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용량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선호도 기반의 버퍼 관리 기법

        김래영(Raeyoung Kim),방철석(Cheolseck Bang),정인범(Inbum Jung),김윤(Yo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Ⅲ

        컴퓨터와 네트워크 환경의 발달에 힘입어 고화질의 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스트리밍 서비스는 서버의 많은 자원을 필요로 한다. 서버의 자원 중에서 메인 메모리는 대용량의 미디어 데이터를 다루는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성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제한된 메인 메모리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동적 버퍼 관리 기법과 버퍼 히트율을 높일 수 있는 대체 정책을 제안하고 평가한다.

      • 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래영(RaeYoung Kim),정선영(SunYoung Joung)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논총 Vol.32 No.-

        본 연구는 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N구에 소재한 B 구립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5주 동안 14회기로 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통제집단에는 인권교육 프로그램에서 추출한 인권의 영역과 가치만을 소개하여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의한 향상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유아인권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 인권교육의 활성화를 통한 유아 개개인의 인권 신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ctivity-based human rights educational program on preschoolers'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As the research subjects, twenty five-year-old preschoolers of B Public Nursery School located in N District in Seoul. Activity-based human rights educational program was introduced over fourteen sessions for five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only the area and value of human rights extracted from the human rights educational program were introduced. The pre-and post tests of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were conducted for the preschoolers in each group to compare the improvement degree of the preschoolers' self 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score of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activity-based human rights educational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and suggests that the activity-based human rights educational program can be used as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human rights of preschoolers. Based on tha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promoting the human rights of the individual preschoolers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for preschoolers.

      • KCI등재

        의무투표제는 위헌인가?

