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南北韓)의 거울에 비친 실학(實學)과 다산(茶山)

        김선희 ( Kim¸ Seonh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0 시대와 철학 Vol.31 No.4

        1930년대 조선학 운동에서 부상한 ‘실학’이라는 개념은 이후 한국학계에서 확정된 정의와 용례를 가진 사전적 개념이 아니라 복잡하고 다양한 기대와 원망(願望)이 투영된 중층적 현상을 구성해왔다. 이는 남한보다 먼저 관련 연구에 집중했던 북한도 마찬가지다. 이 연구는 일제 강점기와 해방 직후 남북한 학계가 각자의 목적과 지향에 따라 형성되었던 ‘실학’과 ‘다산’ 독해에 담긴 모종의 문법을 재검토해보려는 시도이다. 우리는 특정시기 역사적, 사상적 조건에서 실학과 다산에 부여되었던 초과적 원망과 기대들을 해소했는가? 조선학 운동 시대 사상의 준거이자 지향이었던 국가를 회복하고 지적 주체의 위상을 회복했던 남북한 학계는 조선학 운동이 남긴 부채를 해결했는가? 이 논문은 이런 질문을 배후에 두고 해방 이후 남북학계가 전 시대의 기획이자 유산이었던 실학과 다산을 어떻게 맥락화시켰는지 그 궤적을 살펴보고자 한다. Practical Learning formed a complex network of meanings in Korean academia after it had emerged through the ‘Joseonhak movement’ in the 1930s. In Korean academia, the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is not a dictionary concept with definitions and examples, but rather a multi-layered phenomenon in which complex and diverse expectations and resentments are projected. The same is true of North Korea, which focused on pre-modern Joseon thought and philosophy before South Kore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urpose and perspective of research on Practical Learning and its representative thinker, Dasan Jeong Yak-yong,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Korea's liberation.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how the south and north Korean academic community tried to overcome the ideological challenges of their time by contextualizing and making meanings of the philosophical legacy of the previous era.

      • KCI등재

        균형성과표를 이용한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센터의 핵심성과지표 개발

        김선희,임지영,Kim, Seonhee,Lim, Ji Young 한국가정간호학회 2021 가정간호학회지 Vol.2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ffective management indicators for improving efficiencies of visiting nursing centers. Method: This was a methodological research study to develop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balanced score cards for long-term care visiting nursing centers. The main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and content validity index. The data analysis was used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esults: The common vision of the long-term care visiting nursing centers was identified as "The healthy visiting nursing center to serve high quality cares." Eight action strategies and 15 key performance indicators to achieve this vision were develop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the developed balanced score cards will be used as an effective managerial guideline to improve performances of long-term care visiting nursing centers.

      • KCI등재

        소셜커머스 특성요인이 소셜커머스 만족과 특급호텔뷔페레스토랑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소셜커머스 관여도의 조절효과 -

        김선희 ( Kim Seonhee ),이희찬 ( Lee Heechan ) 한국호텔리조트학회(구 한국호텔리조트카지노산학학회) 2021 호텔리조트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on social commerce satisfaction based on SNS and social involvement and secondly, the effects of social commerce satisfaction on deluxe hotel buffet restaurant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ifferences in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regarding moderating effect based on involvement had been fou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NS involvement b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invol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Also, in the relationship in which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influence deluxe hotel buffet restaurant purchase intention, information and economic feasibility, and partially mediating effect convenience have been found as completely mediating effects. When referring to the study results, the factor playing a pivotal role in the marketing sector regarding deluxe hotel buffet restaurant products is inform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proposed directions in marketing strategies. follow-up studies should examine the interaction among much more diverse variables.

