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불교문화 원형 연구 -실크로드와 경주를 중심으로-

        문무왕 ( Mu Wang Mu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3 No.-

        본고에서는 한국불교문화원형의 한축인 신라불교문화의 성립을 간다라로부터 중앙아시아 중국을 잇는 문화원형 형성에 관한 논의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부분은 여러 기관의 도움으로 실시해 온 불교문화 조사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바탕으로 삼고자 한다. 실크로드의 불교에 관한 연구는 한국불교의 원류를 밝히는 중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인도불교, 중국불교, 한국불교 등으로 분류된 개략적인 지역학적 불교연구방법을 원용하여 연구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분류법으로 해결되지 않는 전파와 수용에 관한 문제가 실크로드지역에서 발생한다. 불교가 고대한국사회의 형성에 끼친 영향은 논란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거대하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그러므로 문화의 전파와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실크로드라는 교류의 흔적을 살펴야 한다. 고대역사에 있어서 A.D 1 세기부터 A.D 8 세기에 이르는 시기 동안 세계는 활발한 교류의 흔적을 남기고 있으며 이러한 활발한 교류의 흔적에서 우리는 불교의 전파, 수용, 변용의 과정을 살필 수 있는 것이다. 불교를 한국에서 가장 깊이 받아들였던 신라는 불국토사상을 발전시키면서 신라가 곧 불국토임을 인식하면서 신라의 불교적 세계관을 내재화하는 과정을 겪었다. 중고기에 왕실인들이 석종임을 주장함으로써 신라 왕실은 불교 발상지인 인도의 세계관을 수용하고 공유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불교가 정착하게 되는 과정이며 문화원형으로 정립되어 지는 과정인 것이다. This paper seeks to discuss the Buddhist culture of Korea established the prototype of the Buddhist culture of the Silla culture circle formed to connect Central Asia China from Gandhara.The study of Buddhism on the Silk Road can be a crucial way to find the origin of Korea Buddhism.Buddhism has had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ancient South Korea has received that rating, so there is a huge debate. Thus, when viewed in terms of propagation and reception of culture Observe for signs of exchanges of the Silk Road. World during the period ranging from AD 1 to AD 8 century century in ancient history has left a trail of lively exchanges. In this process, we will actively exchange that can watch the waves, acceptance, transformation of Buddhism. Buddhism in South Korea is one of the most deeply accepted ideology of the refining bulgukto 佛國土Silla Silla will soon recognize that the bulgukto 佛國土was used to establish the Buddhist values. Mid-old (中古) period of their royal Silla royal family``s descendants by claiming that the Buddha was acceptable to share the worldview of Buddhism originated in India. There is a royal As such, could be successful in the work of sanctification itself Silla Buddhism while accommodating the previous step,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royal authority, centralized identity enemy, can also be seen that due to economic footing has been accomplished. Through this process, Silla Buddhism came via the Silk Road in ancient societies can be seen as a celebration of the Korea Culture and Well built.

      • KCI등재

        기록문화재를 통한 조선시대미술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특집 : 조선 전반기 불교미술의 조성사상 연구

        한지연 ( Jee Yeon Ha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1 강좌미술사 Vol.36 No.-