        김래영(Raeyoung Kim) 한국헌법학회 2012 憲法學硏究 Vol.18 No.1

        우리 헌법재판소는 헌재 2003. 11. 27. 2003헌마259 사건에서 “차등없이 투표참여의 기회를 부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자발적으로 투표에 참가하지 않는 거권자들의 의사도 존중해야 할 필요가 있고, 선거권자들로 하여금 투표를 하도록 강제하는 과태료나 벌금 등의 수단을 채택하게 된다면 자발적으로 투표에 참가하지 않는 선거권자들의 의사형성의 자유 내지 결심의 자유를 부당하게 축소하고 그 결과로 투표의 자유를 침해하여 결국 자유선거의 원칙을 위반할 우려도 있게 된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자유선거의 원칙과 의무선거가 반드시 양립할 수 없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특히 터키와 그리스의 헌법은 양자 모두를 헌법에 규율하고 있다. 우리 헌법은 제37조 제2항에서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국가안전보장ㆍ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자유선거의 원칙 또한 공공복리를 위하여 제한할 수 있다고 하여야 한다. 의무투표제는 선거권자들로 하여금 단지 투표소에 나타날 것만을 요구하는 것이지, 그들의 의사에 반하는 투표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며, 의무투표 불이행시의 제재수단도 과태료나 참정권의 제한에 그친다면 선거권자들이 입게 되는 불이익이 이를 강제함으로써 얻게 되는 불이익보다 크다고 할 수는 없다. 오히려 최근의 낮은 투표율을 근거로 판단해 볼 때, 투표에 참여한 소수의 의사가 국민의 의사로 의제되는 정치적 왜곡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결국, 의무투표제를 시행함에 있어서 최소투표율 제도와 연계시키지 않고, 투표용지에 기권란을 따로이 만든다면 의무투표제에 대한 위헌논쟁은 일어나지 않으리라 본다.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ruled the following in the 2003hun-ma259 decision: If the minimum voting rate system were to be introduced in case the actual voting rate would turn out to be lower than the required until the voting rate would reach the minimum voting rate, which might cause complication and waste of time and cost. If such methods as civil penalties or fine were to be adopted in order to prevent such situation thereby compelling the voters to vote, this would unjustly abridge the freedom to form opinions of the voters and, as the result, might infringe upon the right to vote, thereby violating the principle of free election. But, there is no hard evidence that free vote and compulsory voting are incompatible, furthermore, for example, Turkey and Greece Constitutions provide free vote copes with compulsory voting. Our Constitution provides that the freedoms and rights of citizens may be restricted by Act, when necessary for national security, the maintenance of law and order or for public welfare. Free vote falls under this provision, so it may be restricted for public welfare. Compulsory voting asks the voters not to determine any candidate on the ballot, but just to go to the poll. Whether vote to any candidate or abstain, it is wholly up to the voters. Thus the interest of compulsory voting outweighs its disadvantage. Compulsory voting does not distort of the citizen’s political will, but reflect the citizen’s political will as it is.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참여도와 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김래영(Raeyo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학업저성취 집단과 학업고성취 집단의 학업참여도 차이를 비교하고, 학업참여도 요인들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대학 차원에서 학업성취와 관련이 있는 학업참여 요인들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학습자의 특성별로 맞춤형 학습지원의 전략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방법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하여 경기도 소재 A대학교의 재학생 중 당해 학기의 평점 평균인 GPA를 기준으로 2.5점 미만인 학생과 4.0점 이상인 학생 총 30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학업참여도와 학업성취도 관련 교내 누적 학사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독립변인인 학업참여도 변인은 출결 점수, 수강 학점, LMS 접속 횟수, 비교과 통합시스템 접속 횟수,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횟수, 지도교수 상담 횟수, 도서 대출 건수이다. 종속변인은 학업성취인 GPA와 학업저성취⋅학업고성취 여부이다. 자료분석은 SPSS 2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학업저성취자와 학업고성취자의 학업참여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학업참여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문제 1에 따라 학업참여도는 학업고성취 집단이 학업저성취 집단보다 출결 점수, 수강 학점, LMS 접속 횟수, 비교과 통합시스템 접속 횟수,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횟수, 지도교수 상담 횟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문제 2에 따라 출결 점수, 수강 학점, 지도교 상담 횟수가 많을수록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았으며, 반면 도서 대출 건수가 많을수록 학업성취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두 집단의 학업참여도 차이를 규명하고, 학업참여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재확인했다는 점은 집단별로 차별화된 교육적 지원을 해야 한다는 당위성과 근거마련으로서의 교육적 의의가 있다. 또한 학사데이터의 중요성을 환기함으로써 향후 대학에서 학사데이터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참고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academic participation between the low-achievement group and the high-achievement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academic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is to preemptively identify academic participation factors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at the university level and prepare strategies for customized learning support for each learner's characteristics.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306 students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study, one with a score of less than 2.5 and those with a score of 4.0 or higher based on the GPA, which is the average GPA of the semester. In addition, cumulative academic data related to academic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dependent variables The variables for academic participation are attendance score, course credits, number of LMS accesses, number of access to the non-department integrated system, number of times to participate in the non-department program, the number of consultations with advisors, and the number of book loans. Dependent variables are GPA, which is academic achievement, and whether or not academic achievement is low or high. For data analysis, SPSS 28.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academic participation between low-achieving students and high-achieving stud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 1, the degree of academic participa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achieving group than in the low-achieving group in attendance score, number of credits taken, the number of LMS accesses, the number of access to the non-departmental integrated system, the number of times of participation in the non-departmental program, and the number of consultations with the advisor.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 2,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attendance score, the number of credits taken, and the number of consultations with the advisor,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in academic participation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identif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reconfirmed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as the justification for differentiated educational support for each group and the establishment of evidence. In addition, by recalling the importance of academic data,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educational use of academic data in universi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통령 법률안거부권의 한계와 제한 -이해충돌을 중심으로-

        김래영 ( Raeyoung Kim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一鑑法學 Vol.- No.57

