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브레이크 패드의 모재강도에 대한 형상 및 제조공정의 영향 연구

        김창석(Changseok Kim),심재환(Jaehwan Shim),배지수(Jisu Bae),현보원(Bowon Hyun) 한국자동차공학회 2019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9 No.5

        The physical properties of brake friction materials vary by shape or manufacturing condition. Futhermore, the shape of the lining is tuned to reduce braking noise. The strength of the friction materials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to prevent breakage and is directly related to braking performance. In this study, a method to check the strength of the friction materials and the effectiveness of each control factor on it is proposed through the evaluation of some cases. Also the results were reverified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hape and contact area of friction materials greatly affects the strength of it.

      • 6세기 전반 신라(新羅)의 대외관계와 백제관(百濟觀)

        김창석 ( Kim Changseok ) 단국사학회 2018 史學志 Vol.57 No.-

        6세기 전반은 신라-백제 군사동맹기의 후반부에 해당하며 552ㆍ3년 동맹이 파기되는 배경과 원인이 배태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신라가 내물왕 이래 고구려의 간섭을 받으면서 그 구속에서 벗어나기 위해 백제의 도움이 필요했고, 백제 역시 광개토왕 이래 고구려의 남진을 저지하기 위한 우군이 절실했으므로 433년 비유왕과 눌지마립간 사이에 군사동맹이 맺어졌다. 그러나 이 동맹은 475년의 漢城함락을 고비로 동요하기 시작했다. 신라는 이 사건으로 인해 백제의 취약성과 고구려의 건재를 목격했던 것이다. 백제의 내정이 불안해지면서 양국 관계는 점차 역전되어 493년 동성왕과 소지마립간 사이에 신라 우위의 혼인동맹이 맺어졌다. 이후 신라는 동남방의 안정과 교역의 이익을 위해 加耶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백제와 대립, 상쟁하였고, 마침내 553년 한강 하류역을 백제로부터 탈취하고 新州를 설치함으로써 120년 동안 이어진 백제와의 우호관계를 끝냈다. Silla needed the help of Baekje to escape from its restraints due to the interference of Goguryeo since the reign of King Naemul. Baekje also desperately needed a ally to prevent Goguryeo from advancing south. As a result, a military alliance was formed between King Biyu and Nulji in 433. However, the alliance began to tremble with the collapse of Hanseong in 475. Silla witnessed the vulnerability of Baekje and the existence of Goguryeo in the wake of the incident.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gradually reversed as the internal affairs of Baekje became unstable. In 493, the Silla-preeminent marriage alliance was established between King Soji and Dongsung. Since then, Silla has advanced to Gaya confederation for stability and the benefit of trade in the southeastern region. In the process, she fought against Baekje. Silla finally ended 120 years of friendly relation with Baekje in 553 by seizing the downstream area of the Han River from Baekje and setting up Sinju, a new province there.

      • 고대 한반도의 통일과 그 현대적 함의

        김창석 ( Kim Changseok )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2023 평화들 PEACES Vol.2 No.1