        성리학 중심의 유교국가를 지향하는 조선시대 불교는 억불시책으로 인해 교단사적으로 결국 산중불교라는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불교 전래 이후 국가 공인 하에 전개되었던 불교사상, 신앙의 전개는 조선시대 들어서면서 결국 그 체제가 무너진 것이다. 때문에 현존하는 문헌자료 상에서는 불교발전상을 찾기 힘들며, 더욱이 위정자들의 불교 폄하 태도가 기록에 묻어나 문헌자료만으로는 당시의 불교 발전상을 이해하기 힘들다. 따라서 문헌자료와 함께 불교미술 造成記를 통해 생동감 있게 접근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고려왕조에서는 사상의 전개, 여러 신앙의 공존 등을 통해 불교사상·문화면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이에 비해 조선시대 불교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면면히 이어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중국과의 외교 문제, 건국과 함께 조성된 불안정한 사회분위기를 쇄신할 수 있었던 것은 성리학이 아닌 불교였다. 오히려 천년에 이르는 시기동안 끊임없이 발전되어 왔던 불교사상을 ``선교양종 승려``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게 하나로 통합해 나아가는 새로운 결과를 낳았다. 조선 초기에는 기존의 정토계 신앙이 그대로 흡수되어 민간신앙에까지 깊숙이 파고 들며, 동시에 왕실에서는 정토신앙을 바탕으로 『법화경』『원각경』『화엄경』사상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불화, 불상, 불탑조성에서 나타나고 있을뿐만 아니라 문헌자료에서도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 이에 반해 불교교단 내부에서는 승과제도를 통한 법계형성이 비교적 단순화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승과과목으로 지정된 경전 이외에 전통적으로 내려오던 대승경전 가운데 『법화경』『원각경』 『능엄경』 등을 이력과목으로 선택한다. 이리한 교단 내부의 변화는 곧 禪이나 敎, 어느 한쪽에 치우치는 것이 아닌 양쪽을 모두 섭렵하는 총체적인 교단의 모습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선시대 불교에 관해 억불시책과 관련지음으로써 그 발전양상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오히려 통합적인 불교로의 발전과 민간신앙으로 완전히 정착해 지금까지 그 전통이 이어져 내려오는 긍정적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had been suppressed by the confucian government. As the Neo-Confucianists established the new dynasty, they claimed Buddhism for the failure of the previous Dynasty, Goryeo. Consequently Buddhism had to get away from the open society avoiding the anti-Buddhism policies. The official documents recorded by governors had been so critical on Buddhism that it is hard to understand how Buddhism survived and develop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 official historical records. It is possible to find out how Buddhism developed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documents about the Buddhist artworks. Buddhism had made remarkable progress in both ideological and cultural ways until the Goryeo Dynasty collapsed. But under the Joseon Dynasty`s anti-Buddhism policies, Buddhism had had to endure and had few chance to develop itself for centuries. Even though the government had suppressed it so harshly, Buddhism stabilized the insecure society of the new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with China. The sufferings rather became a chance to unite the sects of the religion and to develop the Zen and non-Zen sects together. In early years of the Joseon, the Pure Land school`s thought was absorbed into folk beliefs. Judging from the historical records and Buddhist arts such as paintings, statues and sutras at that time, the Royal family accepted the ideas from Lotus Sutra, Complete Enlightenment Sutra and Sutra of the Garland of Buddha based on the Pure Land school`s one. On the contrary, the Buddhist order had simplified the organization. The Buddhist education curriculum of the course was also expanded, so Lotus Sutra, Complete Enlightenment Sutra and Sutra of the Heroic Ones were included. It means the order managed to keep the balance between Zen and non-Zen and furthermore unified them to create unique Korean Buddhism. The anti-Buddhism policies of the Joseon Dynasty had caused disadvantage to Buddhism with no doubt. But they also gave it a foothold for settling down in the common people`s life and unifying the separated ideas.

      • KCI등재

        황수영 박사의 한국 범종 연구와 성과

        최응천 ( Eung Chon Choi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3 No.-

        황수영 선생이 평생에 걸쳐 집필한 한국 범종 관련된 자료소개나 논문은 대략 29 편 정도이다. 물론 여기에는 같은 종류의 범종을 중복해서 다른 곳에 소개하거나 여러 편을 묶어 고찰한 논고도 포함된다. 범종의 제작 년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한국 범종의 기원과 형태 문제를 다룬 3 편의 글과 統一新羅鍾5 편, 高麗時代鍾18 편, 朝鮮時代鍾3 편과 연구 현황을 다룬 1 편이 확인된다. 그 가운데 高麗時代鍾연구가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統一新羅鍾의 경우 일찍부터 알려져 왔고 많은 연구 현황이 이루어지 반면에, 당시 새롭게 알려지기 시작한 개인 소장 高麗鍾이나 새로이 출토된 高麗鍾은 선생 외에는 잘 파악할 수 없었기에 우선적으로 소개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선생의 범종 연구사에서 더욱 돋보이는 성과는 우리나라 최고의 鍾인 上院寺鍾이 安東에서 옮겨 진 것을 밝혀 上院寺鍾의 원 소재지 문제를 다룬 논문과 3 년 만에 소실된 禪林院址鍾의 현황과 명문, 출토 상황 등을 자세히 밝혀놓음으로써 자칫 사라질 뻔 하였던 統一新羅鍾의 귀한 사례를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한 세 편의 논고, 實相寺鍾의 중요성을 고찰한 글들을 통해 統一新羅美術에서 新羅鍾이 지니는 의미와 가치를 부각시킨 일이다. 또한 일본에 소재한 한국 범종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여 틈나는 대로 그들을 소개하고 명문을 실어 자료로 활용토록 하였다. 이러한 선생의 성과는 .韓國金石遺文.에 다시 정리되어 간행됨으로써 한국 범종 연구에 가장 중요한 기초 자료집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 아울러 선생에 의해 설립되어 이후 한국 범종 연구의 중심이 된 韓國梵鍾硏究會(현 梵鐘學會)와 .梵鐘.지의 창간을 들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술사에서 유독 한국 범종 연구를 독립된 분야로 연구될수 있도록 가치를 정립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여기에 미술사에서 범종 연구지나 범종연구회의 경우 일본보다 한국이 훨씬 앞설 수 있게 된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던 것도 중요한 공로의 하나이다. 이처럼 한국 범종 연구에 있어 선생이 이룩한 한국 범종 관련의 업적은 다른 어떤 분야보다도 더욱 큰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Dr. Hwang Soo Young wrote 29 research papers including introduction of materials for Korean Buddhist bell throughout his lifetime. There are three articles which was dealing with the problem of the origin and form of Korean Buddhist bell, five articles related to Buddhist bells of Unified Silla dynasty, eighteens articles related to those of Goryeo dynasty, three articles related to those of Joseon dynasty, one article about the research status. Among the 29 research papers a study on Buddhist bells of Goryeo dynasty have accounted for most quantities. The outstanding achievements in his study about Korean Buddhist bell is to highlight the meaning and value of Buddhist bell of Unifed Silla dynasty through three articles related to the original location Buddhist bell of Sangwonsa temple, three articles about status, inscription, and excavated situation of Seonrimwon temple bell destroyed by fire, and one article dealing with the significance of Silsangsa temple bell. Also he appreciated the significance of Korean Buddhist bells located in Japan, and introduced them ever put to excellent advantage in resources. It is re-published from 『韓國金石文(Korean epigraphs left by a deceased)』 that played the most basic role for researching Korean Buddhist bells. Also the foundation of Research Group of Korean Buddhist Bell(now The Association of Korean Buddhist Bell) and journal Beomjong(Korean Buddhist bell) established by him played important role in boosting value as an independent field in Korean art history. In additionResearch Group of Korean Buddhist Bell and journal Beomjong became the important momentum to lead in studying Buddhist bells. Thus, his achievements of studying Korean Buddhist bell have the important significance and value than any other field.