      • KCI등재

        공무원의 다문화 교육 경험이 수용성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선희(Seonhee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논문은 광역시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의 다문화교육 경험이 조절변인으로서 다문화 수용성 결정요인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문화 수용성은 다문화사회 전반에 걸쳐 요구되는 사회문화적 가치이며, 특히 다문화 정책을 수행하고 있는 일선 공무원 집단에서는 더욱 필요한 요소이다. 분석 결과, 공무원의 다문화 수용성에는 여러 결정 요인들이 존재하며 다문화 교육 경험이 그러한 수용성 결정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일선의 기초자치단체 공무원들이 원주민과 이주민을 조화롭게 공존하도록 돕는 정책 수행의 주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metropolitan cities on the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s a controlling variable. Multicultural acceptance is a socio-cultural value required throughout a multicultural society, and is especially necessary for front-line public officials who are implementing multicultural polic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roved that there are several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f public officials, an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has a positive (+) effect on such acceptance determina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re 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so that the public officials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s can play a role as a subject of policy implementation that helps indigenous people and migrants coexist harmoniously.

      • KCI등재

        돈황(敦煌) 막고굴(莫高窟)의 『화엄경(華嚴經)』 칠처구회도(七處九會圖)에 대한 고찰(考察)

        김선희 ( Seonhee K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본고는 敦煌 千佛洞인 莫高窟 『화엄경』 칠처구회도의 29 개 窟 중 펠리오의 도록(M. Pelliot:Les Grottes de Touen-Houang)에 제시한 화엄경변상 칠처구회도 제 8 굴·제 102 굴·제 117 굴·제118F 굴·168 굴 등을 대상으로 『화엄경』의 성행과 함께 칠처구회도가 어떻게 형상화되어 표현되었는가를 살피고, 그 도상특징에 대하여 고찰한 글이다. 막고굴 칠처구회도는 唐代에 성행하였고, 五代를 거쳐 宋代에 이르기 까지 變相圖가 계속 그려졌으며, 당시 80 권『화엄경』(695-699 번역)의 流布와 더불어 활발하게 조현됨에 60 권『화엄경』(418-420 번역)의 변상도는 전혀 보이지 않고 80『화엄경』 변상도만 그려졌다는 것을 재확인 하였다. 이 화엄경변상도는 주로 굴의 주실과 전실(7 개 굴)에 그려졌고, 석굴 주실 내에는 거의 북벽(18 개 굴)에 그려졌으며, 그 위치가 빈번하게 법화경변상도와 마주보게 관계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조사 지의(智의)(538~597 년)가 설파한 화엄, 법화 양 교의 친근성이 이 돈황에서 화엄학파의 전성기라고 생각되는 五代까지 잔존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宋代에 속하는 제118F 굴의 천정면 그림은 사다리꼴 모양의 화면에 9 회 전부를 함께 그리기도 하였다는 점에서 전대와 차이가 있다. 막고굴 칠처구회도는 80 권『화엄경』 중 39 품에 걸쳐 풀이된 교설에 따라 지상과 천상에서 설법한 내용 즉, 부처의 신통과 보살의 공덕을 서술한 경전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화면의 중단을 기준으로 7 처 9 회를 좌우대칭으로 배치하였다. 7 처 9 회도의 배열은 굴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대체로 ‘毘盧遮那佛과 善財求法圖’, 그리고 須彌山, 香水海의 ‘蓮華藏刹海圖’가 한화면에 충실히 묘사되었다. 