        통일이란 공통의 역사적 경험과 동질의 문화를 기반으로 형성된 집단이 나뉘어져 있다가 단일한 정치체로 결합하는 것을 가리킨다. 삼국의 주민들은 서로를 같은 민족이라고 의식하지 못했을지 모르나 객관적 실체로서 민족의 모체가 되는 집단으로서 이미 성립되어 있었다. 그런데 신라는 흡수된 백제와 고구려 주민에 대해서 차별 정책을 펼쳤다. 그리고 주로 당나라, 일본과 외교교섭과 문화교류, 교역을 벌임으로써 백제와 고구려가 각기 맺고 있었던 광역의 외교·문화 네트워크를 계승하지 못했다. 따라서 신라의 삼국 통일론은 인정될 수 없고, 현실에서는 발해가 고구려 계승을 자처하며 신라와 병립하는 남북국시기가 펼쳐졌다. 후삼국시기의 궁예는 신라의 전통적인 질서를 파괴하는 데 기여했으나, 이를 대체할 새로운 이념이나 정책은 제시하지 못했다. 견훤은 유능한 군사 지휘관이었고, 대외 관계에 대한 안목이 있어 주변의 여러 국가들과 외교교섭을 벌였다. 그러나 종래의 지배체제를 재정비하거나 군사적 위력을 사용하여 정치ㆍ사회의 혼란을 잠재우려는 태도가 보일 뿐 신질서에 대한 전망을 갖지 못했다. 이에 비해 왕건은 유력한 지방세력을 우대하고 백성들에 대한 수취를 완화하는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정책을 펴고, 유교적 정치체제를 수립하고자 했다. 이는 신라의 골품제적 질서를 넘어서는 것이다. 그리고 중국 중심의 세계관이나 문화관에 매몰되지 않고, 삼국시기 이래의 전통문화를 중시했다. 발해는 요나라에게 멸망당하기 전부터 주민들이 고려로 망명해오기 시작했는데, 멸망 직후에는 왕족과 귀족들이 대거 고려로 흡수되었다. 따라서 왕건의 후삼국 통일이야말로 우리 역사상 최초의 민족 통일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삼국 통합, 후삼국 통일의 경험을 통해서 각 시대가 당면했던 과제를 정확히 인식하고 이것을 해결하려고 노력한 것이 곧 민족 통일이라는 결실로 이어졌음을 발견한다. 생존권 확보, 사회적 정의, 전통문화와 세계문화의 조화와 같은 오늘날의 근본 문제에 대한 인식을 남과 북이 공유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실천해나갈 때 민족의 재통일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Unification is that groups formed based on common historical experiences and homogeneous cultures are divided and then combined into a single political body. The residents of the Three Kingdoms may not have recognized each other as the same nation, but it was already established as an objective entity and a group that became the original form of a nation. However, Silla implemented a policy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absorbed Baekje and Koguryeo residents. In addition, it was not able to inherit the wide-area diplomatic and cultural networks that Baekje and Koguryeo had. Therefore,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cannot be acknowledged, and in reality, Parhae claimed to be a successor to Koguryeo and developed a period of South and North states. Gungye contributed to the destruction of Silla’s traditional order, but failed to present any new ideology or policy to replace it. Gyeonhwon was a competent military commander and had an eye for foreign relations, so he engaged in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various countries. However, there was no prospect of a new order, only an attitude to calm political and social confusion by reorganizing the existing governance system or using military power.

      • KCI등재

        부여 쌍북리(雙北里) 출토 목간(木簡)을 통해 본 사비도성(泗沘都城)의 관부(官府) 공간과 유교(儒敎)

        김창석 ( Changseok Kim ) 백제학회 2020 백제학보 Vol.0 No.32

        경전과 史書를 통해 유교의 지식 또는 교양을 직접 접할 수 있는 백제인은 사비도성 주민, 그 가운데서도 지배층에 국한되었다. 지방에서 유교경전이 유통되고 교육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 원천은 王都의 太學에서, 혹은 家學을 통해 교육받은 관료들이었으며, 그 중 일부가 地方官으로 파견되면서 유교 지식이 지방으로 확산될 수 있는 통로가 열렸다. 쌍북리 328-2번지 유적에서 출토된 九九段이 적힌 목간은 구구단을 참조할 뿐 아니라 어떤 도면을 그리거나 구조물의 각도를 잴 때 사용되었다고 보인다. 숙달된 전문가가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요소가 확인된다. 사비한옥마을 부지에서 발견된 論語木簡은 학습자가 『논어』의 내용을 自習하기 위해 연습 삼아 적었거나 교육용으로 특별히 제작된 교재를 베껴 적은 것이라 여겨진다. 목간 작성자가 관료였다면 漢文 문장 학습을 넘어 유교의 윤리와 덕목을 이해하고 이를 體化하여 실천하려는 목적까지 갖고 있었다고 보인다. 쌍북리 출토 목간을 통해 볼 때, 부여여고 ~ 현내들에 이르는 지역에 일부 官府와 관련 시설이 있었다. 그 북쪽 ~ 328-2번지 부근은 物流와 관련된 시설이나 이를 지원하는 수공업 工房이 들어서 있었다고 보인다. 이들은 부여여고 ~ 현내들의 공간에 있는 本 관부의 屬司이거나 부속 시설이었으며 일종의 파견 分所 기능을 수행했을 것이다. The people of Baekje, who had direct access to Confucian knowledge or culture through scriptures and history books, were limited to the people of Capital city of Sabi 泗沘都城, among them to the ruling class. It is possible that the Confucian scriptures were distributed and educated in the provinces, but the sources were officials who were educated in Taehak 太學 or through the home schooling, and some of them were dispatched to the district, paving the way for the spread of Confucian knowledge to the provinces. A Mokkan 木簡 having the multiplication table excavated from the site of 328-2 Ssangbuk-ri was used not only to calculate but also to draw a drawing or to measure the angle of the structure. It is convenient for skilled professionals to use in the field. On the other Mokkan found in the same village, the learners wrote down the content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論語 for practice or copied textbooks of it. If the writer was a bureaucrat, he could have understood the ethics and virtues of Confucianism and practiced them. From the Mookan materials of Ssangbuk-ri, there were some Government offices and related facilities in areas ranging from Buyeo Girls' High School to Hyeonnaedeul. It appears that from the north of it to 328-2 site had facilities related to the material flow or handicraft manufacturing supporting it. These were the annexes of the main government offices in the former space and would have performed a function of a sort of contingent.