      • KCI등재

        최순우 선생의 회화사 연구

        이원복 ( Lee Won Bok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1 No.-

        국립중앙박물관 4 대 관장을 역임한 崔淳雨(1916-1984)는 국립박물관에 40 년 넘게 봉직한 博物館人으로 문화예술 행정가이자, 큰 美術史學者이다. 그의 繪畵史 연구업적은 ‘한국미술 5 천년전’ 국외전시, 1972 년과 1977 년 개최한 ‘한국회화 5 백년전’과 ‘국립박물관소장비장회화특별전’ 등 수많은 전시기획, 資料發掘調査, 발표한 논고, 그 나름의 독자적으로 개척한 문화재관련 수필 등을 통해 확인된다. 회화사는 陶磁史와 함께 그의 연구에서 비중이 크다. 첫째, 현존하는 조선시대 그림 전체에 대한 聚合에 각별한 관심과 이에 대한 일련의 사업들을 들게 된다. 연구에서 가장 긴요한 기초 작업으로 개인소장 서화와 寺刹 내 佛畵照査 두 사업을 각기 5년씩 연차적으로 기획했다. 둘째, 조선시대 회화사적 비중이 큰 조선중기 화풍을 연 金禔(1524-1593)와 李慶胤(1545-1611)의 작품발굴이 주목된다.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인 보물 제 783 호 <童子牽驢圖>와 호림박물관 소장 20점으로 된 화첩 내 9 점에 화가와 동시대를 산 선배 崔笠(1539-1612)이 1598 과 1599 년에 직접 쓴 跋文과 讚詩가 있다. 화적이 드문 李楨(1578-1607)의 실경과 관념의 두 산수화첩,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된 문인화가 鄭遂榮(1743-1831)이 금강산을 그린『海山帖』등 한둘이 아니다. 조선 말 김수철과 洪世燮(1832-1884), 李喜秀(1836-1909)의 발굴은 새로운 감각으로 이異色畵風으로 지칭되는 전통회화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시사점이 큰 화가들이다. 이들 작가에 대해선 박물관 내 李泰浩, 李源福 등 후학에 의해 본격적인 논고로 발표되었다. 작품발굴은 국외까지 이어져 미국 필라델피아 박물관 소장 李巖(1507-1566) 계열의 <狗子圖>, 영국 대영박물관의 肖像畵 草本과 불화도 있다. 셋째, 그는 우리나라 회화 전반에 대해 통시대적으로 살피되 일반회화 외에 불화와 民畵, 현대회화 평론까지 참여했습니다. 한국동란으로 부산 피난 중에 ‘제 1 회 현대작가 초대전’(1953.5.1-5.31)과 ‘한국현대회화 특별전’(1954.1.1-1.31)을 열기도 했다. 이들 그림을 함께 살필 때 우리 옛 그림의 眞面目이 드러난다고 보았다. 고대 한국회화 발달의 요람이 초기 불교회화에 바탕을 두었고 고대회화인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조선초기부터 말기까지 화가를 망라해 시대별, 화가별 화풍의 특징을 추출했다. 넷째, 공예분야의 연구와 더불어 도자가 문양의 繪畵性을 일찍이 간파했다. 그림의 전래가 드문 고려와 조선 초기에 있어 이들을 工藝文樣을 회화사의 補完資料로 원용한 점을 들게 된다. 다섯째, 국립박물관을 비롯해 사립박물관과 수많은 개인 소장품 등, 매 작품마다 오랜 세월 장기간에 보고 또 본 후 주도면밀하고 철저한 분석과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과 작가를 간결하고 길지 아니한 문장으로 요약하고 정리했다. 일견 짧은 에세이이나 그 안에 쉽고 아름다운 文體로 서술하여 읽는 이에게 美感의 본질에 도달케 한다. 우리 조형예술 전반에의 따듯하며 예리한 시선으로 찾은 공통분모는 같은 한자문화권의 동질성을 전제로 살펴 편협하지 않은 國際的 시각이 아니다. 風土와 미감의 차이에서 빚어진 미적 差別性까지 살폈다. 결국 우리 회화의 독자성과 특징 나아가 韓國美의 특징의 추출로 귀결된다. As a fourth Director of National Museum of Korea, Choi Sunu(崔淳雨,1916-1984) had been dedicated himself to the museum over 40 years and now known as a diligent Museum Man, Culture and Art Administrator and great Art Historian. His achievements on Art History are remarkable from international exhibition ‘Korean Arts in 5000 years’, domestic renowned exhibitions such as ‘Masterpieces of 500 Years of Korean Painting’, ‘Korean Paintings selected from collection of the National M useum - to be shown for the first time to the public-’ in 1972 and 1977. Apart from those results, his personal researches on art histories, documentations and research essays show his great interest on museum and its material cultures. Art History is one of his main research areas as much as history of Celadon. First of all, Director Choi did gather all exist paintings of Joseon and had been organised several works for these paintings. As a pivotal base works for his research, personal collections of Joseon Paintings and paintings that owned by temples were thoroughly studied in five years terms. Second, Choi focused on painters Kim Si(金禔,1524-1593) and Lee Kyeong Yoon(李慶胤,1545-1611) who both are crucial to understand intermediate term of Joseon Period. To a certain extent, Director Choi also uncovered Choi Rip(崔笠,1539-1612) who directly wrote poet on painting in Horim Museum and Leeum, Samsung Museum of Art and Lee Jeong(李楨,1578-1607) whose writings are rarely found and Jeong Soo Young(鄭遂榮,1743-1831) who draw Mount. Geumgang. Painters such as Kim Soo Chul, Hong Se Sup(洪世燮,1832-1884), and Lee Hee Su(李喜秀,1836-1909) whose works were mainly found in late Joseon are all famous for unique style which suggest the provision of traditional paintings. Those painters are all highlighted by younger researchers Lee Tae Ho, Lee Won Bok from National Museums. Third, Choi rigorously overviews not only traditional paintings of Korea but also Buddhist, Folk, and Modern paintings. ‘The First Invitation Exhibition of Korean Modern Paintings(1953.5.1-5.31)’ and ‘Special Exhibition of Korean Modern Arts(1954.1.1-1.31)’ had been organised in Busan even during the Korean War. Fourth, with the research on crafts, Choi comprehended the artistic perspectives of Celadon. As of its uniqueness of paintings in Goryeo and Joseon, it is hard to be descended for long time and so Choi tried to use the craft arts to understand the paintings. Finally, Choi’s summaries on paintings from national, private museums and even from personal collections are simply made based on thorough researches on them that helps readers comprehend real value of paintings. His researches on Korean paintings are well shown its traditionality and distinctiveness of original but unique Korean styles, not just like other Asian paintings.

