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대중불교운동의 이념과 전개 : 권상로,백용성,김태흡의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김기종 ( Ki Jong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09 한민족문화연구 Vol.28 No.-

        본고는 근대 대중불교운동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권상로?백용성?김태흡의 불교 인식과, 문학작품의 내용 및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들은 `구세주의`와 `평등주의`라는 공통된 불교 인식을 바탕으로 대중불교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고, 문학작품은 이들이 전개한 의례 대중?대각교?포교 현대화 운동의 주요 매체였음을 알 수 있었다. 곧 권상로는 의례대중화의 일환으로 의식의 현장에서 대중들이 부르기 쉬운 찬불가를 지었고, 백용성은 당시 청자들에게 익숙한 불교가사의 형식과 내용을 시대에 맞게 변용하여 자신의 대각 사상을 알리고 있다. 김태흡의 경우는, 극단을 조직하고 희곡을 창작함으로써 포교 방식의 다각화를 모색하였다. 이들의 문학작품은 그 내용에서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권상로?백용성?김태흡의 문학작품에 강조되어 나타나는 불타의 인격적 형상화와 마음의 중요성은, 이들이 전개한 대중불교운동의 구체적 논리이자, 기독교?반종교운동의 불료 비판에 대한 시대적 대응 논리의 성격을 띤다. 이렇듯 시대에 맞는 대응 논리를 개발하고 이를 문학작품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중에게 확산시키고 있는 점은, `儒佛不二`라는 절충론으로 `승유억불`에 대응했던 근대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자각과 각타를 통한 마음의 강조는, 봉건사회에서 불교의 업과 윤회 사상이 현실 긍정 및 체념의 원리로 작용했던 측면이 있었음을 고려한다면, 반성적 모색의 결과이자, 이 점 역시 근대 이전의 불교와는 구별되는 `근대` 불교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As a part of research on modem popular Budcthist movement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Buddhism by Kwon Sang ro, Back Yong seong and Kim Tae heup an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literary works.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they waged various activities to implement popular Budcthism based on their common perception of Buddhism characterized by `salvation of the world` and `egalitarianism,` and their literary works were major media of their movements for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t rituals, great awakening and teaching, and the modernization of preaching. That is, Kwon Sang ru made Buddhist hymns that people could sing easily in Buddhist rituals as an effort to popularize Buddhist rituals, and Back Yong seong spread his idea of great awakening by adapting the form and contents of familiar Buddhist songs for people in those days. Kim Tae heup tried to diversify the ways of spreading Buddhism by organizing a drama company and creating plays. Their literary works show certain trends in the contents. The personal configuration of Buddha and the importance of mind expressed empathetically in the literary works of Kwon Sang ro, Back Yong seong and Kim Tae heup are the concrete logic of their popular Buddhist and anti religious movements. In this way, they developed logic to cope works, and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different from pre modem Buddhism that coped with the government`s policy of promoting Confucianism and suppressing Buddhism through the eclectic theory that Buddhism is not different from Confucianism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Karma and the doctrine of transmigration in the Buddhism of the feudal society worked as the principle of compliance and reconciliation with the realities, the emphasis of mind through self awakening and the awakening of others is a result of reflective search and a characteristic of modem Buddhism distinguished from pre modem Buddhism.

