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지명관리 정책과 연구 동향 분석

        김기혁(Kihyuk K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1

        1945년 분단 이후 북한은 지명을 사회주의 혁명의 도구로서 이용하였고, 언어 정책의 일환으로 이를 관리하였 다. 1952년 행정구역 개편과정에서 시?군?리 지명을 언어 관리 차원에서 바꾸었고, 1966년 지명조사 사업의 완료 이 후 주체사상을 반영하면서 지명을 관리하였다. 지명의 전부 요소에 고유어와 인명을 이용한 지명이 적지 않게 등장하 였고, 후부 요소도 남한과는 다른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지명 관리의 일환으로 사전을 적극적으로 편찬하였다. 지명 연구는 사회성과 역사성을 반영한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연구 주제는 1990년대 이전에는 사회주의 지명을 찬 양하는 글들이 많아 발표되나 2000년대 이후에는 지역 내에서 지명 특성을 소개하는 글들의 비중이 높아졌다. 이 시 기에는 지명으로 학위를 취득한 학자들이 증가하면서 이전의 연구 내용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Place names in North Korea has been regarded as an effective instrument of revolution since division of territory(1945) and as typical case which politcal ideology affected the place names. Especially in North Korea self-reliance ideology(Juche Idea) and idolization of Kim Il Sung influenced the place names. With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 reform in 1952 names of district and village were changed on national scale. National survey of place names were proceeded in 1964~1966 with direct support of Kim Ilsung. After this survey North Korea made alteration of place names in terms of idolization of Kim Il Sung family as well as socialist revolution. Encyclopedia of place names were widely published. Almost linguist were forced to produce writing and papers for the praise of the legitimacy of new place names. But it should be attended that research trend are slowly changed since 2000s. Research for idolization of Kim Il Sung has become a little importance.

      • Large Scale Bending Properties of CR and TMCP Steel Plates for Wind Tower Safety

        Kihyuk Kim(김기혁),Seung Hwan Lee(이승환),Donghyun Van(반동현),Hyunsoo, Park(박현수),Kwangsuk Lee(이광석),Byunggue Park(박병규),Jitack Kim(김지탁) 대한용접·접합학회 2021 대한용접학회 특별강연 및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Vol.2021 No.11

        In this study, the large scale weld bead bending test properties of five different alloying constituent EN10025 S355 grade high-strength low-alloy weldable structural steel plates were examined via control rolling and thermo-mechanically controlled processes. The contribution of chemical compositions in terms of carbon equivalent value on impending crack propagation during weld bead bend tests was studied through metallurgical consider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MCP steel plates with CEV of 0.33 exhibited higher toughness and better crack arrestability than that of CR steel plates with CEV of over 0.40. Also, the CR, and TMCP steel plates exhibited different microstructures in the base metal as well as, their maximum hardness and microstructures in the CGHAZ (by DIN EN 499-RR MMAW consumables approximately 20kJ/cm Heat input). The WBBT showed that crack initiation at the weld metal, easily propagated through the coarse-grain heataffected zone, and finally were arrested within the heat-affected zone (TMCP) or base metal (CR). An apparent decrease in the average crack length, which consequently indicated improvement in crack arrestability, was found with decreasing CEV. In addition, the relatively fine microstructure in the HAZ of low-CEV steel plates helped in preventing the crack from further propagation. Special emphasis was placed on the empirical expectation [Prediction equation for crack length=0.025exp(1,497CEV)] of critical CEV above which WBBT might fail.

      • KCI등재

        일본 동양문고 소장 필사본 『대동여지도』(18첩) 연구 : 한국 국립중앙도서관본과 비교를 중심으로

        김기혁(Kim, Kihyuk)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1 한국고지도연구 Vol.13 No.1

