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대 불가리아어 한정 기술 체계 연구

        김원회(Won-Hoi Kim)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0 동유럽발칸학 Vol.2 No.1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the structur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definite description system of modern Bulgarian language. In the course of this research has been made a phonemic(historical), morphologic , syntactic and semantic analysis of the OCS demonstrative pronouns cь, ть, онь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definite article form in the modern Bulgarian Language and in the western-southern dialects , the demonstrative pronouns (T- , H- and c-root), and the personal pronoun fot the third person (той). Especially from the sematic point of view, the definite description system of modern Bulgarian language can be schemed as follow

      • KCI등재후보

        불가리아어와 한국어의 음소체계 비교와 상호 표기 방법론 연구

        김원회(Kim, Won-Hoi)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5 동유럽발칸연구 Vol.15 No.1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3 단계의 연구 분석을 시도하였다. 우선 첫번째 단계에서는 한국어와 불가리아어의 자음과 모음 체계를 비교해보았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의 모음이 불가리아어의 모음들보다 전설모음인 경우에는 더 앞쪽, 더 위쪽에서 발음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후설모음의 경우에는 그 차이가 미미하여 동일한 조음 위치에서 발음되고 있다고 해도 무방해 보임을 밝혔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불가리아어 인명과 지명을 한국어로 옮기는 방법을 연구한 국내 유일의 자료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고찰해 보았다. 여기서 문제점으로 나타나는 예로는 Batak 바탁의 표기는 바타크로. Levski 레프스키, Jovcev Yovchev 요프체프는 각각 렙스키, 욥체프 등으로 표기되는 것이 더 합당함을 밝혔다. 또한 불가리아어가 다른 슬라브어에 비해 ъ라는 후설 중위 모음을 갖고 있고 비교적 최근에 음성 특정에 따른 정자법 개혁(1944년)을 단행하였기 때문에 표기 문제에 있어서 다른 슬라브어에 비해 한국어로의 표기상의 어려운 점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사실도 밝혀보았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불가리아 현직 기자인 보네바의 저서에 나오는 한국 관련 단어들의 불가리아 표기를 자세히 살펴보고 70개의 용례들이 보이는 옳은 점과 수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살펴보았다. 이 경우에는 주로 b의 사용 문제, “ㅡ”와 “ㅓ"의 표기문제등 주로 모음과 관련된 문제점이 발견됨을 알 수 있었고 자음과 관련해서는 дж의문제,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분문제, jot를 포함(이 중 모음)하는 표기문제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work has its aims first to look through the phonemic and phonetic system of Korean and Bulgarian vowels and consonants. According to this study, Bulgarian front vowels are articulated in more high and front positions than Korean. And Bulgarian back vowels - in the almost same positions of Korean back vowels. Bulgarian consonants have soft-hard and voiced-voiceless features. On the contrast to this. Korean consonants have plain, glottalized and aspirated features. Second analysis is on the transliteration rules from Bulgarian to Korean and vise versa. When B비arian Words are transliterationed to Korean, special attentions should be paid on the definition of syllable boundary(the definition of consonants as a onset or coda), harmonization of softness-hardness. Batak -> 바타크, Levski -> 렙스키, Jovcev Yovchev 욥체프 When Korean Words are transliterationed to B비arian , special attentions should be paid on the vowel transliteraions. the use of ъ, the transliterations of “ㅡ" and ”ㅓ" and the use of дж, ь, й. Finally, the rules for the Korean and Bulgarian transliterations are described above.