      • KCI등재

        최행귀의 <普賢十願頌> 연구 -<보현십원가>와의 비교 검토를 중심으로

        김기종 ( Ki Jong Kim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3

        이 글은 선행연구의 문제점들을 염두에 두면서, 기존 논의와는 다른 측면에서 <보현십원가> 漢譯의 양상과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현십원송>은 기본적으로 <보현십원가>의 구성과 내용을 따르면서도, 구체적인 내용 및 표현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특히 부처만을 노래하고 있는 향가와 달리 ``보살``을 부각시키고 있으며, ``覺帝·醫王`` ``聖·賢`` 등과 같이 부처와 보살을 위계적인 관계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丹衷``·``至心`` 등의 시어를 통해 고해에서 벗어날 것을 지향하고 있는 동시에, 고해를 벗어나는 것이 그만큼 어려운 일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분별 초월의 역설적 표현 및 ``부처의 일``과 관련된 노랫말들을 모두 삭제한 뒤, "한결같은 마음으로 쉼없이 외운다면/ 보현보살의 자비심을 따라 배울 수 있으리"라는 시행으로 작품 전체를 끝맺고 있다. 그 결과, <보현십원송>은 내용 및 표현뿐만 아니라 주제의식의 측면에서 <보현십원가>와 차이를 보인다. <보현십원가>가 청자들이 모두 부처가 될 수 있고 되어야 함을 노래하고 있다면, <보현십원송>은 독자들이 보살의 길을 지향해야 하고 이를 위해 끊임없는 노력과 정성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주제의식의 측면에서 <보현십원송>은 <보현십원가>와 다른 별개의 작품인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ed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nslation of “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from the different perspective from existing discussion, while considering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The discourse up to now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lthough “Songs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follow the construct and contents of “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basically, detailed contents and expressions are different. Especially, the former emphasizes ‘Bosal’ unlike Hyangga which praises Buddha only, and explains the relationship of Buddha and Bosal as hierarchical relationship such as ‘Gakje and Euiwang (覺帝·醫王)’ ‘Seong and Hyeon (聖·賢).’ Additionally, through poetic language such as ‘Danchung(丹衷)’ and ‘Jisim(至心),’ the speaker orients to the escape from the bitter human world and it also shows at the same time that escaping from the bitter world is very difficult. Deleting all verses related to ‘works of Buddha’ and paradoxical expressions of discernment and transcendence, it closes the work with the verse such as “If you memorize it without pause with unchanging mind, you may be able to learn the mercy of Bohyeon-bosal.” Consequently, “Songs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is different from “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not only in contents and expression but also in thematic consciousness. While “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tells audience that everybody can and should be Buddha, “Songs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emphasizes that everybody goes toward the way of Bosal and continuous efforts and sincerity are needed for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me, “Songs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is a separate work totally different from “Poetry of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 KCI등재

        Cumberland 발목 불안정성 도구에 의한 안정성과 불안정성 발목의 균형 비교

        김기종 ( Ki Jong Kim ),제갈혁 ( Gal Hyuk Je ),전현주 ( Hyun Ju Jun ),최범진 ( Bum Jin Choi ),최현진 ( Hyun Jin Choi ),유성훈 ( Seong Hun Yu ),용억 ( Young Eok Kim ) 대한물리의학회 2013 대한물리의학회지 Vol.8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of balance on Stable Ankle(SA), Instability Ankle(IA) using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CAIT). METHODS: Total 54(SA: 27, IA: 27) subjects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SA can be defined CAIT score ≥ 28, with no history of injury to ankle. IA can be defined persisting symptoms of giving way and ≤ 24 on the CAIT after ankle sprain. the balance measured using Biodex Balance System®(BBS). BBS instability protocols used static, dynamic balance level less stable(2), moderate stable(4) and level more stable(8).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overall,Anterior-Posterior(AP), Medial-Lateral(ML) of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level 2, 4. The dynamic balance level 8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at ML, but not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at overall, AP. CONCLUSION: We suggest that CAIT is acquired more exact information for IA intervention, as balance measured.