        임기를 시작한 지 2년이 채 안 된 윤석열 대통령은 법률안거부권 행사를 9건이나 하였다. 현행 헌법 시행 후 최다 건수를 기록하고 있다. 현행 헌법 하에서의 거부권 행사 25건 중 88%인 22건의 법률안거부권 행사가 여소야대 국면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행사가 예외 조치가 아닌 일상의 통치술로 자리잡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른바 ‘거부권정치(vetocracy)’가 일상화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행사는 애초 의회의 힘이 너무 세지는 것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즉 입법권의 견제수단으로 도입되었다. 대부분의 견해는 법률안거부권이 대통령의 자유재량행위에 속한다고 하더라도 사면권이나 국가긴급권 발동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내재적 한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민주주의, 권력분립, 법치주의, 적법절차 및 비례의 원칙 등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내재적 한계를 구체화하여 법률안거부권 행사를 정당화하는 사유를 설명하고 있다. 헌법에 위반되는 법률안, 집행이 불가능한 법률안, 국익에 반하는 법률안, 정부에 부당한 압력을 가하는 법률안, 예산상 뒷받침이 없는 법률안, 대통령의 정책에 부합하지 않는 법률안 등. 이러한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행사에 내재적 한계가 있다는 논의와 별개로 법률안거부권 행사를 제한할 수도 있다고 하겠다. 공직자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법률 혹은 일반규정이 대통령에게도 그대로 예외 없이 적용되는 것이 그것이다. 이해충돌의 경우가 가장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 ‘대통령 배우자 특검법안’의 경우 이해충돌방지법 제2조 제6호 가목의 사적이해 관계자에 해당하는 대통령의 배우자에 대하여 법 제5조 제1항 제8호의 ‘사건의 수사’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위 특검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는 이해충돌에 해당한다고 보지 않을 수 없다. 이해충돌방지법상 대통령도 적용대상임을 명시하고 있음은 두말할 나위 없다.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행사 자체가 이해충돌에 해당한다는 뜻은 아니다. 거부권 행사의 내용이 된 ‘대통령 배우자 특검법안’이라는 특정 법률안을 거부한 것이 이해충돌에 해당한다는 뜻이다. 대통령의 배우자 또는 그 가족이 포함된다고 하더라도 불특정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법률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는 것은 법 제5조 제3항 제1호의 예외 사유에 해당하여 가능하기 때문이다. President Yoon Suk-yeol, who has not even been in office for two years, exercised the power of veto on legislation in as many as nine cases. This marks the highest number recorded since the current constitution came into effect. Among the 25 instances of exercising the veto power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 22 cases, or 88%, took place in a situation of divided government. This suggests that the president’s use of the veto power has become not just an exceptional measure but a routine governance tactic in everyday political scenarios. It could also be seen as the normalization of what is known as ‘vetocracy’ in political discourse. Abovesaid power of veto was originally introduced as a means to prevent the excessive power of the legislature, serving as a check on the legislative authority. While most opinions acknowledge that the veto power falls under the discretionary actions of the president, similar to the exercise of the pardon or the declaration of a state of emergency, it is also recognized that there are inherent limits to such powers. It is emphasized that adherence to principles such as democracy, separation of powers, rule of law, due process,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must be maintained. Separate from discussions about the inherent limits of the president’s power of veto, it can be argued that the exercise of this power could also be restricted. This could be achieved by applying general laws or regulations that are applicable to all public officials without exception, including the president.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is in cases of conflicts of interest. In the case of the “Special Prosecutor’s Bill for the President’s Spouse,” for instance, it includes provisions related to the investigation of the president’s spouse, who falls under the category of Persons Related with Private Interest in accordance with Article 2, Clause 6, Sub-clause (a) of the Conflict of Interest Prevention Act. Therefore, the exercise of the veto power over this special prosecutor’s bill could be considered a conflict of interes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xercise of the president’s power of veto itself does not necessarily constitute a conflict of interest. What is meant is that rejecting a specific bill, such as the “Special Prosecutor’s Bill for the President’s Spouse,” which became the content of the veto, could be considered a conflict of interest.

      • KCI등재
      • KCI등재

        지방선거에서 정당배제는 합헌인가?

