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정보전달을 고려한 국민건강검진 결과지 디자인 개선

        김예림(Kim, Yelim),이가영(Lee, Kayoung),백진경(Paik, Jinky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7 No.3

        연구배경: 20세기 이후 인간의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고령화로 인해 심뇌혈관 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건강검진 수검률 또한 꾸준히 증가 추세이다. 검진 이후에는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검진결과지를 제공받는데 이는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2011년 새롭게 디자인한다. 그러나 디자인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그래프와 컬러의 대비, 용어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수검자와 의료진들의 낮은 이해도와 만족도로 인해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건강검진관련 문헌조사와, 정보디자인에 관한 문헌고찰, 의사, 간호사, 디자이너를 통한 결과지의 문제점분석을 통하여 1차 개선안 도출 후 이를 통해 다시 한 번 심층 인터뷰를 실시한다. 이렇게 나온 문제점을 개선하고 정리하여 최종 디자인안을 제안한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본 연구자가 제안한 C결과지에서 서체, 컬러, 그래프가 일관되며 종합소견의 여백이 확보되어 보다 전반적으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한눈에 파악하고 쉽게 인지할 수 있다고 답하였다. 결론: 단지 디자인적인 부분에서만 결과지를 향상시킨 것이 아니라 직접 의료진과 접촉하여 여러 차례 자문하여 용어에 대한 정리와 수정을 진행하였고, 기존의 검진결과지의 필수적인 컨텐츠를 유지하면서 의료진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수정보완 결과 일반적인 사용자인수검자들에게도 긍정적인 답변을 얻은 것에 그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s the average life span of human beings has increased since the 20th century, chronic disease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s are increasing due to aging, and the rate of screening of health screenings is also steadily increasing. After the screening, the results of the screening for communication with the medical staff are provided, which will be newly designed by the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in 2011. However, despite the improvement of the design, there is a problem due to the poor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the examinees and the medical staff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graph and the contrast of color and difficulty of terminology. Methods: In this study, after reviewing literature related to health screening, reviewing literature on information design, analyzing problems of results through doctors, nurses, and designers, we draw up the first improvement and conduct an in – depth interview again. I am suggesting the final design by improving and summarizing the problems. Resul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 font, color, and graph of the C result paper proposed by the present researcher are consistent and the margin of the comprehensive findings is secured, so that the general health status can be grasped at a glance and easily recognized. Conclusion: It was not only the improvement of the result in the design part, but also contact with the medical staff and consulted several times to organize and revise the terminology and improve the functional aspect while maintaining essential contents from the medical viewpoint.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opinions of the medical staff are actively reflected while maintaining the essential contents of the existing examination results, and the positive answers are also obtained for the general users, as a result of the correction and correction.

      • 인디음악을 즐겨듣는 20대를 위한 유니티 기반 2D 인터렉티브 컨텐츠

        김예림(Yelim Kim),여정연(Jeongyeon Yeo),조미림(Mirim Jo),허은(Eun Heo),박수이(Sue Park)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3 No.2

        바쁘게 돌아가는 현대인의 생활에서 음악은 인간에게 감정적, 신체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러한 긍정적 영향을 주는 음악의 여러 장르 중, 인디음악은 현재 가요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20대들에게 신선함과 공감이란 매력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기로 인해 늘어난 콘텐츠 수요에 비해 인디음악 컨텐츠 공급은 턱없이 부족하다. 이러한 실상에 아쉬움을 느껴 인디음악 인터렉티브 컨텐츠를 기획하였다. 따라서 음악콘텐츠 사용률과 인디음악 수요가 제일 많은 20대를 상대로 사용자 조사와 니즈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유니티를 활용한 2D 인디음악 인터렉티브 컨텐츠를 개발하였다. 본 콘텐츠를 통해 인디음악을 즐겨듣는 사용자들이 직접 컨텐츠 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인디음악을 청취함으로써 그들의 인디음악 콘텐츠 부족에 대한 갈증을 해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Music has a positive effect on busy modern people, both emotionally and physically. Independent music is one of the promising music industry and people in their twenties are fascinated in them. Also Independent music industry has grown compared to several years ago. However, its supply is far shorter than its increased demand for an Independent music-related contents. So, to improve this circumstance we have planned the Independent music interactive content. After this, we conducted a user survey and the needs analysis and finally have developed 2D Independent music interactive content by Unity. It is expected that the thirst of users who enjoy Independent music will be satisfied with this music content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activities and listening to Independent music.

