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완동물 안내문 만들기'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역할 인식과 인식적 권위

        강은희,김희백,Kang, Eunhee,Kim, Heui-Baik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과학 교실에서 학생들이 학습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수업에서 학생들이 목소리를 표현하고 권위를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애완동물 안내문 만들기' 수업을 개발하였고, 이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수업의 주체로서 자신들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권위를 드러내는지 탐색하였다. 서울시 G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학생들의 활동은 모두 녹음 녹화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애완동물 안내문을 만드는 소집단 활동과,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발표하고 질의응답하는 전체 발표에서 다른 양상으로 인식적 권위를 드러내는 모습을 보였다. 우선 소집단 활동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져온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고 선별하였으며, 공적인 공간에 적합하도록 자원으로 변형시키는 것과 같이 '애완동물 전문가'로서 권위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전체 발표에서는 발표자와 청중이라는 입장으로 구분되어 발표자는 '애완동물 전문가'로 인정을 받고, 청중은 '검증하는 사람'으로 발표자를 평가하면서, 적극적으로 권위를 검증받고 평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전체 발표의 진행을 주도함으로써 활동의 완전한 주도권을 잡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생 중심으로의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과학 교육의 전략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f we, as educators, want to put students at the center of learning in science classroom, we must let students express their voices and exercise authority. To do this, we developed a classroom activity about 'Making a pet poster', and then we explored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their roles and expressed their authority during this activity. Fourth grade student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Seoul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which was videotaped and recorded. We found that students expressed their epistemic authority differently in small group activities and in whole group discussions. In small group activities, they desired to show their authority as "pet experts" by using and selecting various resources from their everyday lives and transforming those resources into suitable forms in public spaces. Meanwhile, in whole group discussion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either presenters or audience members to verify their authority in regard to the pet poster activity; presenters desired to achieve recognition as "pet experts," and audience members assessed the presenters as "testers." In addition, they expressed authority as teachers by leading the whole group discus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e implications for new educational strategies to foster a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초등 4학년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포부와 과학 정체성 관계의 변화

        강은희 ( Eunhee Kang ),김찬종 ( Chan Jong Kim ),최승언 ( Seung Urn Choe ),노태희 ( Taehee Noh ),유준희 ( Junehee Yoo ),김희백 ( Heui 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5

        본 연구에서는 과학 정체성 개념을 사용하여, 과학에 대한 흥미는 높지만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포부가 낮았던 초등 4학년 학생들의 진로 포부의 변화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목적에 맞는 참여자를 선별하였고, 1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회(4학년, 5학년)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과학 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설문조사, 교사로 부터 제공받은 자료 또한 심층면담 자료를 뒷받침하는 보조 자료로 사용하였다. 1차면담(4학년)에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포부가 낮았던 14명의 학생들은 2차면담(5학년)에서 다양한 변화를 보여주었는데, 6명은 지속적으로 낮은 진로 포부를, 6명은 보통의 진로 포부를, 그리고 2명은 높은 진로 포부를 보였다. 이 가운데 세 명의 초점 학생을 선정하였고, 과학 정체성 요소와 진로 포부의 관계를 깊이있게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와 관련하여 개인마다 가치를 두는 과학 정체성 요소가 달랐으며(윤우는 타인의 평가, 태우는 자신의 흥미, 인제는 과학 능력), 이러한 요소에 따라 요소들 사이의, 그리고 요소와 과학 관련 진로 포부 사이의 상호작용은 개인마다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참여자들이 겪은 경험과 주변의 타인들과의 상호작용은 과학 정체성 요소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고, 이는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한 과학 관련 진로 포부의 변화로 이어졌다. 동료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나에 대한 동료의 평가와 동료에 대한 나의 평가에 대한 인식)과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 또한 학생들이 자신에 대해 판단하고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포부를 형성하는데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를 고려한 주변의 지원과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안내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longitudinal changes in Korean fourth graders’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The sample included those who had high interest, but low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and the analysis focused on the concept of science identity. To achieve this study’s objectives, we selected 14 participants and then conducted two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Compared with the first interviews (4th grade), changes were observed in eight students’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in the second round (5th grade). While six students maintained “negative” career aspiration, six revealed “medium” and two revealed “positive” career aspiration in scienc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identities and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thre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e sample for further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spects of science identity that students valued regarding potential careers varied individually. Depending on these aspects, each student showed different patterns in the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aspects of science identity, and between aspects of science identity and science-related career aspirations. Over time,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with people around them produced changes in their science identity, which led to changes in their career aspirations resulting from the interactions between aspects of their science identity. Their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were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ach participant’s perceptions of relationships with peers (i.e., recognition by peers and of peers) and of science-related careers.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need to be provided with appropriate learning environments and guidance relating to science careers.