      • KCI등재

        한국 불교 문헌설화의 양상과 성격

        김기종(Kim, Ki Jong)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7 No.-

        이 글은 한국 불교설화의 시대적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려시대 문헌의 불교설화는 제재 및 중심 내용에 따라 다음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승려의 신이한 행적’ 유형은 치병․용궁강설․신이한 죽음의 모티프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모티프는 ‘고승’을 드러내는 징표로 기능한다. ‘불․보살상과 경전의 영험’ 유형은 불․보살에게 기도하거나 경전을 독송․서사한 결과로 인해 일어난 신이한 사건들을 다루고 있다. 영험의 주체로 설정되어 있는 관음보살은 승려의 모습으로 화현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하고 있다. ‘불연국토와 불․보살의 상주’의 경우는, 신라의 국토를 부처와 인연이 깊고, 불․보살이 항상 머무르면서 그 모습을 나타내는 공간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그리고 ‘현신성불’의 유형에서는 처자가 있었던 노힐부득․달달박박과 여자 종 욱면이 현재의 살아있는 몸 그대로 부처가 되고 있다. ‘부처의 나라’를 형상화하고 있는 불연국토와 불․보살 상주의 유형에 이어, 이러한 형상화의 귀결로서 ‘신라의 부처’가 탄생하고 있는 것이다. ‘부처의 나라’와 ‘신라의 부처’는 조선시대 문헌의 사찰연기설화와 고승설화에서도 단절 없이 나타나고 있다. 곧 범어사․관음사․보덕굴의 연기설화에서 금정산․성덕산․금강산은 불․보살이 머무르고 있는 성지로 형상화되어 있다. 그리고 홍장․성덕과 진묵은 불․보살의 현신으로, 보덕은 살아있는 부처로 묘사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고려와 조선시대 문헌의 불교설화 모두 불․보살의 현신과 이 땅의 부처를,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인물들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설정은 부처와 보살이 평범한 군중의 모습으로 우리가 있는 ‘이 곳’에서 우리와 함께 숨 쉬고 있음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한국의 불교 문헌설화는 ‘부처의 나라’와 ‘이 곳의 부처’를 형상화하고 있는 내용적 경향성을 보인다고 하겠다. 이러한 특징은 설화의 본질이 꾸며낸 이야기라는 점을 상기할 때, 설화 전승의 주체인 승려와 불교신자, 더 나아가 민중들의 ‘불국’과 ‘성불’에 대한 지향 내지 염원이 투영된 것에 다름 아닌 것이다. 곧 한국 불교설화의 형성․전파․향유 주체들의 관심과 지향이 현실의 ‘이 곳’과 ‘성불’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As an effort to explore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t folktales,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Buddhist stories in the literature of the Koryo and Joseon Dynasties. For this purpose, the themes and key contents of Buddhist folktales in Koryo literature were grouped into ‘monks" mystic lives,’ ‘miraculous efficacies of Buddha and Bodhisattva statues and scriptures,’ ‘Buddha"s land and the presence of Buddha and Bodhisattvas,’ and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becoming an incarnated Buddha.’ Buddhist folktales from Joseon literature were examined mainly focusing on scripture‐related folktales, temple‐related ones, and monk‐related on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Korean Buddhist written folktales showed the tendency of configuring ‘Buddha"s State’ and ‘Buddha in this land.’ Considering that folktales were made‐up stories by nature, these stories reflect the pursuit of or yearning for ‘the Buddha"s Land’ and ‘becoming a Buddha’ among those who created, transmitted, and enjoyed Korean Buddhist folktales.

      • 마찰면압 및 온도 특성을 고려한 수동변속기 싱크로나이저 링의 개발

        기종(Ki-Jong Park),임채홍(Chaehong Lim),정준(Jungjune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6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e frictional surface pressure and temperature on a synchronizer ring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manual transmission synchronizer system in terms of its functionality and durability aspect. In initial design stage, a practical analysis procedure is developed to predict the effects of the surface temperature or pressure on the synchronizer ring. The stress analysis. thermal analysis and their coupled analysis are involved in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procedure. the analyses are performed and the results are discussed. PV value of the theory about energy loss rate is introduced to understand the frictional surface pressure. Shape optimization of the synchronizer ring is also carried out to minimize the PV value 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a synchronizer ring and cone. The optimization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조선후기 가사(歌辭)에 나타난 지옥의 양상과 시대적 의미

        김기종 ( Kim Ki Jong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6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8