      • 불가리아인들의 민속학적 기호와 타부

        김원회(Kim, Won-Hoi)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Bulgarian folk customs observed around the year from the view points of cultural symbolism and taboo. Specifically, the author uses cultural taboo as a basis of his analysis because he believes that taboo. unlike religious and ethical approaches. and though sometimes arbitrary and unordered. are still more deeply reflective of his own true cultur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author analyzes the major folk customs of Bulgaria from his selection of four very adequate examples. His folk customs. unlike the Christian customs practiced during Easter and Christmas. are much more folk lore oriented. The four Bulgarian folk customs that he will examine fall on Bulgarian New Year's Day (1. I.). Trifonov Day (I.II.). Gerg'ov Day (23. IV. or 6. V.) and Nikolai Day (6. XII). For this study, the author uses the same analytical format for each folk custom. First of all , he introduces all the ceremonial features and special foods used in each of the celebrations. Secondly. he analyzes the taboo that is reflected in each particular folk custom. Thirdly. he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Bulgarian taboos reflected in their folk customs , with Korean taboos found in Korean folk customs From this ordered study. we can easily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Bulgarian folk customs and taboos in relationship with each of the festival ’s foods and ceremonies. And from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Bulgarian and Korean folk customs. we can clearly see the unities and diversities of both. Understanding these unities and diversitie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uture for the construction of reciprocal interests and understanding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se studies are attempts to cross the two cultural boundaries and provide open-minded, rather than one-sided , points of view towards the other culture. For example , after the study. one of the main differences found between Korean and Bulgarian folk customs was that Korean folk customs are farming-oriented whereas the Bulgarian's are more religious-oriented (Bulgarian Orthodox). 본 논문은 세시 풍속을 중심으로 불가리아의 문화적 상정체계와, 그 속에 나타나는다양한종류의타부를살펴보는것을연구목적으로한다불가리아의 모든 세시 풍속을 한 논문에서 다루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므로, 본 연구 주제에 가장 합당한 세시 풍속을 다음과 같은 선별 기준으로 선택하고 있다. 선별 기준에 적용된 조건들로는 우선 세시 풍속 중에서 비교적 오랜 역사와 많은 전통을 갖고 있으며(역사성), 다른 동유럽이나 발칸 민족의 세시 풍속과 공유되지 않는 불가리아에서 독특하게 나타나는(특수성) 세시 풍속을 선별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또한 불가리아 정교(Bulgarian rthodox) 의 전통이 비교적 적게 나타나고 오히려 민간전승이나 관습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세시 풍속을 선별하고자 노력해 보았다 이렇게 선별된 불가리아의 세시 풍속은 다음의 4가지이다 1 새해(1월 1 일)의 세시 풍속과 문화 연구 2 트리포노프 날(2월 1 일)의 세시 풍속과 문화 연구 3 게오르기요프 날 (4월 23일 혹은 5월 6일)의 세시 풍속과 문화 연구 4, 니쿨 날(1 2월 6일)의 세시 풍속과 문화 연구 각각의 세시 풍속에 나타난 문화적 상정과 타부에 대한 연구 결과를 개략적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새해(1월 l 일)의 세시 풍속과 문화 연구 새해에 불가리아에서 행해지는 세시 풍속을 음식과 행사로 나누어 자세히 살펴보았다 우선 음식 문화의 경우에는 새해에 특별히 준비되는 뽀가차 빵과 바니짜 빵을 중심으로 준비 과정과 그 음식 속에 담겨진 문화적 상징 . 그리고 그것들을 이용한 세시 풍속 행사를 서술하였다. 전통적인 농경 사회인 불가리아에 역시 농경과 관련된 의식과 타부가 다양하게 존재함을 고찰할 수 있었다 행사 문화로는 새해 첫날 한해의 건강과 행운을 비는 층층나무 가지를 이용한 수르바키 의식을 자세히 살펴보고 수르바키가 불가리아 새해 세시 풍속에서 가장 중요한 의식임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그믐밤과 새해 정오까지 이어지는 처녀들의 ‘반지 노래”의식도 각 지방의 특색을 고려하면서 자세히 다루어 보았다. 이 부분에서 다루어진 불가리아인의 상징과 타부는 주로 밀(빵), 층층나무, 오른쪽 등이며, 이러한 불가리아의 상징과 타부가 한국의 새해 음식 문화와 복조리. 세배 등의 행사 문화와는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가 하는 비교도 시도해 보았다. 2, 트리포노프 날 (2월 1 일)의 세시 풍속과 문화 연구 불가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과실인 포도와 관련을 맺고 있는 이 세시 풍속은 포도밭의 수호신인 트리폰을 기념하는 축일이기도 하다 한 해 동안의 포도 농사와 포도주의 주조가 잘 되기를 바라는 이날의 행사는 포도가지. 포도주, 숫자 3(성 삼위일체를 의미. 동쪽 등의 문화적 상정과 관련을 맺고 연구가 진행되고 서술되었다. 3 게오르기요프날(4월23일 혹은 5월6일의 세시 풍속과 문화 연구 양치기와 짐승들의 수호신인 게오르기를 기념하는 이날의 축제는 그해에 가장 먼저 태어난 숫양을 집 앞이나 마을의 광장, 포도밭 등에서 잡는 것으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잡게 될 양을장식할 화관이나 음식은 그 전날 미리 준비되어진다. 그네를 타거나 다채로운 음식을 먹으며 마을 공동으로 이루어지는 이날의 행사는 양, 피, 꽃, 십자가 등의 문화적 상징체계, 타부와 관련을 맺고 있다. 4, 니쿨 날(12월6일)의 세시 풍속과 문화 연구.‘니쿨 날에는 쓰레기통에서 주워서라도 생선뼈를 이빨에 부딪쳐라“라는 고래의 불가리아어 속담이 존재할 정도로 생선을 먹는 것을 가장 중요시하는 날이 바로 이날이다. 바다, 어부의 수호신인 니콜라이를 기념하는 이 날은 불가리아 겨울 세시 풍속 중에서 백미를 이룬다. 육식을 주로 하는 불가리아인의 식생활 속에서 생선 먹는 날을 정하는 것은 문화적 상징 측면뿐만 아니라 생활적인 측면에서도 의미가 매우 크다。이날의 세시 풍속은 리브니크, 잉어 요리 등의 음식들과 관련이 깊다. 물, 물고기, 비늘 등의 문화적 상징이 불가리아 문화에서 갖는 의의는 성서적 의미와 결합되어 매우 강하게 문화 속에 투영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세시 풍속과 마찬가지로 이 날에는 니콜라이라는 이름을 갖는 사람들이 자신의 명명일 축일을 기념한다. 니콜라이 외에 이날 명명일 축일을 갖는 이름들로는 꼴레(Kale), 꼴착(Kolchak), 꼴료(Kol'0), 꿀라Kula), 니꼴라(Nikola), 니꿀(NikuJ), 니꿀라(Nikula), 니나(Nina), 니노(Nino) 등이다. 불가리아 문화 상정체계와 타부를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과 연구 결과가 본 논문의 결론에 서술되어 있다.