      • KCI등재

        조선 후반기 제2,3기 불교미술의 조성사상

        한지연 ( Jee Yeon Ha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3 강좌미술사 Vol.40 No.-

        조선후기 산문중심의 불교에서 지향했던 정통성 수립과 왕실의 능침사찰화는 유교적 사회질서를 유지하고 있던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것과 동시에 신앙적 차원이 고양된 것이 내포되어 있다. 교단 내에서의 이와 같은 움직임은 사찰의 중건, 불상 및 불화의 새로운 제작 국면을 맞이하게 됨으로써 사상적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교단 내부의 정통성 수립에 치중하던 이러한 움직임과는 달리 민간이 주도적으로 불교를 이끌어가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민간 주도하의 불교는 주로 고려시대로부터 이어져온 結社의 맥이 이어지고 있었다. 또한 결사에 사용될 불교전적을 새롭게 편찬하는 작업도 이루어져 조선후기 불교발전의 또 다른 양상을 도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민간 주도의 불교발전에 따라 의례부분도 상당히 강화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인도불교 역사 상 굽타시대와 비견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조선후기 불교와 불교미술이라 생각된다. 불교사상은 급격하게 쇠락하고 민간신앙과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민간의 적극적인 불교참여활동이라는 측면은 인도 굽타시대, 불교사상보다는 민간에서 종교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된다는 측면과 흡사한 부분이다. 표면적으로 불교교단이 쇠락했음에도 불구하고 불교미술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한다는 부분에 있어서도 비견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조선후기 불교사와 불교미술 발전의 측면을 동시에 조명 하는데 주력했으나, 두 가지 측면을 함께 조명한 연구성과가 미비하기 때문에 시론적 입장에서 전개된 논문이다.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historical facts and the artistic development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ist order trie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and to find a way to survive by making Lingqinfocha(陵寢寺刹). The religion suppressed by the social order based on Confucianism needed to inspire the religious level. What the order did in the society at that time could not bring out ideological development. However the need of remodelling of the religious facilities consequently made outstanding progress on the religious art such as statues, paintings and temples. Buddhism among people had been gone on through the associations. As they had made progress with scriptures, the religious ritual formation became stronger. In this way, Buddhism in the late Joseon and that in the Gupta period are very much alike. Both in Gupta era and in the late Joseon, the religion connected with folk believes was flourishing among people when the doctrines were getting weakened. As a result, in both period, the changes of its statues became a turning point in Buddhist art history. However this research is introductory for its inadequate result of focusing on both the religious history and its artistic developme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황수영 박사의 생애와 학문세계

