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비례의 원칙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강승식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11 世界憲法硏究 Vol.17 No.2

        헌법국가에서 기본권은 무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일정한 제한을 받는다. 공동체에서 개인은 타인과 지속적인 이해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개인에게 보장되는 기본권도 타인의 기본권이나 공익에 의해 일정한 영향을 받는다. 이렇게 보면 기본권 보장은 곧 기본권 제한이며, 기본권 제한은 개방적인 기본권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정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비례의 원칙은 기본권이나 인권을 제한하는 법률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보편적인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 원칙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심사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기본권을 제한하는 법률의 목적은 기본권 제한을 정당화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것이어야 한다(공익성). 둘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권 제한, 즉 수단은 목적을 달성하는데 적합하여야 한다(적합성). 셋째, 수단은 기본권 주체에게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어야 한다(불가피성). 넷째, 기본권 제한으로 침해되는 사익은 기본권 제한으로 달성되는 공익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엄격한 의미에서의 비례성 또는 균형성). 비례의 원칙의 네 가지 심사 항목을 살펴보면 기본권은 공익과 형량될 수 있으며, 심지어 공익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는 것을 기본 관점으로 하고 있다. 달리 말하자면 의회는 다수의 이익을 뜻하는 공익을 이유로 소수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이 비례의 원칙의 기본 관점이다. 이렇게 보면 헌법재판 과정에서 의회의 기본권 제한과 의회가 제시하는 공익을 존중하는 것은 헌법재판의 민주적 정당성을 높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기본권 제한에 대한 위헌 여부 판단은 강한 정책적 성격을 띠고 있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사법부는 의회의 기본권 제한을 심사함에 있어서 당해 기본권 제한이 헌법실체법적 한계를 벗어나지 않았다는 의회의 판단이 과연 합리적인 것인지 아니면 명백한 오류인지 여부만을 심사해야 하며, 사법부가 이런 의회의 판단에 동의하는지 여부로까지 심사 범위를 확대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Whether any given activity is within an open-ended basic right’s guarantee, the basic rights must undergo a process of delimitation. Through this process, its scope and content is constructed. Most domestic constitutions and international charters of rights make explicit the necessity for a process of limitation. They do so by way of a limitation clause that sets out the conditions according to which the limitation of basic rights will be assessed. Proportionality test is acknowledged as a universal criterion of constitutionality and an essential, unavoidable part of basic rights. It proceeds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ur inquiries. First, the objective of the legislation setting out the limitation must be of sufficient importance to warrant infringing a right. Second, the means in the serve of the objective should be rationally connected to the objective. Third, the means should impair the right as little as possible. Fourth, the deleterious effects on the right should be proportional to the public interest’s beneficial effects. Proportionality test presuppose that basic rights be balanced against, and overridable by public interests. From the viewpoint of this, the legislature must be granted a power to restrict basic rights when they conflict with, and are outweighed by, certain public objectives. So, limiting basic rights by legislature has a strong democratic legitimacy and bolsters the role of majoritarian decision making about basic rights. For these reasons, the democratic justification of limiting basic rights applies more strongly to the legislature. Accordingly, it vehemently suggest that the judiciary exercising constitutional adjudication powers must review is whether the legislative judgment that the constitutional criteria for limiting basic rights have been satisfied is a reasonable one, and not whether the judiciary consent to it.

      • 이른바 “헌법의 보편화” 주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강승식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硏究 Vol.28 No.4