      • KCI등재

        한국 고대의 輸役과 漕運 -船家의 출현 배경과 관련하여-

        김창석(Changseok Kim)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1 동서인문 Vol.- No.17

        수취품의 運送은 교통수단이 미비한 고대사회에서 재정 수입과 지출의 성패를 가름 짓는 관건의 하나였다. 한국 고대국가에서 수취품을 납부처까지 운송해야 하는 輸役은 납부자가 요역의 일부로서 감당했다. 수취품이 이송되는 과정은 몇 단계로 나눠볼 수 있다. 1차 운송은 주민의 거처로부터 각 지역 단위의 정해진 행정 治所까지, 2차는 이 치소로부터 도성의 경계까지, 3차는 경계 지점으로부터 도성의 최종 보관처까지이다. 수레나 선박을 이용한 대규모 수송은 국가 차원에서 지원이 이뤄졌고 지방의 행정력이 이를 보조했다. 人力으로 짐을 나르는 모습과 방식은 신라의 土偶에 구체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선박 유물은 신석기시대의 통나무배로부터 신라의 准構造船까지 출토되었으며, 울산광역시 川前里 刻石에서는 수취품으로 보이는 물건을 일정한 분량씩 포장한 화물을 실은 帆船이 확인된다. 이러한 造船術과 항해술의 발전이 조운제 성립의 초석이 되었다. 경기도 하남시 船洞에서 발견된 명문와를 통해서, 신라 중·하대에 국가의 통제 아래 水運을 이용하여 물자를 수송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곳에 蟹口라는 포구가 있었고, 국가 시설인 船家(船宇)가 주요 물자를 배에 실어 날랐다고 보인다. 이는 漕運制度가 시행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신라에서 수취품을 水運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양상은 문헌상으로 中古期 이전부터 확인되는데, 船府가 설립된 문무왕 18년(678)을 조운제 성립의 획기로 잡을 수 있다. Transportion of collected goods was key to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fiscal income and expenditure in ancient societies, including ancient Korea. The payer was then obligated to transport the goods to the place of payment and storage. Large-scale transportation using carts or ships was supported at the national level and assisted by local administrative power. The means by which humans transported goods are represented by Silla"s clay icons. Excavations of ship relics range from log boats in the Neolithic period to structured ships under Silla. At the Petroglyphs site in Cheonjeon-ri, Ulsan Metropolitan City, a sailing ship carrying a certain amount of cargo that seemed to serve as tax has been identified. Such a development of shipbuilding and navigation techniques was the cornerstone of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system for transporting goods by ship. In Seon-dong, Hanam-si, Gyeonggi-do, Unified Silla roof tiles bearing the characters ‘水運’ were found, showing that goods for tax were transported using waterborne transport under state control. There was a port called Haegu (蟹口) and the national facility Seonga (船家) carried major supplies on board. This means that the transportation system was implemented at the national level. The 18th year of King Munmu"s reign (678) when Seon-bu (船府) was established can be seen as a pivotal year for the establishment of this waterborne transportation system.

