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교육을 통한 국민교육헌장의 이념 보급(1968∼1972)

        곽민지 ( Kwak Min Ji ) 역사문제연구소 2018 역사문제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ty of the propagation of ideologies of the National Education Charter by social education from 1969 to 1972 by historical records. we need to mak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government's efforts to propagation of the ideologies of the National Education Charter because these can't be analyzed on one demention. When he sensed a crisis about aim to prolong his rule, president Park jung-hee started project to produce a productive and obedient people in order to achieve economic growth that is his life-support system and prevent the emergence of forces against him. He announced the start of the project with the proclamat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Charter. Park's government propagated ideologies of National Education Charter in two ways, one was school education and the other was social education. Most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school education cases, but also social education had various way to propagate ideologies of the National Education Charter. Park's government propagated ideologies of economy, tradition, morals and anticommunism by recitation, inserting the National Education Charter's text on a publication, lecture, audio-visual media, book, the Family Rite Standard, the Whole-town Education Movement to civil servants & government officials, companies, families and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indicates that Park's government had pan-national mobilization. Not only the school(students) but other departments and social groups(adults) to infuse ideologies of National Education Charter into the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 of the people. And, in The Final Analysis, this study proves the theme of Park jung-hee's Revitalizing Reforms system continuity.

      • 3차원 합성 데이터와 2차원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현실 환경에서의 3차원 사람 자세 추정

        곽민지(Minji Kwak),조현진(Hyunjin Cho),차수연(Suyeon Cha),최종원(Jongwon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23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해당 연구에서는 현실 환경(In-the-wild)에서의 3차원 사람 자세 추정(Human Pose Estimation)을 위해 3차원 합성 데이터셋(Synthetic dataset)과 2차원 실제 데이터셋(Real dataset)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셋은 학습 데이터로 사용되는 소스 도메인과 평가 데이터로 사용되는 타겟 도메인, 마지막으로 보조 학습 데이터로 사용되는 중간 도메인 총 3가지 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중간 도메인은 2차원 실제 데이터셋으로써 3차원 실제 데이터셋인 타겟 도메인과 합성 데이터셋인 소스 도메인 간의 도메인 차이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합성 데이터셋은 무제한으로 얻을 수 있으며 정확한 정답 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현실 환경에서 3차원 사람 자세 데이터셋을 구축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간 도메인인 2차원 사람 자세 데이터셋에 대하여 예측된 3차원 사람 자세 값을 2차원으로 투영시킨 뒤, 2차원 정답 좌표와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순한 손실 함수를 사용한다. 또한 해당 손실함수에 대해 가중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성능을 개선하였다.

      • KCI등재

        소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의 어포던스와 디자인요소 간 관계에 대한 다학제적 연구 - 20대와 30대 시청자를 중심으로 -

        곽민지(Kwak, Min Gi),최수지(Choi, Su Ji),박수빈(Park, Su Bin),황민욱(Hwang, Minuk),이상원(Lee, Sang W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4

        소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는 근래 들어 새롭게 등장한 소셜 미디어 서비스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일상화 덕분에 대중적인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소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이며, 그만큼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사용자를 서비스에 계속 머무르도록 하는 방안을 고민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 주목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포던스 관점에서 사용자의 행위와 이와 관련된 사용자 동기, 서비스의 기능과 디자인요소, 그리고 그 상호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12명의 소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및 분석을 이행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의 어포던스로 리액션, 애드립, 견제, 스트리머 접촉, 영향력 행사, 타 커뮤니티 이용이 도출되었다. 둘째, 이러한 어포던스에는 색, 그래픽, 레이아웃, 애니메이션, 소리와 같은 디자인요소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출된 여섯 가지 어포던스는 사용자가 서비스에서 방송화면, 채팅, 도네이션, 구독자 전용 이모티콘, 예측하기 기능을 사용하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이러한 어포던스에는 감정 배설, 동질감과 소속감 충족, 상황에 대한 변화 주도, 소통, 재미와 몰입감 강화 등의 사용자 동기가 배경이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소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자 유입 확대를 위한 플랫폼 디자인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Social live streaming service is a new social media service that has emerged in recent years and has become a popular service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the daily use of smart phones. The social live streaming service market is continuously growing since its appearance, and competition is intensifying. Accordingly, from the service provider’s point of view, it is required to think about a way to keep users in the service. This study began by paying attention to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user behavior and related user motivation, service functions and design elements, and their relationship from the perspective of affordance. Therefore, in this paper,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12 social live streaming us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as affordances of the social live streaming service, reaction, ad-lib, check, direct contact with streamers, the exercise of influence, and use of other communities were drawn. Second, it was found that design elements such as color, graphics, layout, animation, and sound are associated with these affordances. Third, it was discovered that the six affordances appeared interacting with the broadcasting screen, chatting, donation, subscriber -only emoticons, and predictions functions in the service. Fourth, it was found that user motivation such as emotion excretion, the satisfaction of homogeneity and sense of belonging, driving the change in the situation, need for conversation, and enhancement of immersion and enjoyment are the backgrounds of these affordanc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current study can be used as a guide for platform design to expand user inflow of social live streaming service.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직무분석

