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상악골 전방 이동술 후 코의 변화에 관한 연구

        강은희,박수병,김종렬,Kang, Eun-Hee,Park, Soo-Byung,Kim, Jong-Ryoul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5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이동 수술 후 야기되는 코의 형태변화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요소를 찾아 교정-악교정 수술 복합 치료계획의 수립과 결과의 예측에 이용하고자 시행되었다. 부산대학교병원 치과진료처 교정과에 내원하여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술전 교정치료를 받고 Le Fort I 골절단술로 상악골의 전방 이동시키는 동시에 하악골을 후방 이동시킨 남녀 성인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수술전, 후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과 정모 및 측모 안면사진을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골 전방이동에 따른 비첨의 수직적 위치 변화는 상관성이 높았으며 ANt, SNt에서 A point의 전방이동에 의해 ${\beta}_0$는 각각 0.228, 0.257로 나타났다. 2. 상악골 전방이동에 따른 비첨의 수평적 위치변화는 상관성이 높았으며 ANt, SNt, Sn point에서 A point의 전방이류에 의해 ${\beta}_0$는 각각 0.484, 0.431, 0.806으로 나타났다. 3. 상악골의 전방이동에 따른 비익부의 확장정도는A point의 전방이동에 의해 0.002의 ${\beta}_0$를 나타내었으나,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4. 수술 후 비첨의 수직적 및 전후방적 위치변화를 예측하는 지표로 사용된 ADV, DRI, Prominence of nose, Pre-Op CA 중 ADV 만이 설명변수로서 유의성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mount and interrelationship of the soft tissue of nose and maxillary changes and to identify the nasal morphologic features that indicate susceptibility to nasal deflection in such a manner that they would be useful in presurgical prediction of nasal changes after maxillary advancement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sample consisted of 25 adult patients (13 males and 12 females) who had severe anteroposterior skeletal discrepancy. The patients had received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They underwent a Le Fort I advancement osteotomy, rigid internal fixation, alar cinch suture and V-Y advancement lip closure. The presurgical and postsurgical lateral cephalograms and lateral and frontal facial photographs were evaluated. The computerize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Soft tissue of nose change to h point change ratios were calculated by regression equ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rrelation of maxillary hard tissue horizontal changes and nasal soft tissue vortical changes were high and the ${\beta}_0$ for soft tissue to ADV were 0.228 at ANt, 0.257 at SNt. 2. The correlation of maxillary hard tissue and nasal soft tissue horizontal changes were high and the ${\beta}_0$ for soft tissue to ADV were 0.484 at ANt, 0.431 at SNt, 0.806 at Sn. 3. The correlation of maxillary hard tissue horizontal changes and width changes of ala of nose were high and the ${\beta}_0$ lot alar base width ratio to ADV were 0.002. 4. The DRI, Prominence of nose, Pre-Op CA is not a quantitative measure that can be used clinically to improve the predictability of vertical and horizontal nasal tip deflection. In this study, increases in nasal tip projection and anterosuperior rotation occur when there is an anterior vector of maxillary movement. These nasal changes were Quantitatively correlated to magnitude of maxillary(A point) movement.

      • SCOPUSKCI등재

        기관지내시경 검사상 우연히 발견된 무증상의 기관지 과립세포종 2예

        강은희,이성홍,나영숙,최태영,남궁준,정병오,이혁표,김주인,염호기,최수전,조혜제,이혜경,Kang, Eun-Hee,Lee, Sung-Hong,Na, Young-Sook,Choi, Tae-Young,NamGung, June,Jeoung, Byung-Oh,Lee, Hyuk-Pyo,Kim, Joo-In,Yum, Ho-Kee,Choi, Soo-Jeon,Cho, Hye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1999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46 No.1

        저자들은 타질환으로 입원중 기관지내시경검사상 우연히 발견된 과립세포종 2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Granular cell tumor(formerly named to be granular cell myoblastoma) was first described by Abrikossoff in 1926 and is a rare tumor thought to be of Schwann cell origin. It can occur at any soft tissue of the body, but most cases are found at the tongue, skin, breast and GI tract Only 6% of them occur in respiratory system. We report two cases of asymptomatic granular cell tumor of the bronchus that were detected incidentally by bronchoscopy. One patient had aspiration pneumonia, the other had immotile cilia syndrome. The former patient was simply observed and bronchoscopic extirpation of the tumor was done in the latter patient.