        근래에 들어 여러 법학자들은 특정한 국가의 헌법학이 다른 국가의 헌법학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해왔다. 이들 중 일부는 특정한 국가의 헌법학은 지구촌에서 고립된 국가를 제외한 다른 국가의 헌법학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구체적으로 헌법제도나 헌법학은 폐쇄적이고 상호배타적인 존재가 아니며, 따라서 법관이나 다른 정책결정권자는 외국 헌법학으로부터 시사점을 찾거나 아니면 최소한 외국의 헌법규범이나 헌법현실로부터 일정한 영향을 받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본다. 이런 관점에서 세계 각국의 헌법학은 상호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점점 유사해지고, 이런 과정을 거쳐 결국에는 헌법의 보편화가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헌법의 보편화를 주장하는 견해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경험적인 측면에서 헌법의 보편화가 실제로 발생하고 있는 것인지, 다른 말로 헌법의 보편화를 주장하는 논거가 단순한 추정에서 비롯된 것인지 아니면 과학적 근거에 입각한 것인지가 불분명하다. 예컨대 불과 몇 십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러시아와 중국을 비롯한 여러 공산주의국가들은 권위주의적 통치를 자행했다. 또한 특정한 부분에서는 헌법의 보편화가 발생했지만 다른 부분에서는 오히려 헌법의 다양화가 발생하여 결과적으로는 헌법의 다양화로 귀결되었다고 볼 여지도 있다. 이렇게 보면 헌법의 보편화에 대한 일관된 패턴이 존재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글에서는 헌법의 보편화를 주장하는 입장에서 제시하는 여러 가지 헌법의 보편화 경로를 살펴보고 이를 비판적인 관점에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These days constitutional scholars around the world have referred to the ways in which constitutional law in one country affects the advancement of constitutional law in another country. Supporters of the constitutional similarity argue that the constitutional law of one state unavoidably influences constitutional law in other states except nations that are already isolated from the world community. The society for constitutional law should be open to new ways of working. Judges, politicians and constitutional scholars can seek implication in the constitutional experiences of foreign countries. Constitutionalists who take this position are apt to think that constitutions not only influence each other but also become more similar and end up generalizing. But the argument for the constitutional similarity poses a number of questions. The major question is that it is unknown exactly whether similarity is really taking place. For example, after World War II communism gained currency in Europe and Asia. Also certain types of similarity throughout micro level have been cancelled by other types of new or continuous difference. In this sense, there is no systematic pattern of constitutional similarity. In this paper, I give an explanation to some routes to constitutional similarity and rightly criticize their normative importance.

      • KCI등재

        Coreference Resolution을 위한 3인칭 대명사의 선행사 결정 규칙

        강승식,윤보현,우종우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1 No.2

        When we extract a representative term from text for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or a special information for information retrieval and text mining system, we often need to solve the anaphora resolution problem. The antecedent decision problem of a pronoun is one of the major issues for anaphora resolution. In this paper, we are suggesting a method of deciding an antecedent of the third personal pronouns, such as "he/she/they" to analyze the contents of documents precisely. Generally, the antecedent of the third personal pronouns seem to be the subject of the current statement or previous statement, and also it occasionally happens more than twic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we have found rules for deciding an antecedent, by investigating a case of being an antecedent from the personal pronouns, which appears in the current statement and the previous statements. Since the heuristic rule differs on the case of the third personal pronouns, we described it as subjective case, objective case, and possessive case based on the case of the pronouns. We collected 300 sentences that include a pronoun from the newspaper articles on political issues. The result of our experiment shows that the recall and precision ratio on deciding the antecedent of the third personal pronouns are 79.0% and 86.8%, respectively.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 문서의 내용을 대표하는 용어를 추출하거나 정보 추출 및 텍스트 마이닝에서 특정 정보만을 추출하려면 고유명사에 대한 대용어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대용어 해소 문제는 인칭 명사에 대한 대명사의 선행사 결정 문제가 대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에서 문서의 내용을 보다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 3인칭 대명사 "그/그녀/그들/그녀들"의 선행사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3인칭 대명사의 선행사는 현재 문장 또는 이전 문장의 주어인 경우가 많고, 또한 3인칭 대명사가 2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현재 문장과 이전 문장에 출현한 인칭 명사들 중에서 선행사로 사용되는 경우를 조사하여 선행사 결정 규칙을 발견하였다. 이 경험 규칙은 3인칭 대명사의 격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 대명사의 격에 따라 주격, 목적격, 소유격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신문 기사의 정치 관련 문서에서 대명사의 격에 따라 100개씩 총 300개의 실험 대상을 선정하였으며, 실험 결과로 3인칭 대명사의 선행사 결정 정확도는 재현율이 79.0%, 정확률이 86.8%로 나타났다.

      • KCI등재

        Word Similarity Calculation by Using the Edit Distance Metrics with Consonant Normalization

        강승식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Vol.11 No.4

        Edit distance metrics are widely used for many applications such as string comparison and spelling error corrections. Hamming distance is a metric for two equal length strings and Damerau-Levenshtein distance is a well-known metrics for making spelling corrections through string-to-string comparison. Previous distance metrics seems to be appropriate for alphabetic languages like English and European languages. However, the conventional edit distance criterion is not the best method for agglutinative languages like Korean. The reason is that two or more letter units make a Korean character, which is called as a syllable. This mechanism of syllable-based word construction in the Korean language causes an edit distance calculation to be inefficient. As such, we have explored a new edit distance method by using consonant normalization and the normalization factor.

