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측면형 지정맥 인식기 설계 및 구현

        김경래,최홍락,김경석,Kim, Kyeong-Rae,Choi, Hong-Rak,Kim, Kyung-Seok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3

        As the information age enters, the use of biometrics using the body is gradually increasing because it is very important to accurately recognize and authenticate each individual's identity for information protection. Among them, finger vein authentication technology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forge and demodulate, so it has high security, high precision, and easy user acceptance. However, the accuracy may be degraded depending on the algorithm for identification or the surrounding light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manufactured a side-type finger vein recognizer that is highly versatile among finger vein measuring devices, and authenticated using the deep learning model of DenseNet-201 for high accuracy and recognition rate. The performance of finger vein authentic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infrared light source used and the surrounding visible light was analyzed through simulation. The simulations used data from MMCBNU_6000 of Je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finger vein images taken directly were used, and the performan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EER.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개개인의 신원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인증하는 것은 정보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신체를 활용한 생체인식의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중 지정맥 인증 기술은 위조 및 복조하기 어려워 보안성과 정밀도가 높고 사용자 수용성이 용이하여 사회적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신원확인을 위한 알고리즘이나 주변의 빛의 환경에 따라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정맥 측정 장치 중 활용성이 좋은 측면형 지정맥 인식기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여 높은 정확도와 인식률을 위해 DenseNet-201의 딥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인증하였으며 사용하는 적외선 광원과 주변 가시광선의 영향에 따른 지정맥 인증 기술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전북대의 MMCBNU_6000과 직접 촬영한 지정맥 영상을 사용하고 EER을 이용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 KCI등재

        세계화, 사회적 자본 그리고 시민성

        김경래(Kim, Kyung-ra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7 No.-

        냉전이후 국제사회를 특징짓는 세계화는 국가들 간의 상호의존성을 심화시켰다. 이러한 상호의존성은 세계화로 야기된 문제해결에 있어 세계시민사회 세계시민 민주주의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세계화라는 현상 속에서도 국민국가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시민성의 소재지로 불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이 국제사회에서 국가들 간의 상호의존성의 심화로 야기되는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의 노력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국민국가의 일원 이 면서 동시에 세계화라는 현실에서 국가의 일원을 넘어 지구촌의 한 시민으로서 살아가고 있는 오늘날 우리들에게 시민성은 개별 민족 국가의 주권에 기반을 두면서도 민족주의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하고 또한 세계화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민주적 정치 공동체를 지향하는 새로운 시민성에 대한 모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 글은 민족국가, 국민국가에 기반을 두면서도 국제사회에서 시민들 간의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연대의 시민성을 주장한다. Globalization following the end of the Cold War has deepened interdependence among nations. This interdependence leads to increased international cooperation among states to solve problems caused by globalization. Despite the globalization, national states still exist as the locus of citizenship. However, critics of globalization deny the necessity for joint effort among nations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globalization. We, as members of the nation-state and as citizens of the global village, should seek a democratic political community at the international level.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stresses the importance of solidarity among citizens, both at the nation-state and international levels.

      • KCI등재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정책선거

        김경래(Kim, Kyung-rae),나인섭(Na, In-seop)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6 No.-

        자스민 혁명, 투표 독려 인증샷 등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SNS가 어떠한 정치적 영향력을 갖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이에 본 연구는 SNS의 이러한 정치적 영향력이 정책선거를 위한 공론장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 등과 같은 SNS는 그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사적 의견의 공론화, 이슈의 연쇄적 파급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이는 SNS가 정책선거를 위한 공론장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SNS는 정치적 담론을 위한 한계점을 갖고 있다. 트위터의 140자로는 정치적 주제에 대한 진지한 토론이 불가능하다는 점, SNS에서의 교류는 자신과 정치적 성향이 비슷한 사람들과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한된 공론장으로서의 모습을 보인다는 점, SNS에서 실질적으로 진행되는 정치담론의 경우 정책적 논의가 부족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SNS는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높은 접속 빈도, 페이지 뷰를 바탕으로 다양한 논의 및 거대 담론장 또한 형성하고 있다. 이에 우리 국민 스스로가 좀 더 정치적 책임의식과 사명의식을 가지고 SNS를 정책선거 공론장으로 만들어간다면 우리 선거문화는 혈연, 지연, 학연이 아닌 정책 중심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We present the political side of the Tunisian Jasumin Revolution, certification election photo, and Obama campaign as SNS use cases. We also evaluate SNS as the role of the election of public sphere. Moreover, we attempt to discover the prerequisites of SNS. Facebook and Twitter are examples of SNS where personal opinion is made publicly and the networking feature has a spread chain. This feature allows a sense that SNS functionality, as the policy for the election, shows the public sphere.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for political discourse, the political topic of Twitter, and word count limited to 140 characters, it is not possible for any serious discussion to take place. SNS is a hub for an exchange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like themselves and with those who have political affiliations, As made public sphere as fragmented appearance will seem. In the progress of the actual content, SNS has a limitation of political discourse through a lack of analysis on political contents. As described above, SNS has some disadvantages in the election public sphere but has a high frequency of access, high page views, and a huge variety of discussion. If we want to change SNS as an election public sphere, then, our people should have a higher sense of political responsibility and mission. As a result, our election culture can be transformed, focusing on policy-driven choices and not choices based on blood, regional, and alumni relationships.