이와 다르게 선재구법도만 따로 그려지기도 하였는데, 이는 ‘십지’ 또는 「십지품」의 회화화로 이해될 수 있으며, 왜 「입법계품」(정신세계로 입도)을 변상도로 나타내려 했는지 그 요점을 파악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비로자나불 연화장세계’가 각 시대에 따라 어떻게 가시화되고 이상화되었는가를 파악하는데 일조하리라 생각된다. This essay considers how the Chilcheoguhoedo (七處九會圖; the painting depicting 9 Buddhist congregations in 7 venues), the Byeonsang (變相; marks of transformation) of the Flower Adornment Sutra (the Avatamsaka Sutra) was created and illustrated as this Sutra became widesprea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conography are discussed, focusing specifically on caves No.8, No.102, No.117, No.118F and No.168 as defined in Pelliot’s book (M. Pelliot: Les Grottes de Touen-Houang) which are among 29 caves which have the Chilcheoguhoedo of the Flower Adornment Sutra in Mogao Caves (莫高窟), the Thousand Buddha Caves (千佛洞) in Dunhuang (敦煌). The Chilcheoguhoedo in Mogao Caves came into vogue in the period of Tang Dynasty and the Byeonsangdo (變相圖; the painting of marks of transformation) painted between the Five Dynasties to the Song Dynasty. It is confirmed that only the Byeonsangdo of the Flower Adornment Sutra in 80 fascicles (translated in 695-699) was painted due to being widely circulated at the time and had replaced the earlier, the Sutra in 60 fascicles (translated in 418-420). It was mostly painted in the main room and the front room (7 caves) and chiefly on the northern wall in the main room. It is usually located opposite to the Byeonsangdo of the Lotus Sutra (SaddharmapundarikaSutra). This is presumably because the affinity between the Flower Adornment (Avatamsaka) and the Lotus Flower (SaddharmaPundarika) taught by the Patriarch, Zhiyi (智의, 538-597) was still in favor until theFive Dynasties when the Huayan school (華嚴宗; the Flower Adornment school) is thought to have been in its golden days in Dunhuang. But the painting on the ceiling of the cave No.118F was painted containing all of 9 Buddhist congregations in a trapezium screen,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arlier period. The Chilcheoguhoedo in Mogao Caves has bilateral symmetry of 9 Buddhist congregations in 7 venues from the middle part of the picture screen, which was intended to show the meaning of the Sutra. It effectively describes the supernatural power of Buddha and the merits of Bodhisattva, the contents preached in both the earth and the heaven in accordance to the teachings explained through 39 chapters in the Sutra in 80 fascicles. We can see many variations of the arrangement of 9 Buddhist congregations in 7 venues from cave to cave but in general, there are described ‘Vairocana Buddha (毘盧遮那佛) and Sunjaegubeopdo (善財求法圖; the painting of Sudhana’s journey pursuing Dharma)’ and ‘Yeonhwajangchalhaedo’ (蓮華藏刹 海圖; the painting of the Land and the Sea of Lotus Flower of Vairocana Buddha) of Mt. Sumeru and Hyangsuhae (香水海; the Perfume Sea) in a picture. On the other hand, Sunjaegubeopdo is separately painted in some cases, which is understood as picturalizing‘the Ten Stages’ or ‘the chapter of the Ten Stages’ and shows the main points of the reason why the chapter of ‘Entering the Dharma Realm’ (入法界品) was painted into the Byeonsangdo.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ing how ‘the World of Lotus Flower (Padmagarbhalokadhatu) of Vairocana Buddha’ was visualized and idealized with the times.

