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보영재를 위한 게임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 교재의 개발

        강신천(ShinCheon, Kang),김의정(EuiJeong, Kim),김경현(KyngHyun, Kim) 한국영재학회 2006 영재교육연구 Vol.16 No.1

        국내의 정보영재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프로그래밍 언어, 운영체제 혹은 컴퓨터 구조 등 으로 편성되어 있다. 이들 교육과정의 운영 형태는 고등사고력 신장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 는 다분히 기능 중심의 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정보 영재는 이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60명 중 58명, 96,67%). 이와 같은 불만은 정보 영재 전문 교육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이 정보 관련 일반 교육 기관에서 운영되 고 있는 교육과정과 크게 차별화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 안하여 프로그래밍 언어를 게임이나 체험을 통하여 학습 할 수 있도록 대안적인 교재를 개 발하였다. 본 연구는 대안적인 교재가 정보영재의 프로그래밍 언어 영역의 학업 성취를 향 상시킨 것으로 결론 내렸으며,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정보영재를 위한 교재 개발의 새 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ogramming language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of information with using the game. There are many curricula for teaching the information and technology to the gifted of information. There are not differences between these programs and the general IT curricula. The gifted of information has some complains about his curriculum(58/60, 96.67%). So this study developed the alternative programming language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of information. This study concluded the effects of alternative materials for teaching programming language depend 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about programming language with game activity. This study also looks forward to being able to indicate new direction to develop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of information.

      • KCI등재

        학습양식에 따른 개별화 학습 지원 시스템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신천(ShinCheon Kang),박혜진(HaeJin Park)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2

          그동안 교수ㆍ학습을 개별화하기 위해 많은 교육 관련 연구자 혹은 현장 교사들의 노력이 있었다. 본래 교육은 개인이 지니고 있는 개성이나 특성을 최대한 계발하고 육성시켜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수업은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하고 그에 맞는 적절하고 타당한 교수방법 및 절차를 제시해야할 뿐만 아니라 교수자료를 선택ㆍ평가하는 것을 포괄하여 체제적으로 설계ㆍ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 파악에 소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수업에서 학습자들은 학습 활동에서 다분히 수동적이며, 자신이 선호하는 학습내용이나 학습방법을 선택할 기회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개별화 학습 지원 시스템을 설계ㆍ개발하여 활용하는 것이다.<BR>  이와 같은 취지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개별화 학습 지원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개인차 변인들 중 Felder의 학습양식에 따른 개별화 학습 지원에 국한하였다. 요컨대, 본 논문의 목적은 Felder의 학습양식 따라 개별화된 학습내용과 학습과정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개별화 학습 지원 시스템을 개발ㆍ적용하여 궁극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이 온라인 학습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BR>  본 논문에서는 학습 내용 만족도와 학습과정 만족도로 온라인 학습 만족도를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의 특성분석에 따른 학습내용 및 학습과정의 적응ㆍ처치가 학습자들의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가늠해 봄으로써 적응적 웹 기반 학습 자료의 설계ㆍ개발을 위한 구체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system for supporting an individualized learning on learners" satisfaction by learning style. For this purpose, the learning style verified the effects of the target system on learners" satisfaction about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learning materials.<B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hypotheses were set as follows:<BR>  〈Hypothesis Ⅰ〉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ystem for supporting an individualized learning by learning style and the general web based learning system. 〈Hypothesis Ⅱ〉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system for supporting an individualized learning by learning style and the general web based system.<BR>  For the experiment to verify the hypotheses, 60 of the 5th grade students were sampled from 2 classes of C primary school in Seoul.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he system for supporting an individualized learning and the general web based learning system.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the system for supporting an individualized learning by learning style which was developed for the study about the social subject by the researcher. And the confront group was treated with the general web based learning system which was delivered for prim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social subject by KERIS (EDUNET).<BR>  The target system was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the system for supporting an individualized learning based on the Felder"s learning style. The students were allowed to learn the target system 2 times (40 minutes each time) and then they were asked to answer 14 items measuring the degree of the learning satisfaction. These items consist of 7 items for measuring satisfaction degree of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next 7 items for measuring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materials. To identify the Felder"s learning style, that is the sensing-intuitive style, the visual-verbal style and the active-reflective style, 30 students were tested by the modified learning style inventory of Felder on the system developed by the researcher.<B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BR>  1. 〈Hypothesis Ⅰ〉 was accepted. That is to sa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process between two experiment groups(t=16.86, p<.001).<BR>  2. 〈Hypothesis Ⅱ〉 was accepted. That is to sa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materials between two experiment groups(t=18.83, p<.001).<BR>  In conclusion, the effects of the system for supporting an individualized learning depend on learners" satisfaction, such as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process and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materials, by learning style. In other words,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learning on the web because of the target system based on delivering an adaptive learning materials and an adaptive learning processes based on their learning style.