      • KCI등재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제도 변통론(變通論)과 ‘조종지법(祖宗之法)’ ― 선조 7년의 「만언봉사(萬言封事)」를 중심으로 ―

        김경래 ( Kim Kyung-rae ) 수선사학회 2017 史林 Vol.0 No.62

        Yulgok Yi Yi’s Memorials in Ten Thousand Words, submitted to King Seonjo in the first lunar month of 1574, well demonstrates how Yulgok attempted to overcome the oppositions to his theory of institutional reform (byeontong non 變通論). China and Joseon both had historical experiences of expulsion of reformist scholar-officials such as Wang Anshi and Jo Gwangjo for their “irrational” arguments to change the dynasty’s ancestral laws, while maintaining their traditional preference of ancestral laws and cautions against changes. What is most conspicuous in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s of the Memorials is Yulgok’s claims and emphasis on changes as means to stabilize living conditions of the people. Such claim was grounded on a state-level promotion of the community compacts (hyangyak 鄕約). Hence, Yulgok was obliged to persuade not only the current officials who were reluctant to reform harmful statutes, but also his colleagues who preferred edifice of populace, on the urgency and importance of stabilizing people’s lives and changing laws. In his Memorials, Yulgok chose strategies to emphasize that he is not altering the ancestral laws as they are not subject to changes, but recently made institutional problems were.

      • KCI등재

        『빳타나(Paṭṭhāna)』 연구를 위한 시론: 주석서의 내러티브와 인식과정이론(citta-vīthi)을 중심으로

        김경래(Kyung Rae Kim) 보조사상연구원 2019 보조사상 Vol.54 No.-

        『빳타나(Paṭṭhāna)』는 테라와다 전통 내에서 붓다의 깨달음이 담긴 최고의 논서로 여겨져 왔다. 그럼에도 장황한 서술과 복잡한 체계, 거듭되는 반복구들로 인해 이제껏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논자가 본 논문을 통해 살펴본 내용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빠알리 주석서(Pāli-aṭṭhakathā)에서 발견되는 『빳타나』의 기원에 대한 내러티브들을 검토했다. 주석서들에 따르면, 붓다는 깨달음 직후 아비담마 칠론을 확립했는데, 다른 여섯 권의 논서들과 달리 『빳타나』를 떠올릴 때에는 자신의 몸에서 거대한 빛이 뿜어져 나왔다고 한다. 이러한 내러티브는 현대 동남아 국가들로 전해져 독특한 아비담마 신앙으로 정착되었고, 여타의 논서들과 달리 『빳타나』는 ‘위대한 논서(Mahāpakaraṇa)’로서 가장 강력한 종교적 힘을 지닌 텍스트로 숭배되고 있다. 둘째, 『빳타나』의 구조와 논의형태를 살펴보았다. 『빳타나』는 ‘빠짜야(paccaya, 緣)’라 불리는 24가지 조건들을 바탕으로 발생 가능한 모든 법들을 조합한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아비담마의 논의범주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복잡한 수식을 통해 거대한 법체계를 그려내고 있다. 이러한 거대담론은 논서의 우수성을 증명해주는 반면, 텍스트의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셋째, 『빳타나』가 다루고 있는 다양한 주제들 중에서 인식과정이론(citta- vīthi)을 간략하게 검토한 후, 이를 『해탈도론(解脫道論)』의 해당 내용과 비교분석했다. 두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유사점과 차이점들은 『빳타나』의 제작시기를 재고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 물론 이상의 논의들만으로 난해하고 방대한 논서의 전체모습을 파악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현재 접근 가능한 제한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빳타나』 연구를 위한 시론을 마련함으로써 향후 이어질 관련연구들을 위한 기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scrutinizes the seventh abhidhamma book, which is known as the Paṭṭhāna. The Theravāda tradition regards the seven books of abhidhamma as the supreme teaching of the Buddha. The Pāli commentaries especially describe the Paṭṭhāna as the greatest treatise (Mahāpakaraṇa). According to the commentaries, a tremendous light came from the Buddha into the world when he conceived the Paṭṭhāna after his awakening. This kind of narrative has consequently led to abhidhamma worship, especially the worship of the Paṭṭhāna by contemporary Southeast Asian Buddhists. The Paṭṭhāna has comprehensively codified the dhammas in several ways such as systematising the twenty-four conditions (paccaya) and creating the various doctrinal categories. Discussions that are found in the Paṭṭhāna can be expanded to an unlimited extent. This huge structure has not yet been fully examined by modern scholars. Employing technical terms for conditional relations, for example the proximity condition (anantarapaccaya), the Paṭṭhāna establishes a sophisticated discussion for the cognitive process (citta-vīthi). As this discussion is much more developed than that of the later Vimuttimagga, it implies that the origin of (some parts of) Paṭṭhāna might be later than that of Vimuttimagga.