      • KCI등재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포부가 낮은 초등 4학년 학생들의 과학 정체성 탐색

        강은희 ( Eunhee Kang ),김찬종 ( Chan Jong Kim ),최승언 ( Seung Urn Choe ),노태희 ( Tae Hee Noh ),유준희 ( June Hee Yoo ),심수연 ( Soo Yean Shim ),김희백 ( Heui 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7

        이 연구는 과학 정체성 개념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포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2013년 서울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의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과학 활동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과학에 대한 흥미는 높으나 관련 진로 포부가 낮다고 보고한 학생들(N=45)을 선별하였다. 이 가운데 연구 참여에 동의한 19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정체성(흥미, 능력, 타인에 의한 인정) 및 과학 관련 활동의 경험과 인식에 대해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제한적이거나 상황적으로 유발되는 과학에 대한 흥미를 보였으며, 자신의 과학 능력과 과학 진로를 위해 필요한 능력의 차이, 또는 긍정적이지 않은 타인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참여자들의 과학 정체성과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낮은 포부는 과학 관련 활동에 대한 그들의 관심과 참여를 제한하였다. 참여자들은 대부분 상황적인 흥미를 유발시키는 일회적인 활동에 관심을 보였고, 실제 이러한 활동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자신들이 하는 활동이 과학 진로를 원하는 학생이 하는 활동과 다르다고 분명하게 구분하였고, 자신들의 능력이 부족하거나, 과학 관련 진로와 관련된다고 판단되는 활동들을 기피하였다. 참여자들의 부정적인 과학 정체성과 관련 진로에 대한 낮은 포부는 이들의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높은 기준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이들의 잘못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과 기대는 참여자들이 자신과 과학관련 진로 학생과의 차이를 갖게 하고, 과학 관련 진로를 선택하기에 과학에 대한 흥미, 능력, 타인의 평가가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하도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과 관련하여 어린 학생들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포부를 높이기 위한 활동의 목표와 전략을 모색하는데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y Korean 4th graders’ interest in science was not connected to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using the perspective of science identity. Forty-five students with a highinterest in science but with low science-related aspirations have been chosen from 488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completed a questionnaire exploring students’ interest and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Among them, 19 who have received parental permission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examining students’ science identities (interest, competence, and recognition by others in science) and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cience-related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students have limited or situational interest in science, a ga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ir competence in science and their competence for a science-related career, and negative recognition by others in science. Also,participants’ science identities and low aspirations for a science-related career constrained their attention and participation in science-related activities. Students’ negative science identities and low aspirations for science-related careers were based on the high standards of science-related careers. It seems thatthese erroneous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led them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students pursuing science-related careers, as well as to perceive that their interest, competence, and recognition by others in science were not enough to pursue a science-related career.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the current condition of young students with low aspirations for science careers and exploring desirable objectives and strategies to promote activities to raise their aspirations for science-related careers.

      • KCI등재

        유전 문제 해결 활동에서 나타나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인지적 협력 과정

        강은희 ( Eunhee Kang ),이신영 ( Shinyoung Lee ),김희백 ( Heui-baik Kim ) 韓國生物敎育學會 2016 생물교육 Vol.44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cess of cognitive collaboration of ninth grade students in genetic problem solving. For the purpose of study, we developed the small group activities on Mendel``s law of independent assort- ment, which were implemented following the Mendelian genetics lessons. Ninth-grade students from two middle schools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and their activitieswere videotaped and recorded. Cognitive collaborations in small groups were categorized into four levels according to the cognitive interaction between members. In the result, we explained the small group``s process of reason- ing focusing on five groups showing cognitive collaboration level Ⅰ, Ⅱ and Ⅲ. The results showed that conflicted opinion between membe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acilitating the cognitive collaboration in group discussion. When conflicted opinion was revealed in the group, students attempted to explain the genetic phenomenon relating the concepts of meiosis by providing scientific concepts and making a rebuttal. In conclusion, students’ difficulties in connecting genetic concepts with meiosis concepts and teachers’ role to support the small group activity are discussed.