      • SCOPUSKCI등재

        Phellinus gilvus의 항암활성, 간보호 및 항돌연변이성에 대한 평가

        강은희,김길수,박승춘,Kang, Eun-Hee,Kim, Kil-Soo,Park, Seung-Chun 대한수의학회 2008 大韓獸醫學會誌 Vol.48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tumor, hepatoprotec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n hot water extract of Phellinus gilvus (PGE). Growth of tumor in mice that were orally given $0.25,0.5,1.0,2.0g\;kg^{-1}$ dose of PGE was inhibi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p < 0.05).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PGE in the carbon tetrachloride ($CCl_4$)-intoxicated rats was studied. In $CCl_4$ + PGE group, PGE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100 mg/kg/day dose 7 days before the treatment of $CCl_4$. The serum activity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in $CCl_4$ + PGE group were decreased at a rate of 59.6% and 54.1% compared with those in $CCl_4$ group, respectively (p < 0.05). Also,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CCl_4$ + PGE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a rate of 90% and 73.6% compared with those in $CCl_4$ group (p < 0.05). In the Ames test, we confirmed PGE doesn't have any activity as a mutant, and PGE showed inhibitory effect against mutagenesis induced by 2-amino fluride and sodium azide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and TA1535 in a dose-dependent manner.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suggest that PGE might have useful as a material for functional food and/or animal pharmaceutics.

      • KCI등재

        '애완동물 안내문 만들기'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역할 인식과 인식적 권위

        강은희,김희백,Kang, Eunhee,Kim, Heui-Baik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과학 교실에서 학생들이 학습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수업에서 학생들이 목소리를 표현하고 권위를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애완동물 안내문 만들기' 수업을 개발하였고, 이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수업의 주체로서 자신들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권위를 드러내는지 탐색하였다. 서울시 G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학생들의 활동은 모두 녹음 녹화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애완동물 안내문을 만드는 소집단 활동과,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발표하고 질의응답하는 전체 발표에서 다른 양상으로 인식적 권위를 드러내는 모습을 보였다. 우선 소집단 활동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져온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고 선별하였으며, 공적인 공간에 적합하도록 자원으로 변형시키는 것과 같이 '애완동물 전문가'로서 권위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전체 발표에서는 발표자와 청중이라는 입장으로 구분되어 발표자는 '애완동물 전문가'로 인정을 받고, 청중은 '검증하는 사람'으로 발표자를 평가하면서, 적극적으로 권위를 검증받고 평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전체 발표의 진행을 주도함으로써 활동의 완전한 주도권을 잡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생 중심으로의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과학 교육의 전략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f we, as educators, want to put students at the center of learning in science classroom, we must let students express their voices and exercise authority. To do this, we developed a classroom activity about 'Making a pet poster', and then we explored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their roles and expressed their authority during this activity. Fourth grade student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Seoul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which was videotaped and recorded. We found that students expressed their epistemic authority differently in small group activities and in whole group discussions. In small group activities, they desired to show their authority as "pet experts" by using and selecting various resources from their everyday lives and transforming those resources into suitable forms in public spaces. Meanwhile, in whole group discussion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either presenters or audience members to verify their authority in regard to the pet poster activity; presenters desired to achieve recognition as "pet experts," and audience members assessed the presenters as "testers." In addition, they expressed authority as teachers by leading the whole group discus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e implications for new educational strategies to foster a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결혼의식, 직업의식, 양성평등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강은희,김미영,변은경,Kang, Eun Hee,Kim, Mi Young,Byun, Eun Kyu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결혼의식, 직업의식, 양성평등의식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출산의지 조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간호대학생 2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결혼의식은 3.43±.36점이었고, 직업의식 3.30±.47점, 양성평등의식 3.85±.37점, 출산의지는 3.48±.42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출산의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대상자의 출산의지는 결혼의식(r=.260, p<.001), 직업의식(r=.143, p=.026), 양성평등의식(r=.263, p<.001)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결혼의식은 직업의식(r=.279, p<.001)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혼의식(𝛽=.215, p=.001), 양성평등의식(𝛽=.239, p<.001)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1.9%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rriage consciousness,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n childbirth will in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to control childbirth will. Data were collected from 242 nursing students in B city and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1.0. The average of marriage consciousness was 3.43±.36, the average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was 3.30±.47, the averag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3.85±.37, the average of childbirth will consciousness was 3.48±.42. The childbirth will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study subject's childbirth will was correlated with occupational consciousness(r=.279, p<.001), occupational consciousness(r=.143, p=.026),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r=.263, p<.001), and marriage conscious was correlated occupational consciousness(r=.279,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childbirth will of the study subjects were marriage consciousness(𝛽=.215,p=.001),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𝛽=.239,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11.9%. According to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effects of developing an intervention program and applying this program to improve the decisions of nursing students concerning marriage and having children.