      • KCI우수등재

        동남아 테라와다의 정체성 확립과 바왕가(bhavaṅga) 개념의 전개 (1)

        김경래(Kim Kyung Rae)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8 No.-

        ‘바왕가(bhavaṅga)’는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 테라와다 전통 고유의 아비담마 개념이다. 테라와다 특유의 체계적인 인식과정이론 속에서, 바왕가는 비활동적인 인식대기 상태, 즉 인식대상과 인식기관을 토대로 시작되는 일련의 인식과정 전후상태를 지칭한다. 그러나 주석전통 이전 문헌에서 인식과정의 핵심개념으로서의 바왕가 용례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빳타나(Paṭṭhāna)』를 제외하면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바왕가가 인식과정 이론에 적극적으로 적용되며 하나의 완성된 교리개념으로 확립된 것은 CE 5세기 이후 주석전통을 통해서였다. 따라서 논자는 초기부터 후기에 이르는 테라와 다 문헌들을 검토하며 바왕가 개념의 확립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테라와다 전통이 아비담마를 근거로 그들만의 정체성을 확립해갔던 과정을 추적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바왕가 개념전개사를 다루는 첫 번째 연구로서, 주석전통 이전 문헌인 『넷띠빠까라나(Nettipakaraṇa)』와 『밀린다빵하(Milindapañha)』에서 발견되는 바왕가의 초기개념을 검토했다. 그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바왕가는 윤회의 근접원인(padaṭṭhāna)이며 존재(bhava)를 성립시키는 요소(aṅga)로서 12연기의 항목들을 지칭한다. 둘째, 바왕가는 꿈조차 꾸지 않는 깊은 수면상태를 의미하는데, 이 상태에서 心은 활동하지 않는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다음과 같은 가설이 제기된다. 초기문헌에서 바왕가는 통일된 전문용어가 아니었기에 텍스트에 따라 그 용례는 상이하다. 여기서 바왕가는 인식과정과 무관하지만, 그럼에도 향후 개념확장(존재의 연속성, 인식토대)의 가능성은 있었다. 주석가들은 당시 통용되던 일반적인 용례들을 바탕으로 바왕가 개념의 최종형태를 완성했고, 그들만의 독자적인 인식과정 이론을 정립했다. 이처럼 테라와다 전통은 역사성을 지닌 불교부파들 중 하나로서 자신만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교리적 반성과 그에 따른 변화를 거쳐왔다. 바왕가 개념의 전개사가 이를 증명해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nitial definition of the abhidhamma technical term bhavaṅg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octrinal identity of the Theravāda tradition. The term is thought to have originated from Tāmraparṇīya (chìtóngshebù), which is consider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ri Lankan Theravāda tradition. In the Pāli commentaries, it is depicted as a non-active state which initiates a series of active ‘mind moments’. It is, however, interesting that the term bhavaṅga, in its final formation, appears only in the commentarial literature which was composed from the fifth century CE onwards.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arlier phase of the term, two pre-canonical Pāli texts have been examined in this article, namely, Nettipakaraṇa and Milindapañha. The former treatise serves as a guide for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Canon and as an assistant manual for a commentator. The latter conveys philosophical dialogues between the Greek king Menandros, a historical figure, and the monk Nāgasena. Although it is difficult to ascertain the authors and exact date of both texts, it is clear that they are prior to the canonical texts. The premature and initial form of bhavaṅga is found in them. The former text defines the term bhavaṅga as ‘bhava’ with ‘aṅga’, namely, the factor(s) of existence which makes a living being exist, or specifically the twelve factors of being in the life circle. The latter text considers the term to mean going into a deep sleep without having any dream’, in which the mind is not active. The text calls this state citta bhavaṅgagata, ‘a mind gone to the bhavaṅga’ or ‘a mind in the bhavaṅga’. These two usages represent a premature and earlier phase of the term. The term bhvaṅga had its own developing stages over the centuries. During its development, it was adopted into the Theravāda tradition and became an intrinsic part of doctrine.

