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업계고등학교 컴퓨터교과에서 협동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김원중,최상경,Kim, Won-Jung,Choi, Sang-Kyeong 한국정보교육학회 200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6 No.2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 컴퓨터교육에서 협동학습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협동학습 교수 학습 지도안을 설계하여 실험집단에 적용한 후, 전통학습을 적용한 통제집단과의 학습동기와 학습성취도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컴퓨터교육에 바람직한 교수 학습방법을 마련하고 학생중심 교육과정에 알맞은 학습구조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학습동기 및 학습성취도에 대한 평균점수의 검증결과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on the result of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between two groups in order to certify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cooperative learning method in computer education, an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profitable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to the teachers in the class of the computer department and to contribute the improvement of the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computer education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s students. As a result, the post-test average score of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experimental group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And that result is accepted as statistical in significance level p<.001

      • 동적 IP Address를 사용하는 인터넷 서버 구축을 위한 게이트웨이

        김원중,양현택,Kim, Won-Jung,Yang, Hyeon-Tae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9 No.1

        현재 대부분의 가정이나 소규모 기업에서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나 케이블모뎀을 사용한다. 4바이트로 구성되는 현재의 인터넷 IP 주소체계(IPv4)에서는 할당 가능한 IP 주소가 부족하여, 동적으로 공인(Public)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동적인 IP 주소를 할당받는 시스템은 모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에는 아무런 제약이 없지만, 자신이 각종 인터넷 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으로 변하는 IP 주소를 가진 시스템에서 인터넷 서버 서비스(Telnet, FTP, HTTP, Mail 등)가 가능하도록 하는 게이트웨이(Gate-D)를 설계하였으며, 실험적으로 Gate-D를 이용한 Telnet 서버의 구축을 통하여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Recently most of the home and small-size company use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or Cable Modem for using Internet Services. The number of Internet IP Address in current Internet IP Address System(IPv4) that is consisted of 4byte is almost empty, so generally the IP Address assigned dynamically is used. This way is just OK in general uses, but not OK in Internet Servers operation. This paper designed the gateway(Gate-D) system which is enable any system that get IP Address assigned dynamically to serve Internet Server Services(Telnet, FTP, HTTP, Mail, etc …), and made sure the worth by using Telnet Server.

      • KCI등재

        Wi-Fi 기반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인터넷 처리율 분석

        김원중,김영현,윤주상,백상헌,Kim, Won-Jung,Kim, Young-Hyun,Youn, Joo-Sang,Pack, Sang-He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8 No.1

        최근 무선 통신의 발달과 무선 접속 기기의 등장으로 인하여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을 접속하여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차량 네트워크의 발달로 이동 중인 차량에서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차량 네트워크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로 쓰이는 다양한 차량 네트워크의 구조를 살펴보고, 각 구조에서 차량 내에서의 Wi-Fi와 외부의 네트워크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성능 측정을 하였다. 성능 측정 결과를 통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량 네트워크의 유용성을 판단하였다. Due to advanc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and portable terminals, any-time, any-where, and any-device Internet access is possible. In particular, Internet access in moving vehicles is an emerging and challenging issue. Even though a variety studies have been conduced for vehicular networks, little attention is paid to vehicular Wi-Fi networks where a Wi-Fi access point (AP) is installed at the vehicle and the AP is connected to an external base station (BS). In this paper, we conduct a measurement study on the uplink and downlink throughput for Internet access in vehicular Wi-Fi networks. We consider diverse network environments: high-speed train, car, and subway. Measurement results demonstrate that current Internet access in vehicular Wi-Fi networks are not satisfactory for interactive multimedia applications. Therefore, in-depth study on resource management in vehicular Wi-Fi networks is strongly required.

      • KCI등재

        근력트레이닝 방법에 따른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비율에 관한 연구

        김원중(Kim Won-Jung),황명훈(Hwang Myoung-Hoon),이영석(Lee Young-Suk) 한국체육과학회 2000 한국체육과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ody composition ratio of obesity women who over 30% body fat ratio on eight weeks weight training(n-6) and circuit weight training(n-6). Subjects underwent eight weeks weight training and circuit weight training. Their were measured body fat, abdomen fat, Lean body mass, body fluid pre and post training. The response were analyzed by SPSS 7.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body fat were increased both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eight weeks training(p<.05). 2. Abdomen fat were increased both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eight weeks training(p<.05). 3. Lean body mas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eight weeks training 4. body fluid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eight weeks training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aining program. In conclusion, it can the referred that the weight training and circuit weight training decreased body fat and abdomen fat of obesity women.