      • KCI등재

        예와 자연법: 크리스티안 볼프의 유교 이해를 중심으로

        김선희 ( Seonhee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0 No.-

        이 논문은 유학의 예와 근대 자연법을 비교하고 그 철학적 의의를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근대 자연법의 토대를 놓은 독일의 계몽주의 철학자 크리스티안 볼프의 유교 이해를 통해 근대 자연법의 관점에서 유교의 예와 국가관이 어떻게 조명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근대 자연법에 따르면 자연법의 근거가 될 수 있는 것은 오직 이성의 명령뿐이며, 이 경우 신이 존재하지 않거나 인간사에 개입하지 않는다 해도 자연법은 타당성을 얻게 된다. 라이프니츠를 따라 중국 관련 저술들을 연구한 볼프는 중국의 유학이 바로 이러한 근대 자연법의 구도와 작동을 보여주는 실질적인 예라고 생각했다. 볼프는 ``하늘이 명한 것을 성이라 하고, 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하며 도를 닦는 것을 교라 한다.(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라는 「중용」 1장에서 유교적 자연법을 발견한다. 그는 중국인들에게 모든 행위들의 최종적 목표는 그 자신 뿐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있어서도 최상의 완전성(a sovereign perfection)을 획득하는 것이며 이러한 방향은 모든 자연법의 개략(the summary of all natural law)을 포함한다고 간주한다. 개인의 본성에 의거한 덕성의 훈련과 사회적 실천으로 공동체의 조화와 국가의 질서가 확보될 수 있다는 근대 사상가들의 정치-국가 기획에서, 유학의 예치 시스템이 적절한 증거로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은 동아시아적 예치의 의미와 가능성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근대 자연법 사상가들에 의해 발견되기 전에도 유학의 윤리학과 정치철학 안에는 외부의 신학적 초월자가 아니라 본성과 그 훈련,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서의 노력을 통해 인간의 도덕적 실천의 구조와 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근대적 자연법의 기획이 선취되어 있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compare rituals of Confucianism with the modern natural law and to evaluate its philosophical significance. By investigating Christian Wolff (1679-1754)`s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a German philosopher of the Enlightenment who laid the foundation of modern natural law,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how the rituals and the view of state of Confucianism can be illuminate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natural law. According to modern exponents of natural law, the only basis of natural law is orders of human reason. In this case, even if God does not exist nor intervene in human affairs, natural law can gain its validity. Wolff who studied writings on China, following Leibniz, thinks Confucianism is a practical example that shows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modern natural law. He finds Confucian natural law from the first chapter of the Zhongyong which says "What Heaven confers is called nature; an accordance with nature is called the Way; the cultivation of the Way is called teaching." He claims that, for the Chinese, their ultimate objective of all behaviors is to gain a sovereign perfection, and that such a tendency involves the summary of all natural law. The fact that the system of rule by rituals (lizhi 禮治) of Confucianism can be chosen as evidence to prove modern thinkers` projects on politics and the state, which argue that cultivation of virtue and social practice can secure community harmony and order of the state, confirms significance and possibility of East Asian concept of rule by rituals. Prior to modern natural law thinkers` discovery, Confucian ethics and political philosophy already executed the project of modern thinkers.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사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김선희(Kim, SeonHee),권현용(Kwon, HyounYong)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1 동서정신과학 Vol.24 No.2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의 중심에 있는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에 연관된 여러 변인 중에서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교사의 자기분화 변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입 방안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7개 유형의 어린이집 중에서 상대적으로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부모의 이용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는 경기 북부지역 G시와 P시 소재 민간 및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50명 중 분석에 부적절한 응답을 한 29명의 설문을 제외하고 22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이에 내적합치도 계수의 산출을 통해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였고, 각 변인 간의 관계 및 상대적 영향력을 증명하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기분화의 매개효과는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부트스트래핑 검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기분화 및 직무만족도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기분화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사의 자기분화는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의 자기분화를 지원하는 다양한 차원에서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atisfaction among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at the center of childcare, and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variables of teachers to determin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The purpose is to find out how to intervene for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tervention plan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by analyzing the To this end, a non-face-to-face survey was conducted on 250 private and home daycare teachers in G and P citie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which showed relatively low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parental satisfaction among the 7 types of daycare centers. Of the 250 people, the data of 221 people were finally analyzed, excluding the 29 people who gave inappropriate responses to the analysis.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used was confirmed through the calculation of the internal fit coefficient, and Pearson s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prove the relationship and relative influence between each variable. After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it was analyzed through bootstrapping verific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care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and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differentiation of childcare teachers significantly affected job satisfaction. Third, it was analyzed that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ffort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care teachers and job satisfaction in various dimensions that support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 KCI등재후보