      • KCI등재

        초등 4학년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포부와 과학 정체성 관계의 변화

        강은희 ( Eunhee Kang ),김찬종 ( Chan Jong Kim ),최승언 ( Seung Urn Choe ),노태희 ( Taehee Noh ),유준희 ( Junehee Yoo ),김희백 ( Heui 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5

        본 연구에서는 과학 정체성 개념을 사용하여, 과학에 대한 흥미는 높지만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포부가 낮았던 초등 4학년 학생들의 진로 포부의 변화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목적에 맞는 참여자를 선별하였고, 1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회(4학년, 5학년)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과학 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설문조사, 교사로 부터 제공받은 자료 또한 심층면담 자료를 뒷받침하는 보조 자료로 사용하였다. 1차면담(4학년)에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포부가 낮았던 14명의 학생들은 2차면담(5학년)에서 다양한 변화를 보여주었는데, 6명은 지속적으로 낮은 진로 포부를, 6명은 보통의 진로 포부를, 그리고 2명은 높은 진로 포부를 보였다. 이 가운데 세 명의 초점 학생을 선정하였고, 과학 정체성 요소와 진로 포부의 관계를 깊이있게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와 관련하여 개인마다 가치를 두는 과학 정체성 요소가 달랐으며(윤우는 타인의 평가, 태우는 자신의 흥미, 인제는 과학 능력), 이러한 요소에 따라 요소들 사이의, 그리고 요소와 과학 관련 진로 포부 사이의 상호작용은 개인마다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참여자들이 겪은 경험과 주변의 타인들과의 상호작용은 과학 정체성 요소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고, 이는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한 과학 관련 진로 포부의 변화로 이어졌다. 동료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나에 대한 동료의 평가와 동료에 대한 나의 평가에 대한 인식)과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 또한 학생들이 자신에 대해 판단하고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포부를 형성하는데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를 고려한 주변의 지원과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안내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longitudinal changes in Korean fourth graders’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The sample included those who had high interest, but low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and the analysis focused on the concept of science identity. To achieve this study’s objectives, we selected 14 participants and then conducted two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Compared with the first interviews (4th grade), changes were observed in eight students’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in the second round (5th grade). While six students maintained “negative” career aspiration, six revealed “medium” and two revealed “positive” career aspiration in scienc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identities and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thre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e sample for further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spects of science identity that students valued regarding potential careers varied individually. Depending on these aspects, each student showed different patterns in the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aspects of science identity, and between aspects of science identity and science-related career aspirations. Over time,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with people around them produced changes in their science identity, which led to changes in their career aspirations resulting from the interactions between aspects of their science identity. Their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were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ach participant’s perceptions of relationships with peers (i.e., recognition by peers and of peers) and of science-related careers.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need to be provided with appropriate learning environments and guidance relating to science careers.

      • KCI등재

        심장 혈액 흐름의 모형 구성 과정에서 나타난 소집단 상호작용과 소집단 규범

        강은희 ( Eun Hee Kang ),김찬종 ( Chan Jong Kim ),최승언 ( Seung Urn Choe ),유준희 ( June Hee Yoo ),박현주 ( Hyun Ju Park ),이신영 ( Shin Young Lee ),김희백 ( Heui 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2

        이 연구는 자연스러운 소집단 탐구 맥락에서 형성된 집단의 고유한 규범을 밝혀내고, 소집단 규범이 과학적 모형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심장 혈액 흐름의 모형 구성 수업을 개발하였고, 서울 소재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 가운데 임의로 10개의 소집단을 추출하여 학생들의 담화와 활동을 녹음하고 비디오 촬영을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먼저 집단의 상호작용 유형을 분류하였고, 각 유형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5개 집단에서 나타나는 규범과 모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마다 다양한 상호작용 유형을 보였으며, 소집단에서 구성한 모형의 질과 협력 및 모형 구성을 위한 규범 또한 집단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동일한 교사의 지도를 받는 탐구 맥락에서 학생들이 동일한 과제를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각 집단의 인지적인 책임감, 정당화에 대한 필요성, 협력과 참여, 멤버십에 대한 규범이 바탕이 되어 집단마다 다른 담화와 행동을 보였다. 또한, 한 집단을 제외하고, 모형 구성을 위한 인지적 책임감과 정당화와 같은 규범은 잘 발달하지 않았다. 이러한 규범은 궁극적으로 집단 모형 구성에 영향을 미쳤다.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여 협력을 촉진하고, 인지적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의견을 정당화하면서 모형 구성을 촉진하는 규범을 형성하고 있는 집단은 구성원들의 추론적 사고를 촉발하였고 보다 목표 모형에 가까운 집단의 공동 모형을 구성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소집단 활동을 통한 학습을 촉진하는 교실 환경을 구축하고, 이와 관련된 교사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unique small group norms and their influence o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scientific model. We develope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construction of a model of blood flow in the heart and conducted research on eighth-grade students from one middle school. We randomly selected 10 small groups, and videotaped and recorded their dialogues and behaviors. The data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ypes of interaction and then analyz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norms and models in one or two representative groups for each type. The results show that the types of interaction, the quality of the group models, and the group norms were different in each group. Even though one teacher guided students through the same task in the inquiry context, each group revealed different patterns of discourse and behavior, which were based on norms of cognitive responsibility, the need for justification, participation, and membership. With the exception of one group, there was little cognitive responsibility and justification for students` opinions. Ultimately, these norms influenced the model construction of small groups. A group that forms norms to encourage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justify members` opinions with cognitive responsibility was encouraged to do inferential thinking and construct a group model close to the target model. This study has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classroom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learning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관한 연구

