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기사료원료로서 소나무껍질 추출물 피타민의 브로일러에 대한 항생제 대체효과

        김병완,오진석,한완택,박상오,박병성,Kim, Byong-Wan,Oh, Jin-Seok,Han, Ohan-Taek,Park, Sang-Oh,Park, Byung-Sung 한국유기농업학회 2009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7 No.1

        소나무껍질 추출물, 피타민은 인간의 생체 내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높여주는 항산화성 및 항균성 소재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브로일러에 대한 유기사료 첨가제로서 소나무 껍질 추출물, 피타민의 첨가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피타민 프리믹스가 첨가된 사료를 부화 후 35일 동안 섭취한 브로일러의 혈중지질, 생산성, 도체특성 및 맹장미생물 변화를 연구하였다. 병아리는 대조구, 항생제 첨가구, 피타민 프리믹스 0.1%, 피타민 프리믹스 0.2% 첨가구로 구분하였다. 브로일러 혈중지질은 피타민 프리믹스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브로일러의 체중은 P 0.1% 첨가구와 항생제 첨가구가 서로 비슷하였으며 P 0.2% 첨가구와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도체중, 도체율, 도체중에 대한 가슴살과 다리살 무게비율은 P 0.1% 첨가구와 항생제 첨가구가 서로 비슷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복강지방 무게비율은 P 0.1%, P 0.2% 첨가구가 항생제 첨가구 및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흉선 무게지수는 P 0.1%, P 0.2% 첨가구와 항생제 첨가구가 서로 비슷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장 내 Bifidobacteria는 P 0.1% 첨가구와 항생제 첨가구가 대조구 및 P 0.2%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본 시험에서 나타난 중요한 점은 피타민 5.0%를 함유하는 프리믹스 0.1%를 브로일러 사료에 부화 후 35일 동안 첨가 급여해 줌으로서 항생제 첨가와 동일한 브로일러의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Pitamin is a component of pine bark extract that exhibits antimicrobial activity and a variety of physiological effects. This study was earn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pitamin as an organic livestock feed additive in broiler chickens. A 35 day trial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dietary premix containing 5% pitamin; investigated parameters included blood lipids, growth performanc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rcasses, and changes of caecal microbials in broiler chickens. Chick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groups that were untreated (control), treated conventionally with antibiotics in the absence of premix, received 0.1 % or 0.2% premix containing 5% pitamin. Plasma lipids were lower in groups fed diets with pitamin premix (p<0.05). The body weight gain from broiler chickens fed with the diet containing 0.1% pitamin premix and antibiotics was similar,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p<0.05). The weight of breast muscle and thigh meat of carcasses was similar, an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Abdominal fat and thymus index from chickens receiving either pitamin-supplemented premix was significantly lower and increased, respectively, that of the antibiotic and control groups (both p<0.05). The chickens on the pitamin premix-supplemented diets evidenced significantly higher caecal levels of Bifidobacterium species as compared with the chickens on the control diet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eding a diet supplemented with a 0.1% premix containing 5.0% pitamin for 35 days maintains the production of broiler chickens at a level comparable to that obtained from the use of antibiotics.

      • KCI우수등재

        클러터 환경에서 로봇 파지를 위한 역학 예측 신경망 기반 강화학습 방법

        김병완(Byung Wan Kim),박영빈(Youngbin Park),서일홍(Il Hong Suh) 대한전자공학회 2021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8 No.11

