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학집(靑鶴集)』 내(內) 한시(漢詩)의 두 국면(局面)

        강동석 ( Kang Dongseok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7 국제어문 Vol.0 No.73

        본고는 조선후기 도교서인 『청학집』 내 한시를 중심으로 당대 도교인의 내면을 살펴본 데 목적을 둔 글이다. 『청학집』에는 중국 명나라 말기의 문헌인 『山堂肆考』나, 조선 후기의 문헌 『淸江先生?鯖?語』 와 글자의 출입이 거의 없을 정도로 비슷한가 하면, 저자가 실존인물인가 하는 문제, 창작 당시의 연호의 표기 문제 등 여러 방면의 문제점에 노출되어 僞書로 보인다. 그러나 史料로서의 가치가 아닌 사상사와 문학사적 관점에서 본다면 진위여부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즉 한국한문학에서의 도교서가 적다는 점, 도교인의 한시또한 소량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 등 자료의 희귀성과 더불어 『청학집』 내의 한시에 도교인의 사상이 잘 녹아 나타난 점 등이 도교인의 내면을 살필 수 있는 자료로서는 가치가 충분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청학집』 내의 한시에는 유자에 대한 경계의 시, 선계에 대한 동경과 지향, 미래를 예언한 시 등이 눈에 띈다. 도교인들은 당대 주류가 아니었다. 따라서 열린 세계가 아닌 닫힌 세계에서 보는 관점은 유자에 대한 경계를 비롯하여 애면글면 삶을 지향하는 방식보다는 마음이 편안한 선계에 관심이 있었음은 자명하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한국도교인의 시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경세제민을 표출한 시들이 상당 수 있음이 확인 된다. 물론 사상이란 인간의 삶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깊게 들어가면 같은 말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표면적으로는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청학집』 내에는 임진왜란이라는 실제 국내 사건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도 하고, 어려운 백성들을 돕고자 하는 경세포부를 드러낸 점 등이 중국의 정통 도교와는 차별화된 한국문화에 흡수된 사상적 조류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written the poet in the 『ChungHakjip』. 『ChungHakjip』 is little enough similar, the Chinese literature of the late Ming(明) 『Sandangsago(山堂肆考)』 or late Joseon literature 『ChunkangSunsaeng HuchungSwaeeo(淸江先生???語)』. But 『ChungHakjip』 is worthy of study. First of all, poet in the 『cheonghakjip』 event of the boundary for the Confucian scholar, longing and yearning for the orientation, predicted for the future. Taoism is not the mainstream. Thus, open the world is not closed in the world view toward doing struggling with all one´s might, including criticism of the remaining life to feel comfortable rather than the real world. Meanwhile, when there are other poems indicated the gyeongsejemin(經世濟民). It has a surface similar to those Confucian scholars who Oriented reality. Orthodox religion is somewhat distance. Especially one actively involved in the actual event of Imjin War, helping people who have a difficult point, that only seen in Korea Taoism.

      • Half-rate 믹서 기반 위상검출기의 구현

        강동석(Dongseok Kang),진자훈(Jahoon Jin),전정훈(Jung-Hoon Chun) 대한전자공학회 2018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6

        A half-rate mixer-type linear phase detector is described. Proposed phase detector reduces dead-zone, and achieves broader linear-range in high data rate. Implemented in a 28-nm process, the proposed phase detector expanded its bandwidth up to 40 Gbps which is 200% wider than the bandwidth of the conventional linear phase detector.