        김래영 ( Kim Raeyo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외법논집 Vol.38 No.1

        2014년 6월의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에서는 지방선거에서 정당의 참여를 배제하자는 논의가 무성하고, 실제 이를 반영한 법률개정안이 국회에 수 건 제출되어 있다. 일부 견해는 지방의 중앙정치에의 예속을 타파하고, 풀뿌리민주주의라는 지방자치의 본질 구현이라는 면에서 지방선거에서의 정당배제에 찬성하고, 이는 법률문제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지방선거에서 정당을 배제하는 것은 위헌이다. 첫째, 지방선거에서 정당의 참여를 배제하는 것은 정당 및 후보자의 평등권, 정치적 표현의 자유 등을 침해하는 것이 되고, 유권자들에 대하여는 선거권 및 알 권리를 침해하게 되는 것이므로, 지방선거에서의 정당참여의 문제가 법률상의 문제에 불과한 것이 아니고, 헌법상의 문제이다. 둘째, 정당의 지방선거 참여로 파생되는 부작용들은 따지고 보면 정당 내부의 분권화 및 민주화가 덜 이루어진 데에서 기인하는 바가 더 크다. 지방선거에서 정당참여를 배제하려는 입법은 지방자치 본래의 취지 구현이라는 입법목적의 달성에 기여하는 효과가 매우 불확실하거나 미미하고, 정당의 영향을 배제하는 것이 곧 지방자치의 발전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정당배제론자들이 주장하는 입법사실(공천잡음, 지방의 중앙정치에의 예속화 등)은 정당의 지방선거 참여 자체로 인한 것이 아니라 당내조직 및 공천의 민주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 기인하고, 따라서 위 입법사실(부작용)을 시정하기 위한 효과적인 규제수단은 지방선거에서의 정당참여의 배제가 아니라 공천의 민주화를 이루어야 한다. 셋째, 헌법재판소는 2003년 지방선거에서 후보자가 정당의 지지·추천을 받고 있음을 표방할 수 없도록 한 규정에 대하여 위헌결정을 선고하였는 바, 동일한 내용의 입법을 추진하는 것은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의 기속력에 반한다. 가사 위헌결정의 기속력에 저촉되지 않는 내용의 입법을 한다고 하더라도, 개정입법은 위 위헌결정의 취지에 따라 후보자 및 정당의 정치적 표현의 자유는 제한할 수 없으므로 개정입법안이 추구하고자 하는 입법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무용한 수단이 될 수 밖에 없다. 넷째, 오히려 정당의 참여가 더 배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는 법관선거에 있어서도 미국 판례는 필자가 언급한 위 세 가지 논점을 근거로 하여 정당의 참여를 배제할 수 없다고 하였다. 즉, 비교법적으로 살펴볼 때도 개정입법안은 위헌으로 판단된다. Recently there are a lot of arguments on the excluding political party from local election with the 6th local election of 2014 ahead, and some revised bills are introduced to the National Assembly. Some are pro excluding political party from local election on the ground that: (ⅰ) it is not constitutional problem but merely legislative one, (ⅱ) it is necessary to break down subordination of local self-government to the central politics and to the enhance the very nature of local autonomy. But excluding political party from local election is unconstitutional. First, it shall be constitutional problem, and it restricts not only freedom of political expression of candidates and political party, but also the right to know of the electors. Second, the legislative purpose of achieving the original goals of local autonomy self-government is highly uncertain or immaterial, the degree of the infringement upon the basic right is conspicuous. Third, the revised-bills are against the binding power of KCC’s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that ruled “prohibiting the expression of political party endorsement or recommendation by the candidates for election to an autonomous local council and not by the candidates in other local elections violates the principle of equality.