      • KCI등재

        아버지 없는 아이, 과부, 거류인을 위한 신명기의 유산법

        강은희(EunHee Kang)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5 Canon&Culture Vol.9 No.2

        본고는 아버지 없는 아이, 과부, 거류인을 위한 신명기 규정들의 의의를 탐구한다. 신명기는 다양한 부류의 약자들을 언급하며, 그들을 위한 구제책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아버지 없는 아이, 과부, 거류인은 두드러져 있다. 그들은 신명기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약자들이고, 항상 함께 등장하며, 동일한 형태의 원조를 받게 되어 있다. 아버지 없는 아이, 과부, 거류인의 이러한 특수성에 주목하며, 본고는 어휘론적 고찰로 이들 세 그룹의 개별적 특성을 명확히 한 후, 이들이 한데 엮어짐으로써 발생하는 의미와, 이들에게 주어지는 도움의 본질을 밝힌다. ‘아버지 없는 아이’와 ‘과부’는 가장의 죽음에서 비롯되며, ‘거류인’은 자신의 연고지를 떠나면서부터 형성되는 신분이다. 이들은 서로 다른 어려움을 겪으며 출발하지만, 이 세 그룹이 하나로 묶어지면 이들은 가난한 사람들의 임의적 조합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이들에게는 땅을 소유한 성인 남성이 아니라는 공통점이 있다. 신명기법이 이들에게 공통적으로 보장하는 것은 추수밭의 남은 곡식과 추수절, 초막적 축제에의 초대, 그리고 삼년마다의 십일조이다. 이 품목들은 모두 땅의 소출과 연결되어 있으며, 경제적 어려움의 경감 이상의 의미가 있다. 아버지 없는 아이, 과부, 거류인을 위한 신명기 규정들은 땅의 직접적인 소유권이 없는 이들 세 그룹에게 땅의 소출을 누릴 수 있게 해 줌으로써, 하느님의 상속지에서 살아가는 그 누구도 그 땅의 혜택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아버지 없는 아이, 과부, 거류인은 약자이며 가난한 이들로 여겨져 왔고, 따라서 이들을 위한 구제책도 인본주의적 측면에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이 받는 구제책의 특수성과, 약속의 땅 상속을 앞둔 이스라엘 백성을 향한 가르침이라는 신명기의 전체적 문맥을 고려한다면 아버지 없는 아이, 과부, 거류인을 위한 신명기의 규정들은 경제적 문제 해결 이상의 의미가 있다. 본고는 아버지 없는 아이, 과부 거류인을 인본주의적 도움과 동정의 대상을 넘어, 약속의 땅의 소출을 통한 상속의 주체로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the legal provisions for the fatherless, the widow and the sojourner in Deuteronomy. The Deuteronomic Law stipulates aids for various vulnerable groups in the Israelites. Among those groups, the fatherless, the widow and the sojourner are conspicuous: they are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they are considered as a unity rather than three differential groups, and they receive the same kind of provisions. Noting this specificity, this paper studies (1) the significance of the combination of the fatherless, the widow and the sojourner, (2) and the nature of the provisions for these groups. This study starts with a lexical examination of each group. The status of the fatherless and the widow generates from the point when a family loses its father and husband. People become sojourners when they live in a land other than their hometown. The fatherless, the widow and the sojourner seem to have their own respective difficulties. However, once they are grouped together, they become something more than a random sampling of the poor groups of people. They are in common in that they are not male adult land owners. And the Deuteronomic Law guarantees them the leftovers from the harvest field, invitations to the Feast of Weeks and Feast of Booths, and triennial tithe. All these items are related to the yields from the land, and meant to be something more than an economic aid out of the humanitarian concern. By relating the portions for the fatherless, the widow and the sojourner to the yields of the land, Deuteronomy sees to that in the Promised Land, nobody should be excluded from the benefits of God’s inheritance. Traditionally, the fatherless, the widow and the sojourner are considered as vulnerable and poor, and the provisions for these groups are understood from the humanitarian perspective. However,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aids provided for these groups and the context of Deuteronomy as a teaching for the people of Israel who are to inherit the Promised Land, the provisions for the fatherless, the widow and the sojourner signify something more than an alleviation of economic difficulties for the poor groups among the people of Israel. This paper suggests the fatherless, the widow and the sojourner are not so much the object of humanitarian action as the subject of the inheritance of the Promised Land.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권위 부여하기: 인식적 권위를 향상시키는 두 수업의 교수 전략 분석