      • KCI등재

        강화도 지석묘 사회의 형성과 발전 과정 재고 : 지석묘, 주거지, 경관 해석을 중심으로

        강동석(Kang, Dongseok)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1

        본고에서는 강화도 지석묘군의 구조와 최근 조사된 주거유적을 재검토하고, 대형 탁자식지석묘의 경관 해석을 통해 강화도 지석묘 사회의 형성과 전개, 지역사회로서의 발전 과정과 유지 전략 등을 새롭게 고찰해 보았다. 강화도 지석묘군은 지석묘의 형식 구성과 배치 구조에 따라 세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유형들은 대동강·재령강유역의 지석묘 군집과 매우 유사한 구조적 특징을 보이며, 서북한지역의 가장 이른 단계부터 늦은 단계에 나타나는 유형에 속한다. 이는 양 지역의 지석묘가 동일한 문화적 전통을 가지고 있었으며, 강화도 지석묘 사회가 단순히 각형토기문화의 확산과 유입이 아닌 직접적인 이주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최근 강화도에서 조사된 각형토기문화와 역삼동·흔암리유형은 지석묘 사회 발전 과정의 역동성을 보여 준다. 그 전개 양상을 살펴보면, 청동기시대 전기 전엽에 각형토기문화를 기반으로 한 공동체가 강화도에 먼저 정주하였고, 전기 중엽에는 이들과 역삼동·흔암리유형의 단위공동체가 공존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들의 주거공간이 분리되어 있고, 문화접변 양상을 찾아볼 수 없는점으로 보아, 상호 배타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고 본다. 이후 각형토기문화 공동체는 지석묘를 매개로 복합화 과정을 거치면서 강화도 내 역삼동·흔암리유형 세력을 통합하는 한편, 내륙으로부터 이들의 유입을 차단하며 지역적 차원의 정치체로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역사회로의 발전 과정에서 대형 탁자식지석묘의 경관은 공동체를 유지·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대형 지석묘의 축조 지점과 가시 권역은 내륙과 접하는 경계 지점에 해당한다. 이는 대외적으로 지역공동체의 점유 영역을 직·간접적으로 표현하고, 정체성을 강화하려는경관 조성 전략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한편 부근리지석묘에 대한 매개중심성 분석 결과, 사회네트워크 조직 내에서 정보를 통제하거나 의사소통 중개자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적 위상을 지니고 있었다. 즉, 부근리지석묘 축조 공간은 국지적 단위공동체를 상호 연계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이곳은 공동체 구성원들이 일상에서 거석기념물을 체험하며 동질성을 공유하는 장소이자, 소속감과 지역 애착을 지닌 사회구성원으로 재창조되는 의미화된 장소로구현되었던 것이다. In this paper, the structure of the Ganghwa island dolmens and the recently investigated settlements were reviewed, a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dolmen society of Ganghwa island, as well as strategies for maintaining it as a community were newly reviewed. The Ganghwa island dolmen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the type composition and layout of the dolmens. These cluster types exhibit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are very similar to the Taedong River and Jaryeong River Basin. In addition, the dolmen types appears in all forms from the earliest to the late stages of dolmen in the western North Korean region. This suggests that dolmens in both regions had the same cultural tradition, and that the Ganghwa island dolmen society was established not simply by the spread and inflow of the Top-type pottery culture, but by direct migration. Meanwhile, the Top-type pottery, Yeoksam-dong, and Heonam-ri types, which were recently investigated in Ganghwa-island, show the dynamics of the social development process. In terms of its development, it is estimated that in the early Bronze Age, a community based on the Top-type pottery culture settled in Ganghwa island first, and in the middle of the early Bronze Age, they and the unit communities of Yeoksam-dong and Huam-ri culture coexist. However, given that their settlements were separated and that they could not find cultural interactions, it is believed that they maintained mutually exclusive relationships. Since then, the Top-type pottery communities have integrated Yeoksam-dong and Huam-ri culture communities in Ganghwa island through the process of combining dolmens as a medium, while blocking their inflow from inland, which seems to have grown into a regional political communit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nto these regional communities, the landscape of large table-style dolmens was used as a means of maintaining and strengthening the community. The construction places and visible area of the large dolmens correspond to the boundary bordering the inland area. This seems to be a result of the intentional landscape creation strategy to directly and indirectly express the occupied area of the Ganghwa-island dolmen construction group and strengthen the identity of the regional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power formed on the Gimpo Peninsula. And the betweenness of Bugeun-ri dolmens showed that they had a spatial status to perform their roles and functions as intermediaries within the network organization. In other words, large dolmens were constructed in the best place to interconnect local unit communities. This was a place where community members share homogeneity by experiencing the monument in their daily lives, and a meaningful place where they are recreated as members of society with a sense of belonging and regional attachment.

