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실시간 오도메트리 보정을 통한 로봇의 위치 인식 및 지도 작성의 정확도 향상

        강정관(Jeong-Gwan Kang),최원석(Won-Seok Choi),안수용(Su-Yong An),오세영(Se-Young Oh)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9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9 No.2

        본 논문은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하여 로봇의 위치 인식 및 지도 작성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로봇의 구조적 오차 매개변수(Systematic error parameter of the robot)를 역시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하여 계산함으로써, 로봇의 구조적 결함에 의해 발생하는 위치 오차를 보정하고, 이를 통해 평균이 0인 가우시안 형태의 잡음이 적용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로봇의 정확한 환경지도 작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두 개의 독립된 확장 칼만 필터가 동시에 수행되며, 각각 오차 매개 변수를 찾고 로봇의 환경 지도를 작성하기 때문에 이를 이중 확장 칼만 필터라 부르며, 기존의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한 로봇의 위치 인식 및 지도 작성 방법과 비교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이중 확장 칼만 필터를 사용한 방법이 더욱 정확한 환경지도를 출력한다는 것을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나타낸다.

      • KCI등재

        스마트 축사에서의 실효적인 암모니아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사양 및 유지관리 기준 제안

        강정아(Kang Jeong-A),배재영(Bae Jae-Young),곽영훈(Kwak Young-Hoon),신학종(Shin Hak-jong),문선혜(Mun Sun-Hye),허정호(Huh Jung-Ho)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22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42 No.6

        To implement smart livestock operations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 field monitoring environment based on measured data must be established. Ammonia should be managed more carefully than other environmental monitoring items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comfort and production of livestock. Moreover, it is related to odor complaint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ssues. However, existing studies that propose ammonia measurement standards for each purpose differ from one another or are unclear, and ammonia sensors in the actual field have problems such as durability and management constraints; nonetheles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se aspects. Accordingly, for effective ammonia monitoring of smart livestock operations, the necessity of ammonia monitoring for smart livestock operations is first presented, after which a plan for ammonia monitoring of smart livestock operations, supplemented with sensor specifications and maintenance standards, is proposed. This study presents a clear measurement standard based on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s well as an effective monitoring standard reflecting field operation information. This can lead to reliable ammonia data collection and can be a starting point for smooth smart livestock operation.

      • KCI등재

        전신 진동 운동을 병행한 스쿼트 운동이 무릎넙다리 통증 증후군 환자의 넙다리네갈래근의 근 활성도 및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강정일 ( Jeong-il Kang ),문영준 ( Young-jun Moon ),정대근 ( Dae-keun Jeong ) 대한물리의학회 2021 대한물리의학회지 Vol.1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clinical data to be used in therapeutic approach to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by administrating the squat exercise combined with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to them and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uch exercise to leg muscle activity and muscle fatigue. METHODS: The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I (n = 9) where only squat exercise was administered and experimental group II (n = 9) where the squat exercise combined with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was provided.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two weeks, four days a week, one session a day, three set a session, and 20 reps a set. The pre- and post-test were performed to measure muscle activity and muscle fatigue of vastus medialis and vastus lateralis. RESULTS: The muscle activity significantly changed in both group (p < .05, p < .01, respectively) and the muscle fatigue showed significant change only in group I (p < .05). In addi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change of muscle fatigue of both muscles (p < .05) but not in change of muscle activity.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exercise are effective in improving muscle activity, however, that the squat exercise combined with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muscle fatigue.

      • KCI등재

        도시물순환 개선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 개발 및 시범적용-부산시 연제구 및 남구를 대상으로-