        문명대 ( Myeogn Dae Mo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3 No.-

        현대 한국미술사연구의 대가인 황수영박사의 생애와 학문세계를 체계적으로 논의한 글이다. 첫째 황수영 박사의 생애는 평생을 학문위주로 살았기 때문에 학문적 생애만 논의했다. 그 결과 4 단계로 나눌 수 있었는데, 수학기, 성장기, 완성기, 마무리기 등이다. 수학기는 29 년간이고, 성장기는 23년간이며 완성기는 15 년간이고, 마무리기는 25 년간이어서 학문을 왕성하게 연구한 시기는 약 38년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근 40 여 년간 학문 활동에 전념했거나 학문연구를 지원하는 활동에 열성적이었던 관계로 많은 업적을 남길 수 있었다. 둘째 업적은 첫째 고유섭 선생의 유고정리와 간행하는 업적, 둘째 고고미술동인회의 창립과 고고미술지를 간행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점, 셋째 불교미술학과와 대학원 미술사학과 등 문화재 내지미술사 관계 2 개 학과를 설립하는 업적, 넷째 불교미술 조사와 불교미술사(불상, 불탑, 불구, 금석문, 사경)연구를 개척하고 정립한 업적, 다섯째 석굴암의 중수와 국내외 석굴사원의 조사연구에 공헌한 업적 등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d systematically the life and academic world of Dr. Hwang Soo-yeong, themaster of contemporary studies of Korean art history. First, because Dr. Hwang Soo-yeong’s entire life was committed to academic activities, this study was confined to his academic life.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s life is largely divided into the periods of learning, growth, maturity, and completion. The period of learning is 29 years, the period of growth 23 years, the period of mature 19 years, and the period of completion 25 years. Therefore, it is for about 38 years that he was active in academic research. Naturally as he was committed to academic activities or supported academic researches for nearly 40 years, he made considerable achievements in different areas. Second, his major achievements are grouped largely into five areas: firstly, the organization and publication of Dr. Ko Yoo-seop’s posthumous manuscripts; secondly, remarkable contributions to the foundation of the Archaeology and Arts Club and the publishing of the Journal of Archaeology and Arts; thirdly, launching two academic departments related to culturalheritages and art history including the Department and Graduate School of Buddhist Arts and the Department of Art History; fourthly, pioneering and establishing research on Buddhist arts and Buddhist art history (Buddhist statues, stupas, Buddhist articles, epigraphy, and Sutra duplication); and fifthly, contributions to the restoration of the Seokguram Grotto and the surveys of stone cave templ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 KCI등재