      • KCI등재

        포항 중성리비의 ‘宮’과 상고기 신라의 地域支配

        金昌錫(Kim, Changseok)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6

        포항 중성리비에 나오는 宮에 관해서 종래 다기한 이해가 제시되었다. 그 이유는 궁의 문제가 분쟁의 당사자가 누구이고 어떤 성격의 존재이기에 이처럼 다수의 인원이 동원되었고, 그 해결을 위해 복잡한 절차를 밟았는가 하는 분쟁의 본질 문제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중성리비의 기록을 통해서 豆智沙干支宮과 日夫智宮이 牟旦伐喙의 作民을 빼앗아 분쟁이 일어났고 중앙의 고위층이 이를 환원하도록 판결하였으며, 패소한 두지사간지의 使人이 이 조치를 수용하는 구두 선언을 했고 이상의 과정을 典書가 문자로 기록했으며, 다시 이상의 전체 내용을 沙喙의 인물이 구두로 포고했음을 알 수 있다. 두지사간지궁과 일부지궁은 훼부 혹은 사훼부의 유력자인 두지사간지와 일부지가 소유한 궁을 가리킨다. 지역 정치체의 首長이 살던 居所가 그 원형이며, 궁은 점차 생산 활동에도 간여하게 되었다. 3세기 후반~5세기에 모단벌훼가 흥해 지역에 진출했다. 그 부장이 경주에 거처하면서 奈蘇毒只 등 5개 촌락에 사는 주민의 일부를 작민으로 사역했다. 이를 탈취한 두지사간지와 일부지의 궁 역시 중앙에 있으면서 果西牟利라는 대리인을 보내 생산을 감독했다. 왕권은 部 혹은 부의 유력자를 통해 지역에 대한 지배와 수취를 공유하는 한편 중심 촌락에 道使를 파견하여 직접 통치를 시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촌락의 수장을 아직 村主化시키지 못했고, 이로 인해서 작민은 중앙의 宮과 현지 首長에게 兩屬되어 있었다. Various kinds of understanding were presented about Goong 宮 in Pohang Joongseong-li Stele. The reason is that the Goong problem is linked to the nature of the conflict in this Stele. The contents of the Stele show that the conflict took place by Dooji Saganji Goong 豆智沙干支宮 and Illbuji Goong’s 日夫智宮 taking away the labors 作民 of Modanbeolhwe 牟旦伐喙. A high-ranking members of the Capital decided to give it back, and a subject of the defeated made a verbal declaration accepting the verdict. The above process was written in letters by Jeonseo 典書, and again the person of Sahwe 沙喙 presented the whole story verbally. Dooji Saganji Goong and Illbuji Goong refer to the palace or mansion owned by them, the leading figures of the Hwe or Sahwe. The living quarter of whom was the chief of a polity was its prototype. Goong gradually became involved in production activities. In the second half of the 3rd. C. and 5th. C., Modanbeolhwe entered the region of Heunghae 興海. As the chief living in the Capital, he put some of the residents in 5 villages, including Nasodokji 奈蘇毒只 to work. Goongs of the 2 influentials were also in the Capital and sent a representative named Gwaseomori 果西牟利 to supervise the production. The Royal Authority shared control and receipt of the region through a powerful person of wealth and attempted direct rule by dispatching Dohsa 道使 to a central village. Nevertheless, the village’s heads had not yet been dominated, resulting in the labors being held in the hands of Goong and the local chief.

      • KCI등재

        7세기 신라 州의 성격 변화와 수취-명주(溟州)와 삭주(朔州)를 중심으로-

        김창석 ( Kim Changseok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7 백제문화 Vol.0 No.56