      • KCI등재

        지석묘사회의 네트워크 구조와 성격 검토 - GIS와 SNA를 이용한 영산강중류역과 여수반도의 비교 -

        강동석(Kang, Dongseok) 한국상고사학회 2019 한국상고사학보 Vol.105 No.105

        청동기시대 사회복합화의 진전은 정치경제의 기반이 되는 잉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수장층의 정치권력 확대전략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런데 잉여의 수집과 관리가 취락 간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취락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이 사회복합화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영산강중류역과 여수 반도 지석묘사회를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두 지석묘사회의 취락체계는 계층적 구조를 형성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최상위 중심취락은 취락 간 네트워크 조직 내에서 자원과 정보를 통제할 수 있는 권력을 가지고 하위취락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공간적 우위를 점하고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공간상의 차별적 지위는 취락 간 계층관계 형성과 사회복합도 진전의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가설을 전제로 네트워크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산강중류역 지석묘사회의 최상위 중심취락은 네트워크상에서 자원·정보 확보에 유리한 근접중심성과 변화에 따른 효과를 크게 거둘 수 있는 위세중심성, 중개자 역할을 보여 주는 매개중심성이 높은 구역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것은 최상위중심지가 지역네트워크상에서 잉여나 정보의 흐름을 효과 적으로 통제하고,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공간적 지위를 지니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를 근거로, 영산강중류역에서는 네트워크 조직 내의 공간적 우위성이 계층적 취락구조의 형성과 사회복합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여수반도에서는 네트워크 중심성이 낮은 구역에 최상위 중심취락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각 중심취락을 핵으로 하는 국지적 단위들이 연계된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단위지역의 지석묘사회가 각기 다른 네트워크 구조를 이루고 있었고, 이에 따른 사회복합화 양상도 달랐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농업잉여를 기반으로 하는 영산 강중류역 수장사회는 네트워크상의 공간적 우위가 취락 간 계층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특징을 지니고 있었으며, 집단지향적 성향의 사회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교역시 스템이 운용되었던 여수반도 지석묘사회는 국지적 단위가 독립적으로 연계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개인지향적 성향의 사회로 상정된다. The discussion on the reorganization of economy system and the progress of social complexity due to the rice agriculture in Bronze Age has been dealt as the political power expansion strategy of the chief to secure surpluses. In this article, the effect of the spatial status of regional networks on the progress of social complexit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ollection and the management of surplus are done by the interaction among settlements was explained. It was reviewed on a dolmen society in the mid-riparian area of Yeongsan River and the Yeosu peninsula, where the stratification in the regional level was discussed. Social network analysis, which is actively used in recent archaeology to visualize the centrality, the power and the influence in the network objectively, was applied.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highest class of the central settlement of the dolmen society in the mid-riparian area of Yeongsan River was distributed where closeness centrality which is advantageous on securing resources, information and the power, eigenvector centrality which can be influential on changes and betweenness centrality are high. This means that the highest central place can control the surplus, distribution and the information effectively in regional networks and has the spatial status which can show the power and the influence. Based on this, the spatial superiority in the network had an effect on the hierarchical settlement structure forming and the social complexity progress in the dolmen society in the mid-riparian area of Yeongsan River.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class of the central settlement in the Yeosu peninsula is distributed in areas where the network centrality is low. Regarding the central settlement as a point, local units constitutes the independent structure, this can be explained as rather the local interaction than the regional networks became the background of the social complexity in the dolmen society in the Yeosu peninsula.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each of regional settlements in the dolmen society formed network structures and it influenced differently in the progress of social complexity of each settlement. That is, in the chiefdom based on the agricultural surplus, like that in the mid-riparian area of Yeongsan River, the interaction network in a regional level was ran and the complexity seemed progressed by controlling of the surplus using the spatial power in the network and the expansion of the group-oriented political power. Whereas, local units which have central settlements as cores form networking systems which links independently in societies which ran the trade system like those in the Yeosu peninsula,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 individual-oriented social structure.