        곽민지 ( Min Ji Kwak ),조성문 ( Seong Mun Cho ),송해덕 ( Hae Deok S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DACUM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직무를 구성하는 각 임무와 과업을 탐색해보고, 중요도, 난이도 및 핵심역량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DACUM CHART 직무모형을 작성하였다. 직무분석을 위해 7명의 현직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패널로 구성하였으며각각 촉진자와 조정자, 현업내용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부여하여 워크숍을 실시하였고, 검증을위해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93인의 교사에게 설문을 하였다. 결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임무는 7개(A: 특수학급 교수ㆍ학습활동, B: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C: 특수아동 생활지도, D: 특수학급 행정업무, E: 통합교육, F: 보조인력 관리, G: 장애학생을 위한 환경구성)와 이에 대한 82개 과업으로 구성되었다. 핵심역량으로는 학습활동 내 행동수정하기, 개별화 교육계획 작성하기, 문제행동 수정하기, 통합학급교사 연계 생활지도하기, 특수교육대상아동정보 관리하기, 장애이해교육 연수 실시하기(학생)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uties, tasks and the core abilities of special classroom teachers in an elementary school using the DACUM method. To accomplish this purpose, seven special classroom teachers in an elementary school were appointed as DACUM panels. Duties and tasks were analyzed and core job competencies were explored by investigating the importance, the level of difficulty, and the frequency of duties by the pane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7 duties and 82 tasks were identified for elementary special classroom teachers. Identified duties includ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a special classroom(A)’,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for special classroom(B)’, ‘guidance for special needs students(C)’, ‘administrative work for special classroom(D)’, ‘integrated education(E)’, ‘managing the assistant staffs(F)’ and ‘environment support for the disabled students(G)’. The core ability, consists of tasks, which include error correction, programm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modifying problematic behaviors, cooperative guidance with integrated class homeroom teacher, managing the information of special needs students, and disability education for students.

      • KCI등재

        A대학 CQI 키워드 분석을 통한 설계 요인 탐색

        곽민지 ( Minji Kwak ),권정선 ( Jungson Kw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CQI의 체계적 모델 구축을 위한 사전 연구로서 A대학의 교과목 CQI에 나타난 키워드 분석과 설계 요인 추출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5,285건의 CQI 주관식 응답을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분석하였다. 전처리 결과를 바탕으로 상위 30개의 주제어를 추출하고, 토픽 모델링을 통해 역량기반교육, 체험중심교육, 문제해결중심교육, 실제적학습지원, 학습자맞춤형 수업설계, 수업평가의 6개 주제군을 도출하였다. 추출된 상위 키워드들은 수업 질 개선을 위한 교수자의 성찰 노력을 나타내며, CQI 항목 재구성을 통한 가이드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해준다. 본 연구 결과, 대학의 특수성과 비전을 반영한 교과목 CQI 작성에 대한 필요성을 환기하여 A대학 CQI의 체계적 설계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eywords and extract the design factors shown in the A university course CQI as a preliminary study for systematic CQI model construction. For this purpose, 5,285 course CQI responses have been analyzed through text mining. Based on the preprocessing results, the top 30 topic terms have been extracted, and six topic groups (competency-based education,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problem- solving-oriented education, practical learning support, learner-tailored class design, and class evaluation) have been derived through topic modeling. The extracted high-ranking keywords indicated the instructor’s reflectiv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while confirming the necessity of providing a guide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CQI items. The research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is evoked the need to write a course CQI that reflects the university’s specificity and vision, and also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ystematic CQI design of the A university.