        황수영박사(黃壽永博士)의 탑파(塔婆)연구

        손신영 ( Shin Young S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3 No.-

        초우 황수영박사(이하 초우)는 한국 최초의 미술사학자인 우현 고유섭선생님의 무릎제자이자, 한국 불교미술사를 통섭적으로 연구한 선구자이다. 그의 연구는 우현선생님의 유고를 맡아 정리하여 .朝鮮塔婆의 硏究.(全3 책)로 출간하면서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 통용되고 있는 탑파 양식에 대한 정의와 용어 · 개념 등은 바로 이 책에서 비롯되어 후학들에게 계승되었다. 우현선생님의 탑파연구가 總論에서부터 各論에 이르기까지 상세하게 이루어졌기에 초우는 의식적으로 탑파연구에 매진하지 않으려 했다. 그러나 일생의 빛나는 업적에서 가장 큰 의미를 둘 수 있는 일이, 스승 우현선생님의 유고를 정리하고 출간한 것이었다는 점과 그의 생애 사실상 마지막 논고가 .낭산의 능지탑.인 것을 보면, 그를 탑파연구자로 파악하기에 충분하다. 초우의 탑파 관련 저작 중 대표적인 논고는 .홍제동 사현사지 5 층석탑.이다. 고려시대 석탑인 <홍제동 5 층석탑>에 대해 양식적 고찰은 물론, 탑이 속한 사찰의 변천과정을 상세히 밝히고 관련기록까지 수록하여 탑파연구는 몰론, 불교사찰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초우는 한평생 우현선생님의 학설을 계승하고 널리 전파하는 일에 앞장섰지만, <감은사 서탑 내 발견 사리기>와 같은 새로운 유물의 등장으로 새 견해를 개진할 수 있는 부분이 발생하자 과감하게 의견을 제시하였다. 즉, 다보탑의 양식에 대해, 그 조형이 <화엄사 4 사자 3 층석탑>과 유사하다면서도 팔각형승탑의 선행양식이라 주장하였다. 양식분석의 결과는 다르지만 방법론에서 우현선생의 ‘양식을 중심으로 하는 실증적 연구태도’를 계승하였다는 점에서 돋보이는 연구이다. 이밖에 초우 스스로 우현선생님과 논의 및 연대를 달리하였다고 한 대상은 <익산왕궁리 5 층석탑>이 유일하다. 이 탑을 우현선생님은 7 세기 작품으로 보았으나, 초우는 10 세기 작품으로 판단하였다. 그가 문화재 발굴 및 해체.수리조사의 책임을 맡았던 1960 년대는 새로운 자료가 쏟아져 나온 시기였다. 유물에 대한 관심과 조예가 깊었던 그의 입장에서 기존과 다른 견해를 제기하였다는 것은 부지런히 연구하였다는 것의 방증이라 할 수 있다. 때로는 스승과 다른 견해를 결론으로 제시하기도 하였지만, 초우는 언제나 스승의 견해를 염두에 두면서도 거기에 매몰되지 않았다. 나아가 새로운 자료의 등장에 힘입어 우현선생의 탑파론을 계승.발전시켰다는 점에서도 초우의 탑파연구는 有意味하다. Dr. Chowu Hang Su-Yeong(hereinafter called ¨Chowu〃) is a pupil of the first Korean art historian, Wuhyun Koh Yoo-seob and is a pioneer who blazed a trail in the field of Korean Buddhist art history. His Buddhist art study has begun with publishing three books of 긏Study of Joseon Stupa긏 based on the posthumous work of his mentor Wuhyun. Those definitions, terms, concepts of stupa style being used up to date were derived from these books and were transmitted as a legacy for junior scholars.Since Dr. Wuhuyn…s study on stupa was already well-organized from outline to details, Chowu consciously tried not to go in for the study of stupa. However, when thinking about the fact his most significant work during his life was organizing and publishing the posthumous work of his mentor Wuhyun, it is hard to deny that Chowu…s study on Korean Buddhist art history has started with stupa.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his last research was Neungji pagoda in Mt. Nansan, it is enough to identify him as a stupa researcher. The most representative work of his disquisitions related to stupa is .Sahyeonsaji Five-story Stone Stupa in Hongjedong.. This reveals the history of the temple where the five-story stone stupa belonged to with related records including the stylistic consideration of the stupa in detail. Therefore, this work has been an important reference not only for stupa study but also for study of Buddhist temples. Although Chowu dedicated his life to carrying over Dr. Wuhyun…s theory and widely disseminating it, when a possibility for a different interpretation arose due the advent of newly found relic such as the Sarira Reliquary in the pagoda of Gameunsaj temple, he daringly expressed a new point of view. About the style of Dabotap stupa, he said that the shape of it is similar to <Four-lions Three-story Stone Stupa in Hwaeom-sa Temple> while claiming that is a previous style of octagonal monk-stupa. Even though the result of style analysis was different, in terms of methodology, he still followed the style-focused objective research method by Dr. Wuhyun. Besides, the only stupa that Chowu disagreed with Dr. Wuhyun…s argument and estimation of the year was the Wanggung-ri Five-story Stone Stupa in the Iksan. Dr. Wuhyun estimated that this pagoda was built in the 7th century but Chowu estimated it as a 10th century work. There were a overwhelming amount of new references bursting out in 1960 when he was in charge of excavation, dismantlement and repair of cultural assets. The fact that he brought upa new opinion against existing theory as a person who had profound knowledge of relics shows how hard he studied and analyzed the relics. Sometimes he presented a different point of view from his mentor but he always had his mentor’s theory in his mind while not limiting himself in studying further. Indeed, Chowu’s study is considered valuable as he further developed the stupa study of Dr. Wuhyun on the strength of the newly found references.

      • KCI등재

        돈황 285굴과 골굴석굴의 석굴 구조와 도상의 비교 연구

        문명대 ( Moon Myung-da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21 강좌미술사 Vol.56 No.-