      • KCI등재

        韓·美 쇠고기 輸入衛生條件의 違憲性 與否

        김래영(Kim, RaeYoung) 한양법학회 2009 漢陽法學 Vol.25 No.-

        Under the Korea-U.S. FTA System, the two governments' agencies concluded the 'Agreed Minutes of the Korea-United States Consultation on Beef', along with 'Import Health Requirements for U.S. Beef and Beef Products', hereunder the Minister of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of Korea issued a new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onsultation. In the constitutional perspective, it is argued that (ⅰ) whether the above-mentioned Consultation is classified as a form of treaties(in the sense of The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ⅱ) what is the nature of the above-mentioned Notification on 'Import Health Requirements', and whether it infringes upon an individual's constitutional rights, (or not), thus whether the Notification is unconstitutional. Firstly, the Consultation is not so-called 'Notification-Treaty', but 'Agency-to-Agency Arrang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facts; (ⅰ) it 'doesn't use the term 'shall', which has legal-binding power, but use the term 'will', which 'doesn't have the power. (ⅱ) it is not classified as a 'Notification-Treaty', let alone be issued as a Notification. Merely the Minister of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of Korea issued a new notification according to Korean legal hierarchy. Secondly, (ⅰ) the Notification on 'Import Health Requirements' corresponds to the administrative regulation, therefore it can be the object of the constitutional complaints, furthermore it is estimated that all the requirements of constitutional complaints are satisfied. (ⅱ) the Notification not only infringes upon the essential aspect of the people's rights to Self-determination(including but not limited to Health), but also violates the principle of 'People-Soverenity'. In conclusion, the Consultation is no more than 'Agency-to-Agency Arrangement', thus it can't be the object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But the Notification is unconstitutional.

      • KCI등재

        기업가정신 교육이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정선영(Joung, Sunyoung),김도현(Kim, Dohyeon),김래영(Kim, R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가정신 교육이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9월부터 2018년 12월 사이 4개월 간 전국 11곳의 고등학생 578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 프로그램 치, 사후검사 순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치 되었으며, 최종 44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은 총 10차시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개념 측정을 위해 송인섭(1982)의 자아개념 진단검사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해 Tayor와 Betz(1983)가 개발한 CDMSES-SF(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Scale: Short Form)를 본 연구의 목적과 대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은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각각의 하위요소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 진로교육으로서 기업가정신 교육의 활성화와 정책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validated the effects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ir self-conceptions and self-efficacy in career-determination. The subjects were 442 students from 11 high schools in nationwide.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ither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program consisted of ten sub-topics for 10 weeks. We used the research instrument developed by Song(1982) to measure the self-conceptions, and the CDMSES-SF(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ient Scale: Short Form) to measure self-efficacy developed by Taylor and Betz (1983)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o meet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has shown that the youth entrepreneurship program affected their sub-components of self-conceptions and self-efficacy in career-determination.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the level of policy for youth career education.

      • KCI등재

        수학 교육에의 조선 산학 활용 방안 : 닮음을 중심으로

        김래영,김혜영,이현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문화적 다양성과 소양을 넓히고자 수학의 유용성과 실용성을 바탕으로 발전해 온 우리 산학을 학교 수학에 도입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닮음’을 중심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 13종 교과서 문항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조선 산학서의 문항을 탐색하였다. 중학교 2학년 닮음 단원 중심으로 교과서를 분석해 본 결과, 실생활 활용 문항이 전체 문항의 16.4%로 그 비율이 낮았고 전체의 0.4%만이 수학사를 활용한 실생활 맥락문항이었으며 그 중에서도 우리나라 산학을 소개한 경우는 없었다. 또한 실생활 활용 문항의 60% 이상이 수학적 도형을 이미 제시하고 있었으며, 산학서는 대부분 소재로 언급할 정도로만 활용되었다. 이에 조선 중기에 저술된「묵사집산법」,「구일집」,「이수신편」 등 총 세 편의 산학서의 문항을 분석하여 닮음에 대한 선조들의 수학적 사고와 접근법을 탐구해 보고 수학적 실용성과 유용성을 바탕으로 발전해 온 우리 산학을 학교 수학에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예시로 제시하였으며 이로부터 수학 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o use Chosun mathematics in the current mathematics education for improv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and traditional mathematical thinking.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13 mathematics textbooks currently used in middle schools, and found that only a small number of problems dealt with realistic contexts and that few problems address history of mathematics. Since Chosun mathematics was developed to meet individual and social needs, it may facilitate our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values and usefulness as well as Chosun mathematicians’ approaches in mathematics. Using problems addressing similarity in「Muksajipsanbeop」,「Guiljip」and「Yisushinpyon」, we developed some possible ways of using Chosun mathematics in mathematics education. Lastly, we discussed important implications on mathematics education using history of mathema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