        본 연구는 둘 이상의 물체가 서로 겹치거나 인접하여 로봇 파지 포인트를 파악하기 어려운 클러터 환경(cluttered environment)에서 역학 예측 신경망(Dynamics Prediction Network, DPN)을 이용하여 작업환경과 로봇 행동 사이의 역학 관계를 학습하고 파지 작업을 수행하는 강화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클러터 환경에서 파지 포인트를 찾을 수 없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비파지 동작을 활용하며, 제안하는 역학 예측 신경망을 이용한 강화학습 방법은 파지뿐 아니라 비파지 동작 학습에서도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학습 환경을 추계(stochastic world)가 아닌 결정계(deterministic world)로 가정하여 전이 확률(state transition probability)을 1로 고정함으로써 DPN은 현재 상태(current state), 현재 행동(current action), 다음 상태(next state)의 일대일 대응관계를 학습한다. 학습 단계에서 추가적으로 진행되는 DPN으로 인한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매개변수 공유(parameter sharing)를 학습 모델에 적용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매개변수 공유와 DPN으로 학습에서의 부담뿐 아니라 동작모델의 가중치 메모리 크기를 절반으로 줄이면서도 블록 테스트 환경에서 8%의 파지 성공률 향상을 보였다. 실세계 물체를 3D 스캔하여 구성한 새로운 테스트 환경 실험에서 23%의 파지 성공률 향상을 보여 물리적 상호작용 학습으로 일반화(generalization)가 잘 이루어졌음을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inforcement learning method to learn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space and robot actions using Dynamics Prediction Network(DPN). We perform the grasping tasks with this deep Q network model in cluttered environments wher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grasp point because two or more objects overlap or adjoin each other. We use non-prehensile actions to solve the situation in which the grasp point cannot be found in the cluttered environment. DPN learning is effective in learning not only prehensile actions but also non-prehensile actions. Assuming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 is a deterministic world rather than a stochastic world, then the state transition probability is fixed at 1. The DPN learns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current state, current actions, and next state. Parameter sharing was applied to the training model in order to reduce the training computations due to the DPN model being added during the training phase. The proposed method applied both parameter sharing and DPN appropriately, reducing the burden on learning as well as the size of the weight memory of the operating model by half, and showed an 8% improvement in the grasping success rate of the block test environments. In the experiments of new test environments constructed by 3D scanning objects of the real world, the grasping success rate improved by 23%, showing that the generalization of physical interaction learning was well done.

      • KCI등재

        조사료 대용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알코올 발효사료가 In vitro 반추위내 발효특성 및 NDF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

        김병완(Byong Wan Kim),임광철(Guang Zhe Lin),박병기(Byung Ki Park),김종덕(Jong Duk Kim),신종서(Jong Suh Shi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4

        본 실험은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에 따른 in vitro 발효 pattern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반추위내 ammonia, pH, alcohol 및 volatile fatty acids 농도와 NDF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비지박 알코올 발효사료(AFS)는 비지박(DM 20%)과 시판중인 배합사료(DM 87%)를 각각 50:50의 비율로 혼합하고 당밀 5%, yeast 0.5%를 첨가한 후 30℃에서 24시간 혐기적으로 배양하여 제조하였으며,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AFB)는 맥주박(DM 25%), 비지박(DM 20%), 옥분 및 시판중인 배합사료를 각각 25:25:25:25의 비율로 혼합하고 당밀 5%, yeast 0.5%를 첨가한 후 제조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배합사료를 급여하는 대조구(control),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AFS구 및 AFB구)를 첨가하는 처리구를 각각 AFS 및 AFB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배양 0, 2, 4, 6, 8 및 12시간별로 배양액을 채취하여 배양액의 alcohol 농도, ammonia 농도, pH, VFA 농도 및 NDF 분해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양액의 ammonia 농도는 배양 2시간에 대조구 11.84 ㎎/㎗ 보다 AFS구 및 AFB구에서 각각 12.47 및 12.85 ㎎/㎗로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배양 6시간까지의 pH는 대조구보다 AFS 및 AFB구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배양시간이 경과하면서 AFS 및 AFB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배양액의 알코올 농도는 AFS 및 AFB구에서 배양 12시간에 대조구보다 각각 43.9 및 48.0%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Acetate 농도는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는 빠른 속도로 감소하였으며 AFS 및 AFB구들은 다소 감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Propionate 및 Butyrate 농도는 배양 전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AFS 및 AFB구에서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배양 4시간까지 NDF의 분해율은 대조구에 비해 AFS 및 AFB구가 높았으나, 배양 4시간 이후부터 대조구에 비해 AFS 및 AFB구가 낮은 결과로 나타났다(p<0.05).이상의 결과로부터 알코올 발효사료는 반추위 내에서 반추미생물의 발효 pattern을 조절하여 주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n in vitro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lcohol-fermented feedstuff formulated with byproducts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NDF disappearance in the rumen. Dietary treatments were either a soybean curd-based alcohol-fermented feedstuff (AFS) or brewery grain-based alcoholfermented feedstuff (AFB). The AFS and AFB are composed of 50% commercial beef cattle feed, 50% soybean curd dreg, 5% molasses and 0.5% yeast, and 25% commercial beef cattle feed, 25% brewery grain, 25% soybean curd dreg, 25% corn grit, 5% molasses and 0.5% yeast, respectively. The change of ammonia, pH alcohol, volatile fatty acids, and NDF disappearance were measured at 0, 2, 4, 8 and 12 hr after in vitro incubation in the rumen. After 2 hr incubation, higher ammonia concentrations were resulted in AFS (12.47 ㎎/㎗) and AFB (12.85 ㎎/㎗) compared to control (11.84 ㎎/㎗) (p<0.05). Ruminal pH of AFS and AFB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during 1 to 6 hr fermentation, but the pH of AFS and AFB were decreased after 6 hr. At 12 hr fermentation, the alcohol concentration of AFS and AFB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43.9% and 48.0%, respectively. The acetate concentration was rapidly decreased in control, while the concentration was slowly decreased in AFS and AFB with increasing the fermentation time. Lower concentrations propionate and butyrate were observed in AFS and AFB during every fermentation time (p<0.05). The NDF disappearance was significantly lower in AFS and AFB after 4 hr ferment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cohol fermented feedstuff can control the fermentation pattern in the rumen.