      • KCI등재

        루만 체계이론의 세계시민주의 담론으로서의 가능성

        김경래(Kim Kyung Ra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2 No.-

        본 논문은 루만의 체계이론이 세계시민주의 담론으로 가능한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세계화로 야기된 문제의 해결을 위해 90년대 말 이후 세계시민주의에 대한 논의들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세계시민주의에 대해 긍정적 견해를 갖는 논의들은 기본적으로 국가, 민족의 자율성을 인정하는 세계시민주의를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개인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국가, 민족만을 단위로 형성하지 않는다. 이에 본 논문은 루만의 체계이론을 통해 다양한 정체성에 기반을 둔 세계시민주의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루만의 체계이론에 의하면 각 체계는 다른 체계의 환경으로 작동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폐쇄적이면서도 개방적이다. 또한 각 체계는 체계분화로 인해 다양한 하부체계들로 구성되며 우리 인간은 다양한 체계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구를 실현하는 통일체이다. 결국 우리 인간은 다양한 체계에 참여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정체성으로 규정될 수 없는 다양한 정체성을 동시에 갖고 있는 존재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루만의 체계이론은 다양한 정체성을 인정하는 세계시민주의 담론으로서 가능한 논의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potential of the systems theory of Niklas Luhmann for cosmopolitanism. Since the late 1990s various debates have flared anew regarding the possible role of cosmopolitanism to resolve the problems caused by globalization. Positive opinion about cosmopolitanism tends to recognize the autonomy of the state and nation. Today, however, individuals do not form their identities only within nations and stat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s cosmopolitanism based on multiple identities through the systems theory of Niklas Luhmann. According to Luhmann, each system operates in the environment of other systems. In this process each system is open and closed, and consists of various subsystems. People take part in the various systems as well as their unity to realize their various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emands. After all, we human beings have multiple identities that cannot be defined by any one specific identity, because we participate in a multiplicity of systems at the same time. One avenue to understanding this is by employing the systems theory of Niklas Luhmann to explicate a cosmopolitanism that recognizes multiple identities.

      • KCI등재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추진체계에 관한 연구

        김경래(Kyung-Rae Kim) 한국유럽학회 2018 유럽연구 Vol.36 No.2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의 선구자라 할 수 있는 독일의 사례를 분석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독일의 4차 산업혁명인 인더스트리 4.0은 자신들의 강점인 제조업에 4차 산업혁명의 핵심적 기술인 사이버물리시스템을 적용하여 국제경쟁력의 확대, 유지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갖고 있다. 또한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은 단지 기술의 개발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의 진보가 경제성장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사회, 경제 시스템의 정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사회, 경제적 시스템의 혁신을 위한 정부의 노력은 하이테크기술전략의 변화 그리고 연결, 소통, 통합을 위한 공간으로서 플랫폼 인더스트리 4.0 운영 주체의 확대로 구체화되고 있다. 즉 연방정부의 정책은 산업계, 학계, 노조, 시민사회가 협력을 할 수 있는 틀의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결국 기술적 진보가 경제와 결합한 효과를 위해서는 사회, 경제적 시스템에 대한 혁신이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는 연방정부의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대한민국 또한 2017년 대통령 직속의 4차 산업혁명 위원회를 설치 국제적 흐름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진행을 봤을 때 사회, 경제적 시스템의 정비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또한 위원회 위원들 또한 과학 기술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독일 연방정부의 인더스트리 4.0 추진 방향은 대한민국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즉 큰 틀에서의 4차 산업혁명을 위한 인프라의 구축과 이해관계자들의 의사소통 그리고 조정과 합의를 통한 의사결정을 위한 장의 마련이라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find some implications for analyzing the German case,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pioneer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ies 4.0,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Germany, have a specific goal of expanding and maintain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applying the cyber physics system, which is a key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eir strengths in manufacturing. In addition, Germany"s Industry 4.0 focuses not just on technology development, but on improving social and economic systems so that technological advances can lead to economic growth. Government efforts to innovate these socio-economic systems have been embodied in the expansion of Platform Industries 4.0 as a space for change, connection,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of high-tech strategy. In other words, the federal government"s policy focuses on providing a framework for industry, academia, unions, and civil society to collaborate. This shows the federal government"s perception that technological progress should be accompanied by innovation in social and economic systems in order to be combined with the economy. The Republic of Korea is also actively 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trend by establish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mmittee, which is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President in 2017. However, when the progress has been made so far, discussions on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and economic systems are not properly conducted. The committee members are also made up of experts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reality, the direction of the German federal government has given many implications to the Republic of Korea.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the infrastructu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big frame, the communication of stakeholders, and the establishment of a forum for decision making through coordination and consens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