      • KCI등재

        국내 실무에서 요구되는 UX디자이너 핵심 역량 분석

        곽민지(Kwak, Mingi),조영희(Jo, Younghee),우지연(Woo, Jiyean),이시헌(Lee, CHun),김소연(Kim, Soyeon),임수한(Im, Soohan),심온(Shim, On),마나(MA, NA),최명주(Cui, Mingzhu),장탁명(Zhang, Zhuoming),김소연(Kim, Soye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0 No.1

        연구배경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이하 UX)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광의의 개념으로 성숙되었으며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그러나 UX의 다학제적, 융합적 특성으로 인해 합의된 보편적 정의의 부재로 교육과 실무 분야에서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실무에서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국내 현황을 살펴보고 핵심 역량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국내 실무 현장에서 통용되는 UX디자이너의 역할 범주 및 요구되는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구인광고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이후 더욱 면밀한 논의 및 분석을 위해 UX디자인 실무진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UX디자이너가 앱이나 웹 이외의 브랜딩, 콘텐츠 디자인 등의 다양한 영역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산업 및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협업 능력, 커뮤니케이션 스킬 등이 핵심 역량으로 강조되었으며 UX디자인 구현을 위한 테크니컬 스킬, 태도 또한 중요한 능력으로 요구되었다. 결론 UX디자이너에게 다양한 범주와 역할, 역량이 요구되는 만큼, 해당 분야에 대한 광범위한 전문 지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며, UX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폭넓게 접근하며 차별화된 본인만의 핵심 역량을 가진 인재 양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산업영역에서 UX디자인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만큼 UX디자이너의 업무 현황을 파악하고 핵심 역량을 논의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UX디자인의 실무와 교육 사이의 간극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The concept of User Experience(UX) has evolved into a broader concept, and its importance has grown even greater. However, due to the multidisciplinary and convergent nature of UX, the lack of consensus in universal definition is causing confusion in the education and pract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UX design in Korea and clearly understand the key competencies to foster human resources required in practice. Methods In order to identify the roles and required competencies of UX designers, the job advertisements in Korea was analyzed. Then, interviews with UX design practitioners were conducted for more detailed discussion and analysis.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UX designers are involved in various areas such as branding and content design as well as applications and websites. Accordingly,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industry and work process, collaboration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emphasized as core competencies, and technical skills for implementing UX design, and active attitude were also required as important capabilities. Conclusion As various roles and competencies are required by UX designers, it is important for UX designers to have extensive expertise in related field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foster talented UX designers who have their core unique competencies with continuous interest and development. As the role of UX design is increasing in various industr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ploring current status of UX designers’ role and discussing core competencies and expected to contribute to narrowing the gap between practice and education of UX design.

      • 객체 탐지에서의 메모리 기반 연속 학습 기법 연구

        오유정(Yujeong Oh),곽민지(Minji Kwak),서승모(SeungMo Seo),최종원(Jongwon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23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기존 딥러닝은 연속적으로 다른 데이터를 학습할 시, 이전에 배운 정보를 기억하지 못하는 파괴적 망각현상을 보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연속 학습(Continual Learning) 기법들이 제안되고 있지만 대부분 이미지 분류(Image Classification) 문제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객체 탐지(Object Detection)를 활용하는 분야에서도 변화되는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학습을 지속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연속 학습 기술을 요구하기 때문에 객체 탐지에서의 연속 학습 연구도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객체 탐지에서의 메모리 기반 연속 학습 기법을 제안한다. Face mask detection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베이스라인(baseline) 대비 망각은 87.5% 완화되었고 정확도는 11.6% 향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