      • SNS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연안지역 도시재생 영향 및 방문객들의 인식 - 부산 영도를 중심으로 -

        김예림(Kim, Yelim) 한국지역개발학회 2022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Korea is a peninsula, and consequently, it has a sizable coastal area. There are numerous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marine industry, such as cultural, industrial, and historical heritages since these coastal areas historically developed through ports. Likewise, as a base for maritime use and a place to live, it is a place that needs to be well preserved due to its diverse sea-related assets, including economy, culture, and environment. Despite its value and significance, coastal areas are aging more rapidly than inland regions. As a result, coastal areas are experiencing several issues, including a decline in the productive population, a weakening of specialized industries, and a decline in the local economy. There were few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argeting coastal areas, and they did not fully utilize marine resources or adequately meet visitor demands. By qualitatively analyzing visitors perceptions of coastal region revitalization factors through SNS text mining,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Yeongdo, Busan, one of the 89 population-reducing region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was selected as a study site out of 11 provinces in the coastal area. Yeongdo was a port hinterl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 refugee area during the 6.25 period, where the population gathered. However, it began to shrink after 1995 as a response to the shipbuilding industrys downturn and changes in logistics and distribution(Busan Development Institute, 2015). Numerou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undertaken to overcome this issue, and popular tourist destinations have developed throughout the area. SNS data analysis using Textom to collect and analyze data on hot spots in Yeongdo by year focused on blogs and cafes(NAVER, DAUM) for the last ten years(2012 to 2021). The study then undertook a change in the number of mentions by year, a sentiment analysis, and generated word clouds and centrality network maps using Netminer 4.0. Fi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and locations of urban regeneration in Yeongdo by visitors using SNS big data and shows them on the ma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qualitative analysis of Yeongdo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mpacts. Moreover,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raising awareness of how coasta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crease the value of marine resources.

      • KCI우수등재

        해양관광자원을 활용한 제주 신양항 리모델링 계획

        김예림,성종상,Kim, Yelim,Sung, Jong-Sang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2