      • KCI등재

        참여형 휴먼인지 3I 서비스플랫폼 융합기술 개발 방향 및 비즈니스모델 연구 : 다중 스마트 디스플레이 홀로그램을 활용한 실감형콘텐츠를 중심으로

        김병완(Kim, Byung Wa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5G 상용화를 계기로 실감콘텐츠산업 성장 및 경제사회 전반 혁신도구로서의 실감형콘텐츠분야가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가상·증강·혼합현실분야와 홀로그램분야의 발전은 미래콘텐츠시장의 혁신동력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5G기반 실감형콘텐츠분야의 동향 분석과 미래콘텐츠 시장 변화에 따른 실감콘텐츠산업 방향성 도출 하는데 목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실감미디어로서 홀로그램분야의 성장을 위한 다중 스마트 디스플레이 홀로그램과 다양한 산업과의 융합·결합·공유를 통해 새로운 유형의 실감형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생산·유통·소비하기 위한 서비스 플랫폼 구축방안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휴먼인지기술 및 인터렉티브콘텐츠를 활용한 서비스 적용분야를 선정하고 참여형 휴먼인지 3I서비스플랫폼 비지니스모델 연구 방향성을 제안한다. As the commercialization of 5G is expected to bring about the growth of the realistic contents industry and the creation of new added value in the field of realistic contents as a tool for innovation in the entire economy and society, the development of the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and hologram fields will serve as an innovation engine for the future contents market. This study thus aims at analyzing the trends in the 5G-based realistic contents field and to derive the direction of the realistic contents industry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future contents market. Therefore, this study produces a new type of realistic contents through the convergence, combination, and sharing of multiple smart display holograms with different industries for the growth of the hologram field as a next-generation realistic medium, and develops its discussion with a focus on measures to establish a service platform to produce, distribute, and consume such type of contents. In addition, based on the selection of fields where services using human cognitive technology and interactive contents are applicable, this study also seek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a business model for the participatory human cognitive 3I service platform.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중심의 융복합형 에듀보드 제품기술 및 교육콘텐츠플랫폼서비스 연구