        강은희(Kang, E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두 수업 자료(‘애완동물 안내문 만들기’, ‘질병을 일으키는 작은 생물’)를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권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을 설계할 때 교사가 고려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두 개의 수업에서 계획하고 수행한 세부적인 교수 실행을 추출하였고, 이를 분석하는 인식적 권위의 분석틀을 고안하였다. 인식적 권위의 분석틀은 지식의 유형에 따라 내용 지식에 관한 내용적 측면, 지식 구성 활동에 관한 실행적 측면, 수업 운영 지식에 관한 운영적 측면으로 구분된다. 연구결과에서는 각 세부 측면에서 권위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지, 이를 위해 수업 자료 개발과 실제 수업 상황에서 어떠한 전략을 사용했고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정리하였다. 두 수업에서 내용적인 측면과 실행적인 측면은 교사와 학생이 권한을 공유하거나 학생들에게 전적으로 권한을 주고자 하였으며, 운영적인 측면은 대부분 교사가 권한을 가지는 방식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수행하였다. 그러나 운영적인 측면은 수업에서 계획한 것과 달리 실제 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이 활동을 진행하면서 능동적으로 주도권을 잡으려 하기도 하였다. 두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부여한 인식적 권위는 유사하면서도 실제 수업 실행과 세부적인 측면에서는 차이가 있었는데, 수업의 목표에 따라 구체적인 활동과 전략이 다를 수 있으며, 어떠한 실행에서 학생들에게 권한을 부여할지에 따라 수업을 다양하게 계획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wo activities(“Making a pet poster” and “Disease-causing small creatures”) and suggest strategies to improve elementary students epistemic authority. First, the detailed instructional practices in the two activities were extracted and the analysis framework of epistemic authority was devised. Epistemic author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aspects - content, practical and operational aspects - according to the t pe of knowledge. In the results, it was analyzed who owned the authority, what strategies were used and which meaning was had in each details implementation. Two activities shared the authority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ontent and practical aspects. In the operational aspects, the activities were designed for teacher to have the authority. However, students tried to take the lead actively in the actual class situation. The epistemic authorities given to the students in the two activities were similar,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ctual practice and the details of the lesson. Specific activities and strategies might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goals of the lesson, and the activities can be designed in a variety of ways, depending on what authority students are empowered.

      • KCI등재

        구약 성경의 여성들이 보여 주는 하느님의 모상성

        강은희(Kang, EunHee)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神學展望 Vol.- No.207

