방(P<0.05), 비타민 E(P<0.05), 칼슘(P<0.01), 철분(P<0.01)을 주말에 비해 주중에 유의적으로 높게 섭취하였다.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비율은 남학생이 57.8:15.3:26.8, 여학생이 58.5:15.1:26.2로 나타나면서 서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대한 섭취비율을 보면 권장섭취량과 충분섭취량 이상 섭취한 영양소는 남학생의 경우 단백질, 비타민 B1, 인, 철분, 나트륨이었으며, 여학생은 단백질, 비타민 A, 인, 나트륨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에너지 필요추정량에 대한 섭취비율은 69%, 여학생은 70%였으며, 남학생은 비타민 B2, 비타민 C, 칼슘을, 여학생은 비타민 C, 철분, 칼슘을 권장섭취량의 80% 이하로 섭취하고 있었다. 주중과 주말의 영양섭취기준에 대한 섭취비율을 살펴보면 남학생은 비타민 B6와 아연을, 여학생은 칼슘과 철분을 주중에 비해 주말에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섭취하였다(P<0.01). 성별에 따른 EAR 미만 섭취자 비율은 남학생이 칼슘(81.7%), 비타민 B1(69.4%), 비타민 C(64.9%), 비타민 B6(53.7%)를, 여학생은 칼슘(75.4%), 비타민 C(64.6%), 철분(60.8%), 비타민 B6(58.5%), 비타민 B2(55.8%), 나이아신(53.5%), 엽산(51.9%)이 50%를 넘어 영양소의 섭취량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대학생들의 높은 아침결식률,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영양 섭취를 보이고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대학생들의 에너지 섭취 수준은 낮았으며 특정 영양소, 특히 칼슘, 비타민C, 철분, 비타민 B2 등의 영양 섭취 상태가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침결식률과 영양 섭취 상태는 주중보다는 주말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불규칙한 생활 패턴에 따른 식습관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규칙적인 식생활 및 균형 잡힌 식습관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함께 식태도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어 대학생들이 건강과 영양 상태 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자발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한편 본 연구는 표본의 대상이 춘천지역 일부 대학생이기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영양소 섭취 상태의 분석 자료로 사용된 24시간 회상법은 자기기입방법으로 정확한 섭취량을 측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본 연구의 영양소 섭취 상태와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차이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개인의 영양 상태 평가가 아닌 집단 간의 비교이고, 개인별 일일 식품 섭취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중과 주말이 포함된 4일 간의 조사를 실시하였기에 다른 지역 및 연령대와의 비교나 특성 연구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ent intake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in Chuncheon area (175 males and 131 femal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employ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ietary assessment was measured by a 24-h recall method.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male students were 175.2±6.2 cm and 68.2±9.9 kg, respectively. For female students, average values were 161.7±5.2 cm and 55.1±6.5 kg, respectively. The mean BMIs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22.2 and 21.1, respectively.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was high. Daily averages for energy, carbohydrates, protein, and fat intakes in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P<0.001). For male students, protein, vitamin B1, P, Fe, and Na were above recommended nutrient intake and adequate intake, whereas for female students, they were protein, vitamin A, P, and Na. For male students, nutrient intakes for Ca, vitamin B2, vitamin C, and vitamin B6 were below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by at least 50% or more, whereas for female students, they were vitamin C, Fe, vitamin B6, vitamin B2, niacin, folate, and Ca. Ca was alarmingly low, with more than 75%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ing levels below the EAR.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nutritional education be facilitated for college students to take responsibility of their own health through learning about nutrient intake as well as developing positive eating hab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