        강정은 ( Jung Eun Kang ),이명진 ( Moung Jin Lee ),구유성 ( You Seong Koo ),조연희 ( Yeon Hee Ch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환경정책연구 Vol.13 No.3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과거 급격한 도시화를 겪으면서 방재, 안전의 개념이 도시개발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을 뿐 아니라, 개발에 따른 불투수층 확대에 따라 강수, 저류, 침투, 증발산 및 유출로 이어지는 자연적인 물순환 체계의 왜곡을 초래했다. 최근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그린인프라를 활용하여 도시 물순환 체계를 개선하고 도시의 홍수저감 효과를 높이는 노력들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접근성이나 심미성의 측면으로만 그린인프라를 계획하고 있어 그린인프라가 가지는 다양한 효과들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도시 물순환을 개선하고 홍수저감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시범지역에 적용하고자 한다. 프레임워크의 1단계에서는 해당지역의 여건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2단계에서는 홍수취약성 분석을 통해 취약성이 높은 지역을 도출하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그린인프라 우선 설치지역을 도출하는 공간계획을 수립한다. 홍수취약성은 빈도비모형과 GIS를 활용한 정량적 분석방법론을 활용하였다. 3단계에서는 해당 지역의 지리적 여건, 홍수 경험, 재정 등 다양한 지역여건을 고려하여 그린인프라 기법을 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부산시 연제구와 남구에 적용하여 주요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공원, 빗물정원, 투수성 포장 등을 활용한 구체적인 그린인프라 계획을 제안하였다.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가 도시계획, 환경계획, 개발계획 등 다양한 도시공간계획과 연계되어 반영된다면 보다 효과적인 그린인프라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Cities in Korea have rapidly urbanized and they are not well prepared for natural disasters which have been increased by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they often struggle with urban flooding. Recently, green infrastructure has been emphasized as a critical strategy for flood mitigation in developed countries due to its capability to infiltrate water into the ground, provide the ability to absorb and store rainfall, and contribute to mitigating floods. However, in Korea,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only focuses on esthetic functions or accessibility, and does not think how other functions such as flood mitigation, can be effectively realized. Based on this, we address this critical gap by suggesting the new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framework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and maximizing flood mitigation capacity. This framework includes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identifying flood risk area and deciding suitable locations for green infrastructure. We propose the use of the combination of frequency ratio model and GIS for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The framework also includes the selection process of green infrastructure practices under local conditions such as geography, flood experience and finance. Finally, we applied this planning framework to the case study area, namely YeonJe-gu an Nam-gu in Busan. We expect this framework will be incorporated into green infrastructure spatial planning to provide effective decision making process regarding location and design of green infrastructure.

      • KCI등재

        멘토링 기능이 멘티의 경력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정애(Jung-Ai Kang),이윤화(Yun-Hoa Lee) 한국인사관리학회 2005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첫째, 멘토링의 세 가지 상이한 기능(경력관련 기능, 심리사회적 기능, 역할모형 기능)이 멘티의 경력몰입과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둘째, 멘티의 개인특성인 자기효능감이 멘토링 기능과 경력몰입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변수로써 작용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식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5개 기업의 종사자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ㆍ회수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멘토링 기능은 멘티의 경력몰입과 유의적인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멘토링 기능 중 경력관련 기능이 경력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멘토링 기능은 멘티의 이직의도와 유의적인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멘토링 기능 중 심리사회적 기능이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멘토링 기능과 종속변수(경력몰입,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개인특성인 멘티의 자기효능감이 조절변수로써 작용하는지에 대해 검증해 본 결과, 멘토링 기능과 경력몰입 간의 관계에서 멘티의 개인특성인 자기효능감은 조절변수로써 작용하고 있음이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멘토링 기능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도 자기효능감은 조절변수로써 부분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verifies;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difference functions(career functions, psychosocial functions, role model functions) of formal mentoring and mentee's career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2) mediator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career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ructural model was tested by analyzing data from 170 employees in 5 companies conducting formal mentoring program, and SPSS 10.0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empirical data indicated that career functions of mentor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career commitment of mentee. (2) Both psychosocial functions and career functions of mentoring were found to negatively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of mentee. (3) This research wasn't proven the mediators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mentoring functions and career commitment, but partially proven the mediator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mentoring functions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studying the issue of multiple role commit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德治와 法治