      • SCOPUSKCI등재

        험지에서의 가변 휠형 무인 자율차량의 자세 제어를 위한 가변 휠의 형상 계획

        임경빈(Kyeong Bin Lim),박석훈(Sukhoon Park),윤용산(Yong San Yoon),이상훈(Sang Hoon Lee),강신천(Shincheon Kang) 대한기계학회 2009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3 No.3

        Hybrid locomotive UGV with actively articulated legs along with wheeled ends has high traversability to travel over rough terrain. The behavior control method was usually adapted for the controlling of the suspension configuration which determines the traversability of the UGV. In this study, we are proposing a method of configuration planning of the legs without any detail geometric data about the terrain. The terrain was estimated by the traces of each wheel and the leg configurations for the desired posture of the vehicle were set up against the constraints of the terrain. Also, an optimal leg configuration was calculated based on the quasi-static stability and power consumption, and plans for the leg behavior were mad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checked by simulations using some off-the-shelf programs, and showed that the orientation control without geometric features of terrains and simplification of the behavior planning for obstacle negotiation were possible.

      • KCI등재후보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강신천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8 No.2

        최근의 테크놀로지 발달과 보급은 교수-학습 환경을 변화시켰으며 교수자와 학습자의 새로운 역할 패러다임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교수-학습 환경의 변화에 적응해 가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생활에 있어서 민감하게 변하고 있지 않는 부분 중의 하나가 ‘책(교과서/참고서/교양도서 등)’을 활용한, 혹은 ‘책’을 통한 교수와 학습이다. 테크놀로지 발전에 비탄력적인 ‘서책형 교재(교과서, 참고서, 일반도서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를 디지털화 하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인쇄인들과 관련 분야의 연구자들에 의해서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교과서나 전자책과 관련한 사회 내·외적인 노력과 궤를 같이하는 이 글의 목적은 ‘전자책’과 ‘전자교과서’의 분분한 개념 정리에 기초하여 ‘전자책’과 ‘전자교과서’의 관계를 설정하고,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을 탐색하고, 전자 교과서의 개발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찾아보는데 있다. 이 글에서 제시된 체제적 개발 접근에 기초한 전자교과서의 개발 모형은 전자책을 포함하여 전자교과서 개발에 실질적인 지침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 글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자교과서의 개발 방향은 실질적인 개발을 위해서 전제되어야할 요인과 해결해야할 문제점들에 대해 시사하고 있다. A recent growth of the technology asks a new role-paradigm for teachers and learners and gives them a change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book and teaching and learning with the book is one of exceptions about these changes of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A study and development for digitalizing the inelastic 'Printed TextBook upon the growth of the technology is tried and performed by publishers and researchers.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grees to these social efforts such as studies and development on the electronic textbook is to establish the connection between e-Book and Electronic TextBook based on making clear the definition of them, to inquiry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m and to propose the desirable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The model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based on the system development approach will give publishers and researchers practical guidelines for developing it systematically. In addition, the proposed the desirable direc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will suggest that they give us some problems to be solved and some components to be presupposed for developing it.

      • KCI등재

        웹 기반 학습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적응적 코칭 피드백 설계원리의 탐색

        강신천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6 No.1

        최근 웹 기반 학습과 관련한 연구가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진행되고 있다. 백영균 (1999)은 웹을 통하여 제공되는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지원하는 사태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자기 교수에 따라 학습하는 형태를 웹 기반 학습으로 정의하고 있다. 웹 상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습 상호작용이다. 즉, 학습자:학습자, 학습자:전문가 (교사), 학습자:시스템(컨텐츠, 프로그램 포함) 등 다양한 상호작용을 어떻게 설계하는가의 문제가 웹 기반 학습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한편, 피드백은 학습자들에게 반응의 정확성에 대하여 제공하는 정보를 말하며(Frayer & Klausmeier, 1971), 오랫동안 수업의 결정적인 요소로 간주되어 왔다. 또한 피드백은 컴퓨터 매개 학습의 정당성을 밝혀 주는 기초로 간주되고 있다(Cronbach, 1977). 웹 기반 학습에서 피드백은 중요한 상호작용의 요소이며, 이를 어떻게 구조화하고 구현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선행 연구가 없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웹 기반 학습의 이론과 전통적 피드백 설계 원리에 기초하여 웹 기반 학습 상호작용으로서 적응적 코칭 피드백 설계 원리를 모색하고, 모색된 원리에 기초하여 대안적 피드백을 설계하였다. 이 글은 웹 기반 학습을 설계·개발하려는 연구자 및 개발자들에게 웹 기반 학습의 구성요소로써 피드백을 어떻게 설계하고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re are many studies that have long been studied by many researchers about Web Based Learning. Baek(1999) defined web based learning that is a learning style such as learner's learning based on self-instruction in terms of using tasks that delivered through the web and supported learner's learning process. Interactions for learning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learning on the web. That is to say, the problem about how to design various interactions such as learner : learner, learner:instructor, learner:system based contents(including contents and program) is a important factor by which quality of web based learning is sometimes determined. Feedback is the information given to students about the correctness of their answers(Frayer & Klausmeier, 1971). And it has long been regarded as a critical component of instruction. It has also been considered a "powerful force" in learning(Glaser & Cooley, 1973), and fundamental to the rationale for computer-assisted instruction(Cronbach, 1977). Feedback is a component of interactions in web based learning. But there are not any prestudy for representing answers about how to organize and develop feedback on the web. Therefore this study extracted some principles for designing adaptive coaching feedback from web based learning theory and the type of traditional feedback and designed adaptive coaching feedback for improving interactions of web based learning. It will provide some guides about how to design and develop feedback as a component of web based learning interaction for researchers and developers to design and develop web base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