      • KCI등재

        군중 상징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

        김원회(Kim, Won-Hoi)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3 동유럽발칸연구 Vol.34 No.-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군중이라는 사회현상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이다. 일상생활에서 그리고 일반 민중들이 살아가면서 자의든 타의든 관계를 맺고 형성해 가며 살아가는 사회집단이 바로 군중이다. 그리고 군중이라는 사회 집단과 절대적 필연관계에 있는 사회적 표현 논리가 바로 군중 상징이다. 군중이라는 사회 현상을 기호학적으로 해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연구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작품은 바로 이 분야의 탁월한 저작인 불가리아 출신 작가 엘리아스 카네티의 <군중과 권력>이다. 이 저작은 엘리아스 카네티에게 1981년 노벨문학상을 가져다 준 수준 높은 저작으로서 작가 자신도 자신의 35년 작가 생활의 결정판이라고 자평할 만큼 뛰어난 작품이다. 저작 속에서 카네티는 군중의 일련의 특징들과 종류들, 그리고 이와 연관되어 있는 상징적 표식으로서 불, 바다, 비, 강, 숲, 바람, 모래, 더미 등을 들며 설명하고 있다. 아울러 군중과 무리의 차이점에 대하여도 설명하고 있으며, 나아가 엘리아스 카네티 시대의 유럽 국가들의 군중 상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카네티는 진한한 관찰을 통해 군중을 상징하는 군중상징을 지정하게 된다. 본론의 중심부에서는 이러한 군중상징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이것들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과 해석을 시도하였다. 세계에 대한 지각과 개념화의 과정 속에서 왜 위에서 기술한 8개의 군중상징이 나타나게 되었는가를 역으로 연구해 보았다. 특히 본론의 <표2>와 <표3>에서 카네티의 8개 군중상징의 지각적 인지과정과 개념화의 보편소를 이용한 재분석을 시도한 점이 중요하다. 이를 통하여 카네티의 의식세계와 인지과정 그리고 개념화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었다. 본론의 마지막 장에서는 카네티가 살았던 동시대 유럽 국가들의 군중상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영국과 독일, 프랑스 등 총 8개 국가와 민족에 대한 군중상징을 살펴보고 이것이 결국 세미오시스적인 관점에서는 표상체와 대상체에 대한 동시대의 역사, 문화 등의 요인과 카네티 자신의 개인적 경험에 의거한 해석체였음을 밝혀냈다. 물론 주관적인 판단이나 해석이 가능할 수 있다는 단점도 이 연구를 통하여 부각해 보았다. The current paper investigates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the masses in Elias Canetti's <The Masses and The Power, 1960>. Elias Canetti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researchers related to the concept of "the masses" and a Novel Prize winner. Semiotic analysis on the concept of the masses explains a number of interesting social phenomena. A renowned writer from Bulgaria, Elias Canetti describes the concept by using semiotic signs such as fire, sea, wind, sand, and etc.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cepts of the masses and the crowds is also explicated in <The Masses and The Power>. Canetti explains mass symbols of European countries and his explanation is under research in this paper. From the semiotic and cognitive-linguistic points of view the symbols in <The Masses and The Power> are analyzed using Peirce's semiosis. Also, the change of the symbolic system will be found in the current research and the idea of semiosis will help us understand the concept better. Basic concepts of human cognition such as time, space, and body are also used in the analysis of the masses. A better and advanced symbolic concept of the masses will be suggested at the end of the present paper.