        본고는 여성의 천성이 성경에서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여성의 천성’이란 교황의 사도적 서한에서 여성의 존엄과 소명의 근간이 되는 개념으로 제시한 것이다. 서한은 한편으로는 여성의 윤리적, 영적 힘을 높이 평가하면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여성의 천성을 모성과 연결한다. 그런데 그 적용 과정에서 여성이 모성 자체와 동일시 되어 버리면 여성성의 축소라는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이 문제에 관하여 성경에서 어떤 답을 얻을 수 있을까? 인간이 하느님의 모상대로 창조되었다면 여성의 천성 역시 하느님의 모상성에 근거한다. 인간에게 보인 적은 없으나 인간이 체험해 온 하느님은 우주만물의 창조주이자 인간 삶의 동반자며 종말적 구원자시다. 여성들은 이러한 하느님의 모상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 구약 성경에서 공적으로 칭송의 대상이 되고 있는 여성들은 비단 모성의 영역에서만 기여한 것이 아니라 창조주이자 동반자며 구원자신 하느님의 모상을 모두 반영하고 있다. 여성들은 그들의 삶을 통하여 하느님의 모상을 각자의 방식대로 반영하고 있다. 구약 성경의 타마르(창세 38장 참조)와 룻, 그리고 유딧은 그들이 속했던 세상의 규범에 충실하면서도 그 한계를 뛰어 넘은 여성들이다. 이들의 삶은 저마다 하느님의 모상을 반영하는 동시에 여성성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타마르는 스스로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죽은 남편의 가계를 이음으로써 유다 가문의 여시조(女始祖)가 된다.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웠던 한 집안을 생명으로 채워 준 타마르의 삶은 창조주 하느님의 모상을 반영한다. 룻은 남편이 세상을 떠난 후에도 시모(媤母) 나오미를 충실히 동반함으로써 이스라엘과 함께 거니시는 하느님의 모상을 반영한다. 유딧은 이민족이 동족 이스라엘을 위협하자 적진으로 들어가 적장의 목을 베어 옴으로써 민족을 구원하며 이스라엘은 유딧을 통하여 구원자 하느님을 보게 된다. 이 세 여성들의 삶은 개별적 중요성을 띠며, 모든 여성의 삶을 모성의 실현으로 단순화시킬 수 없음을 보여 준다. 여성의 천성이 모성으로만 규정되는 한, 하느님의 모상성을 실현시키려는 여성의 무한한 가능성을 오히려 제한하게 될 수도 있다. 여성의 천성을 결정론적, 남녀 양성 이분법적 시스템에 의해 규정지으려 하기 보다는, 하느님의 백성으로 살아가는 여성들이 그들의 삶을 통하여 창조적으로 하느님의 모상성을 실현시키며 여성성을 확장시키고 있는 것에서 찾는 것이 더욱 건설적일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Ingenium mulieris” is portrayed in the Bible. Ingenius Mulieris is the concept from the apostolic letter, providing the basis of the dignity and vocation especially for women. The letter praises the ethical and spiritual ability of women on the one hand, and highlights motherhood as the inherent characteristic of women on the other. In its application to the real world and real human person however, women tend to be identified with maternity, which brings about the reduction of the femininity. What does the Bible teach us regarding this problem? That human being is created after the image of God also means that the image of God is the source for the nature of being woman. Never seen though, God has been experienced throughout the human history as the Creator, Companion, and Saviour. Those women praised in the Scripture not only contribute to the realm of motherhood, but also reflect the image of God, the Creator, Companion, and Saviour. These Biblical women, Tamar(Gen 38), Ruth, and Judith, have been faithful to the way of life of their own times, and at the same time, they transcend the limits imposed on them by their times and society. Each of their lives reflects the image of God, and thus broadens the horizon of the femininity. Tamar risks her own life to give birth to her deceased husband’s house and marks her position as the matriarch of the house of Judah. She reflects the image of God, the Creator. Ruth, even after her husband’s death, faithfully accompanies Naomi, her mother-in-law. Leaving every human condition behind, Ruth forms an indissoluble bond with Naomi. Ruth reflects the image of God who walks with the people of God. Judith, when her people’s fate is at stake, bravely infiltrates into the enemy’s camp and beheads the enemy commander, which no man in Israel dared to do. She is the personification of God, the Saviour. Each of these women’s lives carries individual significance, and makes it clear that it is impossible to simplify all women’s life journeys into the realization of motherhood only. As long as woman’s ingenuity is defined by only in terms of motherhood, we cannot expect from women the boundless possibility of the realization of the image of God. Woman’s ingenuity cannot be determined by the binary system on the basis of sexuality. Rather, it would be more constructive to figure out how creatively women have been realizing God’s image in this world, ever redefining femininity.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드러나는 학생의 행위주체성: 교수 학습 맥락을 중심으로

        김현애 ( Hyunae Kim ),강은희 ( Eunhee Kang ),김희백 ( Heui Baik Kim ) 韓國生物敎育學會 2015 생물교육 Vol.43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students expressed their agency in the science classroom and the features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that stimulate such agency. We developed several biology lessons for two fifth-grade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lesson topics covered on diseases - caused by mold, viruses, germs, and dust mites - and its prevention. During lessons one and two, the students actively discussed the topics based on their funds of knowledge, grounded in their experiences outside of school. In lessons three and four, students made video clips, slogans, posters, and newspapers and then campaigned to inform the public. Data from participant observations, individual interviews, and students’ artifac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based on grounded theory. According to the results, students expressed agency in four ways: 1) They created an objective for their disease topic; 2) they purposefully selected and utilized available resources; 3) they planned and launched a campaign to educate others around them; and 4) they used their scientific knowledge to carefully take preventative measures in their everyday lives. The most salient featur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that stimulated students’ agency was the lesson contents which were directly connected to their lives. Furthermore, as the teacher shared her authority with the students, encouraging them to utilize their funds of knowledge and available resources, the students could enhance their authority to realize their objectiv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discuss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students’ agency by taking a closer look at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that could position students as autonomous agents.