      • KCI등재후보

        반대통령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강승식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서울법학 Vol.20 No.2

        Semi-presidential system is generally viewed as a governmental system in which there is both a directly elected president and a prime minister who is responsible to the legislature. Many countries, such as France and Russia choose a semi-presidential system as their system of government. France is probably the world's best-known model for semi-presidential system and it’s experience contrast sharply with that of Russia. The Russian system is unfavorable for fostering and maintaining a democratic nation. Due to the weak party system in Russia, the balance of executive power between the president and the prime overwhelmingly favors the president, allowing the former to rule as a dictator, without control of the latter or the legislature. On the other hand, because of institutionalizing a strong party system, the French semi-presidential system is a flexible system which respect the checks and balances of power between the branches. Futhermore the French president constitutionally is not able to dismiss the prime minister. So he has no choice but to depend to more democratic processes of conflict resolution, instead of peremptorily ruling the country. Finally, I think that two requirements for operating semi-presidential system must be met: there must be a stable party system and the constitutional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president and the prime minister or between the president and the legislature. 일반적으로 반대통령제는 국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대통령과 의회에 책임을 지는 수상이 동시에 존재하는 정부형태를 말한다. 반대통령제는 그것이 가장 모범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프랑스 외에 1990년대 이후 동유럽의 신생 민주주의국가들의 정부형태로 기능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반대통령제 중 수상-대통령형의 대표국가라고 할 수 있는 프랑스와 대통령-의회형의 대표국가라고 할 수 있는 러시아의 반대통령제를 살펴본다. 러시아의 대통령-의회형 반대통령제는 민주주의의 안정적 운용에 유용한 정부형태라고 보기는 어렵다. 정당제도가 불안정하고 대통령이 수상을 해임할 수 있는 러시아의 경우, 행정부의 권한이 지나치게 대통령에게 집중됨에 따라 대통령은 수상이나 의회의 견제를 거의 받지 않고 입헌독재의 길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안정된 정당제도를 기반으로 한 프랑스의 수상-대통령형 반대통령제는 대통령과 수상이나 의회의 권한관계가 유동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예컨대 대통령에게 헌법상 수상해임권이 주어지지 않음에 따라 동거정부가 출현하는 경우에는 정치적 갈등이 대통령의 의사보다는 의회절차라는 민주적인 방식으로 해결된다. 이런 점에서 프랑스 반대통령제는 상당히 탄력적으로 민주주의를 운용할 여지를 남긴다. 결론적으로 프랑스와 러시아의 경험에 비추어 반대통령제는 안정된 정당제도가 확립되고 대통령-수상-의회의 헌법상 권한관계가 대등한 경우에 성공적으로 운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정당제도와 권력분립