        이 글은 조선후기 가사에 나타난 지옥의 형상화 양상과 그 시대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옥을 노래하고 있는 조선후기 불교가사는 지옥 관련 화소의 유무 여부와 내용적 경향성에 따라 다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유형은 지옥 관련 화소가 없고 ‘지옥’의 시어만이 등장하고 있는 작품들이다. 이들 작품은 ‘지옥’의 시어를 통해 세상사에 탐착하고 貪·瞋·癡의 三毒에 빠져 있는 청자들을 경계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청자들이 참선 또는 염불에 힘쓸 것을 권하고 있다. 둘째 유형은 ‘징벌’의 양상과 그 이유를 노래하고 있는 작품들이다. 이 유형의 가사들은 다양한 종류의 지옥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각각의 지옥에서 고통 받는 중생들의 모습을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 징벌의 이유로는 살생·妄語·음주·邪見 등의 5惡 내지 10惡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유형은 ‘저승길의 여정’·‘시왕의 심판’·‘지옥의 징벌’ 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작품들이 해당한다. 이 유형에 속하는 <회심곡>류 불교가사는 시왕의 심판을 받는 죄인을 남자와 여자로 구분한 뒤, 남자죄인에게는 선행의 덕목을, 여자죄인에게는 악행의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선행의 덕목과 악행의 항목들에는, ‘보시행’ 및 ‘妄語·兩舌·惡口·綺語’ 등의 불교적 윤리 규범과, ‘삼강오륜’을 포함한 유교적 윤리 규범이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적 특징은 당시 불교계의 사상적 동향이 투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체제를 위협하는 사상적·사회적 혼란, 그 중에서도 천주교의 교세 확장에 대한 위기의식이 반영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결국, <회심곡>류 불교가사의 지옥 형상화는 유교사회의 상식을 반영하여 유교와의 공존을 추구한 불교의 시대적 변용이자, 당시 널리 확산되고 있던 천주교의 지옥설에 대한 종교적·문학적 대응의 성격을 갖는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plored the phase of figuration process of hell appearing in Buddhist Gas a and its meaning of the times. According to hell related motifs and content propensity, Buddhist Gasa singing about hell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types. In the first type there was no hell related motif, there are works in which only poetry words of ‘hell’ appear, and the earliest Buddhist Gasa, Gwisangok in the 17th century and Seowangga and Hoeshimga, etc. come under this type. These works warn hearers who only adhere to mundane affairs and indulged in absorption of tam-jin-chi through poetic words such as Palhan-Palyeol-Dosan-Geomsujiok, etc. The second type contains works of describing reasons of ‘punishment’ and phases. Those Gasa under this type introduce various kinds of hells, and describe painful figures in different hells in detail. Works containing all of motives of ‘a journey to the other world,’ ‘judges of ten kings of hell’ and ‘punishment of hell’ come under the third type. Among these types of work s, ‘Hoeshimgok’ style Buddhist Gasa distinguish male and female from convicts receiving Siwang’s judge in a work. Virtues of good deeds and items of evil deeds appearing in these works come under usual ethical principles that should be kept and deterred in Confucian society. It can be said that notable reduction of punishment motifs of hell in ““Hoeshimgok”” style Buddhist Gasa was due to the fact that these Gasa’s directivity and/or Interest lied on these ‘reasons of going to hell.’ Content characteristics above are related with Buddhist world’s realities of groping at the time to survive in Confucian society. The reason that ‘Hoeshimgok’style Gasa in the 19th century emphasizes not ten evils for reasons of going to hell as mainly present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and previous Buddhist Gasa, but usual ethical principles that should be kept in Confucian society is not different from a case of transition of the times by reflecting common sense of Neo-Confucian society and pursuing a way of coexistence.

      • KCI등재
      • SCIEKCI등재

        수확시기별 벼의 도정 및 이화학특성

        김기종(Ki Jong Kim),선림(Sun Lim Kim),송진(Jin Song),손종록(Jong Rok Son),황흥구(Hung Goo Hwang),신진철(Jin Chul Shin),최해춘(Hae Choon Choi),최영근(Young Keun Choi),민용규(Young Koo Min)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1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4 No.3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arvesting times on physicochemical and milling properties of rice, milling tests were performed applying laboratory milling systems. Milling and head rice yields were highest in rice harvested at the 45 days after heading at 76.49 and 94.43%, respectively. Milled rice grain harvested 45 days after heading showed the highest minimum viscosity, as shown in the amylogram curves, as well as the lowest consistency viscosity.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were highest in rice harvested at 35 days after heading, whereas the instrumental taste score was highest 45 days after heading.