        돈황 285굴의 석굴 구조와 불상·불화는 서위시대의 가장 중요한 석굴일 뿐더러 벽면의 불상·불화는 이 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불교 미술이다. 이와 함께 신라의 골굴석굴은 이런 실크로드 상의 석굴을 계승하여 조성되었는데 인도나 중국 석굴에 가장 가까워 한국 석굴에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첫째, 석굴 주실구조는 돈황 285굴이 정방형에 가까운 평면인데 비하여 골굴 법당굴은 직사각형이어서 대조적이다. 둘째, 돈황 285굴의 불상은 정벽의 주존불만 조성되었는데 주존불은 미륵불의상과 협시보살로 대묘상과 법림보살 등 미륵 삼존상이고, 두 소감실(小龕室)의 상은 유가유식파의 창시자들인 무착과 세친으로 추정된다. 셋째, 돈황 285굴의 4벽과 천정에 전면적으로 벽화가 묘사되어있다. 이 벽화의 특징은 아미타사상(정토3부경)과 법화경사상을 도상화한 내용인데 본존 미륵불에 유가유식사상을 보조하는 사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넷째, 골굴석굴과 돈황 285굴은 구조와 도상 특징 그리고 조형 사상이 같은 점도 있고 다른 점도 있다. 석굴 구조는 전실과 주실로 구성된 구조는 같지만 골굴 법당굴은 주실이 장방형이나 돈황 285굴은 정방형으로 거의 유사하며, 천정은 골굴법당 평천장이나 285굴은 말을 엎은 듯한 복두천정(伏斗天井)이어서 다른 점이다. 또한, 돈황 285굴은 정벽 감실에 미륵삼존불을 주존으로 봉안했으나 골굴 법당굴은 좌우에 불상이 봉안되었으나 정벽에 주존불은 확인할 수 없고 통일신라 마애석가불이 옆 벽면에 마련되어 주존불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돈황 285굴의 4벽과 천정은 전체적으로 벽화로 채색되어 있으나 골굴 법당굴은 벽화는 없이 조각으로만 장엄되어 있는 것이 다른 점이다. 다섯째, 돈황 285굴은 창건때는 유가유식사상에 의하여 조성되었는데 여기에 법화사상과 아미타사상이 가미되어 점차 법화와 아미타 신앙으로 확대되었다고 하겠다. 이에 비해 골굴 석굴은 초창때는 유가유식사상이 주신앙이었을 가능성은 있으나 통일신라때는 법화사상이 주신앙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stone cave structure and Buddhist statues and painting at Dunhuang 285-cave are the most important stone caves in the Western Wei Dynasty, and the Buddhist statues and painting on the wall are the most important Buddhist art representing this era. In addition, Shilla's Golgul Caves were created by inheriting these stone caves on the Silk Road, and as they are closest to those of Indian’s and Chinese stone caves, so they are regarded very important in Korean stone caves. First, the structure of the main chamber of the stone cave is a flat plane with a Dunhuang 285-cave close to a square shape, whereas the Golgul Buddhist sanctum cave is a rectangular shape, which is in contrast. Second, only the Main Buddha Statue on the main wall of Dunhuang 285-cave was built, while the main Buddha statues are Maitreya Buddha statue seated on a chair and accompanying Bodhisattva that are the Maitreya Buddha Triad including Daemyosang and Beoprimbosal, and the images of two small niches (小龕室) are presumed to be Muchak and Sechin, the founders of the Yogacara vijnaptimatra. Third, the mural is depicted throughout the four walls and ceiling of Dunhuang 285-cave. The characteristic of this mural is the content iconographicized from Amitabha thought (Jeongto3bugyeong) and the Lotus Sutra thought, and it is evaluated as a thought that assists the Yogacara vijnaptimatra thought in the main Maitreya Buddha. Fourth, Golgul Caves and Dunhuang 285-cave have the same structure, iconography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thoughts, and have different points. The stone cave structure is the same structure consisting of the front chamber and the main chamber, but the Golgul Buddhist sanctum cave has a rectangular main chamber, and the Dunhuang 285-cave has a square shape and is almost similar, and the ceiling is the flat ceiling of the Golgul main hall, but the 285-cave is different because it is Bokducheonjeong (伏斗天井) that looks like a horse is upset. In addition, Dunhuang 285-cave enshrined the Maitreya Triad Statue as the main entity in the chamber of the main wall, but in the Golgul Buddhist sanctum cave, Buddha statues were enclosed on the left and right, but the Main Buddha Statues on the front wall were not confirmed, and the rock cliff Shakyamuni Buddha in the unified Shilla is placed on the side wall and serves as the Main Buddha Statue. In addition, the four walls and ceiling of Dunhuang 285-cave are painted entirely with mural paintings, but the difference is that the Golgul Buddhist sanctum cave is magnificent only with sculpture without mural paintings. Fifth, Dunhuang 285-cave was created by the Yogacara vijnaptimatra thought when it was founded, and it is said that here Beobhwa thought and Amitabha thought were added to this and gradually expanded to the Beobhwa and Amitabha faith. In contrast, it is possible that the Yogacara vijnaptimatra thought was the main faith when the Golgul stone cave was first founded, but it is believed that at the time of the Unified Shilla, the Beobhwa thought was the main faith.

      • KCI등재

        진영(眞影)특집 : 조선후기 화승(畵僧)의 진영상(眞影像)

        김정희 ( Jung Hee K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구 한국미술사연구소 ) 2010 강좌미술사 Vol.35 No.-