        강원도 평창에서 발견된 銘文자료에 `水多寺`가 나와서 慈藏律師가 北小京에 건립한 사찰이 강릉이 아니라 평창에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639년에 설치된 북소경은 강릉, 평창을 포괄한 광역의 행정구역이었으며 그 治所가 강릉에 있었다. 북소경이 성장하여 溟州가 되었으므로 명주는 中古期말에 이미 광역화의 길을 걷기 시작한 것이다. 朔州의 원형은 牛首州였다. 637년 우수주가 처음 설치되었을 때는 停군단의 주둔지로서 지역 거점에 불과했다. 그리고 그 군단은 比列忽, 達忽을 거쳐 이동한 것이어서, 춘천-안변-고성이 같은 방어 권역에 속했다. 진흥왕 때 장악한 영서지역의 교통로와 추가령구조곡이 연결되어 568년 황초령, 마운령까지 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교통 상황을 기반으로 하여 673년에 우수주는 광역주로 개편되었다. 이밖에 7개의 주는 처한 여건에 따라 각기 다른 변천 양상을 보였을 것이다. 명주와 삭주, 그리고 부분적으로 살펴본 上州(尙州), 下州(康州)의 경우 이주한 王京人에게 물자를 공급하고 주둔 병력에 군수품 조달을 원활히 하기 위한 목적이 광역화의 계기 가운데 하나였다. 즉 광역주 출현의 배경에 수취품의 취합과 운송, 그리고 교통로의 문제가 자리 잡고 있었다. 신라는 중고기 말부터 수취를 중심으로 한 국가 차원의 물자유통을 고려하여 지역 거점을 廣域州로 바꿔나갔고, 전통적으로 활용되던 교통로를 고려하여 주의 영역을 설정했다. 광역주가 성립함으로써 州治가 예하의 행정 단위와 유기적 관계를 맺고 관내에서 행정 · 경제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was formed and run on a connection with the way of a collecting taxes in Silla. As the feature and the range of the local district changes, a structure of tax collecting system and the way of transportation of it varied. In Silla society, Myeong-ju was turned into the Ju of wide area(廣域州) from a local base in 637, which occurred for Sak-ju in 673. It was due to the condition of a traffic route and a military supplies. The general understanding on this change was that 9 Jues were established as a wide area district after the war of Three Kingdom`s unification. However, it is unreasonable to review 9 Jues, in total. Some Jues having changed their traits before that time, others need to be studied separately, afterwards.

      • KCI등재

        한국 고대 國王文書의 기초 검토 -국내용 문서의 사례와 기원-

        金昌錫(Changseok Kim) 한국목간학회 2021 목간과 문자 Vol.- No.27

        이 글은 王言과 국왕문서의 개념과 범주를 제시하고, 그 기준에 맞는 자료를 현전하는 資料群에서 추출해내는 작업을 일차적 목표로 삼았다. 이는 금석문과 편찬사료에 채록된 1차 자료를 분리하여 확보함으로써 그 원형을 복원할 수 있는 단서를 마련한다는 의미가 있다. 한국 고대 국왕문서 중 국내용으로 사용된 것으로는 令, 命, 書, 敎, 祭文, 遺詔가 확인된다. 令은 사면, 인재 천거에, 命은 진대법 실시, 국가 제사시설의 건립과 수리에 사용된 예가 있다. 敎는 국가의 주요 정책이나 기본질서와 관련된 조치를 발포할 때 사용되었고, 祭文과 遺詔는 신라 중대 이후의 것이 확인된다. 敎 문서가 고구려를 통해 한국 고대국가로 수용되기 전에 ‘書’라고 불린 국왕문서가 있었다. ‘서’는 古朝鮮, 三韓 시기부터 확인되며, 대외교섭용 문서였다가 점차 국내 정무용으로 기능이 확대되었다. 2세기 중엽敎, 令 문서가 국왕문서로서 제도화되자 書는 그보다 하위의 서신 혹은 대등국 사이의 외교문서로 용도가 달라졌다. 제사용 왕언과 국왕의 유언은 삼국 초기부터 보이지만 이때는 口頭로 전달되었으며, 어느 시기부터인가 문서화가 이뤄졌다. 下代의 국왕문서로는 이밖에 사치금지 교서, 승려에게 보낸 서신 등이 보인다. The primary goal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royal documents and to extract data that meet the standards from existing materials. Among the ancient documents of the king of Korea, Ordinances 令, Orders 命, Letters 書, Instructions 敎, Ritual documents 祭文, Will documents 遺詔 were used for domestic use. Before the system of Instructions 敎 was accepted through Koguryeo, there was a king document called “Letters 書”. “Seo” has been confirmed since Old Choseon and Three Han’s period, which were documents for foreign negotiations. But gradually expanded to domestic political affairs. In the middle of the 2nd century, when the Instructions 敎 and Ordinances 令 were institutionalized as royal document, the “Letters 書” were changed in use as lower letters or diplomatic documents between the equal countries. The king’s Ritual documents(祭文) and Will documents(遺詔) appear from the beginning of the Three Kingdoms, but at this time, it seems to have been made up of words. At some point, documentation took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