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을 위한 칼슘과 비타민D 보충제의 효과와 안전성

        김범택 대한의사협회 2021 대한의사협회지 Vol.64 No.4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lcium and vitamin D has been deemed one of the most important tools to fight against osteoporotic fractures increasing with aging of the population globally. Reports from early clinical trials demonstrated that supplementation of calcium and vitamin D for patients with osteoporosis can reduce the incidence of fragility fractures by decreasing bone loss and falls. However, following trials failed to demonstrate the efficacy of calcium and vitamin D for the prevention of osteoporotic fractures, questioning the need of calcium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 Even metanalyses and system reviews presented opposite conclusions , depending on clinical trials included.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excessive calcium supplement can increase cardiovascular risk such as non-fatal myocardial infarction and that excessive vitamin D supplement can produce more frequent falls than it is supposed to be. However, in spite of some arguments regarding the efficacy and safety of calcium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 it seems to be essential to provide 800 to 1,000 mg elementary calcium and 800 to 1,000 IU vitamin D for the elderly whose intake of calcium and vitamin D is insufficient to prevent osteoporotic fracture.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 혈중 호모시스테인농도와 골밀도 및 골전환율과의 연관성

        김범택 ( Bom Taeck Kim ),안병훈 ( Byung Hoon Ahn ),김광민 ( Kwang Min Kim ),주남석 ( Nam Seok Joo ),김찬원 ( Chan Won Kim ),권도승 ( Do Seung Kwon ),이득주 ( Duck Joo Lee ) 대한폐경학회 2010 대한폐경학회지 Vol.16 No.1

        연구목적: 유전성 고호모시스테인뇨증 환자에서 골다공증이 발생한다는 것이 알려진 후,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증가가 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골절의 유병률을 증가시키는 기전이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다. 이 연구는 고호모시스테인혈증과 골절의 위험인자인 골밀도, 골전환율 및 골의 구조적인 특성들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이 연구는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 동안 모대학병원의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2,670명의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중 호모시스테인, bone turnover marker와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폐경 후 여성에서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연령, osteocalcin, 25-Vit D농도, L1-4골밀도, 총대퇴골밀도 및 L3의BMC, vBMD, aBMD와 유의한 상관관계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연령과 체질량 지수를 보정한 후, 척추 전체, 대퇴부의 골밀도는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관련이 없었지만, osteocalcin은 여전히 관련이 있었다. L3의 BMC, vBMD, aBMD와 유의한 상관관계관련이 있었지만, 골의 크기나 부피와는 관련이 없었다. 연령을 보정하고 난 후에도, L3의 골밀도는 작지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혈중 호모시스테인의 증가는 골밀도와는 관련이 적지만, 골교체율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Objectives: Hyperhomocysteinemia is related to fractures in the elderlies. W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homocysteine and bone mass, size, and bone turnover rat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670 postmenopausal women who underwent periodic health examinations in Ajou University Health Promotion Center, between January 2002 and December 2003. Serum homocysteine, bone turnover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were measured. Results: Patient age, osteocalcin, 25-vit D, total lumbar BMD, total lumbar T-score, the lowest lumbar BMD, the lowest lumbar T-score, femur neck BMD, femur neck T-score, femur trochanteric BMD and femur trochanteric T-scor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rum total homocysteine. However, after adjusting for age, the only osteocalci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rum total homocysteine, At the 3rd lumbar vertebra, the BMC, volumetric BMD and areal BMD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rum total homocysteine but the bony size and the volume were not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age, the 3rd lumbar BM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rum total homocysteine. Conclusion: Serum homocysteine level i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bone turnover rate, less with bone mass but not with bone size. (J Korean Soc Menopause 2010;16:23-28)

      • KCI등재

        고지혈증 환자에서 Atorvastatin(Lipitor)의 혈청지질 강하 효과

        전상성,김범택,박재형,정현주,손중천,김광민 대한가정의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5 No.1