      • KCI등재

        음성과 감성의 상관관계 연구

        김원회 ( Won Hoi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5 언어와 언어학 Vol.0 No.6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eking the co-relations between phonetic features and emotions. As it is well known, the phonetic features like tone, pitch, speed, stress are very important tools for transferring the emotion of speaker. In the 1st part of main chapter, the author surveyed the previous researches about the same theme. In the 2nd chapter of main body, the author studied the co-relations between lexical meaning of word and emotion. Every word has it``s own emotional mood like happy, joy, angry, sorry, dislike, fear et al. The author introduce the table of emotional words list with the explanations of emotional level and grades. In the last chapter of main body, the author seeked 30 examples of taboo words in Korean and English and analyzed the phonetic components of these words. In Korean, for expressing the dislike emotion, the speaker use more tough consonants like ㄲ, ㄸ, ㅃ. But in English, the same phenomenon was not found in the same lexical word categories.

      • 불가리아의 전통 축제와 이민족 축제에 대한 연구

        김원회(Kim, Won-Hoi)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

        본 논문은 발칸 반도의 중심부를 차지하고 있고, 다 국가간, 다 민족간의 교류를 통해 고대 트라키아 문화, 고대 슬라브 문화, 발칸 지역 이슬람 문화를 함의하고 있는 불가리아의 다양한 축제를 다각적인 시각에서 고찰, 분석하려는 목적을 가진 논문이다. 본 논문은 크게 두 가지의 대 주제로 나누어지는데 첫 번째 주제는 불가리아 전통 축제에 대한 내용이고, 두 번째는 불가리아의 이민족 축제에 대한 내용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축일이나 축제의 개념과 그 종류를 살펴보고, 제시된 기준에 의거하여 불가리아 축제들을 분류해보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개별 축제의 특성과 양상, 관련된 전설이나 기원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세 번째 단계에서는 고대로부터 이어져오고 있는 축제의 발전 단계에서 불가리아의 축제들은 어떠한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그 특정은 무엇인지 분석해 보고 있다. 이 과정에서는 불가리아의 종교적 전통을 문화 발전의 구심력이라고 규정하고, 민속학적 전통을 문화 발전의 원심력으로 간주하면서 과연 불가리아의 축제들이 구심력과 원심력의 작용 속에서 어떠한 모습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해 왔으며, 발전을 할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본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불가리아 내에 존재하고 있는 소수 민족들의 축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오스만-터키의 5세기에 걸친 지배는 자연스럽게 불가리아 내에 거주하는 터키계 이슬람교도들을 만들어 냈고 이들은 지금도 자신들의 종교적 전통과 생활양식에 따라 축제를 즐기고 있다. 터키 민족 외에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불가리아 내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은 집시 민족이다. 대략 14세기를 전후하여 불가리아에 이주한 것으로 알려진 집시 민족은 그 숫자 면이나 문화적 특성 면에서 좋은 연구 대상이 되었으며, 불가리아 고유의 전통 축제와의 비교를 통하여 그 문화적 정체성과 교류 양상을 고찰해 볼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Bulgarian traditional festivals and festivals of ethnic minorities in Bulgaria. Bulgaria is located in the center of Balkan Peninsula and possessed the Old Thracian, Old Slavic and Turkish Islamic cultural influences. In the field of traditional festivals, the phenomenons are same. Almost every Bulgarian festivals have the multi-cultural basements and influences. For the study of this purpose, the author classified the Bulgarian traditional festivals and festivals of ethnic minorities in Bulgaria as three groups. They are religious, social and folklore festivals. From this research, the author proved that almost every Bulgarian traditional festivals are set on the folklore basement. on this basements the Bulgarian Orthodox gives the manner and cultural frame. As for the festivals of ethnic minorities in Bulgaria, the author analysed the next festivals. (1) Turkish Islamic Festivals : Paмаэан Ьайрам, Куроан, Ьайрам (2) Gypsy Festivals: Васнловден, Атанасовден, Гергьовден, Хедерлеэ, Рамаэан, Ьайрам, Куроан, Ьайрам In spite of their ethnic and cultural differences, every festivals have the connections with the Bulgarian traditional festivals and close relationship with Bulgarian folklore or Orthodox