        이 논문은 일본 동양문고에 소장된 필사본 『대동여지도』(18첩)를 대상으로 동일한 체제를 갖춘 국립중앙도 서관본(이하 ‘국중본’)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8첩으로 구성된 동양문고본은 제1첩에 「지도표」를 비롯한 지도해설 내용을 담고 17첩에 걸쳐 지도를 수록하여 국중본과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 다. 또한 각 첩의 남북 거리를 동일하게 150리로 구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산지와 지명 등의 지리정보 묘사방법이 유사하여 같은 유형의 지도에 속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울릉도, 제주도, 경상도 동래부에 표현된 하천 유로와 섬 묘사 내용에서 나타나는 유의미한 차이는 국중본을 수정 보완하여 동양문고본이 만들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 세기의 다른 지도와 비교한 결과, 국중본은 『청구도』와, 동양문고본은 목판본 『대동여지도』(1861)와 유사성이 높 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이들 두 판본이 『청구도』와 『대동여지도』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필사본에서 목판본으로 넘어가는 연결고리였음을 보여준다. 즉 19세기 대축척조선지도 발달에서 남북을 29층으로 구성하여 책자식으로 제작한 『청구도』가 보완되어 절첩식의 필사본 『대동여지도』(17층, 국중본)가 만들어졌고, 내용을 보완하여 동일한 형식의 필사본(17층, 동양문고본)이 제작되었다. 이 내용은 지리정보 편집과 함께 남-북 22층 체제로 재구성되어 『동여도』와 (목판본)『대동여지도』(22층)로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18 folders, manuscript ed.) in Toyo Bunko(below Toyo ed. ) in terms of stage of development of large-scale map of Joseon-dynasty in the 19th century.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s on the another manuscript ed. in National Library of Korea(below NL ed. ) which is very similar in terms of forms, such as the folding system, size etc. But these two maps are different in the descrip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in details such as river channels and island in the Ulleung and Jeju Island with Dongnae-bu(Busan).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oyo ed. is made with the revision of NL edition.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on NL edition is closely related with 『Cheonggudo』(1834), but the information on Toyo edition is related with 『Daedongyeojido』(1861) on the other hand. This shows that even though the similar format of Toyo and NL edition, these two maps had the role of stepwise stones from 『Cheonggudo』(book-style with 29 folders, maniscript ed.) towards the 『Daedongyeojido』(22 folder, woodblock edition).

      • KCI등재

        한국 고지도 연구의 최근 동향과 과제 : 전문학회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김기혁(Kim, Kihyuk)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8 한국고지도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2008년 창립된 <한국고지도연구학회>의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최근 10년간 한국 고지도의 연구 동향과 문제점,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지도학회는 초기에 비교적 소규모로 창립되었지만 적극적인 학술 활동을 수행하였다. 학술대회는 고지도를 소장한 박물관·도서관과 연계하여 개최되었으며 이를 통해 국내·외 학자들과의 교류도 이루어졌다. 학회 논문집은 지속적인 발간을 통해 고지도 연구의 중심 학술지가 되었다. 관련 학회에서도 고지도 연구 논문이 적지 않게 발표되었다. 최근의 연구 주제는 지도 발달사 분야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영토·영해 문제를 포함한 역사지리학 분야와 함께 회화사 분야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외에 서지학 분야와 함께 풍수·지명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시기의 연구에서 두드러진 변화는 『대동여지도』 연구 경향의 변화이다. 이전에는 지도학적인 발달 측면에서 연구되었으나, 모사본을 비롯한 여러 판본들이 소개되었고, 목판의 수정 내용을 바탕으로 지도의 제작 단계와 사회에서 유통되는 내용이 연구되고 있다. 고지도의 연구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첫째로는 종래의 단순한 지도 소개의 차원을 극복하기 위해 ‘과학으로서의 고지도학’에 대한 깊은 성찰이 요구되며, 연구자들은 지도의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로는 고지도 연구의 현장인 소장 기관과의 협력 관계를 보다 긴밀히 해야 하며, 기관들의 연대를 유도하여 고지도 연구의 전문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셋째로는 학회 창립의 모체가 된 문화재 지정사업의 재개와 연구자들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해외 고지도 조사사업의 실시를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gress for the last 10 years and present the prospect of research of old map in Korea, focusing on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of Old Maps>. This academic society was initially established at a relatively small scale, but actively engaged in academic activities. The conference was held in conjunction with museums and libraries with exchanges with domestic and overseas scholars. Academic journals have become a central space for high-level research through continuous publication. The popular topics covered in these papers are the cartographic development, along with the field of historical geography. In addition to the field of bibliography, research on feng-shui and place-names was conduct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research trend of this period is the study of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In the past, it has been focused in terms of the cartography of maps, but with the introduction of several manuscripts editon, diffusion of map in society was analy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ange of researches give many implications for the prospect of academic activities.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research, a deep reflection on old map research as a science is required to overcome the level of conventional introduction of old map at first. Second, we need to cooperate more closely with institutes, and can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expert manpower in old map research by inducing institutions solidarity. Third, efforts should be made to resume the designation of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project of old map, and to carry out the project to investigate the old map in foreign countries.