        강화행궁江華行宮의 건립과 공간구성 : 『강화부궁전고』와 《강화부궁전도》 중심으로

        김선희(Kim Seonhee) 국립고궁박물관 2020 古宮文化 Vol.- No.13

        본고는 조선시대 국가의 보장처로 인식되었던 강화부의 행궁 건립과정, 배치와 규모를 고찰하였다. 강화에는 고려시대 대몽항쟁기 이후 이궁離宮과 가궐假闕이 운영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임진왜란과 정묘호란 기간 중 강화부 객사 및 관아 일대가 국왕의 임시 편전으로 사용되면서 행궁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강화행궁은 병자호란 당시 화재로 인해 소실된 이후 증개축 과정을 거쳐 1711년(숙종 37) 완공되었다. 특히 행궁 동쪽에는 선대 왕의 어진을 모신 영전이 들어서고 정조대에는 외규장각이 새롭게 설치되면서 행궁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었다. 1855년(철종 6)에는 행궁 42칸 외에 척천정, 세심재, 북신고 등을 포함해 총 146칸의 대대적인 보수공사가 진행되었다. 이후 1881년(고종 18)에 간행된 『강화부궁전고』에 의해 행궁 85칸, 외규장각 20칸, 북신고와 제기고를 포함한 장녕전 94칸, 봉선전 9칸, 만녕전 22칸 등 총 230여칸의 규모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강화행궁의 모습은 19세기 중반 간행된 《강화부궁전도》를 통해 알 수 있다. 강화행궁은 외규장각·장녕전·만녕전·봉선전 등과 함께 줄지어 배치되었고, 그 아래쪽에는 강화부 관아들이 나란히 위치하였다. 하지만 병인양요 당시 화재로 소실된 행궁과 영전은 중건되지 못하였고 현대에 이르러 외규장각만 복원되었다. This paper is an inquiry into the construction process, layout and scale of Haenggung in Ganghwa, which was identified as the national security office in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Mongolian Invasions[大夢抗爭期], Leegung[離宮] and Gagwol[假闕] were operated in Ganghwa. During the Imjin and Jeongmyo Wars in the Joseon Dynasty, the Ganghwabu Guesthouse[客舍] and government offices were used as a temporary residence for the king, serving as Haenggung. Ganghwa-Haenggung, after being destroyed by fire during the Byeongja War, was completed in 1711 (the 37th year of King Sukjong s reign) through a process of rebuilding and subsequent remodeling. The importance of Haenggung was further highlighted especially after the Construction of Yeongjeon, the place where the picture of the king of the forefathers was enshrined, on the east side of Haenggung and then the new establishment of Oegyujanggak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1855(the 6th year of King Cheoljong s reign), in addition to the 42 kan of Haenggung, a total of 146 kan of renovations were carried out, including Cheokcheonjeong[尺天亭], Sesimjae[洗心齋], and Bukshinko[北新庫]. Later, according to the 『Ganghwabugungjeonko[江華府宮殿考]』 published in 1881 (the 18th year of King Gojong s reign), it was confirmed that he total space was 230 kan, including 85 kan of Haenggung, 20 kan of Oegyujanggak, 94 kanof Jangnyeongjeon including Buksin and Jegigo, 9 kan of Bongseonjeon and 22 kan of Mannyeongjeon. Ganghwa-Haenggung can be seen through 《Ganghwabugungjeondo[江華府宮殿圖]》 published in the mid-19th century. Ganghwa-Haenggung was lined up with Oegyujanggak[外奎章閣], Jangnyeongjeon[長寧殿], Mannyeongjeon[萬寧殿], Bongseonjeon[奉先殿]. At the bottom were the government offices[官衙] of the Ganghwa Ministry. However, Haenggung and Yeongjeon[影殿], which were destroyed by fire during the Byeonginyangyo period, were not reconstructed, and only Oegyujanggak has been restored in modern times.