      • 디지털 플랫폼 콘텐츠 창작 노동자에 대한 젠더 이슈 사상검증이 미치는 영향과 법적 대응에 관한 연구 : 웹툰, 웹소설, 일러스트 영역을 중심으로

        범유경 ( Beom Yukyung ),강은희 ( Kang Eunhee Sophia ),이도경 ( Lee Do Kyung ) 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22 공익과 인권 Vol.22 No.-

        2016년경 게임사들은 소비자들이 일러스트레이터의 사상에 대해 항의한다는 이유로 작업물을 삭제하거나 계약을 해지하였다. 이와 같은 ‘사상검증’은 점차 웹툰ㆍ웹소설 작가들에게까지 확대되었으며 현재진행형이다. 그러나 아직 디지털 플랫폼의 창작 노동자에 대한 사상검증이 어떻게 진행되었고 진행되고 있는지, 그것이 이들의 노동환경과 작업과정, 작업의 결과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플랫폼에서 콘텐츠를 제작, 게시하는 창작 노동자들을 향해 이루어지고 있는 젠더 이슈에 관한 사상검증의 실태를 조사하고, 사상검증의 경험과 인식이 노동과정과 결과물, 노동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디지털 플랫폼 산업에 대한 문헌 연구와 심층 면접을 통한 현상학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심층 면접 대상자는 눈덩이 표집법(snowballing)으로 모집한 웹툰 작가, 웹소설 작가, 일러스트레이터, 창작 노동 관련 활동가 등 총 21명이었다. 사상검증으로 인한 자기검열을 직접적으로 경험하였다고 응답한 15인의 면접자 중 SNS 사용을 중단하거나 창작과정에서 특정 표현이나 내용을 포기한 경우도 있었다. 사상검증의 방식은 SNS 등에서의 사이버불링, 댓글을 통한 공격, 사측 등으로부터의 작업 개입, 업무 배제 등이 대표적이었다. 면접자들 중 15명이 사상검증으로 인한 자기검열을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했는데, SNS 사용을 중단하거나, 창작과정에서 특정 표현이나 내용을 포기하기도 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플랫폼 콘텐츠 산업의 경우 일감 배분 권력을 가지고 있는 플랫폼이 우월적 지위에 있어 창작 노동자는 그로 인한 불안정함을 느끼고, 끊임없이 시장성에 대한 고민을 할 수밖에 없어 사상검증으로 인한 영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게임 업계와 웹툰ㆍ웹소설 업계에 내재된 업계 내 성차별도 사상검증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창작 노동자들의 계약 형태에 따라 「근로기준법」을 활용하거나, 「공정거래법」, 「국가인권위원회법」 등을 활용하여 사상검증에 대응할 수 있는 법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본질적인 해결을 위하여는 디지털 플랫폼 콘텐츠 창작 노동자들의 플랫폼에 대한 경제적 종속성을 낮추고, 예술인으로서의 보호나 차별금지법(평등법)의 제정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In 2016, some game development companies deleted the works and even terminated the contracts with a number of illustrators in that consumers had complained about ideologies personally held by those illustrators. The on-going ideological witch hunt of the gaming industry has spread to illustrators and webtoon artists outside the gaming industry. However, researches about how this ongoing ideological vetting against creative workers working on digital platforms affects their working conditions, work process, and work performance (artwork) has not been conducted thoroughly. Thus, this paper looks into the current status of ideological screening about gender issues against creative workers on digital platforms and inquires into how it affects the working conditions, work process, and job performance (artwork) of the creative workers. The research uses methods; Documentary researches on digital platform industr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through 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ees are 21 web cartoonists, web novelists, illustrators and activists working on the digital platform industry, who were chosen by snowball sampling. All 21 interviewees replied that they hav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experienced ideological vetting. 15 interviewees testified that they experienced ideological screening firsthand. The methods of ideological vetting experienced by the interviewees includes cyber bullying on social media, accusations delivered through comments, unwanted influences on their work by corporate superiors and colleagues or contracting parties, and exclusion from work opportunities. 15 interviewees also reported self-censoring and testified that they stopped using social media or furthermore gave up using certain expressions or dealing with certain topics in their work. The research finds that the ongoing ideological vetting against the creative workers has significantly impacted them. Since the company of digital platform has the power to offer the work (and the creative workers have little bargaining power against them), the creative workers inevitably feel anxiety about the commercial value of their artwork. Moreover, the research indicates that misogyny (sexual discrimination) within the gaming, webnovel and webtoon industries exacerbates the influences of the ideological vetting. The research suggests the assertion of several legal actions based on the rights cited in individual acts including the Labor Standards Act,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s,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ct and et cetera,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research advises limiting the economic dependency of creative workers on digital platforms, strengthening legal protections for artists and enacting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Act to resolve this problem fundament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