        과거 어항(魚港)은 어촌의 생산 및 지역문화의 거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나 현대에 와서는 수산업 여건변화로 인해 그 의미가 퇴색되고 유휴공간이 되고 있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는 2010년부터 해양관광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신양항은 마리나항만 개발 예정구역으로 지정 고시되어 제주오션마리나시티 조성사업계획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양관광을 활성화하려는 시도와는 달리 이제까지 시행된 제주도내 어항 리모델링 사업들은 대부분 노후시설을 개보수하는 토목사업 중심이었다. 또한 무분별한 개발로 지역경관을 해치는 사례들도 다수 발생하였는데, 경관은 한번 훼손되면 복구하기 힘들다는 특성이 있어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관 주도 사업의 경우에는 예산부족으로 투자가 저조하여 보강공사수준의 토목공사만 진행되거나 관리소홀이 문제되고 있으며, 민간투자 사업의 경우에는 수익금의 지역 환원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신양항 또한 2008년에 리모델링을 하였지만 외곽 방파제 연장공사 수준으로 마무리되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였고, 지역사회 활성화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토목공사 중심의 개발, 공간의 관리소홀, 수익금의 지역 환원 문제를 해결하면서 마리나항 건설을 통한 해양관광 및 지역 활성화를 위해 본고에서는 첫째, 주변배후지를 연계한 개발계획을 제시하였다. 지역적 맥락을 읽고 현존하는 지형, 돌담, 길을 물리적인 계획에 활용하여 설계 및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경관 및 특성을 반영한 공간개발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해양관광자원의 개념을 정리 및 보완하고, 계획요소를 도출하여 지역에 현존한 자원을 활용하고 새로운 해양관광자원을 도입하여 다양한 이용자의 수요를 충족하는 프로그램계획을 하였다. 셋째, 지역주민의 운영관리 참여를 통해 지속가능한 운영관리 방안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토목중심으로 시행되어왔던 어항 리모델링 계획을 조경적 관점에서 배후지와의 연계를 통해 통합적 계획안을 제안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환경 사회 경제적 이슈 고려 및 지역주민의 참여 등은 이후 유사한 어항 및 수변공간 리모델링 계획 시 주안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fishing port was once the foothold of production as well as the stronghold of communities but with the declining of the fishing industry, ports became abandoned spac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as continued its effort to vitalize marine tourism since 2010. Shinyang Port in particular is designated as a Prearranged Marina Port Development Zone, and planning for the Jeju Ocean Marina City project is underway. Nevertheless, fishing port remodeling projects implemented on Jeju so far have focused only on civil engineering such as renovating old facilities. In addition, most Marina Port 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irrelevant to local communities. Leading projects by the local government mostly suffer from a lack of funding, which results in the renovation of old facilities and improper maintenance, while private sector investment projects do not lead to benefit sharing with the community. Shinyang Port, also renovated in 2008, ended up with outer breakwater extension construction that neither solved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 site nor gave benefits to residents. To arrange a way to solve problems for civil engineering focused development project, improper maintenance, and benefit sharing with community, first, this study proposes a development plan that connects with the outlying areas near the ports. The plan reflects existing topography, Jeju traditional stonewalls, narrow paths on the master plan and programs by reading the regional context. In this way, this paper suggests a space development plan reflecting the local landscape and characteristic factors. Second, it satisfies various needs by using existing and new Marine Tourism Resources. Third, it examines sustainable oper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through residents' participation. The proposal is significant in two key ways: it is a fresh attempt at connecting the fishing port with its outlying areas from a landscape perspective; and it considers environmental, social, economic issues, and suggests participation for local communities. Thus, the model can be used in future fishing-port remodeling plans for revitalizing unused space, including invaluable traditional landscapes, and for boosting the marine-leisure industry.

      • KCI등재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도입에 따른 사회적 비용 추정 연구

        유창석(Changsok Yoo),김예림(Yelim Kim),이주희(Juhie Lee) 한국혁신학회 2021 한국혁신학회지 Vol.16 No.4

        2019년 게임이용장애가 WHO의 국제질병분류(ICD-11)에 포함되면서 게임 산업 뿐만 아니라 사회에도 많은 혼란과 갈등이 예상되지만, 그로 인한 사회적 비용과 피해는 아직까지 충분히 고려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도입으로 유발되는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여 게임이용장애에 대한 공공의료정책 설계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시장재에 대한 가치평가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활용하여 공공의료에 게임이용장애를 도입함으로써 야기되는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였다. 총 1,021명에 대한 전국 층화표본을 통한 설문 분석 결과 아동의 게임이용장애에 대한 월간 치료비용에 대한 지불의사는 약 155,100원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의 아이가 게임이용장애로 의심되어 치료를 받고자 하는 비율은 12.54%로 나타나 게임이용장애 유병률(1.9%)과 큰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동의 게임이용장애 의심률과 유병률의 차이를 고려하면 위양성 문제로 인한 과도한 치료 비용은 연간 1,236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한국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연간 치료비의 약 4.3배가 넘는 수치이다. 따라서 게임이용장애를 공공의료정책 안에 포함하기 전에 이에 대한 충분한 과학적 증거 마련 및 신중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Due to the announcement of WHO"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11) for inclusion of gaming disorder in 2019, society and industries are now suffering confusion and conflict. However, the social costs and damages resulting from the inclusion of gaming disorder are not yet fully considered.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imate the social cost caused by the inclusion of gaming disorder in public health system by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a widely used valuation method for non-market goods in environment economics.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treatment cost of a child"s gaming disorder was estimated to be about KRW 155,100 per month.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valence of gaming disorder (1.9%) and the suspected rate of gaming disorder in children (12.54%), the excessive treatment cost due to the false-positive problem is estimated to be 123.6 billion won. This is equivalent to more than 4.3 times of the annual treatment cos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Korea. Considering the possible social cost due to the inclusion of gaming disorder in South Korean public healthcare system, the government should approach the decision based on the sufficient scientific evi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