      • 이중층수산화물을 이용한 토양 내 비소 안정화 효율 규명

        김선희(Seonhee Kim),김경태(Kyeongtae Kim),탁현지(Hyunji Tak),한이경(Yikyeong Han),이민희(Minhee Lee)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비소는 국내 대표적인 지하수 및 토양 오염물질로 알려져 있다. 최근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적용하기 위한 안정화제를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으나,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안정화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분말상의 안정화제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계 및 토양 내 비소 제거에 효과적인 흡착제로 널리 알려진 이중층수산화물(Layered double hydroxide, LDH)을 안정화제로 사용하였다. 100 mesh를 통과한 분말상의 LDH (P-LDH)와 친환경소재인 전분을 바인더를 사용하여 실제 현장에 적용가능한 직경 5~6 mm 내외의 입상 LDH (B-LDH)를 제조하였다. 두 종류의 안정화제들에 대하여 비소 흡착능과 용출저감 효율을 규명하는 실내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안정화제 특성규명을 위하여 X-ray diffraction (XRD), X-ray fluorescence (XRF),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그리고 Brunauer-Emmett-Teller (BET) 분석들을 수행하였다.흡착 배치실험을 수행한 결과 B-LDH는 P-LDH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95% 이상의 높은 비소 흡착능을 나타내었다. 실제 비소 오염토양을 대상으로 비소 용출 저감실험을 수행한 결과, B-LDH는 평균 50% 이상의 용출저감 효율을 나타내었다. 전분을 바인더로 사용한 입상 안정화제(B-LDH)는 건조 상태인 경우 강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어 분말상에 비하여 도심지나 주거지역의 비소 오염부지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근대 전환기 다산 저술의 출판과 승인

        김선희(Kim, Seonhee)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80 No.-

        이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경세유표를 중심으로 20세기 초 근대 전환기에 각기 다른 주체들에 의해 이루어진 다산 정약용 저술의 공간(公刊)에 나타나는 당대의 문제의식과 지향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다산의 저술은 1902년 근대적 출판 기관 광문사(廣文社)를 통해 조선 지식장에 낯선 방식으로 등록되었다. 이들이 다산의 저술을 전통적인 문집 출판 방식과는 달리 연활자를 통해 근대적 출판물로 간행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다산의 사상은 인쇄물을 유통하고 소비하는 근대 지식장으로 이식되었다. 다산에 대한 학술적 평가와 기대 역시 변화한다. 서양 학술을 학습한 강화학파 이건방은 경세유표 안에서 조선의 루소이자 몽테스키외로서의 다산을 발견하고자 한다. 그러나 1910년대 이후 다산은 재조(在朝) 일본인 출판업자들에 상업 활동에 의해 지나간 시대의 ‘고서(古書)’ 혹은 ‘진서(珍書)’로 봉인된다. 재조 일본인들의 상업적 출판활동에 맞서 독자적으로 조선의 문헌을 수집하고 간행했던 것은 조선광문회를 이끈 최남선이었다. 조선광문회의 출판 기획은 이른바 ‘실학’이라는 이름으로 전근대 조선의 지적 자원을 새롭게 구성하는 일이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이 새로운 계보는 ‘고서’라는 한정된 이름 아래 성립되었다. 서구 근대성의 관점에서 조선의 지적 자원을 한정 승인하는 경향은 1930년대 조선학 운동에서도 지속되었으며 이 한정 승인의 효과는 여전히 실학에 관한 현재의 논쟁에 남아 있다. This paper set out to examine the contemporary general critical views on Dasan’s ideas, as well as the publisher’s possible intent behind the publication of written works by Dasan Jeong Yakyong, with a focus on the Gyeongseyupyo. Each different group of subjects played a role in the transition from old traditions to modernism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written works of Dasan were published in 1902 by Gwangmunsa, a modernized publishing company, in a way that was considered unconventional in the intellectual landscape of the Joseon Dynasty. The publication was considered unconventional as the book was published using a modern soft type method, which differed significantly from previous, traditional printing methods. This newly developed process made it possible to release Dasan’s thoughts into the modern knowledge field, in which printed materials were distributed to and accessed by the general public. However, from 1910, Dasan s writings were sealed as old books titled Ancient Texts or Rare Books by Japanese publishers in Korea. At that point, the Joseon Gwangmunhoe had formed a unique plan for the publication of texts: to reconstruct the Joseon Dynasty s intellectual resources under the name of Silhak. Ironically, however, the new genealogy had been established through an obsolete name called Ancient Texts. The Joseon Gwangmunhoe only approved selected volumes of texts that met the requirements of Western modernity—including Dasan s writings—under the category of Ancient Texts. It was prevalent among publishers of this period to grant restricted approval from a modern, Western perspective with regard to the intellectual resources of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Dasan’s id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