        김병완(Byung-Wan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7

        최근 미래 교육시장의 변화에 따른 에듀테크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창의지성교육을 위해서는 영유아 때부터 선행교육되고 경험 인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은 이러한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유아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운영관점, 교육과정, 교육환경, 교육계획에 대한 테스크리서치를 진행하여 연구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환경개선과 유아교육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플랫폼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공간 및 환경조성은 영유아들의 놀이행동과 교육의 질을 높이고 구제적인 조작활동을 함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활용됨에 따라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수 학습지원 환경구성을 위한 실내활동영역의 놀이방식유형인 바닥놀이, 스탠딩 놀이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융복합형 에듀보드 제품기술방안을 중점으로 제안한다. 그리고 유아교육기관 이해관계자인 원장, 교사, 학부모, 기관의 역할을 반영할 수 있는 교육계획 프로그램의 교육활동 및 유아의 성장 발달 단계에 맞춘 운영관점의 유아교육콘텐츠 제공을 위한 서비스플랫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Even though the edu-tech industry is rapidly growing with the recent changes in the future education market, for the creative-intellectual education, the process of preceding education, experience, and cognition is needed to young children. However, mos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do not cope with it even when they feel the necessity of such changes. Thus, this study sought for the research direction by conducting a task research on the operation viewpoint, curriculum,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 plan, targe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In the results, the necessity of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service platform that could us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ntents was verified. The educational space and environmental compos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re used as an essential element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play behaviors, and also performing specific manipulative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Thus, this study mainly suggests the measures for convergence edu-board product technology that could simultaneously apply the play methods of indoor activity area such as floor play and standing play for the teaching-learning support environmental compos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nd this study aims to perform a research on the service platform for provid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education plan/program that could reflect the roles of the interested part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such as director, teacher, parents, and institute, and also for provid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ntents in the viewpoint of operation, suitable for the developmental stage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AI 얼굴정보처리기술을 활용한 체온측정 및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 서비스플랫폼 고도화 연구

        김병완(Byung-Wan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7

        최근 세계적 감염질환 확산 방지 및 사회적 대처방안으로 다중이용시설의 필수적 환경개선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비대면 본인인증, 출입관리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얼굴정보처리기술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속적인 출입관리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다중이용시설분류체계 및 적용서비스분야를 정의하고 이원화된 출입관리 시스템, 개인·측정정보 유형 분석을 통해 확장성을 고려한 서비스플랫폼의 사용성 개선방안과 이에 따른 서비스로드맵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활용도에 따른 일회성, 다회성으로 인증해야하는 다중이용시설 적용서비스분야인 물리적 출입관리 시스템 서비스플랫폼 개선을 목표로 한다. 향후 본 연구의 방법론이 논리적 출입관리 시스템 유형의 서비스플랫폼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interest and demand for facial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that can provide non-face-to-face identity authentication and access management service using smart devices, which is an essential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multi-use facilities, is increasing as a way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worldwide and to cope with social measures. This study defines a multi-use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and applied service field to establish a continuous access control system, and measure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service platform considering scalability through a dual access control system and personal/measurement information type analysis, and accordingly We would like to propose a service roadmap. In addition, it aims to improve the physical access management system service platform, which is a multi-use facility application service that requires one-time and multiple-use authentication according to usage.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as a service platform of a logical access control system type in the future.

      • KCI등재

        가임여성 Interactive PHR기반 라이프사이클 개선을 위한 스마트 패어런팅 큐레이션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연구

        김병완(Byung-Wan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6

        스마트헬스케어산업은 융합라이프헬스케어분야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서비스플랫폼 비즈니스모델로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헬스케어 서비스플랫폼의 지능화를 위한 PHR기반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가 미래 스마트헬스케어산업의 판도를 좌우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서비스 유형은 포괄적인 대상을 중심으로 환경분석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정 대상에 대한 서비스플랫폼의 심도 있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임여성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를 분석하고 사용자별 테스크리서치 중심으로 시스템구성도 및 정보설계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패어런팅 큐레이션 서비스플랫폼을 적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구현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또한 예방, 진단, 치료, 관리 등의 건강관리프로세스를 통한‘개인맞춤형 건강관리’,‘생활습관개선관리’를 중점으로 건강관리, 정보콘텐츠, 서비스, 혜택 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다. The development of smart health care industry has been regulated to the various service platform business models along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life health care fields. Especially, it is expected that PHR based personal customized health care service will determine the trends of smart health care industry for intellectualization of health care service platform in the future. However, the environmental analysis and studies on most of the service patterns oriented to the expansive objects are being made, and the in-depth studies on the service platform for specific objects have never been made. The smart health care service was analyzed and the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nd information architecture were performed for the fertile women oriented to the user respective task research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realization methods to apply the smart parenting curation platform service were proposed.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sistent studies should be made in the points of providing the health care, information contents, service and benefits intensively on the‘personal customized health care’, and‘life habit improving and caring’ by means of health care processes such as prevention, examination, treatment and car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