      • KCI등재

        牧隱 自詠詩에 투사된 自我 글쓰기

        강동석(kang, Dongseok)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1 No.-

        본고는 고려시대 문인 牧隱李穡(1328~1396)의 自詠詩를 고찰하여 목은 자영시에 나타난 시인 내면의 결을 살핌과 동시에 한시로서 하나의 장르를 정의하고자 작성된 글이다. 중국 시인 李白은 自詠을 제목으로 9首를 지었고 후대의 인사들 또한 많은 자영시를 창작하였기에, 淸의 비평가 倪濤는 한시의 한 장르로 자영시라는 범주를 설정하였다. 고려시대의 시인 李穡의 『牧隱詩稿』에는 130제 157首의 「自詠」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적지 않은 분량뿐 아니라 질적 완성도 역시 높다. 내용은 주로 출처에 대한 고민과 그로 인한 상충적 자아의 모습이다. 때로는 은둔, 귀거래 지향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내적 갈등을 형상화한 것일 뿐 실제는 벼슬살이 안에서의 지향으로 宦隱이라 할 수 있다. 또 다른 자영시의 큰 축은 바로 내면 성찰로 인한 자부심, 반성적 시선 등 철저한 자신의 되돌아봄에 있다. 시인으로서 학자로서 유학자로서의 강한 자부심이 산재하여 나타나며, 반대로 세상의 시비 소리에 괴로워하고 그 비판에 대해 타당한가 되짚어보는 시간도 갖는다. 그리고 그 안에는 후회와 자괴감이 보인다. 결국 목은은 이러한 심적 괴로움의 원인을 찾고 그러한 것을 이겨내는 정신지향으로 忘機와 無爲를 선택한다. 기심을 잊고 天理를 따랐던 성인의 마음을 발견하고 삶의 만족과 풍요로움을 찾은 것이다. 그렇다면 이상에서 살펴본 바를 토대로 자영시에 대한 정의를 내린다면, “철저한 자기성찰과 반성 그리고 자아적 글쓰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inese poetry of Jayoung Poetry of Mok Ŭn a literary man of the Goryeo Dynasty. Therefore, it is an article written to study the meaning of Jayoung Poetry in Mok Ŭn and define the genre as a poem at the same time. Chinese poet Yi Baek wrote nine works under the title of Jayoung Poetry and later poets also created many Jayoung Poetry Chinese poems, so the Qing critic Yedo set the category of Jayoung Poetry as a genre of Chinese poetry. 『MokŬnShigo』 of Mok Ŭn, a poet of the Goryeo Dynasty, contains 157 Jayoung Poetry works with 130 titles. Not only a considerable amount, but also a high level of quality completion. The content mainly shows the concerns about moving forward and stepping down and the conflicting ego as a result. Sometimes it seems to be a reclusive orientation, but it is only a form of internal conflict, and in reality, it can be called HwanŬn as the orientation within the government office. Another great axis of Jayoung Poetry is the thorough reflection of oneself, such as pride and reflective gaze due to inner reflection. Strong pride as a poet and scholar appears here and there, and on the contrary, they have time to reflect on the validity of the criticism while suffering from the sound of right and wrong in the world. And there is even regret and shame in it. In the end, Mok Ŭn finds the cause of this mental distress and chooses Manggi and Muwi as the mental orientation to overcome it. He discovered the heart of an adult who had forgotten his greed and followed the principle of heaven, and found satisfaction and abundance in life.

      • SCOPUSKCI등재

        Additive Manufacturing Based Design of Metal Continuous Flow Reactor of Inner Micro Structure for Continuous Mixing and Reaction of Chemical Solvents

        양정호(Jeongho Yang),강동석(Dongseok Kang),연시모(Simo Yeon),한지수(Jisu Han),손용(Yong Son),심용식(Patrick Y Shim),강동환(Donghwan Kang),최평호(Pyoungho Choi),박상후(Sanghu Park),하철우(Cheolwoo Ha)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21 한국정밀공학회지 Vol.38 No.9

        Microchannel-based chemical reactor is widely used to develop chemical products. High-efficiency reactors are required to produce high-quality chemical products. The reaction efficiency is highly related to the mixing ratio. In this paper, an inner structure model in the reactor was designed to improve the mixing ratio. Computational fluid dynamic (CFD)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wo-phase flow in a continuous flow reactor using a commercial software. A case model of the different inner structures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mixing rate. Velocity profiles, mixing ratio, and pressure fields of each model were obtained by two-fluid flow analysis using CF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reactor model with a high mixing ratio was selected. Powder bed fusion based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was performed to manufacture the 3D microchannel-based chemical reactor.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reactor could be applied to a high-efficiency reactor system to produce various chemical materials. For instance, it was possible to perform a chemical reaction based on a toxic material, such as, dimethylformamide solution, using the proposed 3D metal microchannel-based re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