        Background: Recently,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has increased in Korea. Hypercho-lesterolemia is a major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s. Atorvastatin (LipitorⓇ) is prescribed for the treatment of hyperlipidemia in Korea, but its effect has not been studie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lipid lowering effect of atorvastatin in Korean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82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Family Practice of Ajou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 2000 to December 31, 2001.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7.8 years in the range of 27 to 66 years. Our study included 41 controls and 41 subjects who were administered atorvastatin 20 mg daily for 3 months. Fasting serum lipid levels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at 3 months. Specific dietary and exercise interventions were not instructed. Results: At 3 months, the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torvastati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otal cholesterol; -5.5±16.7%, vs 25.5±15.8%, P<0.05, LDL cholesterol; 1.4±28.5%, vs -30.1±28.9%, P<0.05). The serum triglyceride in atorvastai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relative to the controls (Control: -5.8±34.2%, Atorvastatin: -3.5±54.8%, P=0.81). But, Serum triglyceride level decreased by -14.3±33.2% in the control and -39.0±23.2% in the atorvastatin group among the patients whose baseline triglyceride level was over 200 mg/dl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DL-cholesterol (Control: 3.0±22.6%, Atorvastatin: -0.9±18.8%, P=0.38). The effect of atorvastatin was not influenced by age, sex, BMI and other risk factors. Conclusion: Atorvastatin lowered significantly the serum total cholesterol, LDL and triglycerides in Korea. Regardless of age, sex, BMI, but had no effect on HDL level. 연구배경: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심혈 관계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심혈 관계 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로 고콜레스테롤 혈증이 있다. Atorvastatin (LipitorⓇ)이 고지혈증 환자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국내에서의 임상 연구는 없다. 따라서 저자는 한국인에서 Atorvastatin의 지질 강하 효과를 연구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 아주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외래에 내원하여 추적관리를 받았던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 82명의 의무기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군의 평균연령은 47.8세 (27~66세)이었다. 연구 대상은 약물치료 없이 추적 관리를 한 41명과 atorvastatin 20 mg을 매일 3개월 동안 복용한 41명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혈중 지질 검사는 연구 시작 전과 3개월에, 최소 12시간 금식한 상태에서 시행하였고 특별히 식이나 운동의 제한은 없었다. 결과: Atorvastatin 투여 3개월 후 총 콜레스테롤은 대조군이 -5.5±16.7%, atorvastatin 투여군이 -25.5±15.8%, 저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이하 LDL)은 대조군이 1.4±28.5%, Atorvastatin 투여군이 -30.1±28.9%로 두 군 간의 콜레스테롤 변화는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다. 중성 지방은 대조군이 -5.8±34.2%, 치료군이 -3.5±54.8%로 변화(P=0.81)가 없었으나, 연구 전 혈중 농도 200 mg/dl 이상인 군은 대조군이 -14.3±33.2%, 치료군이 -39.0±23.2%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이하 HDL)은 대조군에서 3.0±22.6%, 치료군에서 -0.9±18.8%로 변화가 없었다. Atorvastatin의 콜레스테롤 강하 효과는 연령, 성별, BMI (Body Mass Index, 이하 BMI), 다른 심혈관계 질환의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결론: Atorvastatin은 한국인에서도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인 혈청 총 콜레스테롤과 LDL, 중성지방을 의미 있게 감소시켰으나 HDL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KCI등재후보

        대사증후군과 심박동수 변이와의 관계

        이용제,김범택,심재용,이혜리,김문성,곽태환 대한가정의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3 No.12

        Heart Rate Variability in Metabolic SyndromeYong Jae Lee, Mun Sung Kim, Bum Taek Kim*,Tae Hwan Kwak, Jae Yong Shim, and Hye Ree Lee 연구배경: 연령, 성별,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등의 심혈관계 위험인자가 심박동수 변이 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대사증후군은 이들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들의 군집개념이다. 이에 저자들은 대사증후군에서 심박동수 변이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대사증후군 기준 항목 중 심박동수 변이에 영향을 주는 항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2002년 1월과 2월 사이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와 비만클리닉을 내원한 178명 중 특이 병력이 없는 총 149명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집단과 비대사증후군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Mean Heart Rate (MHR), 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 (SDNN), The Square Root of the Mean Squared Difference of successive NN intervals (RMSSD), Total Power (TP), Low Frequency (LF), High Frequency (HF), LF/HF 비를 구하여 두 집단에서의 심박동수 변이 차이를 t-test를 통해 알아보았으며, 심박동수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 항목을 알아보기 위해, 대사증후군 각 기준 항목 및 심박동수 변이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인자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MHR, SDNN, RMSSD, TP, LF, HF, LF/HF 비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 회귀분석하였다.결과: 비대사증후군 집단에서보다 대사증후군 집단에서 SDNN은 39.2 14.5에서 32.9 10.8 (ms, P=0.015)로, RMSSD는 30.5 14.6에서 23.3 11.6 (ms, P=0.006)으로, TP는 1270.0 975.3에서 893.2 652.6 (ms2, P=0.028)으로, LF는 354.4 410.8에서 198.3 259.2 (ms2, P=0.008)로, HF는 273.3 292.1에서 148.9 137.2 (ms2, P=0.001)로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상 혈압군에 비해 고혈압군에서 RMSSD는 5.52 (ms, P=0.041), LF는 217.63 (ms2, P=0.002) 감소하였으며, 고밀도 콜레스테롤 1 감소 시 TP는 24.31 (ms2, P=0.020), LF는 11.12 (ms2, P=0.008) 감소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