      • KCI등재

        선체구조용 EH36 TMCP 후판의 FCAW 및 EGW 조합 용접부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개선조건의 영향

        김기혁(Kihyuk Kim),김기원(Kiwon Kim),심호섭(Hoseop Sim),배강호(Kangho Bae),홍현욱(Hyunuk Hong),박병규(Byunggyu Park) 대한용접·접합학회 2015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33 No.5

        Characterization of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83mm thickness EH36-TM welds produced by the combined flux cored arc (FCA) and electro gas (EG) welding processes has been studied with the two different groove conditions, single-V (SV) and double-V (DV) bevels. The welding consumables used for FCA and EG welding processes were ASME/AWS A5.29 (E81T1-K2) and A5.26 (EG72T), respectively.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all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welds such as tensile property, CVN toughness and Vickers hardness met IACS requirements. The tensile strength of EG welded plates were reduced by approximately 4% (DV: 3.8%, SV: 4.2%) compared to the base metal. The hardness value of SV-beveled weld metal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DV-beveled on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s per welding groove conditions except for the weld metal. In addition, at the fusion line, the toughness of SV condition was 20J lower and the weld metal was 40J lower than DV condition,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microstructural analysis, grain boundary ferrite (GBF) structures for SV condition were 2 times higher volume fraction than for DV condition and their packet sizes were coarsened to almost double. It was thus suggested that the GBF volume fractions and packet sizes in the weld metal of EH36-TM steel plat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bined FCA and EG welded joint. Nevertheless, all the results of welds with both DV and SV conditions were found to be excellent.

      • KCI등재

        국립중앙도서관 서무송문고본 『대동여지도』의 첩 표지제 형태 연구

        김기혁(Kihyuk Kim),이기봉(Ki Bong Lee)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3 한국고지도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에 기증된 모사본 『대동여지도』의 내용과 표지제 형태를 분석하고 이를 동일한 형태의 목판본과 비교하여 19세기 지도의 이동 경로를 추론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무송본에 사용된 표지제 형태는 장서각을 비롯하여 국내외에 소장된 6점의 『대동여지도』 판본에 첨지된 목판 표지제와 동일하여, 같은 목판을 이용하여 인출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대동여지도』 첩 표지가 제작자가 아닌 소장자가 장황한 것임을 볼 때 형태가 동일한 것은 이들이 같은 소장처에서 만들어졌음을 의미한다. 둘째, 서무송본의 주기에는 모사의 원본이 종친부에 소장되어 있는 갑자본이라는 내용이 적혀 있다. 이는 첩 표지에 사용된 목판 표지제가 종친부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이는 당시 종친부가 『대동여지도』를 소장하고 있었으며, 모사본에 사용된 목판 표지제는 다른 판본의 표지 장황때 사용된 목판을 인출하여 만들어졌음을 시사한다. 셋째, 목판 표지제를 사용한 『대동여지도』 판본은 대부분 완성도가 높고 일부 지도에는 전국의 방면 지명이 쓰여 있다. 이들 지도의 소장처는 국내의 장서각본과 국립중앙도서관본(이하 ‘국중’)을 제외하고 일본, 프랑스, 미국 등 국외 소재 기관이다. 국중본도 러시아어 알파벳이 쓰여 있어 러시아 관련 기관이 소장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1880년대 조선과 통상조약을 체결하였던 국가와 일치한다. 특히 지도 반출과 관련된 기록이 남아 있는 프랑스의 플랑시, 미국의 포크, 독일의 묄렌도르프는 당시 조선 조정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외교관들이었다. 국내에 소재한 장서각본도 원래부터 규장각 봉모당에 소장되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대동여지도』 제작 이후 종친부에 6점 이상의 목판본이 소장되어 있었고 이들 중 일부가 여러 경로를 통해 국외로 반출되었다는 추론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texts on map and the type of the cover title on 『Daedongyeojido 大東輿地圖』 in the Seo-musong(徐茂松) Collection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form of the woodblock cover attached to 6 editions was withdrawn using the same woodblock with the cover-title of the Seomusongbon. Considering that this map title were made by the owner, this means that these wood-block title were withdrawn in the same place. ② The contents of the note that original copy of Gapjabon(甲子本) was kept in the Jongchinbu(宗親府) shows that it was Jongchinbu that made these woodblock title. This shows that more than six woodblock edition were collected in the Jongchinbu at that time. Most editions using woodblock covers are more complete than the other edition. The mot institure are overseas library and museum located in Japan,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edition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Russian alphabet was written, so it means that that this map was owned by Russian-related organizations. These foreign country are all consistent with the countries that signed a trade treaty with Joseon in the 1880s. In particular, Flancy of France, Foulk of the United States, and Mölendorf of Germany, who have records of their roles in taking out maps, were diplomats closely related to the Joseon Dynasty at the time. The edition in Jangseogak(藏書閣) in Korea, was originally owned in Gyujanggak(奎章閣), and it is believed to have been previously owned by the Royal Library, Jongchinbu.