      • KCI등재후보

        한국과 미국(뉴욕주)의 도로교통법상 운전자 위반행위 제재에 관한 비교 연구

        김원중(Kim Won Jung) 미국헌법학회 2011 美國憲法硏究 Vol.22 No.1

        교통수단의 발달은 교통사고와 함께 교통혼잡으로 인한 교통 불편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즉 교통의 편리성과 함께 부정적인 요소인 사고와 교통법규 위반이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교통수단의 발달은 그만큼 이용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는 반면 교통에 의한 침해라는 부작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침해가 발생하자 각 국가에서는 차량을 이용하는 운전자에 대하여 사고 및 법규위반을 억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재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도로와 차량이 가장 발달된 나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미국내에서는 운전자에 대하여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로교통법에서 구체적인 사항을 규정하여 법규를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는 운전자에 대한 위반행위를 도로교통법령에서 위반행위를 정하고 있으나 위반행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효과적인 제재를 위해 제재수단을 더 강화시키려는 방안으로 추진되고 있다. 한국과 미국의 경우 법체계가 상이한 국가로서 도로교통법상 운전자에 대한 위반행위를 단순 비교하는 것은 어렵지만, 그러나 미국과의 상호 비교는 도로교통법의 발전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한국과 미국의 도로교통법상 운전자의 교통안전을 위하여 위반행위에 대한 억제수단을 비교분석하는 것은 도로교통법의 입법체계의 특성을 이해하고, 위반행위 억제수단의 내용과 수준을 검토하므로 향후 우리의 교통위반억제를 위한 입법방향과 입법구성을 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도로교통법상의 입법상 가지고 있는 운전자에 대한 위반행위의 종류중 속도준수를 주로 분석하였다. 미국 뉴욕주의 경우 도로교통법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차량과 교통법(Vechicle and Traffic law)’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반해 한국은 도로교통법이라고 하여 도로상에서 발생하는 차량과 도로이용자에 대한 내용을 규제하는 수단으로 규정되어 있다. 또한 미국은 각 주별로 교통법이 상호 다르므로 이를 모두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이하에서는 대표적인 뉴욕주(New York State)의 차량과 교통법(VAT)을 한국의 도로교통법과 비교하였다. The development of traffic means brings about traffic accidents and jams, leading to an inconvenient traffic situation. In other words, traffic improvement not only gives us some benefits but also produces various types of side effects, such as traffic accidents and violations. Further more, infringements by the traffic take place. so, each country is working on a variety of methods to regulate the infringements done by car drivers in order to control traffic accidents and violations. The United States is the best in roads and vehicles and has specific regulations in the road and traffic law so that car drivers could observe traffic regulations. In Korea, road and traffic ordinance designates drivers’ violations. But those violations are continually going up, thus measures to strengthen the regulation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Korea and the The United States are different in law system, so it is not easy to compare driver’s violations in Korea with those in the United States. But the comparing could be an indication of predicting how road and traffic law is going to be improved.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penalty and detention, which are tools to reduce violations by drivers, between the two nations seem to be very useful in reviewing legislations to come in future. This study analysed the types of violations of drivers in each country,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at are stipulated in the road and traffic law and it also analysed characteristics of those violations presented in both nations. There is Road and Traffic law in Korea that is a mean to regulate the vehicles on the roads and road users, but in the United States Road and Traffic law are named as Vehicle and Traffic law. traffic law in the United States is different from states, so it is not possible to compare all those laws with each state. Thus this study compared vehicles and traffic law of New York State with road and traffic law of Korea.

      • KCI등재

        자치경찰제도 도입 논의에 관한 비판적 검토와 입법적 제언

        김원중(Kim, Won-Jung)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7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7 No.2