        승려의 초상을 그린 眞影은 삼국시대부터 제작되어, 통일신라 이후 고덕들의 진영제작이 본격화되었다. 19세기에 이르면 高僧大德 뿐 아니라 畵僧들의 진영이 제작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전통은 20세기 전반까지 이어졌다. 현재 19세기 초~20세기 전반의 화승 진영이 10여점 남아있는데, 쌍원민관진영(1814)처럼 동시대 화승 퇴운 신겸이 그린 것이 았는가 하면, 석옹 철유진영(1915년경)처럼 화승 본인이 그린 자화상도 있다. 19세기 이후 진영제작의 범위가 확대되었지만, 화승 누구나 사후에 진영이 제작되었던 것은 아니며, 당대에 화승으로서 뿐 아니라 대선사로서, 또는 학승으로서 존경을 받고, 사찰의 발전에 공로를 쌓았던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화승 진영은 19세기 초부터 20세기 전반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어 각 시기별 특징을 살펴볼 수 있으며, 像主와 작가 또한 당대 각 지역 최고의 화승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다시 말하면 화승 진영은 19,20세기 불교진영의 시기적, 지역적 특징을 보여줄 뿐 아니라 작가의 화풍을 고찰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아처럼 19세기 이후 화승 진영이 제작되기 시작한 것은 화승의 입지가 변화했음을 말해준다. 화승 진영에는 화승의 이름과 함께 堂號를 쓰고 있다. 화승의 경우, 18세기 중엽 이후 관허 설훈, 용봉 경환, 쌍원 민관 등 당호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당호는 어느 정도 지위와 경제력을 가진 사람들만이 썼기 때문에 화승으로서 당호를 가졌다는 것은, 그림실력을 인정받았을 뿐 아니라 어느 정도의 지위와 경제적 부를 이루었다는 것을 말한다. 17세기 후반에 이르면 사유재산제가 실시되면서 승려들도 전답을 전수받았으며, 승려들이 직접 상품을 생산하거나 상업 활동을 해서 돈을 모으기도 했다. 화승들은 이렇게 축적된 재산으로 사찰 내에서 일정한 입지를 확보했을 것이며, 이에 따라 당당하게 당호를 사용할 수 있을 정 도의 지위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승 진영에는 大禪師라는 칭호도 많이 보인다. 조선후기에는 보통 선을 닦는 승려 중 高僧大德을 대선사라 칭했다. 畵師 대신 大禪師의 칭호를 받은 것은 이들이 단순히 화승에 머물지 않고 오랜 수행과 덕을 쌓아 선사로서 존경받았다는 것을 말해준다. 민관처럼, 비록 명목상으로만 관직에 임명된 것 이기는 하지만, 嘉善大夫의 官階를 받은 화승도 있어 당시 불교계에서 화승의 위치를 잘 보여준다. 화승 진영은 형식 또는 양식에서 같은 시기 진영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렇지만 화승 진영은 그의 생전이나 사후, 畵僧과 인연있는 화숭 또는 가장 실력있는 제자가 그렸기 때문에, 그것을 제작한 화승의 실력을 가늠하는 시금석일 뿐 아니라, 화승과 작가와의 관계 내지 畵脈 관계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아울러 화승들이 모두 진영의 대상이 아니고 당대에 대선사로 추앙된 화승만이 진영을 남기고 있는 것을 볼 때, 화승 진영은 각 시기 최고 화승들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으며, 화승이라는 신분을 넘어 선사로서 존경받았던 화승들의 삶을 재조명해볼 수 있다. The portraits of Buddhist monks began to be created from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and from the Unified Shilla Dynasty on many portraits were drawn for old priests. From the 19th century, portraits were created not just for old and virtuous priests but also for monk painters, and thistradition was continued until the mid 20th century. Currently there are 10 monk painter portraits extant from the 19th-early 20th century, and some of them were painted by other contemporary monk painters like the portrait of Ssangwondang Min-gwan (1814) painted by Toiwundang Shin-gyeom and some were self-portraits like that of Seokongdang Cheol-yoo (est. 1915). The scope of portrait creation was expanded from the 19th century, but portraits were created not for all moth painters but mostly for monk painters who were also respected as a great priest or a scholastic priest and made remarkable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temples. Moth painter portraits are distributed evenly over the period from the early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so we can examine changes in their characteristics over the period. Another noteworthy fact is that both the portrayed figures and the painters were the best monk painters in the corresponding area in those days. In other words, moth painter portraits are valuable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region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ortraits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s well as for exanthing the painters` style. The faa that the portraits of moth painters were created from the 19th century suggests that the status of moth painters had been changed. Moth painter portraits used the moth painter`s pen name together with his name. It seems a popular trend for moth painters to have used pen names such as Gwanheodang Seol-hoon, Yongbongdang Gyeong-hwan, and Ssangwondang Min-gwan since the mid 18th century. Because a pen name was used by people with high social status and economic power, the fact that moth painters used a pen name means that their painting skills were highly recognized and they reached a certain level of social standing and economic wealth, Turning the late 17th century an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private ownership system, monks also received lands. Furthennore, they accumulated wealth by producing goods or doing commercial activities by themselves. With the wealth, monk painters might find their position in the temple and even reach a status that allowed them to use a pen name openly. Many of monk painter portraits used the title `Great Priest.` The title Great Priest was given to old and virtuous priests among Buddhist monks practicing Z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us the use of title Great Priest instead of Monk Painter suggests that monk painters` works were not limited to painting hut they cultivated their virtue through training and won people`s respect. There were also monk painters like Min-gwan who was appointed to government position `Gaseondaehu,` though nominal, and this shows the position of monk painters in the Buddhist circle in those days. The form or style of monkpainter portraits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portraits in those days. However, because such a portrait was created during the figure`s lifetime or after his death by another monk painter closely related to the figure or the most skillful one among his disciples, it is important as a touchstone for the painter`s skills and as a material indic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gure in the portrait and the painter or between their painting styles.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not all monk painters were portrayed but only those respected as a great priest in those days left their portraits, monk painter portraits provide clues to the features of the highest monk painters in those days and help us reiluminate the life of monk painters who were respected as a virtuous priest beyond their social standing as a monk paint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