        강승식 미국헌법학회 2019 美國憲法硏究 Vol.30 No.2

        Separation of powers refers to the separation of the Executive, the Legislature and the Judiciary, with none of the three branches of government able to exercise total power. It is a model for the governance of democratic states. But it is inappropriate to entirely focus on the constitutional arrangements on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Executive and the Legislature in discussing on the separation of powers. The classical concept of institutional competition and separated powers among the three branches of government has been partly changed by the subsequent, unexpected appearance of the modern political party system. The consequence is that the substantive diffusion or concentration of power between the executive and legislative branches is mostly the results of the election. For instance, in Presidential system, when the same party wins both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congressional election, unified government resembling parliamentary system appears, in spite of the formal separation of the two branches. On the other hand, where different parties dominate the two branches, divided government that realize institutional checks and balances is coming out. In any case, fusing or dividing power significantly depends on the political party and electoral systems in modern times. For example, generally speaking, a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oral system results in a multiparty system. It make it harder for the ruling political parties to occupy a majority in the legislature. On the other hand, majoritarian electral system tends to cause a two party system. The same institutional system of regime type can operate quite differently in terms of unified or divided government in compliance with the electoral system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 will consider at the circumstance under majoritarian/two-party systems and then under proportional representation/multiparty systems to prove how the same set of constitutional arrangements can have quite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electoral outcomes. 일반적으로 권력분립은 국가 권력을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으로 분할하고, 이들 권력을 각각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에게 부여한다는 헌법 원리를 말한다. 여기서 보듯 고전적인 의미의 권력분립은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즉 헌법기관 간의 권한 관계를 전제한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정당이 본격적으로 정치 현실에 편입되면서 고전적 의미의 권력분립은 더 이상 그 원형을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즉 의원내각제, 반대통령제, 대통령제 등 정부형태를 불문하고 각 부 간의 권한 관계는 헌법 규정보다는 정당제도와 선거제도에 실질적으로 좌우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입법부와 행정부의 상호 독립을 특징으로 하는 대통령제의 경우에도 대통령 소속 정당이 의회 다수를 차지하는 이른 바 ‘단일 정부’(unified government)가 출현한 경우에는 마치 의원내각제와 같이 입법권과 행정권이 융합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대통령제가 지향하는 권력의 분산이나 견제와 균형은 대통령 소속 정당이 의회 다수를 차지하지 못하는 이른 바 ‘분할 정부’(divided government)가 출현한 때에 본격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정당제도와 선거제도가 권력분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는 것은 특정한 선거제도로 인해 어떤 정당제도가 형성되는지, 그리고 이런 정치 환경에서는 권력이 융합되는지 아니면 분산되는 지를 검토한다는 것을 뜻한다. 예컨대 특별한 변수가 존재하지 않는 한, 비례대표제는 다당제를 유발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리고 다당제는 행정부를 구성하는 정당이 의회 다수를 점하는 단일 정부의 출현을 어렵게 한다. 이는 의원내각제, 반대통령제, 대통령제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이다. 그에 따라 예컨대 어떤 대통령제 국가가 의회 선거제도로 다수대표제, 소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를 병행하는 제도를 취한다면, 비례대표제를 병행하는 범위만큼 다당제가 출현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는 곧 분할 정부와 권력 분산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반면 미국 대통령제와 같이 의회 선거제도로 다수대표제, 소선거구제만을 채용하는 대통령제 국가의 경우에는 양당제의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단일 정부와 권력 융합의 가능성이 커진다. 다른 정부형태의 경우에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결국 오늘날 정당 국가 현실에서 입법부와 행정부의 권한 관계에만 초점을 맞춘 권력 분립 논의는 자칫 공허할 수 있다고 본다. 즉 헌법상 입법부와 행정부의 권한은 어떠한지, 그리고 각 부가 가지고 있는 다른 부에 대한 견제권은 무엇인지에만 집중하는 것은 문제의 본질을 외면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대표적 정부형태인 의원내각제, 반대통령제, 대통령제를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정부형태에서도 어떤 정당제도와 선거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 권력이 융합되거나 분산되는 정도가 달라진다는 점을 논증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헌법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가치는 과연 무엇인가? ―독일과 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姜勝植 한국공법학회 2005 공법연구 Vol.34 No.1

        Germany and America are among the world's strongest constitutional democracies. But while America has remained committed to individual liberty as its core constitutional value, Germany has chosen human dignity rather than individual liberty as the essence of its constitutional order. This article compares the German emphasis on human dignity with American reliance on individual liberty through each country's leading abortion cases. The abortion cases are an excellent tool for this comparison because the abortion debate highlight a moral dilemma between preserving the fetus's right to life and recognizing the woman's freedom of choice. The particular balance struck in each country between individual liberty and human dignity makes sense in light of the events immediately preceding the drafting of each nation's constitution. Responding to the oppressive English political system, the Framers in the U.S. Constitution decided to build their government on maximizing individual liberty and limiting state power. Conversely, the memory of the Nazi Germany's total disregard for the sanctity of human life makes the framers of German Basic Law place the human dignity at the top of constitutional value structure. According to each country's constitutional order of value, Germany's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has held that the unborn child's human dignity ultimately trumps the competing rights of the pregnant woman. Meanwhile, in America's abortion cases, the U.S.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the woman's liberty interest predominates over the fetus's potential life. But these two high courts clearly recognized the need to respect and balance both individual liberty and human dignity. However, it is doubtful a full convergence will take place anytime soon, because the two countries have opposite viewpoints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human dignity and individual liber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