        강은희(Kang Eun Hee),박효진(Park Hyo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환자안전관리 지식, 환자안전관리 태도, 안전동기, 환자안전 수행자신감,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들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방법 B광역시 소재 간호학과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자료를 서술적 분석,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전공만족도(F=5.714, p=.004), 임상실습만족도(F=3.588, p=.029), 환자안전교육(t=2.538, p=.01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변수 간의 상관관계에서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환자안전관리 태도(r=.438, p<.001), 안전동기(r=.613, p<.001), 환자안전 수행자신감(r=.545,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안전동기(β=.425, p=.006), 환자안전 수행자신감(β=.303, p<.001)이었다. 안전동기와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이 높은 경우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가 높았다.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대한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46.5%였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의 향상시키기 위해서 환자안전관리 지식, 환자안전관리 태도, 안전동기,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Objectives To identify effects of knowledge, attitude, safety motivation, performance confidence, and degre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regarding patient safety, an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related factor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researcher collected from the subjects, 252 of nursing students at college in B, who agree to the collection of data, by explaining them about the objective and procedure of this study. The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through the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major satisfaction (F=5.714, p=.004),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F=3.588, p=.029), patient safety education (t=2.538, p=.012). In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howed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r=.438, p<.001), safety motivation (r=.613, p<.001), and patient safety performance confidence (r=.545, p<.001) and positive correlation. The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were safety motivation (β=.425, p=.006) and patient safety performance confidence(β=.303, p<.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expressi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these variables was 46.5%.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lan and provide more diverse education to improve the knowledge, attitude, safety motivation,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about patient safety.

      • KCI등재

        체외수정시술로 임신된 쌍태 임신과 정상 쌍태 임신의 예후 비교

        강은희(Eun Hee Kang),박은주(Eun Joo Park),채희동(Hee Dong Chae),김성훈(Sung Hoon Kim),김정훈(Chung Hoon Kim),강병문(bYUNG mOON kANG),장윤석(Yoon Seok Chan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9

        목적 : 체외수정시술 후 성립된 쌍태 임신의 예후를 살펴보고 이를 정상 쌍태 임신의 예후와 비교함으로써 체외수정시술 후 발생한 쌍태 임신의 예후를 예측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1995년 10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쌍태 임신으로 분만한 총 100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60명은 체외수정시술에 의하여 성립된 쌍태 임신이었고 40명은 정상 쌍태 임신이었으며 다태 임신 감수술에 의하여 쌍태가 된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산과적 합병증을 포함한 임신 및 신생아의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에 있어 평균값의 비교에는 Student t-검정(t-test)을 이용하였고 분율의 비교에는 χ2 검정 또는 Fisher의 직접확률법(Fisher's exact test)을 시행하였다. P < 0.05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결과 : 양 군에서의 평균 재태 연령 및 재태 연령의 분포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생아의 체중 및 분포, 쌍태아간 심각한 체중 차이, 태위, 제왕절개술의 빈도에 있어 양 군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산과적 합병증 및 신생아의 예후의 비교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결론 : 체외수정시술 후 성립된 쌍태 임신은 정상적으로 임신된 쌍태 임신과 비교하였을 때 그 예후가 더 불량하지는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o compare pregnancy outcome of in vitro fertilization (IVF) twin pregnancies with that of normally conceived twin pregnancies Materials and Method : From October 1995 to October 1998, total 100 twin pregnanci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regnancies were grouped into the IVF twin pregnancy group (n = 60) and normal twin pregnancy group (n = 40). Twin pregnancies resulting from multifetal pregnancy reduction (MFPR) were excluded in this study. The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udent's t-test, Fisher's exact test, and χ2 test as appropriat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 < 0.05.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gestational age and distribution of gestational age between the two groups.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irthweight, weight discordancy, presentation of fetuses, and frequency of cesarean sec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also no differences in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between the IVF twin and normal twin pregnancy groups.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e pregnancy outcome of twin pregnancies resulting from IVF-ET is comparable with that of normally conceived twin pregna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