      • KCI등재

        조선후기 방안식 군현지도의 발달 연구 - 『東國地圖 三』을 중심으로

        金基赫(Kihyuk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7 문화 역사 지리 Vol.19 No.1

          이 연구는 방안식 군현지도책의 바탕으로 계열을 확인하여, 조선 후기 방안 지도의 발달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표적인 지도책인 『동국지도3』, 『해동여지도』, 『조선지도』과 다른 6종의 지도책 내용 분석한 결과 방안식 군현지도는 『동국지도3』-『해동여지도』-『청구도』로 이어지는 계열과 『조선지도』 계열로 구분되었다. 『조선지도』와 『동국지도3』의 관계에서 『동국지도3』이 『조선지도』의 자본일 가능성 높을 뿐 아니라 신경준이 제작한 초기의 방안식 군현지도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조선지도』는 중앙 기관에서 군현별 통일성을 기하기 위해 『동국지도3』를 바탕으로 재편집된 지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동국지도3』에서 수정ㆍ가필된 대부분의 내용 이 『해동여지도』에 반영되어 있으나 『조선지도』에서는 나타나 있지 않다. 이는 『조선지도』는 수정되기 전의 『동국지도3』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해동여지도』는 수정된 이후의 『동국지도3』을 저본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to classify the grid system county-maps in late-Chosun period and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grid system. Nine 이d county-map atlas reserved in library and museum are analyz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s and place names. This research reveals that those maps can be classified into two series. Haedong-Yeojido was drawn on the base of Dongguk-Jido 3 which was added some touches  to original copy. Those series were developed toward the large scale whole map such as Cheonggu-do in the 19th century. Joseon-jido, which is one of atlases of another series, was drawn also on the base of original copy of Dongguk-Jido 3. In the process of map-making of map-making of Joseon-jido, geographical information such as numeric data of grid, road, and place names were standardized on cartographic rule. Atlases of those series were connected on transcription with each other.

      • KCI등재

        조선 후기 군현지도의 유형 연구 - 동래부를 사례로 -

        김기혁(Kihyuk Kim),윤용출(Yongchul Yoon),배미애(Miae Bae),정암(Am Jung) 대한지리학회 2005 대한지리학회지 Vol.40 No.1

        본 연구는 조선 후기 동래부를 그린 군현지도 26종의 유형화를 시도하였고, 지명을 이용하여 대축척 전국지도와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지도의 내용과 수록된 지명 등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네 유형으로 분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① <해동지도> 유형은 홍문관에서 주도하여 편찬된 지도인『海東地圖』에서 높은 완성도를 보이며, 이후 이를 모사한 지도로서, 7종의 지도가 이에 속한다. ② <(비변사인)영남지도> 유형은 비변사에서 주도하여 편찬된 지도와 이를 모사하며 부분 수정되는 5종의 지도들이다. ③ <방안식군현지도> 유형은 지도위에 20리 방안이 그려진 동일한 축척의 지도로서 4종이 이에 해당된다. 군현을 연결하여 전국 혹은 도별 지도의 제작을 목적으로 편찬된 것으로 사료된다. ④ <지방군현지도> 유형은 7종으로, 지방의 화원들이 그린 지도로 각 지역마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實景으로 묘사되는 것이 특징이다. 유형별 대표지도에 수록된 지명을 분석한 결과 <방안식군현지도>에 수록된 지명이『靑邱圖』, 『大東輿地圖』와 거의 일치한다는 점에서, 이 유형의 지도들은 조선 후기 대축척 전국지도의 제작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to classify old county-maps of Dongrae-bu(東萊府), Busan in late-Chosun dynasty and to analyze place names in maps comparatively. 26 maps covering Dongrae-bu were collected from the old county-map atlas(郡縣地圖帖) and Eupji(邑誌).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s, those map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first type(named ‘Haedong-Jido(海東地圖)’) included 7 county-maps in which information of military, and administrative contents are mainly mapped. The second type(named ‘Yeongnam-Jido(嶺南地圖)’) included 5 county maps in which information about beacon routes and road systems were regarded as very important. The third type(named ‘Grid-system map(方眼式地圖)’) included 4 county-maps which were drawn as same scale with 20-ri(里) grids. The fourth type(named ‘Local County-map(地方郡縣地圖)’) included 7 county maps which were drawn by local mappers. Comparative analysis of place names between those four types revealed that Grid-system maps were developed toward the large scale whole map of Korea in the 19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