      • 러시아어 관용표현에서 영상도식을 통한 신체어 공간 은유 연구

        김원회(Kim, Won-hoi),김진실(Kim, Jin-sil)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8 동유럽발칸학 Vol.10 No.2

        본 논문은 러시아어 관용표현에서 신체어적 공간 은유를 담고 있는 어구들과 문장들을 영상도식을 통하여 재해석한 논문이다. 그동안 인지언어학 분야에서 인간의 인지과정을 그림을 통하여 표현하고 연구하는 일련의 학술적 활동이 이어져 왔다. 그러나 러시아어에서 구체적으로 신체어 공간은유 표현을 연구 재료로 연구된 것은 그 역사와 내용이 일천하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어 신체 은유표현 중에서 голова(머리), глаз(눈), нос(코), ухо(귀), рот(입), рука(손), нога(다리)를 담고 있는 표현들을 1차 자료에서 추출하여 그 예문들을 영상도식 중 이동도식과 그릇도식을 이용하여 추상적 실체를 구체적 실체로 변환시키고 일련의 규칙성과 의미적 연관성을 찾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러시아어 신체 공간 은유표현의 인지적 습득 과정과 그 의미적 포괄 단계를 구체적 그림으로 표현하였으며, 어떠한 표현이 각각 이동도식과 그릇도식에 의한 표현으로 적절한지를 살펴보았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xpanded meaning of Russian body words with space concept. The concepts or body words that are analyzed in this paper, are голова(head), глаз(eye), нос(nose), ухо(ear), рот(mouth), рука(hand), нога(leg) in the sense of space. This paper analyses space metaphor into two schemes. They are moving scheme and container scheme. The moving scheme perceives human being's eye as the starting, extending and ending points. ex. Пришлось даже отложить несрочные операции, потому что не хватало рук на приеме(lack of hand=lack of human or doctor). The container scheme perceives human, inanimate objects as contents in the container. Of course in the container can be gathered more than one concepts. ex. a. Я в проблеме. (I am in the problem) b. У меня проблема. (I have problem) The author illustrates metaphoristic expanding of these basic words in the conclusion and illustrates that this methods can be very helpful to explain the mechanisms of metaphoric meaning expressions by the body space words and phrases.

      • KCI등재

        문화간 의사소통 전략과 언어의 역사성

        김원회 ( Won Hoi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1 언어와 언어학 Vol.0 No.50

        Cultural difference is the one of cultural factors, which anybody feels easily. It has been relative characteristic, also it has been experienced in same cultural circumstance sometimes. If we had same cultural factors all over the world, there are no misunderstanding and cultural shock. But many country in the world maintenance their own languages, institutions, and traditions. This differences from other countries cause misunderstandings and complications at the international stage. The most important part of former research is what is cultural value in each cultural area, how to develop and embody this value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 or people. But no attempt has been made to study on cultural value and typology through the analysis with language resources. This paper aims to creat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actics through the analysis about language uses and its changes in the Russian and Bulgarian Phrase Express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ree chapters. In Chapter 2, I explore the former research in cultural factors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Chapter 3, I study on the selective words which are the one of most valuable words in Russian life “бог(God)”, “земля(earth)”, голова(head), белый (white) and their Bulgarian counter parts from Russian- Bulgarian Phrase Dictionary. And I consider factors affect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ese factors are subjective and differ from culture to culture. Then we can understand cultural essence and characteristic in Russian and Bulgarian.

      • KCI등재

        러시아어 연자음 발음에 나타나는 한국인 학습자의 음성적 특징 연구

        김원회 ( Won Hoi Kim ),채유정 ( You Jung Chae ),변군혁 ( Koon Hyuk Byun ) 한국러시아문학회 2016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52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phonetic differences of the russian consonants between native and korean speakers. Also this study acoustically examines Korean speakers` productions of russian consonants, and help how to educate the pronunciation for russian learner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e can make the followings: (1) Korean speakers showed the clear distinction of value F2 when they pronounced soft consonants. (2) The native russian make often the affrication of the soft consonants / t `/, / d` /. However, bugining and intermedia learner of russian pronounce plosives, not affricates instead. (3) When russian learners pronunciate soft consonants, they should move the tongue place forward. Also they are educated to make affrication at the moment of pronunciation the dental sou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