      • KCI우수등재

        18세기 『염불보권문』의 편간과 불교사적 의미

        김기종(Kim, Ki-Jong)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4 No.-

        이 글은 『염불보권문』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염불보권문』의 성격과 시대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염불보권문』은 수록된 글들의 출전 및 내용에 따라 , 제 1부 경전에서 뽑은 글, 제 2부 예념미타도량참법 소재 왕생담 , 제 3부 염불의식문, 제 4부 보유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유편을 제외한, 『염불보권문』은 ‘ 염불 ’의 측면에서 본다면, ‘ 염불의 이유 (제 1부) → 염 불의 이익(제 2 부) → 염불의 실천 (제 3부)’ 이라는 비교적 논리적인 전개 양상을 보인다. 제 1 · 2 부는 각각 ‘ 부처님의 말씀 ’ · ‘ 왕생의 실례 ’를 근거로 , 왕생과 성불을 염불의 이유· 이익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제 3 부는 의식의 절차라는 행위를 통해 왕생·성불에 대 한 희구 및 다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각 부분의 끝에는 왕생· 성불과 이에 대한 믿음을 강조하는 글들을 반복 배치함으로써 『염불보권문』 전체의 주제의식을 선명하게 부각시키고 있다. 『염불보권문』은 염불을 해야 하는 이유가 ‘ 왕생 ’ 과 ‘ 성불 ’ 에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 ‘ 왕생 ’과 ‘ 성불 ’ 을 위해 염불을 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 특히, 『염불보권문』의 ‘ 염불 ’이 ‘ 칭명염불 ’ 만을 가리키고 있는 점과, 성불에 보다 강조점을 두고 있는 점은 이 책의 특징적인 국면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 유심정토 ’와 ‘ 관념염불 ’ 을 강조하는 기존의 ‘ 염불선 ’적 경향에 대한 대안이자 , 일종의 ‘ 염불운동 ’ 을 지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새로운 움직임은 19 세기 염불결사의 성행과 왕생류 불교가사의 유행을 통해, 당시 불교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음을 알 수 있는데, 『염불보권문』이 18 세기의 한 세기 동안 7차례나 판각 되었다는 사실 자체가 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결국, 염불보권문 은 17 세기 전반 삼문수업의 정립 이후, 기존의 염불선적 경향에 대한 대안으로 전개되었던 새로운 염불운동을 제창 내지 선도한 시대적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Yombulbogwonmun( 念佛普勸文 ) is composed of four parts; collected texts from Buddhist scriptures, stories about the rebirth in the Pure Land that are selected from Yenyommitatoryangchambop( 禮念彌陀道場懺法 ), ritual procedure of chanting Amitabha’s name, and lastly, supplementary parts. As the arrange suggests, this book shows relatively logical development of contents from the reason of chanting Amitabha’s name, to the profit of the chanting practice, and to the practice manual of chanting Amitabha’s name. except for the supplement. The first part based on the words of the Buddha gives the reason for calling Amitabha’s name. The second part that provides the examples of those who went to the Pure Land shows the profit of the practice, that is, the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becoming a Buddha. The third part reveals the actual procedure to attain the goal of the chanting practice. At the end of each section, I repeat the articles emphasizing the faith of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becoming a Buddha, so that the subject of the entire Yombulbogwonmun( 念佛普勸文 ) is clearly highlighted. Yombulbogwonmun( 念佛普勸文 ) emphasizes the need to chant Amitabha’s name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becoming a Buddha while showing the reasons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becoming a Buddha. In particular, the emphasis on becoming a Buddha is a notable characteristic of this book. Yombulbogwonmun( 念佛普勸文 ) can be said to have meanings of the times. It led and advocated a new religious movement that had been developed since the 17th century, emphasizing chanting Amitabha’s name and becoming a Buddha. It also pointed out that becoming a Buddha reminds us of the essence of the faith of Pure Land and the purpose of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