        강정인(Kang Jung In) 한국정치사상학회 2002 정치사상연구 Vol.6 No.-

        성문법의 외형적 준수를 강조하는 법치와 도덕규범의 내면적 준수를 역설하는 덕치는 이론과 현실 양면에서 상호 대립되는 원칙이면서도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원칙이다. 이 점에서 법치와 덕치의 장점과 한계를 학문적으로 비교ㆍ검토하는 작업은 양자의 상호 보완적 兼全을 위해 실천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덕치와 법치의 보완적 겸전을 위해 이 논문은 무엇보다도 (유가중심의) 동양은 덕치, 서양은 법치를 통치원리로 삼아 왔다는 동서양 정치사상사에 대한 종래의 경직된 이분법적인 대립구도를 해체하고자 했다. 그래야만 비로소 우리는 법치와 덕치의 겸전을 위한 개방된 지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염두에 두고 이 글은 동서양 정치사상에서 덕치사상과 대비하면서 법치 사상의 전개과정을 개괄적으로 제시한 후 현대 민주국가에서도 덕치이념이 법치이념을 보완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2장 ‘예비적 고찰’에서는 비유럽세계에 ‘법치’가 결여되어 있다는 근대 서구학자들의 견해를 요약하고, 이러한 학문적 배경을 바탕에 깔고 전개되는 국내학계의 법치와 덕치에 대한 논의를 간략히 제시하며, 논의의 전개를 위해 이 논문의 기본 개념인 덕치, 예치, 법치 및 입헌주의 개념에 대한 간략한 정의를 시도하였다. 3장인 ‘서양 정치사상사에서 법치사장의 전개와 덕치사상의 겸전’에서는 서양에서 법치시장의 전개과정을 주요 사상가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 그들의 법치사상에 덕치사상이 결합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4장 ‘동양 정치사상사에서 법치사상의 전개와 덕치ㆍ법치의 겸전’에서는 중국의 선진사상을 중심으로 법치의 전통적 위상을 서술하고 공자와 맹자를 중심으로 덕치와 법치 사상의 겸전을 살펴본 후, 유가의 예치사상을 서양의 입헌주의와 관련지어 논했다. 마지막으로 5장 ‘맺는 말’에서는 법치국가가 필요로 하는 준법정신 역시 근본적으로는 법치의 산물이 아니라 덕치와 관련되어 있음을 주장함으로써 현대 법치주의가 덕치를 필요로 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e rule of law, which requires external obedience to laws, and the rule of virtue, which stresses inward adherence to moral norms, are principles that not only conflict with one another but also reinforce and complement each other. Thus, the academic comparison of these principles in terms of their strengths and limitations have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bining them into an integrated whole. The author seeks to deconstruct the conventionally rigid dichotomy between the ruling principle based on virtue in the Confucian tradition in East Asia, and that of the rule of law in the Western political tradition. For only then can one widen the horizon for integrating the two complementary principles. With this in mind, the author advocates that the rule of virtue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rule of law in contemporary democracies, after examining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rule of law in contrast to the rule of virtue in the history of both Western and East Asian political thought. To accomplish the latter, in chapter 2, he summarizes the views of modern Western thinkers who have asserted that the rule of law is absent in non-Western world; reviews the debate among Korean scholars over the rule of law and virtue as framed by the Western thinkers; and defines briefly the key concepts such as the rule of virtue, the rule of li(commonly translated as propriety in English), the rule of law and constitutionalism. In chapters 3 and 4, he then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idea of the rule of law, focusing on major political theorists of West and East Asia, insofar as the rule of law is the dominant of the two principles in the contemporary world, while, at the same time, showing that civilized societies have pursued the integration of the two principles. Thus, in chapter 3, he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idea of the rule of law primarily focusing on Plato, Aristotle, and Gcero, and then tries to show that the idea of the rule of virtue was integrated with the idea of the rule of law in their legal philosophy. In chapter 4, he examines the conventional status of the rule of law in the history of Chinese political thought with special focus on the pre-Chin era; examines the integration of the two principles in the political thought of Confucius and Mencius; and discusses the Confucian idea of the rule of li in relation to the Western idea of constitutionalism. In the concluding chapter, the author argues that the respect for law, which is indispensable to the modern ideal of the rule of law, is actually the outcome of the rule of virtue rather than that of the rule of law, thereby stressing that the modern rule of law should be complemented by the rule of virt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