        지방자치가 시행되어 온 후 자치경찰에 관한 도입 논의는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왔다. 그러나 자치경찰제도는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하고는 여전히 요원한 실정이다.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우에 있어서도 자치경찰이 실시되고 있으나 그 사무는 협의적 의미의 행정경찰에 한정되고 있어, 본연의 자치경찰제도의 취지를 구현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치경찰제도가 도입될 경우 우선적으로 입법에서 전제되어야 할 사항에 대하여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자치경찰제도는 지역 내의 치안업무는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자주적으로 처리하여 지역의 치안확보를 달성하여 지 역민에 치안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그럼으로 자치경찰제도를 도입하기 위하여 법률에서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여 조직과 사무 그리고 재원에 대하여법에서 명확히 구현할 필요가 있다. 법치주의를 달성하기 위하여서는 법률에서 자 치경찰에 관한 내용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자치경찰에 관한 설치단위는 풀뿌리 민주주의를 기본으로 하는 지방자치의 기본이념에 따라 기초지방자치단체에 필수적으로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지방자치본질에 부합하게 된다. 자치경찰사무 또한 지역 내 치안과 관련한 모든 사무에 대 하여 전권한성을 가지고 자주적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 자치경찰제도의 취지에 부합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치경찰제도가 도입될 경우 자치경찰의 본연의 취지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치경찰제도의 설치단위와 그 사무 그리고 재정원(財政源)을 법률에서 구체적으로 규정할 필요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The discussion about introducing self-governing police into Korea has been on the way since local autonomy was carried out. But self-governing police system is still not put into effect throughout the country, excluding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lthough self-governing police is currently carried out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ts affairs are only limited to administrative police of a narrow meaning. So, it does not accord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self-governing police. Thus, this study reviewed what should be first set forth in the legislation in order to introduc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The purpose of self-governing police system is that each local autonomy keeps its public peace and order by itself so that it can provide safe security to the localities. To do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dditional laws which stipulate its organizations, affairs, and financial resources clearly and specifically. In addition, what is about self-governing police needs to be regulated obviously and specifically in the law so that legalism can be fulfilled. In accordance with the fundamental ideal of local autonomy, which is based on democracy of grass root, it is essential that each basic local self -governing community, such like Gu, Gun, and city, should carry out its own self-governing police by itself as well as its own affairs related with security. Therefore, with the assumption that self-governing police might be introduced in the future, this study reviewed the necessity of making the legislation that regulates a unit of building local-governing police system. For example, whether local-governing polic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basic local self -governing communities of Gu, Gun, and small cities or in large ones, such like Daegu, Incheon, and Gwangju city. Also, this study specifically reviewed the affairs and financial resources of self-governing police.

      • KCI등재

        주민참여가 제한된 자치경찰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원중(Kim, Won-Jung)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1 No.3

        2006년 7월에 제주특별자치도에 한하여 자치경찰제도가 시행되어 온지 15년만에 전국에 자치경찰제도가 시행되게 되었다. 자치경찰제도는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약칭:경찰법)에 의해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 자치경찰기관을 두어 전국적으로 시행해 오고 있다. 자치경찰제도는 지역의 치안을 주민 참여를 통하여 지역 내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자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자치경찰은 지역 내의 치안수요에 대응하여 지역민의 의사를 통하여 지역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역의 안전은 지역에서 지역민이 자주적인 의사에 따라 스스로 처리하는 것이 자치경찰제도의 존재의의이다. 지역의 치안을 확립하고 안전한 지역사회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자치경찰기관과 자치경찰사무에 대한 지방자치화가 필요하다. 경찰법은 자치경찰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자치경찰기관으로 시‧도자치경찰위원회만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자치경찰제도 중 유일하게 자치경찰기관인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구성과 사무에 주민참여를 통하여 지방자치를 실현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행 법률에서는 자치경찰기관에 대하여 주민참여를 규정하지 않고 있어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자치성 달성 곤란과 위원의 정당성 확보가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자치경찰제도는 지방자치를 구현하기 위한 제도 중의 하나로 지역주민의 의사가 반영되어야 한다. 지역주민의 의사가 자치경찰제도에 제대로 반영될 경우 민주성확립과 정당성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자치경찰제도가 지방자치의 본연의 취지를 살려 지역치안 확립을 위해서는 지역 주민의 참여를 통하여 자치경찰기관이 구성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민참여를 통한 자치경찰제도의 실현을 위해 주민의 사전참여와 사후통제라는 범위에서 자치경찰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경찰법 개정을 통하여 지방자치 실현에 부합할 수 있는 자치경찰제도 확립이 실현되어야 한다.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implemented nationwide for the first time in 15 years since July in 2006 when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implemented only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National Police and Autonomous Police」 (abbreviation: Police Ac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has been implemented nationwide by establishing autonomous police agencies in metropolitan regional governments. In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local governments autonomously handle local security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 purpose of the self-governing police is to secure the safety of the area through the will of the local people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security in the area. The significance of the existence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s that the local residents in the region are autonomously managing the safety of the region. In order to establish local security and a safe community, local autonomy of autonomous police agencies and autonomous police affairs is necessary. The Police Act implements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but only the city and provincial autonomous police committees are established and operated as autonomous police agencies. Local autonomy should be realiz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composition and affairs of the City/Provincial Autonomous Police Committee, which is the only autonomous police agency among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However, as the current law does not stipulate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autonomous police agencies, it is difficult not only to achieve autonomy of city and provincial autonomous police committees, but also to secure the legitimacy of its members.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s one of the systems of pursuing local autonomy, and the will of local residents must be reflected. If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are properly reflected in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democracy and legitimacy can be secured. Therefore, in order for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o take advantage of the original purpose of local autonomy and to establish local security, an autonomous police agency must be organized and operat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ithin the scope of residents pre-participation and follow-up control in order to carry ou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The establishment of a self-governing police system that can meet the goals of local autonomy should be achiev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Police Ac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